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9097B1 -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097B1
KR900009097B1 KR1019870014961A KR870014961A KR900009097B1 KR 900009097 B1 KR900009097 B1 KR 900009097B1 KR 1019870014961 A KR1019870014961 A KR 1019870014961A KR 870014961 A KR870014961 A KR 870014961A KR 900009097 B1 KR900009097 B1 KR 900009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braking force
vehicle
depression amount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282A (ko
Inventor
아쓰시 히라꼬
유끼 사사
Original Assignee
이스즈지도오샤 가부시끼가이샤
도비야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즈지도오샤 가부시끼가이샤, 도비야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이스즈지도오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097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28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18Hill h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차량 발진시의 작동의 일예를 나타낸 처리 플로우도.
제3도는 그 작동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처리 흐름도.
제4도는 제동력을 유지하는 작동을 나타낸 처리 흐름도.
제5도와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력을 유지하여 경사길에 있어서도 증도 발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사길의 도중에서 차량을 발진시킬 경우, 드라이버는 차량의 브레이크 기구와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클러치의 계합상태와의 연계를 취하면서 차량의 후퇴나 엔진을 정지시킴이 없이 발진조작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발진조작은 극히 고도한 숙련을 요하므로 시장에서는 등반로에서의 발진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량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이와같은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1985년 제1236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제동력 유지 제어장치를 제안하였다.
이 제동력 유지 제어장치는, 전자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마찰 클러치 부착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검출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차량이 정지했을 때 그 제동력을 유지하고, 발진시에는 클러치작동용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하여 클러치가 계합하기 시작할때까지 제동력을 유지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로써 등반로에서의 재발진을 숙련을 요함이없이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상기 제동력 유지장치는, 발진시에 마찰 클러치의 작동상태, 즉, 클러치의 계합량의 신호로부터 반클러치 위치를 검출하고, 엔진의 토오크가 클러치나 구동기구를 통하여 차량에 전달된 시점에서 브레이크 작동 유체회로중에 배치된 제동력 유지기구인 제동력 유지 밸브를 개방하여 제동력을 해제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의 수동조작에 의한 차량에 있어서는 클러치의 계합량의 검출수단을 갖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반클러치 위치를 검출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안은 실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클러치의 계합량의 검출 수단을 차량에 갖추기 위하여는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도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 작동 유체회로중에 배치된 제동력 유지 밸브의 개방제어를 클러치 계합량에 의하여 행하지 않고, 발진시에 엔진에 작용하는 부하에 의하여 행함으로써, 임가로 그리고 수동조자에 의한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가 있는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유체 회로중에 배치된 제동력 유지 밸브와, 차량의 운전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유지 밸브를 작동 제어하는 전자 제어장치를 갖는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된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수단과, 엔진의 운전을 제어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량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양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엔진 회전수 신호와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입량 신호에 의하여 엔진 부하를 검지하여 상기 제동력 유지 밸브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다음의 설명에 의하여 명백해진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마스터 실린더로서 브레이크 페달(11)에 의하여 자동케되며, 브레이크 페달(11)의 답입에 의하여 유압 브래이크 기구의 유압원으로 되는 것으로서 제동력 유지 밸브로서의 전자 체크 밸브(2)를 통하여 차량을 제동하는 휠 실린더(3)에 유압을 공급한다. 마스터 실린더(1)와 휠 실린더 사이의 유압회로 중에 배치된 전자 체크 밸브(2)는 체크 밸브(21)와 전자 개폐 밸브(22)를 갖고, 체크 밸브(21)는 화살표 A방향으로 작동유를 통과시키지만 역방향으로의 유로는 차단하는 것으로서, 전자 밸브(22)의 작동유유로는 상시에는 열려 있으나, 통전시에는 유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통상시에는 브레이크 페달(11)의 답입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1)에서 발생하는 유압의 변화는 체크 밸브(21)와 전자 개폐 밸브(22)를 통하여 휠 실린더(3)에 작용하여 제동력을 변화시키지만, 전자 개폐 밸브(33)에 통전하면 유로가 폐쇄되기 때문에 마스터 실린더(1)에 의하여 휠 실린더(3)에 주어진 유압은 체크 밸브(21)의 작용에 의하여 되돌아가지 않으며, 휠 실린더(3)에 유지되어 차량의 제동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4는 엔진으로서, 액셀러레이터 페달(5)의 답입에 따라서 공급원료가 제어된다. 이 엔진(4)의 동력을 클러치 기구(41)를 통하여 변속기(6)에 전달된다. 51은 액셀러레이터 페달(5)의 답입량을 검출하는 액셀러레이터 센서, 42는 엔진(4)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로 센서로서 각각 검출한 신호 AP, 신호 NE를 후술하는 콘트로울러에 송신한다.
