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3807B1 - 브라운관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807B1
KR910003807B1 KR1019870002297A KR870002297A KR910003807B1 KR 910003807 B1 KR910003807 B1 KR 910003807B1 KR 1019870002297 A KR1019870002297 A KR 1019870002297A KR 870002297 A KR870002297 A KR 870002297A KR 910003807 B1 KR910003807 B1 KR 91000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sealing
sphere
stem
glass bul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430A (ko
Inventor
고오이찌 야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15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32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591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074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6053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94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537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327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미따 가쯔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Publication of KR87000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807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2Measurement or testing during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운관의 제조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브라운관의 제조장치 구성도.
제 2 도는 브라운관의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제 3 도는 브라운관의 브라운관의 전자총구체의 측면도.
제 4a 도는 전자총구체의 제3그리드를 도시한 평면도.
제 4b 도는 전자총구체의 제3그리드를 도시한 측면도.
제 5 도는 벌브의 수평축을 검출하는 스텝을 도시한 설명도.
제 6 도는 전자총구체의 인라인 수평축을 검출하는 스텝을 도시한 설명도.
제 7 도는 브라운관의 밀봉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단면도.
제 8a 도와 제 8b 도는 유리벌브와 전자총구체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개략평면도.
제 9 도는 브라운관의 밀봉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 10 도는 밀봉호울더의 측면도.
제 11 도는 브라운관이 밀봉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단면도.
제 12 도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마운트핀에 스템구체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브라운관의 밀봉장치의 마운트핀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지구체의 개략평면도.
제 15 도는 종래의 마운트핀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 16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마운트핀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 17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브라운관의 밀봉장치와 그 가열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벌브 (1a) : 패널
(1b) : 형광면 (1c) (1d) : 표적
(1e) : 깔때기부 (2) : 벌브호울더
(3) : 패널지지체 (4) : 새들
(5) : 호울더받침대 (6) : 슬라이드부
(7) : 지지체 (8) : 구동장치
(8a) : 기어 (9) : 마운트핀
(10) : 전자총구체 (101)(102)(103) : 전자비임통과구멍
(104)(105) : 기준구멍 (11) : 스템구체
(12) : 구동장치 (13)(14) : ITV카메라
(15)(16) : 형광등 (17)(18) : 후드(덮개)
(19)(24) : 화상처리부 (20)(25) : 인식연산부
(21)(26) : 모니터 (27) : CPU
(30) : 버어너 (31) : 불꽃
(101) : 유리벌브 (101′) : 컬레트레스유리벌브
(101a) : 넥부 (101a′) : 컬레트유리
(102) : 전자총구체 (102a) : 내부리이드
(103) : 스템구체 (103a) : 스템유리
(103b) : 배기파이프 (104) : 아우터핀
(111) : 밀봉호울더 (112) : 벌브스토퍼
(113) : 패널척(CHUCK) (114) : 벌브지지체
(115) : 호울더프레임 (116) : 벌브호울더
(117) : 벌브호울더유니트 (118) : 지지체
(119) : 마운트핀 (119a) : 마운트핀베이스
(119b) : 마운트핀축 (120) : 가스버어너
(121) : 불꽃 (122) : 지지구체
(122a) : 제1의 베어링 (122b) : 제2의 베어링
(123) : 제1의 베어링구체 (123a)(123b) : 금속봉
(124) : 헤드아암 (124a)(124b) : 스프링
(125) : 쐐기 (125a) : 기어
(125') : 구동용기어 (126) : 레일
(129a) : 제1의 드러스트 베어링 (129b) : 제2의 드러스트 베어링
(130) : 제2의 베어링구체 (230) : 가열장치
(231) : 가열실 (232) : 노즐
(233) : 압력 조절밸브 (234) : 고압공기주입구
(235) : 히이터 (236) : 온도검출기
(237)(238) : 리이더선 (239) : 온도제어장치
(240) : 고압 N2가스
본 발명은, 브라운관 형광면에 대한 전자총구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 설정해서 전자총구체를 소정위치에 밀봉하는 브라운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브라운관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유리벌브(유리 튜우브)의 내부에 형광면, 흑연전극등을 형성하고 새도우마스크등을 장착한 후, 이 유리벌브넥부(목부) 개구단부에, 전자총구체를 탑재한 그템구체가 밀봉된다. 이 경우, 형광면의 수평축방향과 전자총구체의 전자비임통과구멍의 인라인 수평축을 일치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종류의 제조방법은, 제 8a 도, 제 8b 도에 유리벌브와 전자총구체의 위치관계의 평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a)의 내면에 형광면(1b), 흑연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새도우마스크등을 장착한 유리벌브(1)의 패널(1a)의 외주면을, 기준이 되는 도시하지 않은 후술하는 벌브호울더의 패널 지지체 (3a)(3b)(3c)에 당접시켜서, 이 패널지지체(3a)(3b)(3c)로부터 결정된 형광면(1b)의 수평방향의 기준축(X1-X2)과, 이 형광면(1b)에 대향 배치되는 전자총구체(10)의 청(B), 녹(G), 적(R)에 대응하는 전자비임통과구멍 (101)(102)(103)의 인라인방향의 수평축(M1-M2)의 비틀림각도(θ)를 검출하여, 이 비틀림각도(θ)를 대체로 0이 되도록 조정한 후, 밀봉을 행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서 예를들면, 일본공개 특허공보 소화 51-97368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형광면(1b)의 수평방향의 기준축(X1-X2)은, 유리패널(1a)의 외주면을 기준으로 해서 검출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 유리패널(1a)의 외면칫수는 재질, 제작상 어느정도의 칫수여유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비틀림각도(θ)는 ±0.5도 정도가 한계였다. 한편, 최근의 컬러브라운관(CRT), 컬러디스플레이관 (CDT), 특히 고해상도의 CDT에서는, 이들 비틀림각도가 더욱 엄격하여. 예를들면(θ)가 ±0.3도 이내정도가 요구되고 있으나, 이것을 만족할 수 없으며, 이 때문에 화면의 양단부쪽에 비교적 큰 미스콘 버젼스가 항상 발생하여, 화상품질을 저하시킴과 동시에, 그 조정 공수(工數)가 매우 많아지게 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밀봉작업중에 있어서의 형광면의 수평방향 기준축과, 전자총구체의 전자비임통과구멍의 인라인 수평축을 고정밀도로 일치시켜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브라운관을 생산성이 높게 얻을 수 있는 브라운관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브라운관의 제조장치는, 적어도 내면에 형광면 및 새도우마스크가 장착된 유리벌브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자재케 지지하는 벌브지지수단과, 상기 유리벌브내 형광면의 수평축을 검출하는 제1의 검출수단과, 상기 유리벌브와 동축상에 스템구체에 탑재한 전자총구체를 상하 및 둘레방향으로 구동자재케 장착하는 마운트핀과, 상기 전자총구체의 전자비임통과구멍의 인라인 수평축을 검출하는 제2의 검출수단, 상기 제1의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신소와 제2의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신호를 연산해서 상기 양 수평축의 일치, 불일치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일치신호에 의해서 유리벌브넥부와 스템구체를 밀봉하는 밀봉장치를 갖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형광면의 수평축과 상기 인라인 수평축은, 이들 대신에 각각 형광면의 다른 소정의 축과 이에 당연히 대응하는 전자총구체의 다른 소정의 축으로 해도된다.
