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0396Y1 - 변기 및 세면유니트의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및 세면유니트의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96Y1
KR910000396Y1 KR2019830003023U KR830003023U KR910000396Y1 KR 910000396 Y1 KR910000396 Y1 KR 910000396Y1 KR 2019830003023 U KR2019830003023 U KR 2019830003023U KR 830003023 U KR830003023 U KR 830003023U KR 910000396 Y1 KR910000396 Y1 KR 910000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transverse branch
toilet
frame
fram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3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379U (ko
Inventor
이사무 이시구로
Original Assignee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다 가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다 가쓰지 filed Critical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7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96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4/00Combinations of baths, douches, sinks, wash-basins, closets, or urinal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변기 및 세면유니트의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에 있어서의 세면기용 지지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세면유니트의 일부절결측면도.
제3도는 대변기용 지지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대변유니트의 일부절결측면도.
제5도는 소변유니트용 지지장치의 사시도.
제6도는 소변유니트의 일부절결측면도.
제7도는 제1고정부재부분의 확대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표면화장판에 있어서의 핀, 판넬받이와의 부착상태를 표시하는 일불절결 확대사시도.
제10도는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U형볼트로 고정하는 확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형틀부재 2 : 실벽에의 고정부
3 : 실바닥에의 고정부 4,14,23,34,44,54 : 횡방향분기관
5 : 수납공간 6 : 부착평면
11 : 실벽과의 간극용 조정부 12 : 높이조정부
A : 프레임체 d : 저면용형틀부재
e : 배면용 형틀부재 100 : 건축구체측벽
200 : 저면
본 고안은 변기유니트나 세면유니트등에 있어서 횡방향분기관을 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에는 미국특허 제4,118,854호 공보와 같이 파이프유니트를 보유하는 인터페이스유니트(interface unit)를 실(室)바닥에 얹어놓은 상태로 실벽(室璧)에 고정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인터페이스유니트는 시공현장에서 템플레이트(template)에 설치한 변기나 세면기와 그 파이프유니트를 접속한다.
그런데, 파이프유니트의 가운데에는 건축구체(軀體)내의 집합본관(本管)내에 접속하는 오른쪽흐름, 왼쪽흐름이 배수용 횡방향분기관, 배변용 횡방향분기관이 있다.
이 배수용 횡방향분기관, 배변용 횡방향분기관은 그 경사각도가 약간이라도 비뚤어지면 배수, 배변기능을 달성하지 못하므로, 설계한 대로의 경사각도로 배설하는 것을 필수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는 인터페이스유니트가 실바닥에 직접 놓여지기 때문에, 실바닥(바닥슬래브)의 미묘한 기복의 영향을 받아 배수용 횡방향분기관, 배변용 횡방향분기관의 경사각도가 약간 비뚤어져서, 배수, 배변기능을 완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실바닥과의 사이에 스페이서(spacer)를 사이에 설치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지만, 두께가 다른 여러가지의 스페이서를 준비해두고, 일일이 인터페이스유니트를 들어 올리면서 선택한 두께의 스페이서를 사이에 끼울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성이 대단히 악화된다.
똥, 변기 및 인체의 중량을 합한 횡붕괴력이, 실벽과 인터페이스유니트와의 고정부에 집중하므로, 견고한 실벽을 보유하는 현장이 아니면 설치할 수 없는 제약이 있어, 설치현장이 제한되어버리는 결점도 있다.
본 고안은, 실바닥의 기복에 관계없이 횡방향분기관을 소정의 각도로 유지함에 있어서 조작이 대단히 간단하고, 또한 횡붕괴력을 실벽과 실바닥에 분산시켜 실벽으로의 응력집중을 회피하는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는 세면유니트에 있어서의 횡방향분기관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체(A)는 여러 종류의 형틀부재(1)를 사용하여 조립형성되며, 그 배변용형틀부재(e)에, 건축구체벽(100)에 고정하는 실벽에의 고정부(2) 및 건축구체측벽(100)과의 간극을 조정하는 조정부(11)를, 저면용형틀부재(d)에, 건축구체변(200)에 고정하는 실바닥에의 고정부(3) 및 저면용형틀부재(d)를 수평하게 위치결정하는 높이조정부(12)를 보유하고 있다.
