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3389Y1 - 스위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389Y1
KR910003389Y1 KR2019870022241U KR870022241U KR910003389Y1 KR 910003389 Y1 KR910003389 Y1 KR 910003389Y1 KR 2019870022241 U KR2019870022241 U KR 2019870022241U KR 870022241 U KR870022241 U KR 870022241U KR 910003389 Y1 KR910003389 Y1 KR 910003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movable body
contact
moving
sp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2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427U (ko
Inventor
요시쯔구 아오야마
다가사 와다나배
Original Assignee
다나신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신덴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신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70022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389Y1/ko
Publication of KR890014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4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389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11B15/106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치 작동장치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본 고안의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 작동장치의 비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2 도는 동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3 도 및 제 4 도는 서로 다른 종래의 스위치 작동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리이프 스위치 21 : 판 용수철
22 : 판 용수철 26 : 접점
27 : 접점 28 : 누름받는 부재
32 : 이동체 33 : 누름부재
40 : 접촉면 41 : 단부 코오너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등에 짜넣는 스위치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 작동장치는 제 3 도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그림중(1)은 스위치로 이 스위치(1)는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도전재료로서 되는 한쌍의 판 용수철(2,3)을 가지고 있다.
이들 판용수철(2,3)은 그 일단이 받침대(4)에 고정되고, 이 받침대(4)는 취부기판(5)의 상면에 나사(6)로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 판용수철(2,3)의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각 판 용수철(2,3)의 타단측 대향면에는 서로 접리 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점(7,8)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접점(7,8)은 통상 서로 떨어져 있다.
상기 한쪽의 판용수철(2)의 타단에는 전기 절연재료로서 되는 장방형 상의 누름받는 부재(9)가 고정되어 있다.
이 누름닫는 부재(9)의 일측면에는 이동체(10)의 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누름부재(11)가 접리한다.
즉, 이 이동체(10)는 상기 취부기판(5)의 상면에 상기 판 용수철(2,3)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10)는 그 긴쪽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걸어맞춤구멍(2)내에 설치된 취부나사(13)에 의해 상기 취부기판(5)의 상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조작누름단추의 이동에 따라 이동체(10)가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그 단부의 누름부재(11)가 누름받는부재(9)를 눌러서 한쪽의 판 용수철(2)을 다른쪽의 판 용수철(3)측에 휘게 한다.
이렇게 하므로서 양 접점(7,8)이 접촉하고, 디시 다른쪽의 판 용수철(3)도 이동체(10)의 압압력을 받아서 같은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고 이에 따르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양 접점(7,8)의 접촉압이 얻어져서 스위치(1)가 온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구성은 스위치 작동장치에서는 이동체(10)의 이동범위가 너무 크면 스위치(1)가 파손되고, 또 역으로 너무작으면 스위치(1)의 접점(7,8)이 확실하게 접촉되지 않아 도통불량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동체(10)의 이동범위를 높은 정도로 관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동체(10)와 스위치(1)의 상대적 취부 위치정도, 혹은 이동체(10)의 걸어맞춤구멍(12)의 가공 정도를 높혀야 했으며, 양산성이 나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이 문제를 해소한 스위치 작동장치로서 종래 제 4 도에서와 같은 것이 있다.
그리고 이 제 4 도에서 상술한 제 3 도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서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이 제 4 도에서 표시하는 것은 이동체(10)의 단부에 역 U자형으로 굴곡하는 탄성누름부재(11')를 나사(14)로서 취부함과 함께 취부기판(5)의 상면에 누름받는부재(9)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스톱퍼(15)를 돌출형성한 점이 제 3 도에서 표현한 것과 다르다.
