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1934Y1 - 코넥터플러그 - Google Patents

코넥터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934Y1
KR910001934Y1 KR2019870023074U KR870023074U KR910001934Y1 KR 910001934 Y1 KR910001934 Y1 KR 910001934Y1 KR 2019870023074 U KR2019870023074 U KR 2019870023074U KR 870023074 U KR870023074 U KR 870023074U KR 910001934 Y1 KR910001934 Y1 KR 910001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tal
cylindrical cover
connector
protrusion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852U (ko
Inventor
미쯔오 소리마찌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4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9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넥터플러그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코넥터플러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코넥터플러그와 결합하는 코넥터소켓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핀수가 다른 코넥터소켓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통형상커버메탈 102 : 절연보디
103a∼103b : 콘택트핀 104 : 절연캡
105 : 케이블인출부 106 : 주위치결정용돌조부
107a, 107b : 보조위치결정용돌조부
본 고안은 코넥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일본국 실개소 57-174865호에 있어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코넥터플러그를 제안하였다. 이 먼저 제안한 코넥터플러그는 통형상커버메탈(101)외중공부에 원반형상절연디(102)가 끼워조합되고, 이절연보디(102)에 복수개의 콘택트핀(103a) ∼(103e)이 심어설치된다.
동형상 커버메탈(101)의 후반부에는 절연캡(104)이 끼워조합된다.
이 절연캡(104)윤 가요성을 가진 절연수지재에 의해서 형성되고 후단부에 깊이판 홈을 다수형성하여 탄성이 부여된 케이블인출부(105)가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커버메탈(101)의 노출부에는 둘레의 안쪽으로 돌출한 3개의 돌조부(106)과 (107a), (107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조부의 하나(106)는 주위치 결정용 돌조부로서 사용되고, 다른 2개의 돌조부(107a), (107b)는 보조위치결정용돌조부로서 사용된다.
또한 보조위치결정용돌조부(107a), (107b)의 위치에 걸쳐서 형성한 절결부(108)는 상대가 되는 코넥터소켓을 소형화 하기 위해서 형성한 절결부이다.
한편 절연보디(102)에는 콘택트핀(103a) ∼(103e) 의 설치방향으로 돌출한 절연기둥형상체(109)를 돌출해서 형성한다. 이 절연기둥형상체(109)는 절연보디(10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이 절연기둥형상체(109)가 제4도에 도시한 상대의 코넥터소켓(200)에 형성한 4각 구멍(201)에 결합하여, 플러그의 결합위치를 규정한다.
즉 이 절연기둥형상체(109)는 콘택트핀(103a)∼(103e)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며, 먼저 주위결정용 돌조부(106)와 보조위치결정용 돌조부(107a), (107b)가 코넥터 소켓에 형성한 오목홈(202), (203a), (203b) 과 결합하여 위치결정이 행하여지나, 이 위치결정을 행하는 상태에서 절연기둥 형상체(109)의 선단부가 코넥터소켓(200) 의 절연보디(204)의 앞단부외주에 당접하여, 플러그의 콘택트핀(103a)∼(103e) 이 잘못하여 암콘택트수납구멍(205a)∼(205e)에 결합되지 않도록 작용한다.
절연기둥형상체(109)가 코넥터소켓(200)에 형성한 4각구멍(201)에 위치가 합치하여야 비로서 절연기둥형상체(109)가 4각구멍(201)에 삽입되고, 그 삽입동작에 의해서 콘택트핀(103a)∼(103e)이 생대의 콘택트수납구멍(205a)∼(205e)에 삽입되는 것이 허용된다.
먼저 제안한 코넥터 플러그의 특징은 주위치결정용돌조부(106)와 보조위치결 정용돌조부(107a), (107b)가 코넥터소켓(200)의 절연보디(204)의 주면(周面)에 형성한 오목홈(202) 및 (203a), (203b)과 결합하여 꽂아넣는위치를 규정하고 있다.
꽂아넣는 위치가 결정될때까지는 주위치결정용돌조부(106)와 보조위치결정용돌조부(107a), (107b) 가 코넥터소켓(200)의 절연보디(204)의 앞단부위주에 접촉하고, 이들 3개의 돌조부(106)과 (107a), (107b)의 선단부가 플러그를 3점에서 지지하여 플러그의 축심이 기울어지는 일없이 회동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코넥터스켓(200)에 있어서 절연보디(204)의 외주에 고리형상오목홈(207)이 형성되고, 이 고리형상오목홈(207)에 통형상커버메탈(206)을 장비하고 있다. 이 통형상커버메탈(206)은 탄성금속재로 만들어지고 절결부(206A)가 주위치결정용오목홈(202)의 위치에 합치해서 배치된다. 이 절결부(206A)를 가지므로서 직경방향으로 휘어질수 있는 탄성이 부여되며, 이 탄성에 의해서 코넥터플러그의 통형상 커버메탈(101)의 외주에 끼워맞춰져서, 소형이면서도 플러그의 파지력이 강한 코넥터소켓을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것에 있어서는 5핀의 코넥터플러그 및 코넥터소켓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핀수의 코넥터플러그 및 코넥터소켓도 만들수 있다.