형틀부재(1)는, 단면 ㄷ형상, 단면 ㅁ형상, 단면L형상등의 소망하는 길이를 보유하는 여러가지 길이의 금속제 형재(型材)로서 카운터재치용형틀부재(a), 앞다리 및 뒷다리용 형틀부재(b),(c), 저면용형틀부재(d), 배면용형틀부재(e)등으로 이루어지며,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세워서 설치하는 배면용 형틀부재(e) 앞쪽에 길이가 짧은 앞다리 및 뒷다리용 형틀부재(b)(c)를 세워서 설치하고, 배면용 형틀부재(e) 앞면에 접속하여 앞다리 및 뒷다리용 형틀부재(b)(c) 뒷면에 카운터재티용형틀부재(a)를 재치고정하며, 배면용형틀부재(e) 하단과 앞다리 및 뒷다리용 형틀부재(b)(c)를 저면용형틀부재(d)로 접속하여서 횡방향분기관(4) 및 수납공간(5)을 보유하는 프레임(A)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배면용형틀부재(e)와 뒷다리용 형틀부재(c)는 횡방향 분기관(4) 첨가접속용형틀부재를 겸용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1면에 부착평면(6)을 보유하도록 단면 ㄷ형상, 단면 ㅁ형상, 단면L형상등을 이루고 그 부착평면(6)에 부착구멍을 뚫어서 직접 또는 앵들형상등의 스페이서(7)를 개재하여 U볼트(8)로 부착고정한다.
횡방향분기관(4)에는 급수관, 급탕관, 통기관(14)(24)(34)(44)가 있으며, 이것들은 각각 건축구제 내의 집합본관(도면표시 아니하였음)과 연결접속되므로 상기한 수납공간(5)내에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전기한 U형볼트를 개재하여 직접 또는 앵글형상등의 스페이서(7)를 개재하여 부착평면(6)에 부착고정한다.
실벽에의 고정부(2)는, 배면용형틀부재(e)에 장비되며, 건축구체측벽(100)에 고정하는 매립볼트(2a)와, 그 매립볼트(2a)를 배면용형틀부재(e)에 임시고정하는 체결볼트(2b)로 이루어진다.
조정부(11)는 상기한 실벽에의 고정부(2)에 근접하는 부위에 있어서 배면용형틀부재(e)의 내면에 고정한 고정너트(11a)와, 그 고정너트(11a)에 진퇴가능하게 나사식으로 끼워지고 한쪽끝이 건축구체측벽(100)에 맞닿는 조정나사봉(1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바닥에의 고정부(3)는 저면용형틀부재(d)에 장비되고, 건축구체저면(200)에 고정하는 앵커볼트(3a)와, 그 앵커볼트(3a)를 저면용형틀부재(d)에 임시고정하는 너트체(3b)로 이루어지며, 높이조정부(12)는 프레임체(A) 아랫면의 4귀퉁이부분등의 소정장소의 저면용형틀부재(d) 내면에 설치되는 나사구멍(12a′)을 보유하는 너트체(12)와, 그 나사구멍(12a)에 실바닥쪽으로 진퇴가능하게 나사식으로 끼워진 조정나사봉(12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부호(10), 배면용형틀부재(e) 사이에 횡방향으로 가설고정된 횡방향분기관(14)(24)(34)으로 부터 분기되는 분기관(14′)(24′)(34′)의 지지형틀로서, 그 분기관(14′)(24′)(34′)을 부착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실시예의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는 공장에서 조립되고, 또 횡방향분기관(14)(24)(34)(44)을 고정한 상태로 시공현장에 반입되어, 높이 조정부(12)의 조정나사봉(12b)을 프레임체(A)로 부터 조작하여 저면용형틀부재(d)의 높이조정 및 수평도를 맞춤과 아울러, 실벽과의 조정부(11)의 조정나사봉(11b)을 동일하게 프레임체(A)내로 부터 조작해서 건축구체측벽(100)과의 간극을 조정하여, 실벽에의 고정부(2), 실바닥에의 고정부(3)으로서 건축구체측벽(100), 건축구체저면(200)에 각각 고정한다.