상기 제1의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신호와 상기 제2의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신호를 연산한 결과, 불일치 신호가 출력되었을 경우는, 벌브호울더 및/또는 마운트핀을, 연산해서 출력되는 신호가 일치신호가 될때까지,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구동장치도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브라운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형광면의 직접적으로 측정된 소정의 축, 예를들면 수평방향 기준축과, 이것과 대응하는 전자총의 소정의 축, 예를 들면 인라인 수평축과의 비틀림각도가 제어되므로, 이들 양축을 고정밀도로 일치시켜서, 고품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브라운관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1 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브라운관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블록도를 포함하고 있다. 동도면에 있어서, (1)은 내부에 형광면, 흑연전극 및 새도우마스크등이 장착된 유리벌브이며, 이 유리벌브(1)에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a)내의 형광면(1b)의 양단부쪽에, 새도우마스크구멍으로부터 설정된 형광체로 이루어진 직경이 약 800μm인 2개의 표적(1c)(1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표적 (1c)(1d)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형광면(1b)의 수평방향의 기준이 되는 수평축(X3- X4)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수평축(X3- X4)은 패널(1a)의 외부형태로부터 설정된 기준선과는 일치하지 않을 경우도 있다. (2)는 이 유리벌브(1)를 지지하는 벌브호울더이며, 이 벌브호울더(2)에는 유리벌브(1)의 패널(1a)외주면이 패널지지체(3)에 의해서 지지된다. (4)는 유리벌브(1)의 깔때기부(1e)를 지지하는 새들, (5)는 벌브호울더(2) 및 새들(4)을 지지하는 호울더 받침대이며, 이 호울더 받침대(5)는 내부에 슬라이드부(6)를 가지고 서로 화살표(A-A′)방향으로 자유롭게 호동하는 제1의 호울더 받침대(5a)와 제2의 호울더 받침대(5b)를 구비하고 있다. (7)은 제2의 호울더 받침대(56)를 고정하는 지지체이다. (8)은 제2의 호울더 받침대(56)위에 고정배치된 예를들면 펄스모우터등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이며, 이 구동장치(8)의 기어(8a)가 제1의 호울더 받침대(5a)에 맞물려서, 이 구동장치(8)에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해서 제1의 호울더 받침대(5a)가 상술한 화살표(A-A′)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회동된다.
따라서, 지지체(7)위에 고정배치된 제2의 호울더 받침대(5b)에, 슬라이드부(6)를 개재해서 제1의 호울더 받침대(5a)위에 탑재된 유리벌브(1), 벌브호울더(2), 및 새들(4)등이 일체가 되어서 구동장치(8)의 구동에 의해서 화살표(A-A′)방향으로 회동된다. (9)는 전차총구체(10)를 탑재한 스템구체(11)가 장착되고, 또한 유리벌브(1)와 동축상에 배치된 마운트핀, (12)는 마운트핀(9)을 화살표(B-B′)방향의 회전 및 화살표(C-C′)방향의 상하구동을 행하는 펄수모우터등을 가진 구동장치이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전자총구체(10)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핀(11a)이 착설된 스템유리(11b)위에 캐소우드(K), 제1그리드(G1), 제2그리드(G2), 제3그리드(G3), 제4그리드(G4), 제5그리드(G5),제6그리드(G6) 및 제7그리드(G7)가 순차 소정의 칫수로 적층되어 비이드유리(10a)에 의해서 지지 고정되어서 구성되고, 제3그리드(G3)에는 제 4a 도, 제 4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 녹, 적에 대응하는 3개의 전자비임통과구멍(101)(102)(103)이 인라인방향으로 배열되며, 그 수평축(M1-M2)을 규정하는 원형 또는 네모형상의 기준구멍(104)(105)이 천설되어 있다.
또 제 1 도에 있어서, (13)(14)는 상술한 마운트핀(9)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축상에 대향배치되며, 또한 상술한 제3그리드(G3)의 기준구멍(104)(105)을 각각 촬상하는 제1의 ITV카메라(industrial television comera), 제2의 ITV카메라, (15)(16)은 제1의 ITV카메라(13), 제2의 ITV카메라(14)의 앞쪽에 각각 동축상에 배치된 조명용의 링형상의 제1의 형광등, 제2의 형광등, (17)(18)은 제1의 ITV카메라(13), 제2의 ITV카메라(14)의 앞쪽에 제1의 형광등(15), 제2의 형광등(16)을 각각 내설하고 각각 동축상에 배설된 백색광산란방지용의 제1의 후드(덮개), 제2의 후드, (19)는 제1의 ITV카메라(13)에 의해서 촬영한 기준구멍(104) 및 제2의 ITV카메라(14)에 의해서 촬영한 기준구멍(105)의 화면내 기준선으로부터의 절대위치를 각각 측정하는 화상처리부, (20)은 형광면(1b)의 수평축(X3- X4)과 기준구멍(104)(105)의 수평축(M1- M2)과의 이탈각도(θ)를 검출하고, 그것을 보정하는 각도를 연산하는 인식 연산부이다.
