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0339Y1 - 차량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39Y1
KR910000339Y1 KR2019880005345U KR880005345U KR910000339Y1 KR 910000339 Y1 KR910000339 Y1 KR 910000339Y1 KR 2019880005345 U KR2019880005345 U KR 2019880005345U KR 880005345 U KR880005345 U KR 880005345U KR 910000339 Y1 KR910000339 Y1 KR 910000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anel
exhaust
vehicle
ventilation
exhaust pa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3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896U (ko
Inventor
임대현
Original Assignee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김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김한선 filed Critical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5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339Y1/ko
Publication of KR890020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39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2Openings in or on the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환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IV-IV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구가 버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제6도는 종래 차량용환기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지붕 2 : 외부판넬
3 : 내부판넬 4 : 흡기구
5 : 배기통로 6 : 배기구
7 : 배기구멍 8 : 환기부
본 고안은 차량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형,대형버스등의 차량지붕에다 고정장착시켜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외기의 상대적흐름으로 객실의 혼탁해진 공기를 상기 외기의 흐름에 편승시켜 배출해 줌과 더불어 우천시 외부의 빗물이 객실내부에 침투해 들어오지 않도록 된 차량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기후조건이라던가 고속주행 또는 주변환경 때문에 차창을 모두 닫은 상태로 주행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바, 이런 경우 차량의 객실내에서 끽연이나 매연 및 승객의 호흡등으로 혼탁해진 객실내부내 공기를 천정에 설치된 환기구나 별도의 강제통풍수단을 이용해 배출시키고 있다.
또 종래의 환기구 즉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지붕에 관통설치된 환기구는, 차체지붕 바깥쪽 위에 고정장착된 외부판넬(31)의 상면에 다수개의 환기구멍(32)이 형성되고, 이 외부판넬(31)의 가장자리와 차체지붕이 맞닿는 부위에 배수구멍(33)이 형성되며, 또 상기 외부판넬(31)의 내부양쪽 사이드 부위에는 내부판넬(34)이 고정 설치되면서 이 내부판넬(34)측면의 위,아래부분 공간의 배기통로(35)역할을 하도록 되어, 차량 객실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상기 배기통로(35)를 통과하여 환기구멍(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환기구는 우천시에 외부판넬(31)의 환기구멍(32)을 통해 빗물이 들어와 내부판넬(34)에서 되튄 다음 배기통로(35)를 거쳐 객실내부로 흘러들어 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유입되는 빗물을 저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환기구의 내부단면구조를 복잡하게 해 주어야 함은 물론 환기구내부로 흘러들어온 빗물을 배수시켜 주기위해 외부판넬(31) 가장자리와 차체지붕이 맞닿는 부위에 배수구멍(33)을 형성시켜 주어야 하는 구조상의 복잡성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기구의 외부판넬내부에 외부공기가 유입통과 되는 벤츄리관 모양의 배기통로가 설치되면서 이 배기통로의 윗벽에 차량의 실내와 연통된 배기구멍이 갖추어져 있음과 더불어 배기통로의 아랫벽은 밀폐되어 우천시 빗물이 객실내부로 흘러들지 않음과 더불어 별도의 개폐문이나 동력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자연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차량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해 줄 수 있도록된 차량용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환기구의 외부판넬내부에 고정연결된 내부판넬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기구와 이 흡기구로부터 안쪽으로 그 단면이 좁아졌다 다시 넓어진 벤츄리관 형상의 배기통로 및 이 배기통로로부터 뒷쪽으로 넓혀지는 배기구가 갖추어 짐과 더불어 상기 배기통로의 상면에 차량의 실내와 연통된 다수개의 배기구멍이 갖춰지고 상기 내부판넬의 하면이 실내쪽으로 밀폐되는 한편, 상기 내부판넬의 바깥측면과 외부판넬내면 사이 공간이 환기부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내부판넬의 흡기구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배기통로를 통과하게 될때 상기 배기구멍이 형성된 부분의 압력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이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차량내부의오염된 공기가 내부판넬의 상면에 갖춰진 배기구멍을 통해 흘러들어와 배기통로를 거쳐 통과되는 공기에 편승되어 배출구로 빠져나가게 되는 한편, 우천시 상기 흡기구로 유입된 빗물이 내부판넬에 부딪혀도 객실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버스차체지붕(1)의 환기구 주변 바깥쪽으로 체결설치된 외부판넬(2)의 내부에 덕트모양의 내부판넬(3)이 고정연결되어 있는바, 이 내부판넬(3)에는 외부공기를 받아들이는 흡기구(4)와 이 흡기구(4)로부터 안쪽으로 그 단면이 좁혀졌다가 다시 넓어진 벤츄리관형상의 배기통로(5) 및 이 배기통로(5)로부터 바깥쪽으로 넓혀지게 형성된 배기구(6)가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판넬(3)의 상면은 상기 배기통로(5)에서 배기구(6)까지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그 바깥쪽에 다수개의 배기구멍(7)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또 이 내부판넬(3)의 하면은 실내쪽으로 밀폐됨과 더불어 내부판넬(3)의 측면과 외부판넬(2)의 내면사이 공간이 환기구(8)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내부판넬(3)의 흡기구(4)를 통해 들어온 외부공기가 배기통로(5)를 거쳐 통과할 때 그 단면이 달리하는 흡기구(4)로부터 배기구(6)까지의 공기통로의 단면변화로 상기 배기구멍(7)이 형성된 부분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데 반하여, 차내공기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로 되기 때문에 혼탁해진 차내공기가 환기부(8)로 환류되어 내부판넬(3)의 배기구멍(7)을 통해 배기구(6)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우천시 빗물이 내부판넬(3)이 앞쪽 흡기구(4)를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되어 내부판넬(3)의 배기통로(5)를 통과하면서 이 내부판넬(3)의 측벽이나 하면에 부딪히게 되어도 이 내부판넬(3)의 측면이나 하면이 객실쪽으로 밀폐되어 있으면서 상기 배기구멍(7)은 내부판넬(3)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 객실내로 흘러들어오지 못하고 상기 내부판넬(3)의 바닥을 따라 흡기구(4)쪽 또는 배기구(6)쪽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고안은, 배기구멍(7)이 내부판넬(3)이 상면에만 다수개 형성되고 이 내부판넬(3)의 하면은 실내쪽으로 밀폐되어, 우천시 객실내로 빗물이 드며들지 않으면서 상기 내부판넬(3)이 덕트모양으로 중앙부근이 좁아지는 형상을 함으로써 차내의 혼탁해진 공기가 공기역학적으로 정화시켜 주게 되어, 구조가 간단하면서 능률적인 환기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차체지붕(1) 바깥쪽에 외부판넬(2)이 설치되면서 이 외부판넬(2)의 내부에 내부판넬(3)이 고정연결된 차량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넬(3)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배출되는 흡.배기구(4,6)와 상기 흡.배기구(4,6)를 안쪽으로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게 연통시킬 배기통로(5)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부판넬(3)의 상면은 상기 배기통로(5)에서 배기구(6)까지 비스듬히 형성되면서 다수개의 배기구멍(7)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바닥과 측벽이 밀폐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KR2019880005345U 1988-04-13 1988-04-13 차량용 환기장치 Expired KR910000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345U KR910000339Y1 (ko) 1988-04-13 1988-04-13 차량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345U KR910000339Y1 (ko) 1988-04-13 1988-04-13 차량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896U KR890020896U (ko) 1989-11-01
KR910000339Y1 true KR910000339Y1 (ko) 1991-01-18