이 제 4 도에서 표시한 것의 경우는 누름받는부재(9)의 이동량이 스톱퍼(15)에 의해 제한되고 또한 이동체(10)의 과잉 이동량이 탄성 누름부재(11')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이동체(10)의 이동범위의 관리정도는 완화되며, 이에 따라서 이동체(10)와 스위치(1)의 상대적 취부위치정도, 혹은 이동체(10)의 걸어맞춤구멍(12)의 가공정도가 완화되어서 양산성은 좋아지나 탄성누름부재(11')나 스톱퍼(15)를 특별히 요하며, 또한 이들을 취부해야 하므로 조립작업수가 늘고 구성도 복잡해진다.
또, 제 3 도 및 제 4 도의 어느 것들도 스위치(1)의 판용수철(2,3)의 탄지력이 이동체(10)의 이동에 대한 저항이 되므로 이 이동체(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이 힘든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체의 이동범위를 고정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고, 양산성이 양호한 것이면서도 스위치가 파손된다든가 도통불량을 일으키는 일이 없으며, 또한 이동체의 이동시의 움직임을 가볍게 한 스위치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자유단축 대향면의 각각에 개방접점을 가지는 적어도 1쌍의 판용수철로서 리이프 스위치를 구성하고, 그 한쪽의 판용수철에 누름받는부재를 설치하며, 이동체의 단부에 설치한 누름부재로서 상기 누름받는 부재를 압압하므로서 상기 양 접점을 접촉하게 한 스위치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상기 양 판용수철의 긴쪽 방향을 일치시킴과 함께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받는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부위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거의 평행하는 접촉면으로 하고,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받는부재를 미끄럼 접촉시키므로서 상기 양 접점의 접촉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동체가 리이프 스위치의 판용수철의 긴쪽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체의 단부의 누름부재가 리이프 스위치의 한쪽의 판용수철의 누름받는부재에 미끄럼 접촉하여 양 접점이 접촉한다.
이 양 접점의 접촉후에서는 상기 누름부재 이동량이 변동하더라도 판용수철의 휘는 양은 변화하지 않으며, 따라서 양 접점의 접촉 상태가 접촉압력이 일정한 상태인 채 유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제 1 도 및 제 2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예를들면 테이프 레코더에서와 같이 복수의 조작누름단추의 어느것을 누른 경우에도 모우터 스위치를 온 동작시킬 필요가 있는 것에 아주 적합하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 작동장치의 비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인데, 이 도면중(20)은 모우터 제어용의 리이프 스위치이며, 이 스위치(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도전재료로서 되는 한쌍의 판용수철(21,22)을 가지고 있다.
이들 판용수철(21,22)은 그 일단이 받침대(23)에 고정되고, 이 받침대(23)는 취부기판(24)의 상면에 나사(2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 판용수철(21,22)의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각 판용수철(21,22)의 타단측 대향면에는 개방 접점(26,27)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판용수철(21)의 타단에는 전기절연체로서 되는 누름받는 부재(28)가 고정되어 있다.
이 누름받는부재(28)는 평면이 대체로 J자 모양을 하며, 그 일측면(29)의 단부가 상기 한쪽의 판용수철(21)에 고정되며, 또한 타측면(30)은 상기 한쪽의 판 용수철(21)의 외측에 위치해서 이것과 평행간격을 두고서 이 한쪽의 판용수철(21)의 타단측에 신장하고 있다.
또, 상기 누름받는부재(28)의 양측면(29,30)의 경계 코오너부(31)는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누름받는 부재(28)의 외측면에 이동체(32)의 단부에 설치한 누름부재(33)가 접리한다.
즉, 이 이동체(32)는 상기 취부기판(24)의 상며너에 상기 판용수철(21,22)의 긴쪽 방향에 따라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32)는 그 양단부에 그 긴쪽방향에 따라 형성된 걸어맞춤구멍(34,35)내에 부착된 취부나사(36,37)에 의해 상기 취부기판(24)의 상면에 이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재(33)는 상기 이동체(32)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일측면(38)의 선단에 상기 판용수철(21,22)의 긴쪽 방향과 평행하는 타측면(39)을 이어 설치한 평면이 대체로 L자 모양을 하고 있다.