제5도 내지 7도에 다른 핀수의 플러그의 정면형상을 도시한다.
제5도는 3핀의 경우의 정면도, 제6도는 4핀의 경우의 정면도, 제7도는 8핀의 경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기둥형상체(109)는 핀수에 따라서 위치를 다르게하여, 다른핀수의 플러그와 소켓이 서로 결합되지 않도록 하고있다. 또 제7도에 도시한 8핀은 최대핀수의 경우를 도시하며, 이 경우는 절연기둥형상체(109)를 형성하지 않는 구조로하고 있다.
3개의 돌조부(106)과 (107a), (107b)의 선단부가 코넥터소켓(200)의 절연보디(204)의 앞단부외주에 접촉하여 회동할때, 그리고 이들 돌조부(106)과 (107a), (107b)가 코넥터소켓(200)의 주위치결정용 오목홈(202) 및 보조위치결정용오목홈(203a),(203b)과 결합할때, 이들 오목홈(202) 및 (203a), (203b)의 입구부분을 깍아내는 경향이 있다. 오목홈(202) 및 (203a), (203b)의 입구부분을 깍아내면, 그때 수지분말이 발생한다. 이 수지분말이 코넥터소켓(200)의 암콘택트수납구멍(205a)∼(205e)으로 침입하여 플러그의 콘택트핀과 소켓의 암콘택트와의 접촉을 불량으로하는 사고가 일어날 염려가있다.
본 고안에서는 통형상커버메탈에 형성하는 주위치결정용돌조부를 통형상 커버메탈의 외주에 돌출하는 블록 형상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동형상커버메탈의 선단부로부터 이 주위치결정용돌조부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커버메탈의 외주에 돌출한 돌조부는 코넥터소켓의 동형상커버메탈에 형성한 절결부분에 결합하여 위치결정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주위치결정용돌조부를 외향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주위치결정용돌조부를 보조위치결정용돌조부 보다 선단부쪽에서 부터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주위치결정용돌조부가 코넥터소켓에 형성한 통형상커버메탈의 절결부에 결합하므로서 일의적(一義的)으로 위치결정할수 있으며, 여기까지의 상태에서 내향으로 돌출한 보조위치결정용돌조부가 코넥터소켓의 절연보디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코넥터소켓의 절연보디를 깎아내는 일없이 플러그의 꽂아넣는 위치를 결정할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중 제3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표시하였다.
즉 (101)은 통형상커버메탈, (102)는 이 통형상커버메탈(101)의 중공부에 끼위조합한 절연보디, (103a)∼(103e)는 절연보디(102)에 심어 설치한 콘택트핀, (104)는 통형상커버메탈(101)의 후반부에 끼워 조합한 절연캡, (105) 는 이 절연캡 (104)의 후단부에 형성한 케이블인출부, (107a), (107b) 는 보조위치결절용돌조부, (108)은 통형상커버메탈(101)의 선단부에 형성한 절결부,(109)는 절연보디(102)에 돌출해서 형성한 절연기둥형상체를 표시한다.
본 고안의 특징으로하는 구조는 주위치결정용돌조부(106)를 도시한 바와같이 통형상커버메탈(101)의 외주에 돌출하는 형상의 돌조부로 함과 동시에, 통형상커버메탈(101)의 선단부로부터 이 주위치결정용돌조부(106)를 형성한 점에 있다.
이런 구조로 하므로서 주위치결정용돌조부(106)가 코넥터소켓(200)(제4도 참조)에 형성한 통형상커버메탈(206)의 절결부(206A)에 결합해서 임의적으로 위치결정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주위치결정용돌조부(106)는 동형상커버메탈(101)의 선단부에서부터 형성하고 있으므로 주위치결정용돌조부(106) 가 코넥터소켓(200)에 형성된 통형상커버메탈(206)의 절결부(206A)에 결합하여, 이절결부(206A)에 주위치결정용돌조부(106)가 들어올때까지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조위치결정용돌조부(107a), (107b) 가 코넥터소켓(200)의 절연보디(204)에 접촉하는 일이없다.
따라서 코넥터플러그를 코넥터소켓(200)에 끼워맞출때에 코넥터소켓(200)의 절연보디(204)의 앞단부외주를 깎아내는 일이 없다.
따라서 수지의 분말이 발생하여 이것이 암콘택트수납구멍에 침입하여 접촉불량사고를 일으키는 일이 없는 코넥터플러그를 제공할수 있다.
또한 보조위치결정용돌조부(107a), (107b)는 실질적으로 없어도되나, 플러그와 소켓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플러그의 유동을 적게하기 위해서는 있는편이 좋다. 또 소켓의 주위치결정용 오목홈도 없도록 할수 있으나 스위치부착의 소켓의 경우에, 이 주위치결정용 오목홈에 스위치조작자(操作子)를 수용하기 때문에 부품을 공용하는 점에서는 있는편이 좋다.
