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9058B1 - 전자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058B1
KR900009058B1 KR1019880001780A KR880001780A KR900009058B1 KR 900009058 B1 KR900009058 B1 KR 900009058B1 KR 1019880001780 A KR1019880001780 A KR 1019880001780A KR 880001780 A KR880001780 A KR 880001780A KR 900009058 B1 KR900009058 B1 KR 900009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switch
contact
excitation coil
contact closure
plun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454A (ko
Inventor
교오해이 야마모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984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34432U/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4184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2909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8001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058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1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between engine and starter, e.g. meshing of pinion and engine g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 H01H47/0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hold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hen initial energising circuit is interrupted; for maintain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 H01H47/08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modify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for hold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hen initial energising circuit is interrupted; for maintaining armature in attracted position, e.g. with reduced energising current by changing number of parallel-connected turns or win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2011/0881Components of the circuit not provided for by previous groups
    • F02N2011/0892Two coils being used in the starting circuit, e.g. in two windings in the starting relay or two field windings in the star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300/00Control related aspects of engine starting
    • F02N2300/10Control related aspects of engine starting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utput, i.e. means or parameters used as a control output or target
    • F02N2300/108Duty cycle control or pulse width modulation [PW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Relay Circuits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스위치 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스위치의 회로도.
제2도는 이 발명과 종래의 전자스위치장치에서의 플런저위치에 대한 플런저 흡인력의 관계표시도.
제3도는 이 발명의 전자스위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회로도.
제4도는 제1도 및 제3도에 있어서의 제어회로의 구성도.
제5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장치의 회로구성도.
제6도는 동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프로우차아트.
제7도는 동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장치의 제어내용을 표시하는 특성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와 종래의 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장치에서 플런저 위치와 흡인력 관계의 비교 표시도.
제9도는 제5도에서의 제어회로의 구성도.
제10도는 종래 전자스위치장치의 회로도.
제11도는 종래의 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장치의 회로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배터리 3, 3 : 조작(시동)스위치
4 : 전자스위치본체 5 : 플런저
10 : 피니온 13 : 링기어
31 : 시동신호 41 : 접점폐로신호
51 : 파워 MOS FET 60a, 60b, 60c : 트랜지스터
61 : 제어회로 67, 67f, 67g, 67h : 여자코일
101 : 시동전동기 101a : 전자스위치부
101b : 모우터부
이 발명은 전자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여자코일의 구성과 제어에 관한 것이다.
제10도는 종래의 전자스위치 장치의 회로도이다. 제10도에서, 2는 부하장치(14)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4는 배터리(2)와 부하장치(14)에 직열접속되고 부하로의 전력공급을 개폐하는 전자스위치본체이며, 한쌍의 고정접점 4a, 4b와 가동 접점 4c에 의하여 상개(常開)접점을 구성하고 있다.
또 4d는 전자스위치본체(4)의 여자코일이며 조작스위치(3)을 통하여 배터리(2)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여자코일(4d)의 통전에 의하여 가동접점(4c)을 구동하기 위한 플런저(5)가 화살표 방향으로 흡인되어서 가동접점(4c)은 복귀스프링(e)의 탄력에 대향하여 고정접점(4a), (4b)에 접촉하며 전자스위치 본체(4)을 폐로상태로 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스위치(3)을 투입하면은 전자스위치본체(4)의 여자코일(4d)이 여자되어 플런저(5)가 흡인된다. 이 때문에 가동접점(4c)는 복귀스프링(4e)에 대항하여 한쌍의 고정접점(4a), (4b)에 첩촉하며, 전자스위치 본체(4)는 부하장치(14)로 배터리(2)의 전력을 공급한다.
조작스위치(3)를 차단하면은 여자코일(4d)의 여자가 없어져 복귀스프링(4e)에 의하여 가동접점(4c)는 제10도와 같이 복귀하여 배터리(2)와 부하장치(14)의 접속을 차단한다.