상기 일측면(38)의 기단부가 상기 이동체(32)의 일단면에 고정되고, 또한 타측면(39)은 상기 한쪽의 판용수철(21)의 외측에 이것과 평행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상기 타측면(39)의 한쪽의 판용수철(21)과의 대향면이 상기 판용수철(21,22)의 긴쪽방향과 평행하는 접촉면(40)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32)가 제 1 도에서의 위치에서 좌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누름부재(33)의 접촉면(40)의 단부코오너(41)가 누름받는부재(28)의 코오너부(31)에서 미끄럼 접촉하므로서 제 2 도에서와 같이 상기 한쪽의 판용수철(21)이 다른쪽의 판용수철(22)측으로 휘고, 다시 다른쪽의 판용수철(22)도 약간 휘어서 양 접점(26,27)이 소요 접점압력으로서 서로 접촉한다.
이 양접점(26,27)의 접촉후는 이동체(32)가 다시 도면의 좌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접촉면(40)이 이동체(32)의 이동방향과 평행기기 때문에 판용수철(21,22)의 휘는 양은 변화하지 않으며, 따라서 양 접점(26,27)의 접촉상태가 접촉압이 일정한 채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32)는 용수철(42)에 의해 복귀이동방향(제 1 도중 우방향)즉 스위치(20)가 오프가 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 용수철(42)은 상기 누름부재(33)와 취부기판(24)상면에 돌출형성된 용수철 걸이돌기(43)와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동체(32)는 후술하는 복수의 조작단추의 왕복동작에 관련해서 왕복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취부기판(24)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체(32)의 이동방향에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조작단추(44,45,46 및 4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각 조작단추(44-47)는 상기 취부기판(24)의 상면에 상기 이동체(32)의 이동방향과 직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조작단추(4-47)는 그 이동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걸어맞춤구멍(48)을 상기 취부기판(24)의 상면에 돌출형성한 가이드 핀(49)에 결합시켜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재생조작단추(44)와 빨리보냄 조작단추(45)는 공통의 막대용수철(50)에 의해 복귀이동방향(제 1 도중 하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 되감기조작단추(46)와 정지조작단추(47)는 공통의 막대용수철(51)에 의해 복귀이동방향(제 1 도중 하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상기 각 조작단추(44-47)의 선단부 상면에는 걸어맞춤핀(52)이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걸어맞춤핀(52)은 상기 이동체(32)에 각 조작단추(44-47)에 대응해서 형성한 걸어맞춤부(53,54,55,56)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진다.
상기 재생, 빨리보냄 및 되감기의 각 조작단추(44-46)에 대응하는 걸어맞춤부(53-55)는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이동체(32)의 하측연에서 상측연으로 이동함에 따라 반 누름부재(33)측을 향하여 우경사하는 경사면(57)과, 이 경사면(57)의 상단부(58)로부터 이동체(32)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누름부재(33)측으로 향하는 수평면(59)과, 이 수평면(59)의 누름부재(33)측단부부터 이동체(32)이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이동체(32)의 상측연으로 향하는 수직면(60)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정지조작단추(47)에 대응하는 걸어맞춤부(56)는 상기 경사면(57)과 같은 방향으로 우경사하는 경사면(61)의 상단부(62)에 상기 수직면(60)과 같은 수직면(63)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수평면(59)과 대응하는 면은 가지고 있지 않다.
또, 정지조작단추(47)에 대응하는 걸어맞춤부(56)의 경사면(61)의 경사각도는 상기 재생, 빨리보냄 및 되감기의 각 조작단추(44-46)에 대응하는 걸어맞춤부(53-55)의 경사면(57)의 각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정지조작단추(47)에 대응하는 걸어맞춤부(56)의 수직면(63)의 길이는 상기 재생, 빨리보냄 및 되감기 각 조작단추(44-46)의 각 걸어맞춤부(56)의 수직면(60)의 길이와 같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의한 스위치 자공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1 도는 스위치(20)의 오프상태, 즉 양 접점(26,27)이 서로 떨어진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각 조작단추(44-47)이 모두가 용수철(50,51)의 탄지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있는 동시에, 이동체(32)가 용수철(42)의 탄지력으로 초기위치에 복귀하고 있다.