(21)은 모니터텔레비젼, (22)(23)은 유리벌브(1)와 대향하며 또한 패널(1a)위의 형광면(1b)의 수평축(X3-X4)방향으로 형성된 기준점 표적(1c)(1d)(제 2 도 참조)을 각각 촬상하는 제 3의 ITV 카메라 제 4 의 ITV카메라, (24)는 제3의 ITV카메라(22), 제4의 ITV카메라(23)에 의해서 촬영한 기준표적(1c)(1d)의 화면내 기준선으로부터의 절대위치를 각각 측정하는 화상처리부, (25)는 제3그리드(G3)의 기준축(M1- M2)과 형광면(1b)의 수평축(X3- X4)의 경사각도(θ)를 검출하고 그것을 보정하는 각도를 연산하는 인식연산부, (26)은 모니터텔레비젼, (27)은 기준표적(1c)(1d), 제3그리드(G3)의 기준구멍(104)(105)의 형상, 형광면(1b)의 수평축(X3- X4), 기준구멍(104)(105)의 수평축(M1-M2) 및 이들 비틀림각도(θ)에 대한 보정 각도등을 기억하고, 구동장치(8)(12)에 각각 그 보정제어동작의 실행을 명령하는 중앙처리장치(CPU)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브라운관의 제조장치의 동작을 제 5 도 및 제 6 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는 좌측의 도면은 플로우차아트를 도시하고, 우측의 도면은 그 공정에서의 상황을 표시하고 있다. 제 5 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400)에서 제3의 ITV카메라(22) 및 제4의 ITV 카메라(23)를 동작시켜서, 촬상에 의해 그 패널(1a)의 유무를 검출한 후, 패널(1a)이 존재하였을 때 스텝(401)에서 제3의 ITV카메라(22), 제4의 ITV카메라(23)의 촬영에 의해서 패널(1a)위의 기준표적(1c)(1d)을 촬영함과 동시에, 그 확대상을 모니터 TV(26)의 디스플레이화면내에 각각 표적(1c) 및 (1d)의 화상으로서 패턴표시 시킨다. 다음에 스텝(402)에서 화상처리부(24)에 의해서 디스플레이화면내에 표시되는 각 화면 기준선으로부터 각 기준표적(1c)(1d)의 확대상 중심까지의 절대위치(L3)(L4)를 각가 측정하고, 스텝(403)에서 인식연산부(25)에 의해서 후술하는(L1+L2)/2와 같은 값이 되는 거리(L3+L4)/2를 산출하여 CPU(27)에 기억시킨다. 다음에 스텝(404)에서 CPU(27)로부터의 명령신호에 의해서 구동장치(8)의 정렬 펄스모우터를 구동시켜서 유리벌브(1)를 (A-A′)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거리(L3) 및 (L4)의 값을 (L3+L4)/2가 되게 한다. 다시 측정과 연산을 행하여(L3)와 (L4)의 값과 (L3+L4)/2의 값의 차이가 허용한계치 이상일 경우, 스텝(402)으로 피이드백하여 허용한계치 이하이면 종료한다.
한편, 제 6 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410)에서 제1의 ITV카메라(13) 및 제2의 ITV카메라(14)의 촬영에 의해서 전자총구체(10)의 유무를 검출한 후, 전자총구체(10)가 존재하였을 때에 스텝(411)에서 구동장치(12)에 연결된 마운트핀(9)의 클러치를 해방하고, 스텝(412)에서 제1의 ITV카메라(13), 제2의 ITV카메라(14)에 의해서 제3그리드(G3)의 양쪽의 기준구멍(104)(105)의 확대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모니터 TV(21)의 디스플레이 화면내에 각각 표시시킨다. 다음에 스텝(413)에서 화상처리부(19)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화면내에 표시되는 각 화면기준선으로부터의 각 기준구멍(104)(105)까지의 절대위치(L1)(L2)를 각각 측정하고, 스텝(414)에서 인식연산부(20)에 의해서 상술한 (L3+L4)/2와 같은 값이 되는 거리(L1+L2)/2를 산출하여 CPU(27)에 기억시킨다. 다음에 스텝(415)에서 CPU(27)로부터의 명령신호에 의해서 구동장치(8)의 정렬펄스모우터를 구동시켜서 제1의 호울더 받침대(5a)를 (A-A')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거리(L1) 및 거리(L2)의 값을 (L1+L2)/2가 되게한다. 다시, 측정과 연산을 행하여 거리(L1)(L2)의 값과 (L1+L2)/2의 값과의 차이가 허용한계치 이상일 경우는 스템(413)으로 피이드백 되어서 허용한계치 이하이면 스템(416)에서 마운트핀(9)이 클러치에 고정된다. 그후, 구동장치(12)에 의해서 마운트핀(9)을 화살표(C)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상승시켜,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에 넥부(1A)와 전자총구체(10)를 탑재한 스템유리(11A)를, 밀봉 장치의 유리버어너(30)에 의해서 발생시킨 불꽃(31)으로 가열가공하여 용착시켜서 밀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형광면(1b)의 수평축(X3- X₄)과 제3그리드(G₃)의 기준구멍(10₄)(105)의 수평축(M₁-M₂)이 고정밀도로 일치하여, 그 비틀림각도(θ)가 대체로 0이되므로, 유리벌브(1)의 수평방향과 전자총구체(10)의 인라인 수평축과의 경사가 고정밀도, 예를들면 ±0.3도 이내에 설정되어서, 다이나믹 콘버젼스 특성의 레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리벌브(1)의 수평방향과 전자총구체(10)의 인라인수평방향과의 경사가 용이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설정되므로, 미스콘버젼스의 발생이 대폭적으로 저감됨과 동시에, 편향 요우크에 의한 조정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단축되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형광면(1b)의 수평축(X₃ - X₄)과 전자총구체(10)의 인라인 수평축(M₁-M₂)이 고정밀도로 일치하고, 그 비틀림각도(θ)를 대체로 0으로 한 후에 유리벌브(1)와 스템구체(11)를 축방향으로 구동시켜서, 가열가공하므로, 종래방식에 있었던 것과 같은 호울더 받침대(5)의 회전방향의 비틀림 및 비틀림각의 설정밀도와는 관계가 없는 상태에서 밀봉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밀봉이 고정밀도로 수행되며, 또한 호울더 