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5013Y1 -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013Y1
KR910005013Y1 KR2019880009944U KR880009944U KR910005013Y1 KR 910005013 Y1 KR910005013 Y1 KR 910005013Y1 KR 2019880009944 U KR2019880009944 U KR 2019880009944U KR 880009944 U KR880009944 U KR 880009944U KR 910005013 Y1 KR910005013 Y1 KR 910005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de
circuit
clamp
signal
reference vol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951U (ko
Inventor
최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9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013Y1/ko
Publication of KR9000019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9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13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18Motion-picture cameras
    • G03B19/26Motion-picture cameras with fade-in and fade-out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6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 H04N5/18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by means of "clamp" circuit operated by switch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페이드 제어회로.
제 3 도는 페이드 제어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램프회로부 2 : 기준전압 발생회로부
3 : 화이트 클립회로부 4 : 버퍼부
5 : 크로마신호 차단회로부 OP1: 증폭기
COM1: 비교기 Y : 휘도신호
C : 크로마신호 VR1, VR2: 기준전압 설정용 가변저항
본 고안은 비디오카메라의 페이드 기능을 화이트레벨로서 수행토록 한 페이드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인(Fade In ; 비디오 영상이 블랙레벨로부터 점차적으로 밝아오는 것)과, 페이드-아웃(Fade Out, ; 비디오 영상이 화이트 레벨로부터 블랙레벨로 변하며 점차적으로 어두워지는 것)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회로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저항(R4, R5, R6)에 의해 설정된 전압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화이트 클립레벨이 결정되는바, 정상적인 레벨로 클립되도록 하고 페이드 수행시에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페이드제어신호(FADE IN/OUT)가 인가되어 화이트 클립레벨을 낮춤으로써 블랙레벨로 페이드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회로는 화이트 클립회로의 클립레벨 설정이 되는 기준레벨에 페이드 제어신호를 부가하여 클립레벨을 낮춰주어 페이드-인 시에는 블랙레벨에서 정상상태로 페이드-아웃 시에는 정상상태에서 블랙레벨로 페이드를 수행하는 결과 카메라 사용시 뷰우파인더의 화면에서 피사체가 블랙인 경우와 페이드작동중인 경우를 구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시각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클램프 회로의 기준전압 발생회로에 페이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클램프 회로에서 생성된 직류전압을 점차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후 화이트 클립회로에서 화이트 클립시켜 화이트 레벨로 페이드 기능을 수행토록 한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효과를 제 2 도 및 제 3 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인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휘도신호(Y)에 직류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클램프회로부(1)와, 페이드제어신호(FADE IN/OUT)를 받아 클램프회로부(1)에 기준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기준전압발생 회로부(2)와, 클램프회로부(1)에서 생성된 직류전압의 변동에 따라 화이트 레벨로 페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화이트 클립회로부(3)와, 크로마신호(C)를 통과시키는 버퍼부(4)와, 크로마신호(C)와 휘도신호(Y)를 혼합하여 복합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혼합기(Y/CMIX) 및 페이드-아웃 종료시 및 페이드-인시 크로마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크로마 신호 차단회로부(5)로 구성된다.
클램프회로부(1)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용 스위칭트랜지스터(Q3)와 바이어스저항(R11)(R12) 및 콘덴서(C2)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이용되는 기준전압 발생회로부(2)는 클램프 기준전압을 안정하게 설정하기 위해 전압플로워인 증폭기(OP1)와 기준전압설정용 저항(R13, R14, VR1)으로 구성될수도 있다.
페이드 기능 수행시 크로마신호(C)를 차단하는 크로마신호 차단회로부(5)는 비교기(COM1)와 기준전압설정용 저항(R15, R16, VR2)으로 구성되는바, 크로마신호 차단회로부는 크로마신호의 화이트 클립 레벨이 통상적으로 휘도신호의 화이트 클립레벨보다 높기 때문에 이 크로마 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화이트 클립회로부(3)는 트랜지스터(Q1)(Q2)와 바이어스저항(R1-R3) 및 화이트클립 레벨 설정용 저항(R4-R6)으로 구성되는바, 도면중 미설명 부호 C1와 R7는 페이드 제어신호 적분용 콘덴서 및 저항이고 Q4는 크로마신호 버퍼용 트랜지스터이며, D1은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 C3는 클램프 홀더용, C4는 직류 차단용 콘덴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클램프펄스(CP)가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3)는 턴온되며 에미터에 공급되고 기준 전압과 동일레벨로 유지되어 콘덴서(C3)를 거친 휘도신호(Y)에 직류전압이 생성된다.
이때 기준전압은 증폭기(OP1)에 의해 비반전단자에 인가된 전압레벨에 의해 클램프 기준전압으로 사용되는 동시에 비교기(COM1)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어 저항(R15, R16, VR2)에 의해 분압되어 반전단자에 인가된 기준전압과 비교되어 일정레벨 이상이면 비교기(COM1)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되어 다이오드(D1)를 통해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에 인가되어 크로마신호(C)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콘덴서(C3)를 통과한 휘도신호(Y)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설정된 전압보다 높은 레벨의 신호는 클립되어 제거되면서 화이트 신호만이 남게된다.
한편, 클램프 기준전압 발생용 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에는 적분된 페이드 제어신호(FADE IN/OUT)가 추가되어지는바,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즉, 페이드-인시에 제 3 도에 도시한 페이드-인 신호(제 3a 도)가 저항(R7)에 인가됨에 따라, 이 페이드-인 제어신호(FADE IN)는 저항(R7)과 콘덴서(C1)에 의해점에서는 제 3c 도와 같은 파형으로 적분되어 증폭기(OP1)의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므로 증폭기(OP1)의 출력인 클램프 기준전압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페이드-아웃시에는 페이드-아웃신호(제 3b 도)가 저항(R7)과 콘덴서(C1)에 의해 제 3d 도와 같이 적분됨에 따라 증폭기(OP1)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페이드 제어신호(FADE IN/OUT)는 저항(R7)과 콘덴서(C1)에 의해 적분되어 클램프 기준전압을 제어하게 되고 시정수(ι=R7C1)에 의해 페이드 기간이 결정된다.(제 3c, 3d 도 참조)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페이드-인시에는 화이트 레벨에서 정상상태로, 페이드-아웃시에는 정상상태에서 화이트레벨로 페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2)

