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343A - 파쇄유동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파쇄유동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3343A KR910003343A KR1019890015417A KR890015417A KR910003343A KR 910003343 A KR910003343 A KR 910003343A KR 1019890015417 A KR1019890015417 A KR 1019890015417A KR 890015417 A KR890015417 A KR 890015417A KR 910003343 A KR910003343 A KR 9100033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tower
- flow drying
- flow
- crushing
- was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18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0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5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5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2
- 239000010893 paper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10812 mixe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26B17/101—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the drying enclosure having the shape of one or a plurality of shafts or ducts, e.g. with substantially straight and vertical axis
- F26B17/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the drying enclosure having the shape of one or a plurality of shafts or ducts, e.g. with substantially straight and vertical axis with material recirculation, classifying or disintegr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1845—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with particles moving upwards while fluidised
- B01J8/1863—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with particles moving upwards while fluidised followed by a downward movement outside the reactor and subsequently re-entering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Paper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8)
- 유동건조탑의 하부에 배설된 한쌍의 회전드럼조립체와, 상기 유동건조탑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드럼조립체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평행축과, 상기 유동건조탑의 외부에 배설되고, 상기 한쌍의 축을 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유동건조탑내로 고열풍을 공급하는 고열풍공급수단과, 상기 유동건조탑내로 처리될 폐기물을 공급하는 폐기물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드럼조립체중의 하나는 상기 유동건조탑내의 고열풍공급측에 위치하여, 고열풍이 분출되는 중심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드럼조립체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유동건조탑내의 폐기물 공급측에 위치하며, 그 양단과 상기 유동건조탑의 측벽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지 또는 산업폐기물등을 미분으로 파쇄 및 유동건조시키는 수직형의 유동건조탑을 가지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조립체는 각각 링형 단부판 및 원반형 단부판이 설치된 한쌍의 회전드럼 유니트와, 상기 단부판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설되고, 고열풍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유동건조탑내로 도입되는 폐기물을 파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링형 단부판의 외면에 고정되고, 회전드럼유니트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베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고열풍공급측의 상기 회전드럼조립체는 상기 축중의 하나에 설치된 두개의 회전드럼유니트를 가지며, 상기 회전드럼유니트의 링형 단부판상에 상기 베인이 간격을 가지고 서로 대향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폐기물공급측의 회전드럼조립체는 상기 축중의 다른 하나에 설치된 두개의 회전드럼 유니트를 가지며, 상기 회전드럼유니트의 원반형 단부판은 서로 접촉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유니트의 링형 단부판에 장착된 베인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이 고정된 위치와 같은 상기 링형 단부판의 위치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유니트의 링형 단부판에 장착된 베인은 상기 블레이드부재의 일단이 고정된 위치의 중간의 상기 링형 단부판의 위치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볼트의 수단에 의하여 상기 링형 단부판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축방향으로 신축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베인은 스푼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열풍공급수단은 유동건조탑의 측벽에 상기 회전드럼조립체중의 하나의 위치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공급수단은 유동건조탑의 측벽에 상기 회전드럼조립체중의 다른 하나의 위치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조립체는 상기 유동건조탑의 저면위에 공간을 가지도록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건조탑의 저면은 이 유동건조탑의 외부에 배설된 구동기구에 의하여 하향으로 개방가능한 한쌍의 저면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은 닫혔을 때 그 상면이 평탄한 수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저면판에 각각 연결된 신축가능한 로드부재를 가진 공기실린더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건조탑의 소음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유동건조탑의 측벽의 하부에 소음검출기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검출기는 소정레벨의 소음을 검출할 때 상기 구동기구를 작동시켜 상기 유동건조탑의 저면판을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건조탑의 하부에 밀봉된 구조로 부착된 회수상자를 가지며, 상기 저면판이 하향으로 열렸을 때 상기 저면판이 회수상자내에 수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유동건조장치.