설정조정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자총구체(10)의 기준구멍(10₄)(105)의 중심축(M₁-M₂)과 형광면(1b)의 수평축(X₃ - X₄)을 각각 동축화시키는 방법을 도시하였으나, 마운트핀(9)을 고정하고, 구동장치(8)의 정렬펄스모우터를 구동시켜서 제1의 호울더 받침대(5a)를 (A-A′)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유리벌브(1)쪽만을 회동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며 또 이 호울더 받침대(5)쪽을 고정하고, 구동장치(8)내에 착설된 정렬펄스모우터를 구동시킴으로서, 마운트핀(9)을 (B-B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전자총구체(10)를 회동시켜서 동축화를 도모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G₃)에 기준구멍을 가지는 구조로 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 수평축외에 예를들면 수직축으로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델타형 전자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형광면의 수평축과 전자총구체의 전자비임통과구멍 인라인 수평축의 비틀림각도를 대체로 0으로 할 수 있으므로, 다이나믹 콘버젼스특성이 양호한 브라운관을 생산성이 높게 얻을 수 있는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2∼4의 브라운관 제조장치는, 실시예 1기재의 브라운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밀봉 장치의 상기 이외의 부분도 개량한 것이며, 형광면의 수평축과 전자총구체의 인라인 수평축을 일치시키는 수단의 부분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먼저 실시예 2∼4에 공통인 브라운관의 밀봉장치에 관한 배경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2∼4는 내부에 형광면을 형성한 유리벌브와 전자총구체를 탑재한 스템구체를 밀봉하는 브라운관의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브라운관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유리벌브의 내부에 형광면, 흑연전극 및 새도우마스크등을 장착한 후, 유리벌브의 넥부개구단부에 전자총구체를 탑재한 스템부가 밀봉된다. 이와 같은 밀봉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소화53-3159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브라운관의 밀봉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브라운관의 밀봉장치가 사용된다.
제 9 도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브라운관의 밀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평면구성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원판형상의 턴테이블(110)의 외주단부위에는, 상술한 유리벌브를 관축을 중심으로 해서 지지하는 다수개의 밀봉호울더(111)가 규칙적으로 정확하게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각 밀봉호울더(111)는 도시하지 않은 자동구동장치에 의해서 턴테이블(110)과 함께 화살표(A)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와 피치로 회동되며, 즉 이들 밀봉호울더(111)는 도시하지 않은 인댁스구동장치에 의해서 일정한 시간마다 일정한 개소에 정밀하게 이동된다. 따라서, 이 턴테이블(110)위의 각 밀봉호울더(111)는 통상적으로 제 9 도의#1~#2의 밀봉호울더가 유리벌브의 부착 및 제거의 위치가 되며,#3~#8에서 벌브넥부 및 밀봉부분의 예열이 행해지고,#9에서 벌브넥부의 용착,#10에서 용단(溶斷)을 행한 후,#11~#15에서 서냉,#16에서 용단에 의해서 벌브넥브로부터 분리된 넥관편(통상 컬레트유리라 칭함)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제 10 도는 제 9 도에서 설명한 주지의 밀봉호울더(111)의 요부단면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밀봉호울더(111)는 벌브스토퍼(112), 패널척(113), 벌브지지체(114), 호울더프레임(115) 및 벌브호울더(116)등으로 구성된 벌브호울더유니트(117)에 의해서, 내부에 형광면, 흑연전극 및 새도우마스크등을 형성한 유리벌브(101)를 소정의 기준점에 지지공정시킴과 동시에 이 벌브호울더 유니트(117)는 지지체(118)에 의해서 상술한 턴테이블(110)위에 지지공정 되어 있다. 또, 이 벌브호울더유니트(117)의 하부에는, 그 관축을 중심으로 해서 전자총구체(102)를 탑재한 스템구체(103)를 장착시키며, 또한 회전방향 및 상하방향 구동시키는 마운트핀(119)이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마운트핀(119)위에, 전자총구체(102)를 탑재한 스템구체(103)를 대강 조정한 상태에서 장착하고, 상부방향으로 상승시켜서 벌브넥부(101a)내에 삽입하고, 마운트핀(119)을 회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미세조정해서 전자총구체(102)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결정한다. 다음에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버어너(120)에 의해서 발생시킨 불꽃(121)으로 스템구체(103)의 스템유리(103a)와 대응하는 넥부(101a)의 외주면을 가열하여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넥부(101a)와 스템유리(103a)를 용착하여 밀봉함과 동시에, 이 용착개소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늘어뜨린 넥부(101a)의 컬레트유리(101a′)를 용단분리한다. 이 경우, 용단분리된 컬레트유리(101a′)는 마운트핀(119)의 베이스(119a)위에 남는다. (103b)는 배기파이프이다.