제11도는 종래의 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도면에서, 1은 전자압입식 시동전동기이며 전자스위치부(1a)와 모우터부(1b)로 되어있다. 2는 배터리이며 그 정측단자는 시동스위치(3)을 통하여 잔류코일(6)과 전압코일(7)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상개의 전자스위치본체(4)의 고정접점(4a)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 부측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5는 플런저이며 전자스위치본체(4)의 가동접점(4c)을 구동하는 것이다. 또 전자스위치본체(4)의 고정접점(4b)는 전류코일(6)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시동전동기본체(8)의 브러시(9a)에 접속되어 있다. 9는 시동전동기본체(8)의 전기자, 9b는 브러시로 접지되어 있으며 또 전압코일(7)의 타단도 접지되어 있다.
10은 시동전동기본체(8)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온, 11은 일단(11b)가 이 피니온(10)에 계합된 레버이며 그 타단(11a)은 플런저(5)에 계합되어 레버스프링(12)에 부착된 지점(11c)을 중심으로하여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13은 피니온(10)이 맞물리는 도시생략된 엔진의 링기어이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전자스위치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동스위치(3)를 온하면은 전자코일(6) 및 전압코일(7)은 배터리(2)에 접속되어 통전된다. 이 때문에 플런저(5)는 도면상방향으로 흡인되어 전자 스위치본체(4)의 공정접점(4a), (4b)에 가동접점(4c)이 접촉한다.
또 이때 레버(11)의 타단(11a)는 도면 좌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일단(11b)는 우방향으로 이동하여 피니온(10)은 링기어(13)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접점폐로에 의하여 전기자(9)는 통전되어 회전하며, 또 피니온(10)은 링기어(13)에 맞물려서 전기자(9)의 회전력을 링기어(13)에 전달하여 엔진을 시동시킨다. 이 경우 레버스프링(13)은 피니온(10)과 링기어(13)의 접촉시 즉 단면끼리 맞닿은 상태일때에 압축되어서 피니온(10)을 링기어(13)에 압압하여 맞물리기 쉽게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스위치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있으며 특히 대전류 차단용의 전자스위치에서는 복귀스프트링 역량도 강하며 또 진동이 걸리는 장소에 사용되는 전자스위치는 접점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귀스프링 역량은 강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여하튼 여자코일에는 대전류를 필요로하고 조작스위치도 대형화한다. 또 여자코일의 소비전력이 크기 때문에 스위치장치는 열적인제약으로 대형화되고 나아가서는 시스템의 대형화, 전기효율의 저하 등을 이르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제2도는 플런저위에 대한 플런저 흡인력의 변화를 표시하는 것으로 f1∼f2는 정지위치(A점)에서 플런저 흡인종료위치(0점)에 이르는 플런저(5)의 흡인력변화, P1∼P2는 복귀스프링하중의 변화, B점은 접점 폐로시이다. 이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플런저 흡인력은 정지위치(A점)에서 흡인종료위치(0점)에 걸쳐서 대략 2차곡선적으로 흡인력을 증가하는데 대하여 복귀스프링하중은 스프링상수의 경사로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플런저가 흡인하기 위하여는 A, B, O 각 점에서 (플런저의 흡인력)>(복귀스프링하중)로 되는 것이 필요하지만 A점에서 진동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스프링 하중 P1을 정하고, f1>P1을 만족하는 여자코일 사양을 설계하여도, B점, O점에서는 f3>>P3, f2>>P2로 되어 필요이상의 흡인력을 발생하며 이 때문에 여자코일의 발열이 크고 또 흡인종료시에는 불필요음을 발생시키며 특히 부하장치(14)가 이 플런저(5)의 이동을 이용하는 차량용 시동모우터등인 경우에는 이 가속적인 동작이 여러 가지 결함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프러러 플런저 흡인력의 설계에 있어서는 여자코일온도가 어느 정도까지 상승한 경우 (즉 코일저항이 증가한 경우)에도 흡인가능으로 할 필요가 있지만 이 때문에 코일온도가 낮은 경우(코일저항수의 경우)는 필요이상의 흡인력으로 되어 소비전류도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 플런저 흡인력은 제8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A점에서 시동스위치(3)을 투입하고부터 흡인완료 P1∼P2까지 대략 2차곡선적으로 증가한다. 