- 수직형의 유동건조탑과, 상기 유동건조탑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건조탑으로부터 공급된 건조된 폐기물과 가스성분을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에 연결되어 상기 분리기로부터의 건조된 폐기물의 일부와 새로 공급된 폐기물을 혼합하는 패들혼합기와, 상기 패들혼합기에 연결되어 혼합된 폐기물을 유동건조탑내로 공급하는 콘베이어와, 상기 유동건조탑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건조탑내로 고열풍을 공급하는 고열풍공급수단과, 상기 유동건조탑의 하부에 배설된 한쌍의 회전드럼 조립체와 상기 유동건조탑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드럼조립체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평행축과, 상기 유동건조탑의 외부에 배설되고, 상기 한쌍의 축을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드럼조립체중의 하나는 상기 유동건조탑내의 고열풍공급측에 위치하며, 고열풍이 분출되는 중심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드럼조립체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유동건조탑내의 폐기물공급측에 위치하며, 그 양단과 상기 유동건조탑의 측벽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폐지 또는 산업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파쇄유동건조장치.※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9-186,644 | 1989-07-19 | ||
JP1186644A JPH0351609A (ja) | 1989-07-19 | 1989-07-19 | 破砕流動乾燥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3343A true KR910003343A (ko) | 1991-02-27 |
KR0133172B1 KR0133172B1 (ko) | 1998-04-17 |
Family
ID=1619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5417A KR0133172B1 (ko) | 1989-07-19 | 1989-10-26 | 파쇄유동건조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5107604A (ko) |
EP (1) | EP0410043B1 (ko) |
JP (1) | JPH0351609A (ko) |
KR (1) | KR0133172B1 (ko) |
AT (1) | ATE100569T1 (ko) |
AU (1) | AU639244B2 (ko) |
DE (1) | DE68912585T2 (ko) |
NZ (1) | NZ23454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9805B1 (ko) * | 1999-11-03 | 2001-11-07 | 조성환 | 충격파쇄식 건조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59849B2 (ja) * | 1991-03-22 | 1998-05-28 | 片岡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破砕流動乾燥装置に配する破砕流動乾燥機 |
AU656334B2 (en) * | 1990-10-30 | 1995-02-02 | Fukutaro Kataoka | Fluidized crusher/drier for use in a fluidized crusher/drier system |
JP3160651B2 (ja) * | 1991-10-14 | 2001-04-25 | 月島機械株式会社 | 含水汚泥の乾燥方法及び装置 |
KR200176580Y1 (ko) * | 1998-04-23 | 2000-04-15 | 정진효 | 여과건조기의 배출구의 개폐장치 |
JP3710333B2 (ja) * | 1999-07-29 | 2005-10-26 | ホソカワミクロン株式会社 | 気流乾燥装置 |
CA2699478A1 (en) * | 2007-09-13 | 2009-03-19 | Enviro-Energy Limited | Drying and milling apparatus and processing plant |
CN102373810B (zh) * | 2011-11-22 | 2013-03-20 | 河北建筑工程学院 | 一种预应力玄武岩纤维布加固木柱的方法 |
JP6083864B2 (ja) * | 2013-03-27 | 2017-02-22 | 株式会社御池鐵工所 | 有機廃棄物の乾燥システム |
JP6104666B2 (ja) * | 2013-03-27 | 2017-03-29 | 株式会社御池鐵工所 | 有機廃棄物を用いた熱源システム及び発電システム |
JP6347542B2 (ja) * | 2014-05-26 | 2018-06-27 | 忠行 猪野 | きのこ廃培地乾燥装置、きのこ廃培地の処理方法、再利用物の作成方法及び乾燥廃培地の作成方法 |
JP6360724B2 (ja) * | 2014-06-05 | 2018-07-18 | 豊田興産株式会社 | 有機性廃棄物の乾燥装置 |
JP6485124B2 (ja) * | 2015-03-06 | 2019-03-2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シート製造装置 |
CN105674298B (zh) * | 2016-03-23 | 2017-10-31 | 商洛市海蓝科技有限公司 | 一种钻井废弃泥浆干化煅烧处理系统 |
NO343915B1 (en) * | 2018-01-16 | 2019-07-08 | Waister As | System and method of drying solid materials and liquid-solid mixtures |
JP6564913B2 (ja) * | 2018-06-15 | 2019-08-21 | 豊田興産株式会社 |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
RU2701958C1 (ru) * | 2019-02-19 | 2019-10-02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В.Г. Шухова" | Дезинтегратор |
CN111495520A (zh) * | 2019-07-19 | 2020-08-07 | 河北燕岛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垃圾焚烧烟气处理装置 |
CN111397332B (zh) * | 2020-03-31 | 2021-10-08 | 济南清照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白酒酒糟烘干设备 |
CN112121926B (zh) * | 2020-09-07 | 2021-12-07 | 聊城锐利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化工生产用原料破碎球磨机 |
CN112344337A (zh) * | 2020-10-14 | 2021-02-09 | 汪慧 | 一种生活垃圾源头无害化环保处理设备 |