[실시예 2]
상술한 밀봉장치에서는, 벌브넥부(101a)에 전자총구체(102)를 탑재한 스템구체(103)를 밀봉할때,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템구체(103)는, 그 복수의 아우터핀(104) 및 스템유리(103a)의 외면을 기준으로 해서 마운트핀베이스(119a)에 장착되고, 배기파이프(103b)는 특히 고정되어 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스템구체(103)에 탑재된 전자총구체(102)가 벌브넥부(101a)에 삽입되기 전후에 어떤 기계적인 미세한 진동이 가해지면, 좌우, 전후로 경사되기 쉽고, 또 밀봉작업중에 상부방향으로 유리하면, 스템구체(103)가 마운트핀 베이스(119a)에서 떨어지기 쉬워진다. 이 결과, 소정길이의 밀봉전체길이가 변동하여 콘버젼스 특성을 저하시켜서 화상품질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에 도시한 브라운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밀봉장치로서, 밀봉작업중의 전자총구체의 기울어짐, 유리등의 변위발생을 경감시켜서 정밀도가 높은 밀봉전체길이를 얻을 수 있어, 콘버젼스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브라운관의 밀봉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밀봉장치는 유리벌브를, 관축을 중심으로 지지하는 밀봉호울더와, 상부에 전자총구체를 탑재하고 하부에 배기파이프를 가진 스템구체를 장착하는 마운트핀과, 상기 스템구체와 유리벌브를 용착하여 밀봉시키는 가열장치를 적어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마운트핀에 스템구체의 배기파이프를 지지고정하는 지지수단을 착설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밀봉작업중에 지지수단이 배기파이프를 지지고정함으로서, 스템구체의 변동이 억제되어서 전자총구체의 변위가 경감된다.
이하 도면을 사용해서 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3 도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브라운관의 밀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마운트핀의 요부 개략단면구성도이며, 상술한 도면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동도면에 있어서, 마운트핀(119)은, 스템구체(103)의 아우터핀(104) 및 배기파이프(103b)를 삽입하고, 그 스템유리(103a)의 외면을 접촉시켜서 장착하는 중공(中空)형상의 마운트핀베이스(119a)와, 마운트핀베이스(119a)를 감합시키고 또한 소정길이의 높이를 얻기 위하여 중공형상의 마운트핀 축(119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마운트핀(119)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동장치에 연결되어서, 밀봉작업시에는 회정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이 마운트핀(119)의 마운트핀 축(119b)에는, 스템구체(103)가 장착되어서 배기파이프(103b)가 관통하는 부위에, 배기파이프(103b)를 협지시켜서, 스템구체(103)를 지지 고정시키는 지지구체(122)가 착설되어 있다. 이 지지구체(122)는 제 14 도에 평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배치한 1쌍의 금속봉(123a)(123b)의 양단부쪽에 2개의 스프링(124a)(124b)이 각각 부착고정되고, 이 스프링(124a)(124b)의 탄성력에 의해서 2개의 금속봉(123a)(123b)은 대향해서 서로 화살표(B)방향으로 끌어당겨서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이 1쌍의 금속봉(123a)(123b)의 일단부쪽에는 1쌍의 금속봉(123a)(123b)이 서로 이간하는 화살표(C)방향으로 개방 및 대향해서 화살표(B)방향으로 폐색작동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쐐기(125)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 쐐기(125)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에 연결되고, 이 실린더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쐐기(125)를 화살표(D-D′) 방향으로 구동시켜서, 1쌍의 금속봉(123a)(123b)의 개폐동작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금속봉(123a)(123b)으로서 직경 8mm, 길이 60mm의 스텐레스강을 사용하고, 상기 사다리꼴형상의 쐐기(125)는 스텐레스강제로서 각도(γ)는 45°로 하였다. 또 스프링(124a)(124b)은 선직경 1.0mm, 외경 8mm, 권수 8회의 인장스프링이고, 이 스프링인장력은 약 2kg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스템구체(103)를 도시하지 않은 유리벌브에 밀봉할때, 전자총구체(102)를 탑재한 스템구체(103)를 마운트핀(119)에 장착할때, 쐐기(125)를 화살표(D)방향으로 구동시키고, 1쌍의 금속봉(123a)(123b)을 화살표(C)방향으로 개방시켜서 전자총구체(102)를 탑재한 스템구체(103)를 마운트핀(119)에 삽입함과 동시에 아우터핀(104)을 마운트핀베이스(119a)에 삽입하여, 전자총구체(102)를 소정의 방향, 각도 및 높이에 설정한 후, 쐐기(125)를 화살표(D)방향으로 구동시키고, 1쌍의 금속봉(123a)(123b)을 화살표(A)방향으로 폐색시켜서 스템구체(103)의 배기파이프(3b)가 이 1쌍의 금속봉(123a)(123b)사이에 협지되고, 지지고정된다. 그후, 마운트핀(119)을 상부방향으로 상승시켜서,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브넥부(101a)내에 삽입하여, 소정의 높이에 위치결정시켜서 벌브넥부(101b)를 가스버어너(120)의 불꽃(121)에 의해서 가열시켜 밀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밀봉시에 스템구체(103)의 배기파이프(103b)가 지지구체(122)의 1쌍의 금속봉(123a)(123b)상호간에 협지되므로, 밀봉전후 및 밀봉작업중에 있어서의 전자총구체(102)의 변위가 없어져서, 소정길이의 밀봉전체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파이프를 지지고정하는 수단이외의 부분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마운트핀에 배기파이프를 지지고정하는 지지수단을 착설함으로서, 밀봉작업중의 전자총구체의 변위가 경감되어서 고정밀도의 밀봉전체길이 및 밀봉각도가 확보되므로, 실시예 1의 효과외에 컨버젼스특성이 양호한 브라운관을 얻을 수 있는등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3]