또한, 프레임체(A)를 설치한 후에는 전기한 카운터재치용형틀부재(a) 위에 라이너(18)를 개재하여 카운터(15)를 얹어서 지지하고, 그 카운터(15)에 개구된 세면기부착구멍(도면표시 아니하였음)에 세면기(16)의 플랜지부를 얹어놓고, 그 카운터(15)위의 프레임체(A)에는 정면이 ㄱ형상인 카운터상부(17)를 라이너(18)를 개재하여 덮고, 내부의 분기관(14′)(24′)(34′)을 세면기(16)로 부터의 연락관(16′)(16″)(16″′)에 연결하여서, 그 세면기(16) 아랫면을 착탈자재한 화장판(19)으로 폐쇄하여 세면유니트로서 제공한다.
표면화장판(19)은 제1도,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앞다리용 형틀부재(b)에 설치한 사개맞춤테(20)에서 돌출된 핀(21)에 절결한 홈부분(22)를 걸어서 고정하든가, 또는 앞다리용 형틀부재(b)에 설치한 앵글형상의 판넬받이(23)에 상기한 홈부분(22)를 착탈자재하게 걸어 고정시킨다.
다음에, 제2도 및 제4도는 대변기유니트에 관하여, 제5도 및 제4도는 소변기유니트에 관한 것이며, 건축구체측벽(100)에 첨가접속되는 배면용형틀부재(e)를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시킴과 아울러 그 배면용형틀부재(e)를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시킴과 아울러 그 배면용형틀부재(e) 가까운 쪽에 횡방향분기관(4)의 수납공간(5)을 형성하기 위한 소정간격을 두고 앞부분용 형틀부재(f)를 세워설치시키고, 양 형틀부재(e)(f)에 걸쳐서 저면용형틀부재(d), 천정용형틀부재(g)를 가설고정하여 프레임체(A)를 형성하고, 그 프레임체(A)의 배면용형틀부재(e), 저면용형틀부재(d)에는, 앞서서 설명한 세면유니트와 동일하게 실벽에의 고정부(2), 실바닥에의 고정부(3), 실벽과의 간극용조정부(11), 높이조정부(12)를 각각 장비하여, 급수관, 통기관, 배면관으로 이루어진 분기관 (14)(44)(54)을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첨가접속되는 형틀부재를 겸하는 프레임체(A)의 배면용 및 앞부분용 형틀부재(e)(f)의 부착평면(6)을 이용하여 직접 또는 앵글형상의 스페이서(7)를 개재하여 U볼트(8)로서 지지고정하고, 앞부분용형틀부재(f) 사이에 걸쳐서 가설고정된 지지형틀(10)에 급수관, 배변관인 분기관(14)(54)으로 부터 분기되는 급속부(14′), 배변접속관(54′)인 부분을 부착한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유니트와 동일하게 건축구체측벽(100) 및 저면(200)에 고정하여 앞면을 착탈자재한 표면화장판(19)으로서 덮고, 또 그 표면화장판(19)을 삽입관통하여 전기한 지지형틀(10) 이면(裏面)에 고정된 고정용너트(25)에 볼트(26)로 고정하여 대변기(27), 소변기(28)를 볼트(26)의 고정에 의해 장비하여서 대변, 소변용화장실 유니트로서 제공한다.
또한, 표면화장판(19)은, 상기한 고정용 너트(25)에 의한 볼트(26)의 고정을 풀고, 플러쉬밸브(29)와 급수부(14′)의 연락을 풀면, 표면화장판(19)은 세면유니트의 경우와 동일하게 착탈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내부에 횡방향 분기관을 횡방향으로 수납하는 공간을 보유하도록 형틀부재를 조립하여 연결하여서 형성한 프레임체내의 배면쪽에 세워설치하는 배면용 형틀부재에 실벽에의 고정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저면의 저면용형틀부재에 높이조정부 및 높이조정부 및 실바닥에의 고정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높이조정부를 저면용형틀부재에 설치한 나사구멍과, 그 나사구멍에 실바닥쪽으로 진퇴가능하게 나사식으로 끼워지며, 한쪽끝이 실바닥에 맞닿아서 저면용형틀부재를 수평하게 위치결정하는 조정나사봉으로 구성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① 프레임체 내로 부터 조정나사봉의 회전조작으로, 실바닥(바닥슬래브)의 기복에 관계없이 저면용형틀부재의 수평도를 맞출수가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 두께의 스페이서를 준비하여, 이 스페이서를 프레임체를 들어올리면서 실바닥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중노동의 번잡한 작업을 강요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배수, 배변용 횡방향분기관을 설계한 대로의 경사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② 프레임체는, 실벽에의 고정부, 실바닥에의 고정부로 건축구체측벽 및 바닥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대변기, 소변기, 세면기를 장비하여도 옆으로 쓰러질 위험성이 없어, 극히 안전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고정부에 대변기등의 사용시의 횡봉괴력이 분산하므로, 실벽, 즉 건축구체측벽에 응력이 집중하지 않아, 실벽이 견고한 현장에만 설치가 제약되는 것도 없다.

