[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5138B1 - 가압수형 원자로용 모듈러 라이닝 - Google Patents

가압수형 원자로용 모듈러 라이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38B1
KR910005138B1 KR1019840000081A KR840000081A KR910005138B1 KR 910005138 B1 KR910005138 B1 KR 910005138B1 KR 1019840000081 A KR1019840000081 A KR 1019840000081A KR 840000081 A KR840000081 A KR 840000081A KR 910005138 B1 KR910005138 B1 KR 91000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r
core
containment
block
li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477A (ko
Inventor
알리브랑 빠뜨리스
뽈 밀로 쟝
데스퐁떼네 귀
Original Assignee
프라메토 메 꽁빠뉘
챨스 브루넹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메토 메 꽁빠뉘, 챨스 브루넹고 filed Critical 프라메토 메 꽁빠뉘
Publication of KR840007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38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5/00Moderator or core structure; 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moderator
    • G21C5/02Details
    • G21C5/0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asymmetric expansion of the complete structure ; Stretching devices, p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Toy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압수형 원자로용 모듈러 라이닝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 모듈러 라이닝의 부분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B-B선을 취해 절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모듈러 라이닝을 노심 콘테인먼트에 고정시키는 나사의 부분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C-C선을 취해 절단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 모듈러 라이닝의 부분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 모듈러 라이닝의 부분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을 취해 절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테인먼트 2 : 노심 지지판
3 : 노심 4 : 연료 집합체
5 : 모듈러 라이닝 5a, 5b 및 5c : 모듈러 블록
7 : 패킹부 10 : 고정장치
12 : 보어 14 : 개구
15 : 블라인드 구멍 20 : 나사헤드
21 : 하우징 16 : 슬리브
18 : 나사 24 : 중앙보어
29 : 나삿니부 30 : 너트
31 : 보디부
본 발명은 콘테인먼트 가압수형 원자로의 노심에 적용시키는 모듈러 라이닝에 관한 것이다.
가압수형 원자로의 노심은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주형 집합체로 구성된다. 노심 외면은 다수의 스텝을 갖는 복잡한 형태로 이뤄진다.
원자로 배셀 내부의 노심 주변에는 수직축을 갖는 실린더형 쉘로 구성되는 노심 콘테인먼트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노심 콘테인먼트 내면과 노심 외면 사이에는 불규칙적인 두께를 갖는 환상형 공간이 형성된다. 원자로 노심을 축방향으로 지지하고 노심내로 더욱 많은 양의 냉각수를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환상형 공간내에는 모듈러 라이닝이 배치된다. 상기 라이닝은 서로 연결되는 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일부 블록은 노심 콘테인먼트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모듈러 라이닝은 서로서로에 대해 스크루되는 금속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판중 일부는 환상형 공간의 전체폭에 대해 수평으로 배치되고, 나머지는 수직으로 배치된다.
형상 어댑터라고도 하는 상기 수평판은 외연부를 통해 노심 콘테인먼트의 내면과 접하고 내연부를 통해 노심의 외면과 접한다. 이러한 형상 어댑터는 노심 높이에 대해 상이한 레벨로 배치된다.
형상 어댑터는 노심 콘테인먼트를 관통하고 노심 콘테인먼트에 헤드가 베어링되는 수평 보어내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해 노심 콘테인먼트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형상 어댑터는 노심 콘테인먼트의 보어로부터 연장되는 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보어는 나삿니가 형성된 나사를 스크루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탭된다.
원자로 냉각수는 노심 콘테인먼트의 외부보다 내부에서 온도가 더 높다. 이는 냉각수가 연료 집합체와 접촉함으로써 가열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는 연료 집합체 하부로부터 상부로 흘러서 증기 발생기에서 냉각된 다음, 노심 콘테인먼트 주위의 베셀 주변 영역을 통해 노심 하부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상기 노심 콘테인먼트는 외면을 통해 노심내부의 냉각수보다 너 낮은 온도를 갖는 냉각수 특히 노심상부에 위치하는 냉각수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노심 콘테인먼트와 노심 외면과 접하여 시일드를 형성하는 수직판과 접하는 형상 어댑터는 열적으로 차이가 난다. 게다가, 노심으로부터 빠져나온 방사선이 조사되는 상기 형상 어댑터는 이들 블록내에서만 가열된다. 모든 형상 어댑터에는 고정나사가 사용된다. 따라서 나사와 이들 하우징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이에 수용된 물이 수증기화되고 상기 나사가 가열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형상 어댑터의 고정나사를 특히 이들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필요성이 요구된다.