EP3991567A1 (de) * | 2020-10-28 | 2022-05-04 | Bühler Insect Technology Solutions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oteinmehls aus insekten, insbesondere aus insektenlarven und aus insektenpuppen, oder aus würmern und trocknungsvorrichtung zur verwendung in ei-nem solchen verfahren |
CN112934408B (zh) * | 2021-01-30 | 2022-10-04 | 淄博泰鼎机械科技有限公司 | 一种造纸用废纸回收破碎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15812A (en) * | 1923-01-18 | 1924-05-19 | Thomas Rigby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rying processes |
JPS609228B2 (ja) * | 1978-04-28 | 1985-03-08 | 愛知化工機株式会社 | 流動乾燥機における偏気流発生装置 |
DE3247303A1 (de) * | 1982-12-21 | 1984-07-05 | Ukrainskij naučno-issledovatel'skij institut myasnoi i molochnoi promyshlennosti, Kiev | Einrichtung zur zerkleinerung und gleichzeitigen trocknung von waermeempfindlichem gut |
JPS609228A (ja) * | 1983-06-28 | 1985-01-18 | Fujitsu Ten Ltd | ラジオ受信機 |
JPS61291822A (ja) * | 1985-06-20 | 1986-12-22 | Ryowa Kakoki Kk | 流動分級乾燥装置 |
-
1989
- 1989-07-19 JP JP1186644A patent/JPH0351609A/ja active Pending
- 1989-09-29 US US07/414,957 patent/US510760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10-06 DE DE68912585T patent/DE68912585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10-06 AT AT89118541T patent/ATE100569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9-10-06 EP EP89118541A patent/EP041004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10-26 KR KR1019890015417A patent/KR01331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
- 1990-07-17 NZ NZ234544A patent/NZ234544A/xx unknown
- 1990-07-17 AU AU59079/90A patent/AU639244B2/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9805B1 (ko) * | 1999-11-03 | 2001-11-07 | 조성환 | 충격파쇄식 건조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NZ234544A (en) | 1992-11-25 |
EP0410043B1 (en) | 1994-01-19 |
AU639244B2 (en) | 1993-07-22 |
AU5907990A (en) | 1991-01-24 |
JPH0351609A (ja) | 1991-03-06 |
KR0133172B1 (ko) | 1998-04-17 |
EP0410043A1 (en) | 1991-01-30 |
DE68912585D1 (de) | 1994-03-03 |
DE68912585T2 (de) | 1994-06-16 |
ATE100569T1 (de) | 1994-02-15 |
US5107604A (en) | 1992-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3343A (ko) | 파쇄유동건조장치 | |
US3987970A (en) | Centrifugal mill | |
JP7171202B2 (ja) | 微粉砕機 | |
US5947396A (en) | Collider | |
SE8306256D0 (sv) | Slaglemolle med mindst et lodret eller skratstillet cylindrisk malekammer | |
KR900004407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CA116273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 substance | |
KR20090001350A (ko) | 파쇄·교반·이송 기능을 가진 스크루, 이 스크루가 장착된스크루건조기 및 다단 스크루건조기 시스템 | |
KR100684259B1 (ko) | 피건조물의 내부 성층화가 방지되는 연속식 스크루건조기 | |
KR20010053110A (ko) | 석탄 분쇄기용 내장형 공기 밀봉 조립체 | |
KR20170142049A (ko) | 입자형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건조장치 | |
WO2016090445A1 (pt) | Desagregador e secador simultâneo de sólidos | |
KR100312678B1 (ko) | 오니의파쇄식건조장치 | |
KR20190074171A (ko) | 고형물 분쇄기 | |
RU187934U1 (ru) | Сушильная камера дл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 |
KR960705025A (ko) | 유기물 분해 시스템 | |
RU2149715C1 (ru) |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сепаратор | |
CN206626938U (zh) | 一种立式搅拌干燥机 | |
CN119175149B (zh) | 一种利用磨煤机干化污泥并耦合燃煤发电的污泥处理系统 | |
CN209893908U (zh) | 一种丸粒干燥机用绞龙装置 | |
JP2019136645A (ja) | 微粉砕機 | |
CN221966381U (zh) | 一种违禁食品销毁处理设备 | |
FI56415C (fi) | Siktanordning foer klassificering av en utspaedd pappersmassauppslamning | |
JP2006239522A (ja) | 有機廃棄物乾燥装置 | |
DE3566504D1 (en) | Device for comminuting waste pap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10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5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910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7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7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11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1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