변속기(6)는 도시하지 않는 체인지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소망의 변속단으로 절환되어 엔진(4)의 동력을 차동기어(71)에 전달한다. 차동기어(71)에 전달된 동력은 차륜(7)에 전달되어 차량의 구동력으로 된다. 그리고, 61은 차속 센서로서 변속기(6)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차속에 대응하는 신호를 콘트로울러(8)에 송출하는 것이다.
콘트로울러(8)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며,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연산처리를 행하는 중앙 처리장치, 연산결과 등을 기억하는 각종 메모리, 입/출력장치 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액셀러레이터 센서(51), 엔진 회전 센서(42), 차속 센서(61)로부터의 신호의에 브레이크 페달(11)의 답입량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12)로부터의 검출신호나, 파아킹 브레이크 레버(9)의 작동을 검출하는 파아킹 브레이크 스위치(91)로부터의 검출신호도 입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콘트로울러(8)는 전자 체크 밸브장치(2)와도 결선되어 전사 개폐 밸브(22)의 개폐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차량 발진시의 작동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브레이크가 작동케되어, 차량이 정지하여 상기 전자 개폐 밸브(22)가 작동하여 제동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발진조작에 의하여 제동력을 해제하는 처리 흐름도로서, 이하, 이 제2도에 의하여 작동을 설명한다.
콘트로울러(8)의 메모리에는, 엔진의 무부하시, 즉 클러치가 계합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입량(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을 증가했을때의 엔진 회전수의 증가에 대응하는 변수 α의 관계를 설정한 제어맵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먼저, 스텝(S1)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센서(51)로부터의 검출신호 AP에 의하여 상기 맵으로부터 액셀러레이터 개방도에 대한 상기 엔진 회전수의 증가에 대응하는 변수 α를 구한다.
다음에 스텝(S2)에서 차량의 발진시에 있어서의 액셀러레이터 센서(51)로부터의 검출신호(AP)와, 엔진회전 센서(42)로부터의 검출신호(NE)를 콘트로울러(8)에 읽어넣고,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입량 검출신호(AP)의 증가에 대한 엔진 회전수 검출신호(NE)의 증가의 미소 변화시간에 있어서의 변화율(dE/dt)을 구하고 이것과 상기 변수 α의 값과를 비교한다. 그리하여 dE/dt가 α보다 작을때는 클러치의 계합이 개시되어 엔진에 부하가 걸렸다고 판단하여 스텝(S3)으로 나아가고 전자 개폐 밸브(22)의 유로가 닫혀진 상태를 개방하는 지령을 전자 개폐 밸브(22)에 발하여 유로를 열고 휠 실린더(3)의 제동력을 해제한다.
또한 스텝(2)에서 dE/dt가 변수α보다 작지 않을때는 엔진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고 클러치의 계합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전자 개폐 밸브(22)의 개방을 하지 않는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차량 발진시의 작동의 다른 1예를 나타낸 처리 흐름도이다.
콘트로울러(8)의 메모리에는 스텝(P1)에 표시한 종축에 엔진 회전수, 횡축에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입량을 취하고 클러치 차단에 의해 엔진 무부하시의 엔진 회전수 검출신호(NE)와 액셀러레이터 답입량 검출신호(AP)와의 관계(점섬) 및 엔진 부하가 있는 상태(사선)을 설정한 제어맵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차량의 발진시에 스텝(P2)에서 액셀러레이터 센서(51)로부터의 검출신호(AP)와 엔진 회전 센서(42)로부터의 검출신호(NE)를 콘트로울러(8)에 읽어넣고, 스텝(P1)에서 설명한 맵을 검색하여 사선영역인지 아닌지를 체크하고 사선영역일때는 클러치가 계합을 개시하여 엔진에 부하가 결렸다고 판단되므로 스텝(P3)으로 진행하여 전자 개폐 밸브(22)를 개방하여 차륜의 제동력을 해제한다.
또한 스텝(P2)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입량에 대한 엔진 회전수가 사선영역에 있지 않을때는 엔진에 부하가 작용하지 않고 클러치의 계합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전자 개폐 밸브(22)를 닫은 상태로 유지한다.
상술한 제2도, 제3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차량 발진시에 있어서의 전자 개폐 밸브(22)의 개방제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전자 개폐 밸브(22)는 파아킹 브레이크(9)의 작동을 검출하는 파이킹 브레이크 스위치(91)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그의 제동력이 작동하였다고 판단되면 개방하는 제어를 행하여도 좋다.
제4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 체크 밸브에 의해 제동력을 유지하는 작동을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스텝(Q1)에서 브레이크 페달(11)이 밟아져서 브레이크 센서(12)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브레이크가 작동되었는지 아닌지의 체크를 한다. 그리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하였을때는 스텝(Q2)에서 차속센서(6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차속이 0인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차속이 0이면 스텝(Q3)에서 전자 개폐 밸브(22)를 닫아서 유로를 차단하여 휠 실린더(3)에 작용하고 있는 유압에 상당하는 제동력을 유지한다.