프랑스공화국 특허공보 제2, 333, 325호에 소개된 예로써, 나사주위에서 원자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를 위해, 형상 어댑터에 배치되는 나사 주위에 물 순환 공간을 제공키 위해 보어가 매우 큰 규격으로 제공되는 한편 형상 어댑터에는 상기 나사의 보어가 상통하는 유체 유입구와 배출구가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측 개구를 통해 형상 어댑터의 보어내에 위치하는 나사 주위 공간과 서로 상통하는 일부 나사 길이에 대해 축방향 개구를 갖는 나사가 이용된다. 따라서 물 순환은 노심 콘테인먼트 내부와 외부간의 나사 내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나사 냉각 과정은 형상 어댑터의 특수한 장치를 요구하게 되므로 결국 고정 나사를 기계적으로 약화시키게 된다.
본 회사가 출원한 프랑스공화국 특허출원 제82, 18012호에는 노심과 노심 콘테인먼트간의 환상형 공간 전체에 고체 모듈러 라이닝이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향상된 효율을 갖게되는 원자로가 소개되어 있다.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 블록으로 구성되는 이러한 형태의 고체 모듈러 라이닝은 이의 본래적인 기능을 실행하는 것 외에도 빠른 중성자를 반사시키는 반사체로도 작용한다.
또한, 이러한 교체 모듈러 라이닝은 베셀에 중성자가 과도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노심과 노심 콘테인먼트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내의 물의 양을 극도로 감소시키게 된다. 즉, 이는 가압 냉각수 결손을 가져오는 사고 발생시 모듈러 라이닝의 저항성을 높인다.
또한, 프랑스공화국 특허공보 제2, 499, 752호에는 노심 높이 정도로 서로의 상부에 얹혀져서 수직으로 길다랗게 배치되는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서로 단단하게 고정되는 모듈러 블록으로 구성되는 고체 모듈러 라이닝이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모듈러 블록은 각각의 블록을 관통하는 수직 채널에 의해 냉각되고 서로 팽창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블록의 측면상에 위치하는 개구내로 삽입되는 키이는 너트가 노심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수단에 의한 고정이 복잡해지기 전에 상기 블록을 서로서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모듈러 라이닝은 노심 콘테인먼트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모듈러 라이닝의 위치가 콘테인먼트에 관련되어 양호하게 규정되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게다가, 스트레스와 모듈러 라이닝의 반사율을 크게 감소시키게 되는 열원에 의한 변형을 제한하기 위해선 여러개의 냉각 채널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한편, 적절한 냉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에, 상기 모듈 블록이 전반적으로 열적 변형되므로 블록과 노심간에는 큰 공차를 제공해야 하므로, 이로인해 주변 연료 집합체를 줄여야 하므로 결국에는 노심 효율이 낮아지게 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지진이 일어날 경우, 길다란 연결부는 원자로 작동동안 높은 스트레스를 받아 파손되어 모듈러 라이닝으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전체 구조가 너무 복잡할 뿐 아니라 서로서로 양호하게 정합되어져야 하는 고체 블록을 위한 기계장치를 필요로 한다.