즉 여자코일에는 갑자기 배터리(2)의 전원전압이 인가되므로 플런저(5)는 강한 힘으로 이동하여 따라서 이 플런저(5)에 계합된 레버를 통하여 피니온(10)은 링기어(13)에 격렬하게 충돌하며 피니온(10)이나 링기어(13)가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 또 기자력은 전류×코일권수로 표시되므로 코일온도가 높을때(코일저항이 클때)는 당연히 흡인에 필요한 전류를 흘리기 위한 인가전압이 높게되는데, 종래장치에서는 이것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있었으므로 저온시에서는 반대로 필요이상의 흡인력으로 되어 있었다. 더우기 플런저(5)의 급격이동으로 피니온(10)을 이동시키는 것보다도 레버스프링(12)을 압축하여 지점(11c)이 이동해 버려 따라서 접점폐로가 결과적으로 빨라져 피니온(10)과 링기어(13)의 맞물림시에는 피니온(10)의 회전수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맞물림불량을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런저의 이동이 원활하여 소비전력도 낮고 또한 소형경량인 전자스위치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은 피니온과 링기어의 맞물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여자코일의 발열을 억제하는 동시에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며 또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한 전자스위치장치는 접점폐로를 위한 소요흡인력을 발생하는 복수분할되고 병렬접속된 여자코일과, 이 각 여자코일을 접점폐로까지는 흡인력을 점증시키도록 순차 통전시키며 접점폐로후는 이 접점폐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여자코일만을 통전시키는 제어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에 의한 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장치는 전자압입식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의 여자코일에 통전하는 전류를 시동스위치투입으로부터 접점폐로까지는 점증시키며, 접점폐로후는 감소시키는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여자코일을 병렬로 분할구성하고 있으므로 각 코일당의 전류분담이 감소한다. 또 흡인력이 점차증대하기 때문에 적은 소비전력으로 흡인되는 동시에 복귀스프링하중에 대하여 흡인력이 상회하는 상태에서 출발하여 플런저의 이동이 원활히 수행된다. 또한 접점 폐로후는 접점폐로에 필요한 여자코일만의 통전이 되어 접점폐로에 필요한 여자코일만의 통전이 되어 접점폐로시의 여자코일전류가 감소한다.
또한 이 발명에 있어서는 여자코일의 통전류가 점증하기 때문에 전자스위치는 흡인에 필요한 전류가 흘른시점에서 흡인을 개시하고 따라서 피니온의 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져 피니온의 링기어와의 맞물림이 원활히 수행된다. 또 접점폐로후는 유지전류로 되며 여자코일의 발열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다음은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스위치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제1도에서, 4는 전원으로서의 배터리(2)와 부하장치(14)간에 설치된 전자스위치본체이며, 한쌍의 고정접점(4a), (4b)와 가동접점(4c)에는 플런저(5)가 접속되어 있다. 67f, 67g, 67h는 전자스위치본체(4)의 여자코일이며 이들은 각각 배터리(2)에 대하여 병렬접속되고, 또 각 여자코일(67f), (67g), (67h)에 각각 전류개폐를 위한 트랜지스터(60a), (60b), (60c)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4e는 복귀스프링이며 가동접점 4c을 도시 P방향으로 압압하고 있다. 61은 제어회로이며 입력신호를 부여하는 조작스위치(3)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트랜지스터(60a), (60b), (60c)를 숱차 구동시키고 또 접점 폐로신호를 부여하는 신호선(41)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각 트랜지스터 60a-60c중 접점폐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자코일을 제외하고는 다른 트랜지스터의 구동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전자스위치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조작스위치(3)를 투입하므로서 제어회로(61)는 우선 트랜지스터(60a)를 구동시켜 여자코일(67f)에 통전시킨다. 제2도중 A점은 조작스위치(3) 투입시이며, F1은 이 시점의 플런저(5)흡인력이다. 다음은 제어회로(60)는 T1에서 트랜지스터(60a)에 더하여 트랜지스터(60b)를 "온"시켜 여자코일(67f), (67g)에 통전시킨다. 이 때문에 플런저흡인력은 T1에서 F2로부터 F3로 상승한다. 이어서 제어회로(61)은 T2에서 트랜지스터(60a), (60b), (60c)를 "온"시켜 여자코일(67f)-(67h)모두에 통전시킨다. 따라서 플런저 흡인력은 F1에서 F6까지 점차 증대하며, 플런저(5)는 복귀스프링(4e)의 탄력(도면중 P로 표시)에 대항하여 화살표 P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동접점(4c)을 고정접점(4a), (4b)에 접촉시켜 고정접점(4a), (4b)을 폐로한다.