상술한 종래의 밀봉장치에서는, 벌브넥부(101a)에 전자총구체(102)를 탑재한 스템구체(103)가 밀봉될 경우, 마운트핀(119)의 마운트핀 베이스(119a)위에 전자총구체(102)를 탑재한 스템구체(103)를 장착하고, 고정배치된 벌브넥부(101a)내에 삽입되어서, 전자총구체(102)의 방향 및 높이가 위치결정될 때,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운트핀축(119b)의 외주면에 제1의 보올부시(122a) 및 제2의 보올부시(122b)가 형성된 베어링본체(123)를 배설하고, 이 베어링본체(123)는 턴테이블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헤드아암(124)에 연결되어서, 마운트핀(119)이 상하방향(화살표 B-B′방향) 및 회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 구동된다. 또한, (125a)는 마운트핀(119)를 회전시키는 기어, (125′)는 기어(125a)에 맞물려서 회전구동력을 기어(125a)에 전달하는 구동용기어, (126)은 마운트핀(119)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기위한 레일이다. 마운트핀(119)은, 기울기가 있는 레일(126)위를 이동할 때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 경우,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어링본체(123)내의 제1의 보올부시(122a)는, 가스버어너(120)의 불꽃(121)으로 가열되는 가열부(H)에 근접되어 있으므로, 마운트핀(119)이 상하구동할 때의 열팽창을 예상하여 그 만큼 간극을 갖게하고 있다. 이 결과, 마운트핀(119)의 위치정밀도가 저하해서 전자총구체(102)의 방향 및 높이의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이 불가능하게 되어, 콘버젼스특성을 저하시켜서 화상품질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에 도시한 브라운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밀봉장치로서, 마운트핀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켜서, 전자총구체가 고정밀도가 위치결정되며, 컨버젼스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브라운관의 밀봉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밀봉장치는, 유리벌브를, 관축을 중심으로 지지하는 벌브호울더유니트와, 상부에 전자총구체를 탑재하고 하부에 배기파이프를 가진 스템구체를 장착하는 마운트핀과, 상기 스템구체와 유리벌브를 용착하여 밀봉시키는 가열장치를 적어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마운트핀에, 이 마운트핀을 회전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의 베어링 구체와,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제2의 베어링구체를 착설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밀봉장치는, 이와같이 구성됨으로서, 마운트핀이 회전동작과 상하동작으로 기능분리되므로, 마운트핀의 간극이 저감된다.
이하 도면을 사용해서 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6 도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브라운관의 밀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마운트핀의 요부단면도이며, 상술한 도면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동도면에서, 마운트핀(119)은 스템구체(103)의 마운트핀(104) 및 배기파이프(103b)를 삽입하고, 그 스템유리(103a)의 외면을 접촉시켜서 장착하는 중공형상의 마운트핀베이스(119a)와 이 마운트핀베이스(119a)를 감합시키며 또한 소정길이의 높이를 얻기 위하여 중공 형상의 마운트핀축(119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마운트핀(119)은 하부에 기어(125)가 직접 연결되고, 레일(126)위에 위치되어 있다. 또, 이 마운트핀(119)의 마운트핀축(119b)의 외주면에는, 이 마운트핀(119)을 회전방향[화살표 (c)방향]으로만 회전구동시키는 제1의 베어링 (127a) 및 제2의 베어링(127b)을 가진 제1의 베어링구체(128)가 배설되고, 또 이 제1의 베어링구체(128)에는 고정배치된 헤드아암(124)에 대해서 마운트핀(119)을 상하방향[화살표 (B-B')방향]으로만 상하구동시키는 제1의 드러스트베어링(129a) 및 제2의 드러스트베어링(129b)을 가진 제2의 베어링구체(130)가 고정배치되어 있다.
이 제2의 베어링구체(130)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재료, 칫수, 주지의 제1의 베어링구체를 참고해서 정하면 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마운트핀(119)은, 제1의 베어링구체(128)에 의해서 회전방향으로 구동되고, 제2의 베어링구체(130)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므로, 그 기능이 2분할되어서, 마운트핀(119)의 간극이 경감되어 그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전자총구체(102)의 배설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마운트핀에 이 마운트핀을 회전구동하는 제1의 베어링구체와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제2의 베어링구체를 착설함으로서, 마운트핀의 동작기능이 2분할되어서, 마운트핀의 간극이 경감되므로, 실시예 1의 효과외에 전자총구체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콘버젼스 특성을 향상시켜 화상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상술한 종래의 밀봉장치에 있어서, 가스버어너(120)의 불꽃(121)에 의한 벌브넥브(101a)의 가열에서는, 불꽃(121)의 온도가 약 1200℃ 정도이며, 그 불꽃(121)를 가변해서 상술한 여러단계의 예열, 용착, 용단, 어니일링의 각종의 가열가공공정을 경유해서 밀봉을 행하는것은 가열온도의 표준으로부터의 변동이 매우 크기 때문에, 즉 예를들면 예열은 400℃ 까지의 온도에서 되나, 불꽃(121)의 온도는 이보다 현저히 높아서, 불꽃의 온도와 예열온도와의 차이가 크며, 예열온도는 불꽃에 주위의 공기를 합해서 얻게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외란에 의한 가열온도의 표준치로부터의 변동이 크다. 예열공정에서 가열온도가 고온쪽으로 변동하면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자총구체(102)의 내부리이드(102a)를 과잉으로 산화시켜서, 가열온도가 저온쪽으로 변동하면 벌브넥부(101a)의 열변동에 의한 균열을 발생시켜서, 브라운관의 품질, 수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종류의 문제는 벌브넥부(101a)의 스텝구체(103)를 용착하여, 밀봉한 후에 이 벌브넥부(101a)의 종단부에 컬레트유리(101a′)가 생기지 않는 유리벌브, 소위 컬레트레스벌브의 밀봉에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치명적인 문제가 되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에 도시한 브라운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밀봉장치로서, 가열온도의 변동을 경감시켜서, 브라운관의 품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라운관의 밀봉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밀봉장치는, 유리벌브를, 관축을 중심으로 지지하는 밀봉호울더와, 상기 유리벌브넥부내에 배치되는 스템구체에 탑재한 전자총구체를 지지하는 마운트핀과, 상기 스템구체와 유리벌브넥브를 가열가공하여 용착해서 밀봉시키는 가열장치를 적어도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가열장치는 대체로 통형상체를 가진 가열실과, 상기 가열실내에 수납되며, 또한 소요의 온도까지 가열시키는 히이터와, 상기 히이터의 가열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장치와, 상기 가열실내에 외부로부터 고압기체를 공급하는 고압기체주입구와, 상기 가열된 고압기체를 상기 유리벌브넥부에 뿜어내는 노즐을 갖춘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서, 온도제어된 고압기체를 유리벌브넥부에 뿜어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기체에는 통상, 기체를 사용하고 있으나, N2나 Ar과 같은 불활성가스여도 된다. 