최종적으로, 고체 블럭에 대해서 비교적 얇은 판으로 구성되는 형상 어댑터를 위해서 요구되는 노심 콘테인먼트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실, 나사를 냉각시키기 위해 이러한 장치는 형상 어댑터내에 위치하는 나사 통로가 냉각수로 가득 채워진 환상형 공간과 서로 상통토록 보어를 제공하게 되는 개구를 필요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심 주변에 환상형 공간을 형성시키기 위해 실린더형 노심 콘테인먼트내에 수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주형 집합체로 구성되는 가압수형 원자로 노심내에 콘테인먼트를 적용시키는 모듈러 라이닝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모듈러 라이닝은 노심 주변의 환상형 공간을 채우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모듈러 메탈 블록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러 블록의 팽창과 냉각을 허용할 뿐 아니라 모듈러 라이닝 블록 내의 수로를 제공하는 구멍을 필요로 함이 없이 효과적인 나사의 냉각을 허용하며, 최종적으로 빠른 중성자가 아주 효과적으로 반사되는 높은 반사율을 갖는다.
이를 위해 모듈러 블록의 인접면 사이에는, 이들 블록의 냉각과 팽창을 허용하기 위해 드릴되지 않은 고체 블록으로 구성되어 모듈러 블록 사이에 어떤 공간을 유지시키는 얇은 패킹부가 배치된다. 상기 블록은 냉각수 순환에 의해 냉각되는 나사장치에 의해 노심 콘테인먼트에 불연속적으로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원자로 노심(3)을 형성하는 연료 집합체가 얹혀지는 노심 지지판(2)에 하부가 고정된 가압수형 원자로의 노심 콘테인먼트(1)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노심 콘테인먼트(1)는 상부가 원자로 베셀의 칼라부에 고정되어 상기 베셀과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노심 콘테인먼트(1)와 지지판(2)은 원자로의 하부 내부장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1도는 모듈러 라이닝(5)이 베어링되는 노심 외면이 원자로의 주변 집합체(4)와 동일한 수 만큼의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노심 외면과 콘테인먼트(1) 외면사이의 환상형 공간을 모두 메우는 모듈러 라이닝(5)은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갖는 세 형태의 모듈러 블록(5a), (5b) 및 (5c)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듈러 블록은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모듈러 라이닝은 노심 높이로 서로의 상부에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모듈러 블록(5a), (5b) 및 (5c)의 연속적인 층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모듈러 블럭이 서로의 상부에 배치도는 9개의 층만으로 전체의 모듈러 라이닝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도는 서로 상이한 블록(5a)과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갖는 블록(5b)와 (5c)가 노심 외형과 동일한 형태로 설계되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블록(5a), (5b) 및 (5c)는 상기 콘테인먼트에 관련해 불연속적으로 콘테인먼트 외면을 따라 배치되고, 패킹부(7)는 모듈러 블록 콘테인먼트(1) 내면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패킹부(7)는 냉각수가 모듈러 라이닝(5)과 콘테인먼트(1)사이를 순환할 수 있는 공간(6)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모듈러 블록(5a) 및 (5b) 사이와 블록(5b) 및 (5c)사이에는 패킹부(8)가 배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도 냉각수 순환로를 제공하기 위해 모듈러 블록간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케한다.
저온 상태에서, 모듈러 블록중 어느 하나(5a 참고)에 고정적으로 고정되는 패킹부(8) 사이에는 좁은 공차가 형성되므로써, 다른 모듈러 블록(5b 참고)의 인접면은 상기 공차로 허용되는 한도내에서 상기 블록(5a) 및 (5b)를 자유롭게 팽창시키므로, 최종적으로 상기 공차는 열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공차는 냉각 채널을 필요로 함이 없이 모듈러 블록의 냉각을 허용함으로써 모듈러 라이닝내로 적은 량의 냉각수만을 삽입시키므로 결국에는 반사율을 더 이상 낮추지 않게된다.
최종적으로, 모듈러 블록의 작은 크기는 이들의 열적 변형을 제한하게 되므로, 이는 모듈러 라이닝의 기하학과 관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 아니라 지진 발생시 노심 고정을 약화시키고 주변 연료 집합체에 작용하는 냉각수를 감소시켜야 하는 블록과 노심간의 과도한 공차를 제공할 필요성을 배제하게 된다.