이런상태에서 예를들면 빨리보냄 조작단추(45)를 용수철(50)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제 1 도중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걸어맞춤핀(52)이 걸어맞춤부(54)의 경사면(57)에 접촉걸어맞추어지므로서 이동체(32)가 용수철(42)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제 1 도중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체(32)의 이동에 따라서 누름부재(33)의 접촉면(40)의 단부 코오너(41)가 누름받는 부재(28)의 코오너부(31)에 미끄럼접촉 하므로서 한쪽의 판용수철(21)이 다른쪽의 판 용수철(22)측에 탄성변위해서 양접점(26,27)이 접촉한다.
이 양 접점(26,27)이 접촉한 후 상기 누름부재(33)가 이동함에 따라 접촉면(40)이 누름받는부재(28)의 코오너부(31)에 미끄럼접촉 하므로서 다른쪽의 판용수철(22)에 한쪽의 판용수철(21)과 같은 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양 접점(26,27)의 접촉압력이 소요치에 달한다.
이와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빨리보냄 조작단추(45)의 걸어맞춤핀(52)이 걸어맞춤부(54)의 경사면(57)의 상단부(58)를 넘어서서 수평면(59)에 걸어맞추어지므로서 이 빨리보냄 조작단추(45)가 용수철(50)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이동위치에 계지 유지됨과 동시에 이 걸어맞춤핀(52)이 걸어맞춤부(54)의 수직면(60)에 걸어맞추어 지므로서 이동체(32)가 용수철(42)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이동위치에 계지 유지되어서 제 2 도중 실선으로 표시하는 상태가 된다(그리고, 재생 및 되감기의 조작단추(44 및 46)를 이동시켰을 경우도 스위치(20)의 동작은 완전히 같다).
이런상태에서 예를들면 정지조작단추(47)를 용수철(51)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이동시키면 그 걸어맞춤핀(52)이 걸어맞춤부(56)의 경사면(61)에 미끄럼접촉 하므로서 이동체(32)가 용수철(42)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정지조작단추(47)의 걸어맞춤핀(52)이 경사면(61)의 상단부(62)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이동체(32)는 제 2 도중 2점쇄선으로 표시한 같이 이동하며, 빨리보냄 조작단추(45)의 걸어맞춤핀(52)이 수평면(59)에서 벗어나 이 빨리보냄 조작단추(45)가 용수철(50)의 탄지력으로 복귀이동해서 초기 위치에 복귀한다.
그후, 정지조작단추(47)의 이동방향으로의 누름을 해제하면 이 정지 조작단추(47)가 용수철(51)의 탄지력으로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동시에 이동체(32)가 용수철(42)의 탄지력에 의해서 복귀이동 위치로 복귀하며, 누름부재(33)가 누름받는부재(28)에서 떨어지고, 양 판용수철(21,22)이 자신의 탄성복귀력으로서 초기위치에 복귀하므로서 양접점(26,27)이 서로 떨어져 스위치(20)가 오프가 되어 제 1 도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런데, 제 2 도중 실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양 판 용수철(21,22)이 탄성 변형하여 양 접점(26,27)이 접촉한 상태에서 정지조작 단추(47)를 이동시키면 이동체(32)가 제 2 도중 2점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다시 이동하는데 이 이동시에는 이동체(32)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접촉면(40)이 누름받는부재(28)의 코오너부(31)에 미끄럼접촉 하므로 누름받는부재(28)가 그 이상 변위하지 않으며, 양 접점(26,27)의 접촉압력도 변화 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누름부재(33)쪽에 이동체(32)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접촉면(40)을 설치했는데 누름받는부재(28)쪽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누름부재(33)가 누름받는부재(28)에 접촉하기 시작해서 양접점(26,27)의 접촉압력이 소요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당해 접촉면이 이동체(32)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정 하면 된다.