  1. 휘도신호(Y)에 직류클램프 전압을 인가하는 클램프회로부와 상기의 클램프 회로부에서 생성된 직류전압의 변동에 따라 페이드-인/아웃 기능을 수행하는 화이트 클립회로부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페이드제어신호(FADE IN/OUT)의 입력에 따라 상기의 클램프 전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기준전압 발생회로부와, 페이드시 크로마 신호(C)를 차단하는 크로마신호 차단회로부로 구성되어 화이트 레벨로서 페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기준전압 발생 회로부는 페이드-인/아웃시 클램프전압을 변화시키기 위한 증폭기(OP1)와 적분회로(C1, R7) 및 기준전압 설정용 전압(R13, R14, VR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
KR2019880009944U 1988-06-27 1988-06-27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 Expired KR910005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944U KR910005013Y1 (ko) 1988-06-27 1988-06-27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944U KR910005013Y1 (ko) 1988-06-27 1988-06-27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951U KR900001951U (ko) 1990-01-19
KR910005013Y1 true KR910005013Y1 (ko) 1991-07-12

Family

ID=1927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944U Expired KR910005013Y1 (ko) 1988-06-27 1988-06-27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0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951U (ko) 199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013Y1 (ko)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제어회로
FR2683414A1 (fr) Commande de contraste et de luminosite pour recepteur de television avec teletexte.
US5072299A (en) Sharpness up/down circuit for vcr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966481B2 (ja) ビデオ装置で画像効果を発生させる回路装置
KR920008623Y1 (ko) 비데오 카메라의 세트 업 레벨 조정회로
JPH0634511B2 (ja) 自動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回路
KR940007548Y1 (ko) 화면 휘도에 따른 osd 휘도 조절 회로
KR950009562Y1 (ko) 비디오 카메라의 셔터모드 제어회로
KR850000566B1 (ko) 텔레비젼의 화상 조정 회로
KR930011289B1 (ko) 영상신호 처리장치에 있어서 y 신호의 선택적 노이즈 감쇄장치
KR920004436Y1 (ko) 비데오 화면의 선명도 조절회로
KR920007905Y1 (ko) 오토 화이트 밸런스 인에이블 회로
KR890000780B1 (ko) 비데오 카메라의 자동조리개 조절방법
KR0118645Y1 (ko) 비디오 문자 믹서회로
KR920007375Y1 (ko) 온 스크린 문자 번짐 방지회로
KR950009561Y1 (ko) 비디오 카메라의 페이드 아웃/인 장치
KR0183696B1 (ko) 문자신호 복합장치
KR920005779Y1 (ko) 동기신호신장회로
KR930007289A (ko) 온 스크린 표시 문자의 색상 보정 회로
KR100203276B1 (ko) A/d컨버터 입력 안정화회로
KR970003249Y1 (ko) 고충실도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오토 트랙킹 입력회로
JPS6175677A (ja) 信号処理回路
KR930008705Y1 (ko) 모니터의 영상신호 조절장치
KR910005014Y1 (ko)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페이드 회로
KR950001174B1 (ko) 입력신호 자동절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06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806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6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1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11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5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