모듈러 블록(5a), (5b) 및 (5c)는 고정장치(10)에 의해 노심 콘테인먼트(1)에 연결되는데 이에대해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블록(5a)은 4개의 장치(10)에 의해 노심 콘테인먼트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중 두개는 상기 블록상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두개는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패킹부(7) 영역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중앙블록은 단지 두개의 장치(10)에 의해서만 고정되며, 이중 하나는 상부에 다른 하나는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모듈러 블록(5b)은 블록(5a)의 각 면상에 한쌍으로 배치되는 4개의 나사에 의해 노심 콘테인먼트(1)에 연결되며, 상기 블록(5b)은 상기 블록(5a)의 한면상에서 노심 콘테인먼트를 베어링하는 내면쪽으로 상기 블록(5a)을 에워싼다.
또한, 상기 블록(5c)은 한셋트의 4개의 장치(10)에 의해 노심 콘테인먼트에 고정된다.
제3도는 보어(12)가 관통하는 노심 콘테인먼트(1)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보어(12)는 베어링 면(12b)으로 종결되는 노심 콘테인먼트 외면쪽으로 대직경부(12a)와 소직경부(12)를 갖는다. 노심 콘테인먼트(1)에 연결되는 모듈러 라이닝 블록(5)은 수로를 위해 공간(6)과 서로 통하는 개구를 포함하여 노심 콘테인먼트와 모듈러 블록간의 냉각수 순환을 가능케 하는 패킹부(7)를 통해 노심 콘테인먼트를 베어링한다. 이러한 모듈러 블록(5)은 이의 내면부(15a)쪽으로 탭되는 블라인드 구멍(15)을 포함한다. 고정되는 슬리브(16)는 블라인드구멍(15)내에 고정되어 원형 용접부(17)에 의해 블록(5)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슬리브가 모듈러 블록(5)의 블라인드 구멍내에 고정되기 전에, 제4도에 도시된 두평면부(19)를 갖는 헤드(20)가 슬리브 단부에 형성되는 하우징(21) 내에 삽입되는 나사(18)가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16)가 블라인드구멍(15) 보다 더욱 짧은 길이로 설계되므로, 하우징(21)이 형성되는 슬리브 단부와 블라인드 구멍(15)의 밑면(15b)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16) 단부는 하우징(21)을 형성하기 위해 두 평면부(19)간의 나사 헤드(20)폭에 대응하는 넓이로 구멍이 뚫린다. 따라서, 상기 나사 헤드(20)는 하우징(21) 내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공정된다(제4도 참조).
슬리브(16)의 중앙 보어(24)는 노심 콘테인먼트(1)를 통과하는 보어부(12c)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듈러 블록이 노심 콘테인먼트를 따라 고정 위치로 배치되면, 상기 보어(12)와 슬리브(16) 또는 이의 중앙 보어(24)는 공동축(25)을 갖게 된다.
보어(24)와 보어(12)가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나사부(18)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므로써 상기 나사부는 편향되어 응력을 받지 않게 되므로, 나사의 약화 특성이 양호하게 향상된다. 나사는 나삿니 길이를 최대로 줄임으로써 이의 평향 길이가 최대치를 가질 수 있는 크기로 설계됨으로써 약화 특성을 양호하게 향상시키게 된다. 여기서, 약화특성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면, 나사는 상기 블록이 온도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슬리브(16)는 이를 관통하는 방사성 개구(26)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26)와 블라인드 구멍(15b) 밑면쪽으로 위치하는 슬리브 단부 사이에는 상기 블라인드 구멍(15) 보다 더욱 적은 직경을 갖는 슬리브가 배치되며, 이로 인해 형성되는 환상형 공간은 상기 블라인드 구멍(15B)의 밑면과 하우징(21)을 포함하는 슬리브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서로 상통하는 슬리브 외면상에 방사상 구멍(26)의 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나사(18)는 이의 전체 길이로 형성되는 축방향 구멍(28)을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구멍은 나사가 슬리브내에 위치할 때 블라인드 구멍(15)내에 형성되는 종간공간과 접하는 한쪽 단부와 노심 콘테인먼트(15) 외면에서 중앙 구멍(28)과 접하는 다른쪽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가사 노심 콘테인먼트를 관통하는 보어(12) 내에 삽입됨으로써 나삿니부(29)을 포함하는 헤드 반대편(20) 나사 단부는 콘테인먼트 외부와 상통하는 보어의 대직경부(12) 내에 위치하게 된다. 베어링면(12b)영역에서 콘테인먼트 외면을 베어링 하는 너트(30)는 상기 나삿니부(29)에 끼워진다.