또한 전자 개폐 밸브(22)를 닫는 조건으로서, 차량이 정지하여 차속이 0으로 되고나서 소정시간, 예를 들면 1∼2초 경과후에 전자 개폐 배브(22)를 닫아서 제동력을 유지하여도 좋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며, 제5도는 배력장치를 사용한 브레이크장치에 본 발명을 제공한 것, 제6도는 에어 브레이크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5도에 있어서 101은 압력원으로 되는 에어탱크, 102는 페달의 밟음에 의해서 에어탱크(101)로부터의 압력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밸브이며, 브레이크 밸브(102)로부터의 공기유로는 상기와 거의 동일한 구성의 전자 체크 밸브(2)로 도입되어 있다. 또한 상이한 점은 제1도에 표시한 전자 체크 밸브(2)는 제동용의 작동유의 유로를 제어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유로에 설치되고 그 공기압을 유지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103은 배력장치이며 브레이크 밸브(102)를 통한 압력공기가 작동실(103a)에 도입되면 피스톤(103c)이 도면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되게 되어서 유압발생실(103b)로부터 배력된 작동유를 휠 실린더(104)에 송유하여 브레이크 슈우(106)를 작동시켜서 브레이크 드럼(105)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다음에 제6도에 있어서, 101은 에어탱크, 102는 브레이크 밸브, 2는 전자 체크 밸브이며, 각각 제5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108은 에어체임버이며, 전자 체크 밸브(2)를 통하여 작동실(108a)에 도입된 공기압에 의해 피스톤(108b) 및 로드(108c)를 도면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시키고, S자형의 캠(107a)을 구비한 레버(107)를 작동시켜서 브레이크 슈우(106)를 작동하여, 브레이크 드럼(105)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전자 체크 밸브(2)의 전자 밸브(22)의 제어를 차량 발진시에는 콘트로울러(8)가 엔진부하를 검지하였을시에 지령을 발하여 개방하고 배력장치(103) 또는 에어 체임버(108)의 공기압을 개방함으로써 각각의 브레이크 드럼(105)의 제동력을 개방할 수가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엔징의 무부하시의 액셀러레이터 페달 답입량과 엔진 회전수와의 관계를 설정해 놓고 차량 발진시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증가의 변화에 따른 엔진 회전수의 변화를 검출하고, 이 변화를 무부하시의 관계와 비교하여 엔진부하를 검지하고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 유체 회로중에 배치된 전자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제동력을 해제하므로 클러치의 계합량의 검출수단이나 반클러치 위치를 구하는 방법은 불필요하게 되고, 저렴한 제동력 유지장치를 얻을 수가 있는 동시에 클러치 계합량을 검출하는 수단을 갖지 않는 일반의 수동조작에 의한 차량에도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가 용이하게 응용될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주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며 이것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유체회로중에 배치된 제동력 유지 밸브와, 차량의 운전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동력 유지 밸브를 작동 제어하는 전자 제어장치를 갖는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된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수단과, 엔진의 운전을 제어하는 악셀 페달의 답입량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양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엔진 회전수 신호와 악셀 페달 답입량 신호에 따라 엔진부하를 검지하여, 상기 제동력 유지 밸브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엔진 무부하시에 있어서의 악셀 페달 답입량에 대한 엔진 회전수의 증가에 대응하여 변수를 설정한 제어맵을 기억하는 수단과, 그 변수와 악셀 페달의 답입량에 대한 엔진 회전수의 변화율과를 비교하는 수단과, 그 비교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 회전수 변화율이 상기 변수보다 적을 때, 엔진에 부하가 작용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동력 유지 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엔진의 부하상태에 있어서의 악셀 페달 답입량에 대한 엔진 회전수 영역을 설정한 제어맵을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악셀 답입량 검출수단과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한 악셀 페달의 답입량에 대한 엔진 회전수가 상기 영역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그 판정수단에 의하여 악셀 페달의 답입량에 대한 엔진 회전수가 상기 영역내에 위치한다고 판정한때 엔진의 부하가 작용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동력 유지 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유지 밸브는 체크 밸브와 전자 개폐 밸브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
KR1019870014961A 1986-12-27 1987-12-26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 Expired KR900009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5.286 1986-12-27
JP61-315286 1986-12-27
JP61315286A JPS63166643A (ja) 1986-12-27 1986-12-27 車両の制動力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282A KR880007282A (ko) 1988-08-26
KR900009097B1 true KR900009097B1 (ko) 1990-12-22

Family

ID=1806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961A Expired KR900009097B1 (ko) 1986-12-27 1987-12-26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65175A (ko)
EP (1) EP0280818B1 (ko)
JP (1) JPS63166643A (ko)
KR (1) KR900009097B1 (ko)
DE (1) DE378242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9329A (en) * 1987-08-28 1993-05-11 Robert Bosch Gmbh Automatic locking brake
DE3841978A1 (de) * 1988-12-14 1990-06-2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erkennung des anfahrwillens eines kraftfahrzeuglenkers
KR920006441B1 (ko) * 1989-09-01 1992-08-06 남영희 자동차의 안전 제동장치
US5316378A (en) * 1991-01-22 1994-05-31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apparatus
US5137127A (en) * 1991-04-03 1992-08-11 Eaton Corporation Motor vehicle hill holder system