또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5핀의 코넥터플러그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3∼8핀의 코넥터플러그에도 본 고안을 적용할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복수의 콘택트핀(103a)∼(103c)을 심어 설치해서 유지한 절연보디(102)와, 이 절연보디(102)의 외주에 끼워맞춘 통형상커버메탈(101)과, 이 통형상커버메탈(101)의 선단부에서부터 통형상커버메탈(101)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통형상커버메탈(101)의 외주에 돌출해서 형성한 주위치결정용 돌조부(106)와, 가요성을 가진 절연수지재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커버메탈(101)의 후반부의 외주에 끼워맞춰지며, 후단부에 가요성이 부여되어서 형성된 케이블 인출부(105)를 가진 절연캡(10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코넥터플러그.
KR2019870023074U 1986-12-26 1987-12-24 코넥터플러그 KR91000193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01765 1986-08-29
JP1986201765U JPS63174178U (ko) 1986-12-26 1986-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852U KR890014852U (ko) 1989-08-11
KR910001934Y1 true KR910001934Y1 (ko) 1991-03-30

Family

ID=1644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074U KR910001934Y1 (ko) 1986-12-26 1987-12-24 코넥터플러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24402A (ko)
EP (1) EP0273269B1 (ko)
JP (1) JPS63174178U (ko)
KR (1) KR910001934Y1 (ko)
DE (1) DE376494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328Y2 (ja) * 1990-09-27 1997-02-12 ホシデン株式会社 ソケット
CA2092515C (en) * 1992-04-17 2004-05-11 Alfred L. Ehrenfels Locking electrical connector
US5876231A (en) * 1996-09-10 1999-03-02 Framatome Connectors Usa Connector for airbag system
JP3755716B2 (ja) * 1999-02-26 2006-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7047649B2 (en) * 2003-05-05 2006-05-23 Andis Company Power cord for a hand-held electrical device
US7258572B2 (en) * 2003-09-09 2007-08-21 Henry Milan Modular DC power step down adapter
USD519925S1 (en) 2004-04-19 2006-05-02 Henry Milan Housing for computer cable connector
USD509797S1 (en) 2004-09-09 2005-09-20 Henry Milan Power adapter for computer and USB hub
DE202015102825U1 (de) * 2015-06-01 2016-09-02 Kuka Systems Gmbh Stopfenfügewerkzeug
USD892057S1 (en) * 2019-01-08 2020-08-04 Medline Industries, Inc. ECG cable connector
US11701043B2 (en) 2019-04-17 2023-07-18 Masimo Corporation Blood pressure monitor attachment assembly
USD985498S1 (en) 2019-08-16 2023-05-09 Masimo Corporation Connector
USD919100S1 (en) 2019-08-16 2021-05-11 Masimo Corporation Holder for a patient monitor
USD979516S1 (en) * 2020-05-11 2023-02-28 Masimo Corporation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8445A (en) * 1970-07-31 1972-07-18 Itt Electrical connector shield
FR2349055A1 (fr) * 1976-04-22 1977-11-18 Bendix Corp Moyens de polarisation et de verrouillage pour parties cooperantes separables
US4443052A (en) * 1982-02-05 1984-04-17 Amp Incorporated Means to indicate fully-mated condition of electrical connector
US4423919A (en) * 1982-04-05 1984-01-03 The Bendix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R2585889B1 (fr) * 1985-08-05 1988-03-25 Souriau & Cie Connecteurs electriques dont les elements portant des contacts males sont agences pour empecher leur accouplement mecanique mut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73269B1 (en) 1990-09-12
US4824402A (en) 1989-04-25
JPS63174178U (ko) 1988-11-11
EP0273269A3 (en) 1989-04-26
KR890014852U (ko) 1989-08-11
DE3764942D1 (de) 1990-10-18
EP0273269A2 (en) 198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934Y1 (ko) 코넥터플러그
US4255007A (en) Multi-terminal rotary connector
US4902247A (en) Electrical connector
US6780068B2 (en) Plug-in connector with a bushing
US4799900A (en) Push on right angle connector
EP0191776B1 (en) Plug connector having separate terminal retaining member
US20020115345A1 (en) Waterproof connector
KR940009369B1 (ko) 전기 콘넥터 하우징과 전기 콘넥터
US4934963A (en) Electrical connector
US4802867A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JP2931628B2 (ja) 防水型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5741159A (en) Connector and connector kit
JP342096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5577929A (en) Bulb socket
JP2967507B2 (ja) 電気ソケット用雌型コンタクト
JPS5937082B2 (ja) 電動歯ブラシ
GB2088148A (en) Electric Connector
US10608374B2 (en) Connector for a diesel engine glow plug
EP0101257B1 (en) Lampholder
JPH0346472Y2 (ko)
JP3004347B2 (ja) コネクタ
US20230246370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a Connector Socket
JP7168419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保持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920006485Y1 (ko) 핀잭
JP3017519B2 (ja) 電気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12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12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0083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2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7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07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4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13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