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10653Y1 - 직기의 위사위입장치용 홀더 (holder) - Google Patents

직기의 위사위입장치용 홀더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653Y1
KR900010653Y1 KR2019880005170U KR880005170U KR900010653Y1 KR 900010653 Y1 KR900010653 Y1 KR 900010653Y1 KR 2019880005170 U KR2019880005170 U KR 2019880005170U KR 880005170 U KR880005170 U KR 880005170U KR 900010653 Y1 KR900010653 Y1 KR 900010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holder
weft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1065U (ko
Inventor
이유신
Original Assignee
이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신 filed Critical 이유신
Priority to KR2019880005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653Y1/ko
Publication of KR8900210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10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53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2700/00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looms; Weavening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Shu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의 위사위입장치용 홀더(HOLDER)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볼트머리가 작동간을 눌러 위사를 오픈시키는 상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판 4 : 작동간
11 : 눌름롤러 14 : 탄지편
17 : 스프링 19 : 안전판
본 고안은 본인의 특허출원 제87-12400호 "캐리어가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직기의 위사 위입 장치"에 사용되는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인의 특허출원 제87-12400호에서는 캐리어에 의하여 위입이 완료된 위사를 압지편(48)의 탄지력으로 잡아주게 한 것이므로 압지편(48)의 탄지력이 강하면 바디침후 위사가 압지편(48)을 쉽게 빠져 나가고 못하고 바디 후진시에 같이 끌려 일측으로 당겨지므로 제직면이 고르지 못하게 되고 반대로 탄지력이 약하면 압지편(48)이 위사를 완벽하게 잡아주지 못하므로 위상의 긴장력이 이완되어 바디침을 하면 역시 제직면이 고르지 못하게 될뿐 아니라 보푸라기가 생길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통상 압지편(48)이 탄지력을 보통으로 하여 사용하므로 항상 위상의 긴장력 이완이나 당겨지는 현상이 약간씩은 발생하여 제직면이 다소 고르지 못하고 보푸라기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압지편(48)의 탄지력이 강하지 못하므로 탄지된 위사가 바디침전에 압지편(48)을 이탈하지 않도록 위사의 길이를 충분히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제직후 짤라내는 위상의 로스율이 높은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바디침후에는 작동간이 회전하여 적시에 위사를 놓아주게 하므로서 탄지편이 위사를 강하게 탄지할 수 있도록 하고 홀더 바로 위에는 눌름롤러를 착설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삭부(2)가 형성된 받침판(1)상에 "" 형상의 고정편(3)과 두께가 고정편(3)보다 약간 얇은 "" 형상의 작동간(4) 및 두께가 고정편(3)과 같은 지지편(5)을 일정 간격을 두고 재치하고 그 위에 절삭부(6)가 형성된 덮개(7)를 씌워 피스(8)로 나사 죄임하고 장공(9)이 뚫려있고 일측의 나관(10)에 눌름롤러(11)가 나삽된 조정판(12)을 덮개(7)위에 재치하여 조정판(12)의 장공(9), 덮개(7), 고정편(3) 및 받침판(1)을 관통하여 볼트(13)을 체결하고 고정편(3)의 외측면에는 탄지편(14)의 단부를 나사 붙이기 하여 탄지편(14)의 만곡부(15)가 작동간(4)의 머리부(16)와 탄접되게 하고 고정편(13)과 작동간(14)사이에 스프링(17)을 설치하고 받침판(1)의 측부에 안내부(8)가 형성된 "" 형상의 안전판(19)을 나사 붙이기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20)은 체결장공, (21)은 캐리어, (22)는 레이스, (23)은 레이스의 장공,24)는 볼트머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개구부 옆에 형성된 레이스(22)의 장공(23)에 받침판(1)의 체결장공(20)을 관통하는 볼트를 체결하여 홀더(A)를 부착 사용하며 위사를 끌고 개구속으로 통과한 캐리어(21)가 안전판(19)의 안내부(18)을 지나면 캐리어(21)의 측면 안내홈(25)을 따라 진입한 홀더(A)의 탄지편(14)이 위사의 경사부(26)를 걸어 위사가 탄지편(14)과 작동간(14)사이에 삽지되게 함과 동시에 눌름롤러(11)가 캐리어(21)의 상면에 돌출된 작동간(27)의 머리부(28)를 눌러 절곡간(29)과 걸림간(30) 사이에 압지되어 있는 위사를 이탈케 하고 위사가 홀더(A)에 파지된 상태로 바디가 전진하여 바디침을 하면 직기전면의 브레스트빔(Breast Beam)에 돌설시킨 볼트머리(24)가 절삭부(2)(6)사이로 노출된 작동간(4)의 후단부(16)를 밀게된다.
작동간(4)은 고정편(3)과 지지편(5)의 두께보다 약간 얇게 형성되어 있어 받침판(1)과 덮개(7)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볼트머리(24)에 의하여 후단부(16')가 밀리면 작동간(4)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탄지편(14)과 작동간(4) 사이가 오픈되어 위사가 홀더(A)를 이탈하고 바디가 후진하여 볼트머리(24)로부터 멀어지면 압축되었던 스프링(17)의 탄발력에 의하여 작동간(4)은 다시 원복하여 탄지편(14)에 탄접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탄지편(14)의 탄지력을 강화하여 홀더(A)가 위사를 완벽하게 홀딩하여도 바디침과 동시에 작동간(4)과 탄지편(14)사이가 오픈되어 홀더(A)에 파지된 위사가 쉽게 홀더(A)를 이탈하므로 바디침후 위사가 당겨지는 일이 없고 홀딩이 완벽하여 위사의 긴장력이 이완되지 않으므로 제직면이 고르게 되고 보푸라기가 생기기 않으며 위사의 길이를 짧게 하여도 위사가 바디침전에 홀더(A)를 이탈할 우려가 없으므로 위사의 길이를 직품푹에 정확하게 맞추어 짧게할 수 있어 위사의 로스율이 감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절삭부(2)(6)는 작동간(4)의 후단부(16')를 노출시켜 볼트머리(24)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안전판(19)은 궤도를 이탈한 캐리어(21)의 잘못된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홀더(A)의 위치는 레이스(22)의 장공(23)과 받침판(1)의 체결장공(20)에 의하여 좌우로 조정되고 눌름롤러(11)의 위치는 나봉(10')과 장공(9)에 의하여 전후 좌우로 조정된다.