상기 나삿니부(29)와 이의 헤드(20) 사이에서 상기 나사는 슬리브(16)의 중앙보어(24)의 내경과 보어(12)부분(12c)의 내경보다 좁은 직경을 갖는 관형 보디부(3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나사 주위에는 콘테인먼트(1) 내부로 슬리브(16)가 관통하는 통로 전체 길이로 환상형 채널(32)이 형성된다.
제자리에 배치되기 위해, 상기 블록(5)은 노심 콘테인먼트 내면에 고정되는 패킹부(7) 반대편으로 배치되어 슬리브(16)와 나사(18)를 구비한 다음, 나사의 부분(29)이 콘테인먼트(1)의 외면에 이를 때까지 상기 콘테인먼트를 관통하는 보어(12)내로 삽입된다. 다음, 너트(30)는 상기 블록(5)을 패킹부(7)에 고정시키기 위해 나사의 부분(29)상에서 조여진다. 상기 너트의 죄임은 상기 나사(18)가 하우징(21)내의 평면부(19)를 포함하는 이의 헤드(20)에 의해 회전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실시된다.
물론, 상기 블록(5)을 고정시키는 4개의 장치(10)에 속하는 4개의 나사도 또한 상기와 같은 절차로 행해진다.
죄임이 실시될 때, 상기 너트는 요접부(33)에 의해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원자로 작동시, 콘테인먼트 외부에 위치하는 냉각수와 콘테인먼트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수간에는 압력차가 생긴다.
사실상, 증기 발생기에 의해 냉각되고 노심 콘테인먼트(1)와 베셀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을 통과하여 노심 아래로 되돌려지는 냉각수는 노심 콘테인먼트(1)와 블록간의 냉각수 순환을 위해, 공간(6)과 주어진 높이로 압력 평행상태를 이루는 노심을 관통함으로써 압력 강하된다.
따라서, 노심 콘테인먼트의 외부와 물순환 공간(32)과 상통하는 수로를 위한 구멍(14)간에는 압력차가 이뤄진다. 따라서, 냉각수는 나사내의 구멍(28)을 통과하는 노심 콘테인먼트 외부와 내부 사이와, 블라인드구멍(15)의 종단공간과, 슬리브(16)단부와 블라인드구멍(15b) 밑면사이의 환상형 공간과, 방사상 구멍(26)과, 환상형 채널(32)과 최종적으로 수로를 통한 구멍(14)를 순환하게 된다.
상기 나사 내부와 주변을 물이 계속 순환하므로써, 상기 나사는 열적 불균형을 피하게 되고 또한 이의 열적 팽창을 방지토록 냉각된다.
이러한 순환은 라이닝의 모듈러 블록내의 개구나 또는 상기 나사의 방사상 개구를 필요로 함이 없이도 얻어진다.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고정장치와 동일한 고정장치에 의해 노심 콘테인먼트(40)에 고정되는 고체 모듈러 라이닝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모듈러 블록(45)을 포함하는 이러한 고체 모듈러 라이닝은 연료 집합체(41)가 육각형 단면적을 갖는 저감속형 가압수형 원자로의 경우에 사용된다(제1도는 연료집합체가 4각형 단면적을 갖는 가압수형 원자로에 이동된다).
다수의 모듈러 블록(45)은 서로 겹침이 없이 노심주변에 나란히 배치된다. 이들 블록중 일부는 이들 전체 높이로 형성되는 약간의 수직 냉각개구(42)를 포함한다. 저감속형 가압수형 원자로의 경우에는 상기 일부 블록은 적은 수의 냉각 개구를 포함한다. 왜냐하면, 저감속형 원자로가 노심과 모듈러 라이닝 사이에 배치되는 핵친화성 물질로 둘러싸여짐으로써 모듈러 블록에 작용하는 방사능 효과에 의한 열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제1도, 제2도에 도시된 모듈러 라이닝의 경우와 같이, 전체 모듈러 라이닝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서로 불연속적으로 블록 층으로 이뤄진다. 연속적인 두 블록(45) 사이와 어느 하나의 블록(45)과 노심 콘테인먼트(40) 사이에는 냉각수 순환 공간(46) 또는 (47)을 제공하는 패킹부(48)가 배치된다.
