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2918Y1 -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 Google Patents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918Y1
KR910002918Y1 KR2019880001730U KR880001730U KR910002918Y1 KR 910002918 Y1 KR910002918 Y1 KR 910002918Y1 KR 2019880001730 U KR2019880001730 U KR 2019880001730U KR 880001730 U KR880001730 U KR 880001730U KR 910002918 Y1 KR910002918 Y1 KR 910002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ece
guide hole
opening
locking body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1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729U (ko
Inventor
신명식
Original Assignee
신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식 filed Critical 신명식
Priority to KR2019880001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2918Y1/ko
Publication of KR890017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7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91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제1도는 본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고정편이 삽입되는 안내구멍이 형성된 푸시버튼식 잠금체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4도는 본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사시도.
제5도는 본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상태 정면도.
제6도는 종래의 고정부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편 2 : 탄성부
3 : 손잡이부 4 : 잠금체
5 : 안내구멍 6 : 개폐문
본고안은 전자단자함이나 휴즈박스, 또는 계량기 보온함이나 광범위하게는 금고 및 캐비네트 등과 같은 개폐문을 갖는 통형의 함에 달린 문을 용이하게 잠글수 있고 열수 있도록 한 푸시버튼식으로된 잠금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형태로 이루어진 탄성력을 부여받은 고정편을 이용하여 신속한 고정이 될수 있도록 고안된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단자함이나 휴즈박스등의 형태가 사각형의 함체로 되어있고 그 전면부가 외부와 통하도록한 문이달린 판넬부가 설치되게된 구조인바 이는 수시로 어떠한 목적이나 필요에 따라서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인한 필요성에 기인하고 있다.
여기에는 또다른 부가장치, 예를들면 푸시버튼식의 잠금과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잠금체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본고안은 이러한 잠금체의 개폐문에 대한 고정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6도에서는 종래의 고정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판넬(a)의 중앙위치에 유설된 개폐문(b)은 그 일측부 중앙에 트인구멍(d)이 형설되어 걸림편(g)을 갖는 잠금체(c)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 상하부에는 보울트(e)를 안내하는 소공(f)이 뚫려 있는 구조인바, 최소한의 보울트수를 나타낸 도시한 것에서조차도 2개의 보울트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부품수의 증가와 또한 나사고정작업이라는 고정작업 방법의 난해한 문제점을 아울러 갖고 있다.
본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나아가서는 매우 간단한 조작(고정작업)에 의하여 잠금체(c)를 개폐문(b)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1도에서는 본고안의 전체적인 개념을 파악할 수 있도록한 전체사시도를 도시하였다.
고정편(1) 본체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손잡이부(3)와, 이 손잡이부(3)에서 길게 연장하다가 완만히 반원상으로 절곡되어 탄성부(2)를 이루고 다시 처음 형태로 복귀하여 계속연장한후 도입편(2')으로 끝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편(1)과 대용하는 푸시버튼식 잠금장치(4 : 이하 "잠금체"라 한다)에는 안내구멍(5)이 상기 고정편(1)의 너비보다 약간 큰 폭을 갖고서 측부에서 측부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첨부도면 제2도에서 잠금체(4) 상단의 작동돌기(4a)는 외부조작자의 조작에 의하여 잠금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부호 4b는 푸시버튼, 4c는 상기 푸시버튼(4b)에 의하여 작동돌기(4a)가 작동될때에 개폐문(6)을 실제로 걸어잠그는 걸림편을 표시한다.
이어서 본고안의 고정순서내지는 상태를 첨부도면 제3도에서 제5도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고안의 고정편(1)을 잠금체(4)의 안내구멍(5)에 삽입시키므로서 고정이 이루어진다.
즉, 잠금체(4)를 개폐문(6)의 트인구멍(d)을 통하여 삽입장착한후 잠금체(4)의 측방향, 즉 첨부도면 제4도의 가상선의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손잡이부(3)를 밀어 삽입시켜 주면, 고정편(1)의 최상단부, 즉 탄성부(2)가 탄성작용을 일으키면서 삽입이 된다.