불활성가스를 사용하면 산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해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7 도는 본 실시예에 사용된 브라운관의 밀봉장치를 도시한 요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상술한 도면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동도면에 있어서, 가열장치(230)는, 내열성금속재(예를들면 스텐레스강)로 이루어진 직경 23mm, 길이 300mm의 원통형상의 가열실(231)의 선단부에는 노즐(232)이 착설되고, 그 후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예를들면 기체등의 고압가스를 압력조절밸브(233)를 개재해서 공급하는 고압기체주입구(234)가 일체적으로 착설되어 있으며, 또 이 가열실(231)내에는, 예를들면 니크롬선을 코일 형상으로 권설한 히이터(235) 및 노즐(232)쪽에 예를들면 열전대를 응용한 온도검출기(236)가 각각 수납배치되고, 또한 이들 히이터(235) 및 온도검출기(236)는 각각 리이드선(237)(238)을 개재해서 외부의 전원전압가변장치를 겸한 온도제어장치(239)에 접속되어 있다. 이 온도제어장치(239)는, 히이터(235)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가변해서 그 가열온도를 예를들면 약 200℃ ∼ 약 700℃범위에 결쳐서 약 50℃의 스텝간격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일정한 온도에 대해서 ±20℃정도의 오차범위내에서 온도제어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가열장치(230)는, 가열실(231)내에 주입구(234)에서 고압화된 기체를 주입함과 동시에, 온도제어장치(239)로부터 히이터(235)에 전원전압을 공급해서 히이터(235)를 가열시켜 노즐(232)에서 가열된 고압기체(240)을 뿜어서, 컬레트레스벌브(101′)의 넥부(101b)에 뿜어냄으로서, 가공하는 부분을 가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가열장치(230)는, 컬레트레스벌브넥부(이하 벌브넥브라 칭함) (101b)의 가공공정에 대응해서 가열온도가 다르므로, 온도제어장치(239)에 소요온도를 설정해 놓음으로서, 온도검출기(236)에서 온도제어되어 벌브넥부(101b)에는 대응하는 소요온도로 가열된 고압기체(240)를 뿜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가열장치(230)는, 벌브넥부(101b)의 가공개소, 즉 제 9 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턴테이블(110)위의 각 밀봉호울더(111)에 장착되는 벌브넥브(101b)의 가열가공공정에 있어서의 각 봉지 호울더(111)의#3∼#8 및#11∼#15에 각각 배치되고, 밀봉호울더(111)의#3에서는 약 300℃,#8에서는 약 600℃ 정도까지 50℃∼100℃의 간격으로 온도상승시키는 온도스텝을 갖게함으로서, 턴테이블(110)의 회전에 따라서 벌브넥부(101b)가 낮은 온도로부터 높은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되어서 예열되므로, 벌브넥부(101b)의 열변동의 발생이 경감되어, 유리균열의 발생이 전혀 없게된다. 또, 가스버어너에 의한 벌브넥부(101b)의 용착, 용단후의 밀봉호울더(111)의#11에서는 약 600℃,#15에서는 약 300℃ 정도까지 50℃∼100℃의 간격으로 온도를 하강시키는 온도스텝을 갖게함으로서, 스템구체(103)와 벌브넥부(101b)의 밀봉부분이 턴테이블(110)의 회전에 따라서 높은 온도로부터 낮은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되고 서냉되므로, 벌브넥부(101b)의 열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가공공정의 예열, 서냉공정의 사용에 유효하며, 특히 예열공정에서는 그 효과가 매우 크다. 또, 이 가열장치(230)는, 제 1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벌브넥부(101b)내에 전자총구체(102)를 탑재한 스템구체(103)가 삽입된 상태에서 노즐(232)에서 가열된 고압기체(240)를 뿜어서 가열되므로, 전자총구체(102)의 내부리이드(102a)도 동시에 가열되나, 이 경우, 노즐(232)로부터 뿜어낸 고압기체(240)의 온도가 약 600℃±20℃의 범위에 설정되어 있고, 또 내부리이드(102a)가 산화되지 않는 온도 500℃∼600℃로 가열되므로, 컬레트벌브의 치명증이 되는 내부리이드(102a)의산화과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벌브넥부의 용착, 용단에 대응하는 밀봉호울더#9,#10에서는 고온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가스버어너를 사용하였으나, 이들 밀봉호울더에도 고압기체를 뿜어낼수 있는 가열장치(23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장치 이외의 부분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열장치는 벌브넥부의 가열가공공정에 있어서 가열온도를 고정밀도로 온도제어할 수 있고, 전자총구체의 내부리이드 산화과잉 및 벌브넥브의 열변동에 의한 균열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 1의 효과외에 품질, 신뢰성이 높은 브라운관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수율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고,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호는 같은 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Claims (2)

  1. 적어도 내면에 형광면(1b) 및 새도우마스크가 장착된 유리벌브(1)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자재하게 지지하는 벌브지지수단(2)과, 상기 유리벌브내 형광면(1b)의 수평축(X₁-X₂)을 검출하는 제1의 검출수단과, 상기 유리벌브(1)와 동축 상기 스템구체(11)에 탐재한 전자총구체(10)를 상하 및 둘레방향으로 구동자재하게 장착하는 마운트핀(9)과, 상기 전자총구체(10)의 전자비임 통과구멍(10₁), (10₂), (10₃)의 인라인수평축(M₁-M₂)을 검출하는 제2의 검출수단과, 상기 제1의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신호와 제2의 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신호를 연산해서 상기 양 수평축의 일치 또는 불일치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수단(20), (25)과, 상기 연산수단 (20), (25)의 출력신호가 불일치 신호인 경우에 해당 출력신호가 일치신호가 될때까지 벌트호울더(2) 및/또는 마운트핀(9)을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구동장치(8), (12)와, 형광면(1b)의 수평축, 인라인 수평축(M₁-M₂) 및 이들 수평축간의 비틀림각도(θ)에 대해서 보정각도를 기억하고, 해당 구동장치(8), (12)에 보정제어동작의 실행을 명령하는 중앙처리장치(27)와, 상기 일치신호에 의해서 유리벌브넥브와 스템구체를 밀봉하는 밀봉장치를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검출수단이, 상기 유리벌브(1)의 패널(1a)내의, 형광면(1b)의 양단부쪽에 형성된 2개의 표적(1c), (1d)을 각각 산업용 텔레비젼 (1TV) 카메라 (22), (23)로 촬영해서 화상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브라운관의 제조장치.