제6도 및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형 단면적을 갖는 연료 집합체로 구성되는 노심에 이용되는 모듈러 라이닝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모듈러 라이닝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장치와 동일한 고정장치(60)에 의해 노심 콘테인먼트(51)에 고정되는 모듈러 블록(55a) 및 (55b)을 포함한다.
모듈러 블록(55b)은 상기 블록(55a)과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또한 상기 블록(55a) 및 (55b)은 불연속적으로 콘테인먼트(51)를 따라 패킹부(52)에 의해 고정된다.
키이(56)는 일부 모듈러 블록(55a) 또는 (55b)에 고정되어 대응되는 모듈러 블록에 용접되어 이를 직선적으로 관통한다. 이러한 키이(56)는 핀(57)으로 제3실시예의 모듈러 블록(55c)을 모듈러 블록(55a) 또는 (55b)에 고정시킨다.
모듈러 블록(55c)은 노심 콘테인먼트(51)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단지 모듈러 블록(55a) 또는 (55b)을 통해서만 연결된다. 블록(55a), (55b) 또는 (55c) 사이에는 냉각 공간을 제공하고 열팽창 조건하에서도 상기 블록의 상대적 운동을 허용하는 패킹부(58)가 배치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라이닝은, 모듈러 블록을 구성하는 금속량을 줄임으로써 상기 블록의 중성자 반사체로의 사용을 부적합하게 하는 많은 수의 냉각 채널을 필요로 함이 없이, 열팽창 조건하에서 상기 블록을 냉각시키고 이의 상대적 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된 특수한 형태의 고정장치는 모듈러 라이닝 블록을 노심 콘테인먼트에 고정시키는 나사의 냉각을 가능케 할뿐 아니라 상기 나사의 역학적 강도를 감소시킴 없이 높은 효율로 나사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고정장치는 노심과 노심 콘테인먼트 내면 사이의 환상형 공간 전체를 메우는 모듈러 라이닝을 형성하는 고체 모듈러 블록일 경우에 사용된다.
따라서, 질량체 모듈러 라이닝은 노심 콘테인먼트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제한된 자신의 위치를 갖는다.
모듈러 라이닝을 형성하는 이들 모듈러 블록은 상기 블록에 구멍을 형성시킴이 없이 냉각수 수로를 제공토록 자유공간을 갖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의거한 각종의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체 블록은 지금까지 설명된 형태와 서로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회전식으로 나사를 고정시키는 슬리브내의 단부하우징은 나사 헤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통형이 아니다.
상기 슬리브는 모듈러 라이닝 블록내에 형성된 블라인드 구멍내에 고정된다.
이미 언급된 고정장치는 두꺼운 모듈러 블록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고체 반사 모듈러 라이닝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모듈러 라이닝의 경우에도 사용된다. 이 경우에서,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는 형성 어댑터를 노심 콘테인먼트에 고정시키는데 아주 양호하게 사용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라이닝을 가압수형 원자로에 적용시킴으로써, 중성자 평행상태가 양호하게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복수개 주형의 수직적 인접 집합체와, 수직축을 갖고 환형 공간만큼 이격하여 실린더 노심 콘테인먼트를 가지는 노심을 갖는 수냉식 원자로에서, 상기 노심 주변에 콘테인먼트를 적용하는 모듈러 라이닝에 있어서, 수직면을 갖고 상기 환형 공간의 전체 부분을 채우는 고체 모듈러 블록으로된 서로 인접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직 열을 구비하고, 상기 각 모듈러 블록에 대한 각 수직면은 상기 노심의 수직면, 노심 콘테인먼트 또는 다른 모듈러 블록과 대면하여 위치하고, 상기 모듈러 블록과 노심 콘테인먼트상에 형성된 서로 인접되어 있는 수직면들을 분리시키도록 위치한 얇은 패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패킹부는 열적 팽창을 흡수하고 수냉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수직면들 사이에 수로를 위한 갭을 형성하도록 구성배치되며, 상기 실린더형 콘테인먼트에 상기 각 블록을 접속하기 위한 수냉식 나삿니 수단을 구비한 원자로용 모듈러 라이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은 상기 나삿니 부분을 구성하는 한 세트의 나사 장치에 의해 노심 콘테인먼트에 고정된 원자로용 모듈러 라이닝.