Claims (1)

  1. 내부에 횡방향분기관(4)(14)(24)(34)(44)(54)을 횡방향으로 수납하는 공간을 보유하도록 적당한 수의 형틀부재(1)를 조합하여 연결하여서 프레임체(A)를 형성하여, 그 형틀부재(1)로서 횡방향분기관을 지지한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체내의 배면쪽에 세워서 설치하는 배면용형틀부재(e)에 실벽에의 고정부(2)를 설치함과 아울러, 저면의 저면용형틀부재(d)에 높이조정부(12) 및 실바닥에의 고정부(3)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높이조정부(12)를 저면용형틀부재(d)에 설치한 나사구멍(12a)과, 그 나사구멍에 실바닥쪽으로 진퇴가능하게 나사식으로 끼워져서 한쪽끝이 실바닥에 맞닿아 저면용형틀부재(d)를 수평하게 위치결정하는 조정 나사봉(12b)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
KR2019830003023U 1983-02-25 1983-04-06 변기 및 세면유니트의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 Expired KR91000039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27556 1983-02-25
JP1983027556U JPS59132588U (ja) 1983-02-25 1983-02-25 トイレ及び洗面ユニツトの横枝管支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379U KR840007379U (ko) 1984-12-20
KR910000396Y1 true KR910000396Y1 (ko) 1991-01-21

Family

ID=3015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3023U Expired KR910000396Y1 (ko) 1983-02-25 1983-04-06 변기 및 세면유니트의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32588U (ko)
KR (1) KR9100003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7801Y2 (ko) * 1988-03-29 1993-12-16
JPH0721198Y2 (ja) * 1988-08-12 1995-05-17 松下電工株式会社 浴室へのカウンター取り付け構造
JP6628598B2 (ja) * 2015-12-23 2020-01-08 株式会社Lixil 壁取付ライニング用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9094Y2 (ko) 1990-05-28
KR840007379U (ko) 1984-12-20
JPS59132588U (ja) 198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396Y1 (ko) 변기 및 세면유니트의 횡방향분기관 지지장치
GB2401119A (en) Support frame for sanitary appliance
JP3349333B2 (ja) 衛生設備ユニットにおける配管の支持構造
JP2529301B2 (ja) 浴室ユニット
JPH0245336Y2 (ko)
JP2519330Y2 (ja) 和風便器ユニット
JP3629817B2 (ja) 配管ユニットの固定構造
WO2019093517A1 (ja) 衛生機器装置、ルームユニット、衛生機器装置の施工方法及びルームユニットの施工方法
JPH0543149Y2 (ko)
AU613502B2 (en) Sanitary ware fixing
US4724644A (en) Wall panelling system
DE1922049C3 (de) Anordnung eines stehenden Spülklosettbeckens in einem Gebäuderaum
JPH0644965Y2 (ja) 配管ユニットの壁パネル振れ止め構造
JPH0211511Y2 (ko)
JP2567598Y2 (ja) ユニットバスルーム
JP3340033B2 (ja) 浴室用防水パン
JPH0715909Y2 (ja) 小便器用スクリーン
JPH0348297Y2 (ko)
JPH0717882U (ja) 衛生陶器取付用フレームの付設構造
JPH0715908Y2 (ja) 小便器ユニットの点検口
JPH0542137Y2 (ko)
JP3132741B2 (ja) 床下配管の点検口構造
JPH11210036A (ja) 防水パンの支持構造
JPS6236907Y2 (ko)
DE20302647U1 (de) Vorwand-Eckinstallation für einen wassergespülten Sanitärgegen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30406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5022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0406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00122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12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4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6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061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1996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