이는 안내구멍(5)의 구멍면(5a)에 탄성부(2)가 탄성접촉하게 되고 손잡이부(3)와 도입편(2')의 저면부(la)(1b)의 양지점이 개폐문(6)의 내측면(6a)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약간의 저항을 받으면서 안내구멍(5)에 고정편(1)이 삽입되는 것이다.
제4도중 부호 22는 유설축, 23은 환기구를 표시한다.
이러한 고정편(1)의 탄성작용에 의한 고정을 제3도를 들어 더욱더 자세히 설명하면, 안내구멍(5)에 강제삽입시키기전의 고정편(1)의 높이 h의 상태에서 안내구멍(5)의 상부구멍면(5a)에서 개폐문(6) 내측면(6a)사이의 거리가 상기 높이 h보다 작기 때문에 고정편(1)의 탄성변형을 함과 동시에 강제 삽입되어 삽입된 후의 높이 H상태로 변화하므로서 잠금체(4)를 개폐문(6)에 고정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본고안의 고정편(1)은 주로 푸시버튼식의 잠금장치의 고정에 사용이 되는 것이나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사각형으로된 잠금장치에는 대체적으로 적용이 되는 것이다.
또한 잠금체(4)의 안내구멍(5)중앙의 원형홈(7)은 환봉형의 고정봉도 병행하여 사용이 될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고안은 매우 간단한 형태로 된 단일체의 부품한개를 이용하여 부착시킬 수 있게한 것으로서 제작이 수월하여 제조단가가 저렴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될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푸시버튼식으로 된 잠금체(4)와, 개폐문(6) 및 판넬(21)로 구성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잠금체(4)의 측부중앙을 관통하는 안내구멍(5)과, 이 안내구멍(5)의 중앙에 원형홈(7)을 형성하고, 손잡이부(3)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완만히 반호상을 이루는 탄성부(2)와 그 끝단부에 도입편(2')이 일체 형성된 고정편(1)을 상기 안내구멍(5)에 강제 삽입시키므로서 고정이 될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KR2019880001730U 1988-02-12 1988-02-12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Expired KR910002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730U KR910002918Y1 (ko) 1988-02-12 1988-02-12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730U KR910002918Y1 (ko) 1988-02-12 1988-02-12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729U KR890017729U (ko) 1989-09-08
KR910002918Y1 true KR910002918Y1 (ko) 1991-05-03

Family

ID=1927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1730U Expired KR910002918Y1 (ko) 1988-02-12 1988-02-12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29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729U (ko) 198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110493T1 (de) Sicherheits-türschloss für türen von elektrogeräten.
JPH0726497B2 (ja)
DE3166636D1 (en) Flush lock for switchboards or the like
KR970059451A (ko) 차량 도어 래치 장치
US4113294A (en) Anti-theft clip
GB2208454A (en) Electric switch locking device
KR910002918Y1 (ko)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US3948550A (en) Door latch
KR200283418Y1 (ko) 강화유리출입문 개폐장치
KR910002917Y1 (ko) 푸시버튼식 잠금장치의 고정편
KR850002299A (ko) 금고 또는 그 유사장치의 문 쇄정장치
KR860009206A (ko) 잠금기구와 출구 조립체
KR910005305Y1 (ko) 푸시버튼식 잠금체의 고정구조
KR900002632Y1 (ko) 오디오 랙(Audio Rock)의 유리문 개폐장치
KR0135233Y1 (ko) 전자오락기의 동전통보관함 잠금장치
US3630556A (en) Handle-controlled door-latching arrangement for a cabinet
KR900002192Y1 (ko) 전자기기의 도어장치
KR200218009Y1 (ko) 미닫이 창문의 자동잠금장치
KR910002919Y1 (ko) 푸시버튼식 잠금장치
KR880003821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록 장치
KR880003590Y1 (ko) 배선용 차단기 조작핸들의 록크장치
KR950000183Y1 (ko) 잠금 장치의 키뭉치 설치구조
KR900003452Y1 (ko) 오디오 랙의 도어 괘, 해정장치
KR820000204Y1 (ko) 전자기기용 개폐문 괘정구
KR900004341Y1 (ko) 콘트롤 버튼박스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02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8021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3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7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9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092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5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5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4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