KR1019870002297A 1986-03-19 1987-03-14 브라운관의 제조장치 Expired KR910003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56 1986-03-19
JP61-59159 1986-03-19
JP5915986A JPH0673271B2 (ja) 1986-03-19 1986-03-19 ブラウン管の封止装置
JP61-59156 1986-03-19
JP59159 1986-03-19
JP61059156A JP2607472B2 (ja) 1986-03-19 1986-03-19 ブラウン管の製造方法
JP60537 1986-03-20
JP60535 1986-03-20
JP61060535A JPH0789469B2 (ja) 1986-03-20 1986-03-20 ブラウン管の封止装置
JP61-60535 1986-03-20
JP61-60537 1986-03-20
JP6053786A JPH0673272B2 (ja) 1986-03-20 1986-03-20 ブラウン管の封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430A KR870009430A (ko) 1987-10-26
KR910003807B1 true KR910003807B1 (ko) 1991-06-12

Family

ID=2746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297A Expired KR910003807B1 (ko) 1986-03-19 1987-03-14 브라운관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98552A (ko)
KR (1) KR910003807B1 (ko)
CN (1) CN10080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8484C2 (de) * 1992-03-14 1998-09-17 Ald Vacuum Techn Gmbh Magnetisches Ablenksystem für einen Hochleistungs-Elektronenstrahl
US5383948A (en) * 1993-07-06 1995-01-2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rackoff and neck sealing of cathode ray tube funnels
DE4443241A1 (de) * 1994-11-24 1996-05-30 Witeg Wissenschaftlich Tech G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vakuieren und Verschließen von Bildwiedergaberöhren
CN112407845A (zh) * 2020-12-09 2021-02-26 镇江震东电光源有限公司 一种灯泡换向机构
CN114778084A (zh) * 2022-06-21 2022-07-22 昆明昆科测控技术有限公司 一种适用于像管信噪比检测的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2764A (en) * 1975-01-15 1976-06-15 Rca Corporation Method of installing a mount assembly in a multi-beam cathode ray tube
US3962765A (en) * 1975-06-27 1976-06-15 Rca Corporation Method of installing a mount assembly in a multi-beam cathode ray tube
US4148117A (en) * 1977-02-04 1979-04-10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ic Corporation Electron bun optical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JPS55109349A (en) * 1979-02-16 1980-08-22 Toshiba Corp Cathode-ray tub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JPS5641646A (en) * 1979-09-10 1981-04-18 Toshiba Corp Seal rotary angle measurement device for electron gun in various color picture tube
US4445874A (en) * 1982-02-11 1984-05-01 Rc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the envelope and electron gun mount assembly of a CRT
FR2547952B1 (fr) * 1983-06-21 1986-01-31 Videocolor Procede d'alignement d'un ensemble de canons a electrons pour un tube de television en couleurs et dispositif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US4559019A (en) * 1983-07-12 1985-12-1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Automatic gun mount align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8028B (zh) 1990-05-16
KR870009430A (ko) 1987-10-26
US4798552A (en) 1989-01-17
CN87102138A (zh) 1987-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807B1 (ko) 브라운관의 제조장치
US3962765A (en) Method of installing a mount assembly in a multi-beam cathode ray tube
US3962764A (en) Method of installing a mount assembly in a multi-beam cathode ray tube
KR900002595B1 (ko) 브라운관의 제조방법
JPS6172659A (ja) 加熱封着法及び装置
JPH10167751A (ja) 光ファイバの線引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00002596B1 (ko) 브라운관의 밀봉장치
EP0872871B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4781639A (en) Culletless main sealing method of cathode-ray tube
US6614164B1 (en) CRT with neck and stem we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607472B2 (ja) ブラウン管の製造方法
JP2757285B2 (ja) テレビブラウン管のファンネルとフレアレスネックとを封合する方法
KR102665601B1 (ko) 성막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3214315B2 (ja) 受像管の封着方法及び受像管封着用バーナー装置
CN1191381A (zh) 自动定位设备
KR200147680Y1 (ko) 오실로스코프 편향판 방향 조정장치
SU1432020A1 (ru) Установка заварки электронно-оп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в баллоны цветных кинескопов
KR970000550B1 (ko) 컬러 수상관용 전자총
KR0139949Y1 (ko) 패널의 검사장치
JPH0673271B2 (ja) ブラウン管の封止装置
JPS62219427A (ja) ブラウン管の製造方法
KR950001217Y1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봉입장치
JPH09288977A (ja) 陰極線管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S62219435A (ja) ブラウン管の封止装置
JPH11339661A (ja) 電子銃封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506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61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