Claims (1)

  1. 절삭부(2)가 형성된 받침판(1)위에 탄지편(14)이 부착된 고정편(3), 지지편(5) 및 고정편(3)과 지지편(5)보다 두께가 얇은 작동간(4)을 재치하고 절삭부(6)가 형성된 덮개(7)을 씌워 피스(8)를 나사죄임하고 장공(9)이 형성되고 일측 나관(10)에 눌름롤러(11)가 나삽된 조정판(12)을 덮개(7)위에 재치하여 볼트(13)를 체결하고 고정편(3)과 작동간(4) 사이에 스프링(17)을 설치하고 받침판(1) 측부에 안내부(18)가 형성된 안전판(19)을 나사 붙이기 하여서된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용 홀더(HOLDER)
KR2019880005170U 1988-04-09 1988-04-09 직기의 위사위입장치용 홀더 (holder) Expired KR900010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170U KR900010653Y1 (ko) 1988-04-09 1988-04-09 직기의 위사위입장치용 홀더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170U KR900010653Y1 (ko) 1988-04-09 1988-04-09 직기의 위사위입장치용 홀더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065U KR890021065U (ko) 1989-11-02
KR900010653Y1 true KR900010653Y1 (ko) 1990-11-26

Family

ID=1927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170U Expired KR900010653Y1 (ko) 1988-04-09 1988-04-09 직기의 위사위입장치용 홀더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6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1065U (ko) 198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0653Y1 (ko) 직기의 위사위입장치용 홀더 (holder)
JP2896813B2 (ja) ひなし織機のよこ糸つかみ装置
JPH0299642A (ja) ひなし織機用横糸インサータレピア
JPS61282457A (ja) ひ無織機において担持部材上に交換自在に配設される案内部材の固着装置
US4728055A (en) Yarn package holder
US3599588A (en) Thread-carrying looptaker for chain stitch sewing machines with thread catcher and clamping device
US6227259B1 (en) Feed gripper for gripper loom with a tubular housing
US4760977A (en) Yarn package holder
US4290461A (en) Yarn feed controlling device
JPH0748757A (ja) グリッパ用スレッドホルダ及びスレッドホルダを備えたグリッパ織機
US5083585A (en) Clamp element for a weft picking element
US2923325A (en) Weft feeders for weaving looms
JPH10130999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把持緊張装置
ES512115A0 (es) "un dispositivo agarrador portador para telares sin lanzadera".
US2085273A (en) Loom selvage device
IT1196137B (it) Coppia di pinze portatrama per telai di tessitura senza navette
US2624370A (en) Thread clamp
US3085598A (en) Filling carriers for shuttleless looms
CS203139B2 (en) Jet weaving loom
US3986532A (en) Weft extending carrier
KR910003449Y1 (ko) 직기의 위사 위입장치용 캐리어
CN212426332U (zh) 一种含衬片织布机布边纱夹
US3012587A (en) Automatic nipper temple for weaving looms
JP3261733B2 (ja) 織機の耳糸ボビンホルダ装置
US4054099A (en) Thread cutting mechanism for a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04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8040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10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2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