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9460Y1 -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전검출 인터럽회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전검출 인터럽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460Y1
KR900009460Y1 KR2019870015292U KR870015292U KR900009460Y1 KR 900009460 Y1 KR900009460 Y1 KR 900009460Y1 KR 2019870015292 U KR2019870015292 U KR 2019870015292U KR 870015292 U KR870015292 U KR 870015292U KR 900009460 Y1 KR900009460 Y1 KR 900009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rocessor
power
terminal
circuit
power fail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5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442U (ko
Inventor
이영준
한광수
Original Assignee
임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욱 filed Critical 임종욱
Priority to KR2019870015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460Y1/ko
Publication of KR8900074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4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460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Source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전검출 인터럽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 2a 도는 정상전원 공급시 본 고안의 출력파형도, 제 2b 도는 정전되는 순간 본 고안의 출력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부하 BD : 브리지 정류회로
REG : 정전압회로 MIC : 마이크로 프로세서
ZD : 제너 다이오드 G1, G2: 인버터
C1, C2: 콘덴서 R1, R2: 저항
본 고안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기억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전으로 인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될때를 검출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기억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게 한것에 주안점을 둔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전검출 인터럽(Interrupt)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C전원은 어떠한 사고발생이나 정전등으로 인해서 공급전원이 차단되는데, 이 AC전원을 공급전원으로 연결한 기기등은 공급전원 차단으로 인해 기기의 입력전원이 차단되게 됨에 따라서 구동을 멈추게 된다.
더우기 기억소자들로 구성된 기기등에서는 기억된 데이터가 지워지는 원인이 되므로서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종전에는 정상전원공급시에 충전용 밧데리에 충전을 완료시켜 놓았다가 비정상시(정전시)에 이 충전용 밧데리에 충전된 전원이 기기에 공급되도록 한 회로가 있었으나, 이는 회로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충전용 밧데리에 충전된 전원을 기기에 공급하는 것은 공급전원시간이 매우 짧은데 정전시간은 예상이나 임의로 설정할 수 없고 어떠한 사고로 갑자기 발생하기 때문에 충전용 밧데리 전원을 이용하여 정전시에 공급하는 방식은 충전용 밧데리에 방전이 끝났을때는 기기의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므로서 비상시에 잠깐동안은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충전용 밧데리 전원마저도 방전으로 인해서 차단될 때에는 기기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기억소자로 이루어진 회로에 사용하기는 부적합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비상시에 충전 밧데리를 이용하지 않고도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기억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게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와 같이, 브릿지 정류회로(BD)의 직류전원 단자에 콘덴서(C1)와 정전압회로(REG)의 입력에 연결하여 정전압회로(REG)의 출력을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의 전원공급입력단자(A1)에 연결하고, 브릿지 정류회로(BD)의 직류전원단자에서 역방향으로 접속시킨 제너다이오드(ZD)를 거쳐 저항(R1, R2)과 콘덴서(C2)를 연결한 단자점에서 인버터(G1, G2)를 접속시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의 인터럽단자(A2)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제 2 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에 따른 전압파형도를 나타낸 것이다.
미설명부호 L.는 부하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같은 회로로서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제 1 도와 제 2 도에 따라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이 차단되지 않는 정상동작 상태에서는 정류회로(BD)와 콘덴서(C1)에 의해서 직류전원(V2)이 정전압회로(REG)의 입력단에 인가되어 전압레벨이 형성되고, 정전압회로(REG)의 출력에는 일정한 직류전압(V1)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의 전원공급단자(A1)에 입력된다.
이때, 단자점(a)에서는 제너 다이오드(ZD)와 저항(R2)에 의해서 전압 Va가 형성되는데, 제너 다이오드 전압(Vz)과 같이 설정하면 전압Va=V1이 된다.
이 전압 Va는 저항(R1)과 콘덴서(C2)를 통해서 잡음신호를 제거하여 인버터(G1)(G2)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의 단자(A2)에 걸리게되는데, 인터럽 방식이 로우액티브라면 전압 Va는 하이상태이므로 인터럽이 걸리지 않는다.
그리고 정전으로 인하여 전원이 차단된 비정상 동작상태라면 콘덴서(C1)에 걸리는 전압 V2가 Vx로 되었을 때 전압 Vx=Vx+Vs단자점(a)의 전압 Va는 Vs(인버터의 드레시 홀드전압)가 형성되므로 인버터(G1)의 입력에 로우가 되어 인버터(G2)의 출력에 로우상태가 되므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의 인터럽 단자(A2)에 로우상태로 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MIC)는 인터럽 동작을 시작한다.
이시간부터 콘덴서(C1)에 걸리는 전압(V2)은 전압 V1이 될 때까지의 시간(t2)까지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의 전원공급단자(A1)에 일정 직류전압 V1이 공급되어 있으므로서 시간 t2-t1의 시간을 T1시간이라하면 T1시간동안에 마이크로 프로세서(MIC)는 인터럽 루틴을 수행하여 정전에 대비한 조작을 한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MIC)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등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비상시(정전등)로 인하여 공급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 알리므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의 전원이 오프되기 바로전에 정전되는 사실을 인터럽 회로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에 알리므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MIC)가 정전에 대비하여 필요한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므로서 기기내의 기억된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게하여 전원공급차단시에도 기억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게하므로서 이와같은 회로를 필요로 하는 여러기기에 간단한 본 고안의 회로를 부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된 매우 실용적인 것이다.