  3. 제1항에 있어서, 모듈러 블록(45)중 단지 일부만 냉각수가 순환하게 되는 개구(42)를 포함하는 원자로용 모듈러 라이닝.
  4. 제1항에 있어서, 모듈러 블록(55a, 55b)중 일부는 나사장치(60)에 의해 노심 콘테인먼트(51)에 결합되고 나머지는 블록(55a, 55b)에 용접된 키이(56)에 의해 노심 콘테인먼트(51)에 연결된 모듈러 블록(55a, 55b)에 각각 결합되는 원자로용 모듈러 라이닝.
KR1019840000081A 1983-01-12 1984-01-11 가압수형 원자로용 모듈러 라이닝 Expired KR910005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300396A FR2539244B1 (fr) 1983-01-12 1983-01-12 Dispositif de cloisonnement du coeur d'un reacteur nucleaire a eau sous pression
FR396 1983-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477A KR840007477A (ko) 1984-12-07
KR910005138B1 true KR910005138B1 (ko) 1991-07-23

Family

ID=928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081A Expired KR910005138B1 (ko) 1983-01-12 1984-01-11 가압수형 원자로용 모듈러 라이닝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701299A (ko)
EP (1) EP0117168B1 (ko)
JP (1) JPS59137882A (ko)
KR (1) KR910005138B1 (ko)
AT (1) ATE31838T1 (ko)
BR (1) BR8400098A (ko)
DE (1) DE3468571D1 (ko)
ES (1) ES8701411A1 (ko)
FI (1) FI80538C (ko)
FR (1) FR2539244B1 (ko)
YU (1) YU46135B (ko)
ZA (1) ZA84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4046B (en) * 1984-02-03 1988-06-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Radial neutron reflector
US4849162A (en) * 1984-11-13 1989-07-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dular radial neutron reflector
US4731220A (en) * 1985-08-14 1988-03-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Neutron reflector
FR2625021B1 (fr) * 1987-12-22 1990-05-25 Framatome Sa Reacteur nucleaire a eau sous-pression et a cloisonnement massif
US4941159A (en) * 1988-10-14 1990-07-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Low neutron fluence nuclear reactor internals
FR2666166B1 (fr) * 1990-08-21 1992-11-27 Framatome Sa Dispositif de cloisonnement de cóoeur pour reacteur nucleaire.