또, 누름부재(33)와 누름받는부재(28)의 양쪽이 이동체(32)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접촉면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리이프 스위치를 구성하는 한쌍의 판용수철의 긴쪽방향을 일치시킴과 동시에, 누름부재와 한쪽의 용수철에 설치되는 누름받는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부위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거의 평행하는 접촉면으로 하고, 상기 양 판용수철에 설치된 양 접점의 접촉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체의 이동범위의 관리정도를 높인다든가 탄성을 가지는 누름부재나 스톱 퍼를 특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양산성이 양호하다.
또, 양 접점이 접촉후에는 이동체가 이동하더라도 판용수철의 변위량은 변화하지 않으므로 양 판용수철이 과잉하게 압압되므로서 발생하는 스위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누름부재를 탄성부재로서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서 양 접점이 곧바로 접촉한다.
더구나, 판용수철의 탄성복귀력이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서 그다지 저항이 되지 않으므로, 이동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력이 가벼워지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적어도 1쌍의 판용수철(21,22)의 자유단축 대향면의 각각에 개방접점(26,27)을 설치하여 리이프 스위치(20)를 구성하고,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체(32)가 이동하여 이 이동체(32)가 이동하여 이 이동체(32)의 단부에 설치된 누름부재(33)가 상기 한쪽의 판용수철(21)의 자유단에 설치된 누름받는부재(28)를 압압하므로서이 한쪽의 판용다른쪽의 판용수철(21)을 다른쪽의 판용수철(22)쪽을 휘게하여, 상기 양 접점을 서로 접촉시키도록 된 스위치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방향과 상기 양 판용수철(21,22)의 긴쪽 방향을 일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누름부재(33)와 상기 누름받는부재28)가 서로 계합하는 부위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이동체(32)의 이동방향과 거의 평행하는 접촉면(40)으로 하고, 상기 이동체(32)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누름부재(33)와 상기 누름받는 부재(28)를 미끄럼접촉 시키므로서 상기 양 접점(26,27)의 접촉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작동장치.
KR2019870022241U 1987-12-15 1987-12-15 스위치 작동장치 Expired KR910003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241U KR910003389Y1 (ko) 1987-12-15 1987-12-15 스위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241U KR910003389Y1 (ko) 1987-12-15 1987-12-15 스위치 작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427U KR890014427U (ko) 1989-08-10
KR910003389Y1 true KR910003389Y1 (ko) 1991-05-24

Family

ID=1927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2241U Expired KR910003389Y1 (ko) 1987-12-15 1987-12-15 스위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3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427U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7160A (en) Low profile switch
US4983788A (en) Electric switch mechanism for relays and contactors
US2417169A (en) Snap switch
CN101620944B (zh) 按钮开关
US2260964A (en) Snap switch
US5136132A (en) Alternate action mechanism
US4814554A (en) Switch assembly with redundant spring force and one-piece plunger
US4220835A (en) Electrical switch construction
US4196328A (en) Electric switch
US2708371A (en) Alternate action mechanism
US2789172A (en) Snap-acting switch mechanisms
KR890006356Y1 (ko) 스위치 장치
US2582034A (en) Snap action switch
US2181068A (en) Electric snap switch construction
US2182856A (en) Compression spring support
KR910003389Y1 (ko) 스위치 작동장치
US3787653A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US6689967B2 (en) Slide switch
US5122627A (en) Asymmetrical electrical switch actuator
US4767896A (en) Stamped circuitry assembly
KR900000762Y1 (ko) 스위치 장치
JP3854789B2 (ja) スイッチ装置
US4200778A (en) Electric keyboard of snap-contact type
US4659157A (en) Stamped circuitry assembly
US3539742A (en) Electrical snap switch having stressed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12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121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011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4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9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09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511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