Family

ID=1927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345U Expired KR910000339Y1 (ko) 1988-04-13 1988-04-13 차량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3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896U (ko) 198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4408A (en) Vehicle window air vent
US5779536A (en) Truck cab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KR910000339Y1 (ko) 차량용 환기장치
US3406622A (en) Ventilation means for passenger motor vehicles
JP4284647B2 (ja) 車両の換気構造
GB2054481A (en) Drain structure for vehicle sun roof
JP3957160B2 (ja) 車室内換気装置
KR19980055094A (ko) 자동차의 배기장치
KR0134512B1 (ko) 자동차 실내로의 청정 공기 공급 장치(The device for providing fresh air into the room of car)
KR100726729B1 (ko) 언더커버를 이용한 리어 범퍼의 환기구조
SU479669A1 (ru) Установк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 воздуха д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S59971Y2 (ja) ベンチレ−シヨン装置
KR0128797Y1 (ko) 자동차용 리어 벤틸레이터
JPS6337336Y2 (ko)
KR20010066059A (ko) 자동차용 담배연기 배출장치
SU850415A1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 ц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СРЕдСТВА
KR19980045239U (ko) 차량 환기 장치
RU2085409C1 (ru) Разделительная перегородка между салоно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моторным отсеком
KR0115727Y1 (ko) 자동차용 환기장치
JPS5819965Y2 (ja) 車両用ドア
KR0152183B1 (ko) 자동차의 환기 장치
KR0129196Y1 (ko) 자동차용 카울 가니시 빗물제거구조
JPS5931444Y2 (ja) バス等車輛のフレッシュエア−導入装置
JPH059210Y2 (ko)
JPS5918892Y2 (ja) カウルパネル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04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804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00724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12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6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8

Payment date: 1991062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