US5791107A (en) * 1992-04-03 1998-08-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Building with a sealing element
DE4211293A1 (de) * 1992-04-03 1993-10-07 Siemens Ag Gebäude
US5319692A (en) * 1992-06-24 1994-06-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reactor reflector
US5680424A (en) * 1996-02-28 1997-10-2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PWR radial reflector
WO2008051203A2 (en) * 2005-10-13 2008-05-02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Advanced radial core reflector
US8472581B2 (en) * 2008-11-17 2013-06-25 Nuscale Power, Llc Reactor vessel reflector with integrated flow-through
US8532245B2 (en) * 2008-12-17 2013-09-10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Core shroud corner joints
US8615065B2 (en) * 2009-10-22 2013-12-24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odular radial neutron reflector
CN103231169B (zh) * 2013-04-19 2015-05-20 上海第一机床厂有限公司 堆心围筒的激光焊接方法
CN114273759A (zh) * 2021-12-30 2022-04-05 东方电气(武汉)核设备有限公司 堆芯围筒组件的焊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4514A (en) * 1964-03-10 koutz etal
DE1122642B (de) * 1961-01-19 1962-01-25 Babcock & Wilcox Dampfkesselwe Spann- und Halteeinrichtung fuer einen Moderatoraufbau von Atomkernreaktoren
US3260650A (en) * 1963-12-27 1966-07-12 Wilbert A Kalk Reflector and coolant sealing structure for gas cooled nuclear reactor
GB1039588A (en) * 1964-08-20 1966-08-17 Atomic Energy Authority U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nuclear reactors
GB1115263A (en) * 1965-10-08 1968-05-29 Nuclear Power Plant Co Ltd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heat through walls
US3629070A (en) * 1969-06-09 1971-12-21 Atomic Energy Commission Temperature-activated reactor core clamp
US3753856A (en) * 1970-06-01 1973-08-21 Rockwell International Corp Core clamping system for a nuclear reactor
US4158605A (en) * 1975-11-25 1979-06-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Nuclear core baffling apparatus
US4069102A (en) * 1975-11-25 1978-01-1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Nuclear core region fastener arrangement
ES489024A0 (es) * 1979-04-23 1981-02-16 Sulzer Ag Perfeccionamiento en las armaduras para el almacenamiento dehaces de elementos combustibles nucleares
FR2481506B1 (fr) * 1980-04-25 1986-08-29 Framatome Sa Dispositif de cloisonnement du coeur d'un reacteur nucleaire par des elements amovibles
FR2499752B1 (fr) * 1981-02-10 1987-07-1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Reacteur nucleaire a eau pressuris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61156B2 (ko) 1991-09-18
FR2539244A1 (fr) 1984-07-13
FR2539244B1 (fr) 1989-01-27
KR840007477A (ko) 1984-12-07
US4701299A (en) 1987-10-20
YU2384A (en) 1990-10-31
DE3468571D1 (en) 1988-02-11
FI840110A0 (fi) 1984-01-12
ES8701411A1 (es) 1986-11-16
ES528743A0 (es) 1986-11-16
EP0117168B1 (fr) 1988-01-07
ZA8439B (en) 1984-10-31
EP0117168A1 (fr) 1984-08-29
JPS59137882A (ja) 1984-08-08
BR8400098A (pt) 1984-08-21
FI80538C (fi) 1990-06-11
FI840110L (fi) 1984-07-13
ATE31838T1 (de) 1988-01-15
YU46135B (sh) 1993-05-28
FI80538B (fi) 199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138B1 (ko) 가압수형 원자로용 모듈러 라이닝
US4664871A (en) Nuclear power installation with a high temperature pebble bed reactor
US5045274A (en) Water cooled nuclear reactors
US4653576A (en) Expandable antivibration bar for a steam generator
US4731220A (en) Neutron reflector
US4069102A (en) Nuclear core region fastener arrangement
RU2730589C2 (ru) Ядерный реактор с автономной активной зоной
KR930011110B1 (ko) 모듀울형 방사상 중성자 반사체 장치
KR100360572B1 (ko) 하부의내장물을유지하는수단을포함하는원자로의용기와,상기유지수단을조정하는방법
US4751043A (en) Radial neutron reflector
US5379331A (en) Transverse holding device for a steam generator of a pressurized water nuclear reactor, and for its adjustment
US3733760A (en) Reactor vessel
JPS6291893A (ja) 原子炉
US4560531A (en) Device for partitioning off the core of a nuclear reactor
US5771266A (en) Device for joining together two plates of the baffle assembly of the core of a nuclear reactor
CA2023484C (en) Nuclear reactor
US4016035A (en) Fuel assembly support column for a nuclear reactor diagrid
JPH0321878B2 (ko)
US3359175A (en) Nuclear reactor
US3305449A (en) Nuclear reactor core assembly
JP3886654B2 (ja) 加圧水型原子炉の炉心構造
EP0169425B1 (en) Improved radial neutron reflector
US20050117689A1 (en) Reactor cooling system
JPH08170995A (ja) 核燃料バンドル、核燃料バンドル用のスペーサ、沸騰水型原子炉を運転する方法、模擬核燃料バンドル及び模擬沸騰水型原子炉を運転する方法
NL8601264A (nl) Hoge temperatuur-kernre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07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