Claims (1)

  1. 정류회로(BD)의 직류전원단자에서 콘덴서(C1)과 정전압회로(REG)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의 공급전원단자(A1)에 연결한 공지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BD)의 직류전원단자에 제너 다이오드(ZD)를 접속하여 이 단자점(a)에서 잡음 제거용으로 저항(R1)과 콘덴서(C2)를 거쳐 인버터(G1)(G2)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MIC)의 인터럽 단자(A2)에 인가토록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전검출 인터럽회로.
KR2019870015292U 1987-09-07 1987-09-07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전검출 인터럽회로 Expired KR900009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292U KR900009460Y1 (ko) 1987-09-07 1987-09-07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전검출 인터럽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5292U KR900009460Y1 (ko) 1987-09-07 1987-09-07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전검출 인터럽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442U KR890007442U (ko) 1989-05-16
KR900009460Y1 true KR900009460Y1 (ko) 1990-10-12

Family

ID=1926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5292U Expired KR900009460Y1 (ko) 1987-09-07 1987-09-07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전검출 인터럽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4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442U (ko) 198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2508A (en) Lithium battery protection circuit
CA1066398A (en) Battery backup for ac powered dc supply
KR980006711A (ko) 충전/방전 제어회로 및 충전식 전원장치
ATE124819T1 (de) Spannungsregel- und anzeigeanordnung.
KR900009460Y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전검출 인터럽회로
TW417321B (en)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circuit and charging type power supply device
JPS62166739A (ja) 過電圧保護機能を備えた電圧調整器
JP3838722B2 (ja) 強制動作機能付き制御回路を有する半導体装置
KR910006682Y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인터럽 검출회로
JPS59216428A (ja) バツテリ−保護装置
KR100308530B1 (ko)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회로
KR920009361B1 (ko) 충방전 제어회로
KR880000768Y1 (ko) 마이콤의 순간 정전시 오동작 방지회로
JPS60183945A (ja) バツクアツプ回路
JPS6430430A (en) Power source circuit
KR200157748Y1 (ko) 정전 보상회로
KR890006032Y1 (ko) 축전지의 충방전 회로
KR930002747B1 (ko) 역상 검출회로
JP2686659B2 (ja) バッテリ充電器
KR870001556B1 (ko) 부동충전용 축전지 충전장치
KR890004800Y1 (ko)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
JPH05252648A (ja) 保護回路付き整流装置
KR870001261Y1 (ko) 녹음기용 타이머 스탠드 바이-스위치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00008957Y1 (ko)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
JPH0393460A (ja) 2電圧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9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90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871014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00413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9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01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10329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3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032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30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