US5259665A (en) * 1991-04-22 1993-11-09 Christner Oval F Brake control apparatus
EP0812747B1 (de) 1996-06-11 2002-08-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esthalten und Lösen von druckmittelbetätigten Fahrzeugbremsen für eine Anfahrhilfe auf einer geneigten Fahrbahn
FR2784639B1 (fr) * 1998-10-14 2006-09-08 Luk Getriebe Systeme Gmbh Dispositif et procede de verrouillage en pente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922338A1 (de) * 1999-05-14 2000-11-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orgegebenen Wirkbeziehung zwischen der Betätigung des Fahrpedals und dem daraus resultierenden Bremsmoment eines Fahrzeugs
RU2177889C2 (ru) * 2000-03-20 2002-01-10 Общевойсковая Академия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тояночный тормоз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213672C2 (ru) * 2001-06-22 2003-10-10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тояночная тормоз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DE10135744A1 (de) * 2001-07-21 2003-02-0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meidung des Rückrollens eines Fahrzeuges
US7744168B2 (en) * 2005-09-07 2010-06-29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Brake control system
JP5021959B2 (ja) * 2006-06-15 2012-09-12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
JP2010116160A (ja) * 2010-02-22 2010-05-27 Advics Co Ltd 制動力保持制御装置
KR101490922B1 (ko) * 2013-06-18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파워 제한시 주행모드 변환 방법 및 시스템
CN106006483B (zh) * 2016-07-15 2018-08-10 三一海洋重工有限公司 一种叉车动力工况自适应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5412A (en) * 1939-07-18 1941-03-18 Weiss Joseph Means for controlling the brakes of a motor vehicle
DE2236833A1 (de) * 1972-07-27 1974-02-07 Bosch Gmbh Robert Bremshilfe fuer kraftfahrzeuge mit automatischem getriebe
DE2305690A1 (de) * 1973-02-06 1975-01-16 Manfred Jose Zusatz-brems- und sicherheitssystem fuer hydraulische und pneumatische bremsanlagen
JPS59102648A (ja) * 1982-12-06 1984-06-13 Nissan Motor Co Ltd パ−キングブレ−キ自動解除装置
AU557685B2 (en) * 1983-06-29 1987-01-08 Isuzu Motors Ltd. Apparatus for maintaining vehicle braking force
JPS61200053A (ja) * 1985-03-02 1986-09-04 Daihatsu Motor Co Ltd 車両の逆行防止装置
JPS6334267A (ja) * 1986-07-28 1988-02-13 Isuzu Motors Ltd 車両の制動力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80818A1 (en) 1988-09-07
DE3782422D1 (de) 1992-12-03
US4865175A (en) 1989-09-12
EP0280818B1 (en) 1992-10-28
JPH0562094B2 (ko) 1993-09-07
KR880007282A (ko) 1988-08-26
JPS63166643A (ja) 1988-07-09
DE3782422T2 (de) 199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097B1 (ko)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
US4585356A (en) Concrete mixer truck
US4785917A (en) Control mechanism for automatic transmissions
JPS6252177B2 (ko)
US63648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lutch in an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US4821854A (en) Brake force retaining control apparatus
US6522965B1 (en) Method for setting a multiplication of a continuously variable automatic transmission equipped with a variator
US6223874B1 (en) Apparatus for operating a clutch in an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US63093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lutch in an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KR20010030953A (ko) 자동차의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
US63191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lutch in an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JP2811523B2 (ja) 産業車両の荷役及び走行制御装置
JPS6247742B2 (ko)
US62068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lutch in an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US6213916B1 (en) Apparatus for operating a clutch in an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JPS5929861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ニユ−トラル制御装置
US200201932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clutch in an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JPH0444128B2 (ko)
KR0133292Y1 (ko)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JPH1193974A (ja) 車両の変速機制御装置
JP2773315B2 (ja) 制動力保持装置
JPS62233546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KR970045968A (ko) 유압식 클러치 조작장치
JPS5934050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ニユ−トラル制御装置
JPS61124734A (ja) クラツチ・リレ−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1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412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4122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