이에 의하여 배터리(2)에서 부하장치(14)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시에 접점폐로신호를 부여하는 신호선(41)으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회로(61)은 접점폐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자코일(예를 들면 67f)로 통전하는 트랜지스터(60a)를 제외하고 다른 트랜지스터(60b), (60c)를 차단상태로 한다.
F6a-F7은 접점폐로후의 플런저 흡인력이며 B점에서 접점이 폐로하여 트랜지스터(6a)만의 구동이되고, 플런저 흡인력은 F6에서 F6a로 저항한후 플런저 흡인완료의 0점까지 상승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플런저 흡인력이 2차 곡선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단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플런저(5)의 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부하장치(14)가 특히 시동전동기인 경우에서는 플런저(5)의 동작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니온(도시생략)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플런저(5)의 가속적인 동작에 의한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F1>P1인 예를 표시하였지만 코일온도가 상승하고 있을때 등에서는 F1>P1이 되고, 제1번째의 여자코일만으로는 흡인력이 부족할 경우가 있다.
그렇지마는 제어회로(61)는 순차 여자코일(67f)-(67h)에 통전시키므로 제2번째 혹은 제3번째의 여자코일의 통전에 의하여 흡인개시하는 경우도 있으며 복귀스프링하중에 대하여 흡인력이 상회하는 상태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흡인이 원활하고 또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접점폐로후는 접점폐로시점(B점)에서 F6a>P3가 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여자코일에 통전하기 때문에 코일의 발열이 감소되고 전기 효율의 향상과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여자코일(67f)-(67g)를 병렬사용하므로서 각 여자코일당 전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트랜지스터는 소형염가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4도는 제1도에서의 제어회로(61)의 구성도이다. 이 제어회로(61)는 타이머(17a) 및 (17b)와 각 베이스저항 R로 구성되어, 타이머(17a)는 조작스위치(3)가 "온"되면은 예를 들면 10미리초 늦게 출력하고 타이머(17b)는 마찬가지로 20미리초 늦게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선(41)으로부터 접점폐로신호가 입력되면은 타이머(17a), (17b)는 공히 출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제어회로(61)의 동작은 조작스위치(3)가 "온"되면은 동작을 개시하여 우선 베이스 저항 R를 통하여 트랜지스터(60a)를 "온"시킨다.
다음에 타이머(17a)에 의하여 10미리초후에 트랜지스터(60b)가 "온"하고 타이머(17b)에 의하여 20미리초후에 트랜지스터(60c)가 "온"한다. 상기 동작중에 신호선(41)에 입력이 있으면 타이머(17a), (17b)는 출력하지 않으며 트랜지스터(60a)만이 "온"이 된다.
이 발명에서의 다른 실시예를 제3도에 표시한다. 이 제3도에서 조작스위치(3a)는 여자코일(67f)-(67h)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제1도의 조작스위치(3)에 비하여 어느정도 크게하게 되지만 제1도의 트랜지스터(60a)가 생략되어 트랜지스터가 실시예보다 적어도 되는 장점이 있다.
기타부분은 제1도와 같으므로 대응부분에 동일부호를 붙혀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장치를 표시하는 회로구성도이다.
도면에서, 101은 시동전동기이며 전자스위치부(101a)와 모우터부(101b)로 구성되며 모우터부(101b)는 종래장치의 모우터부(1b)와 동일구성으로 되어 있다.
67은 여자코일이며 일단이 시동스위치(3)을 통하여 배터리(2)에 접속되고 타단은 파워 MOS FET(51)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61은 제어회로이며 시동스위치(3)로부터의 시동신호(31) 및 전자스위치본체(4)로부터의 접점폐로신호(41)를 입력하여 MOS FET(51)의 게이트를 제어한다. 또 MOS FET(51)의 소오스는 접지되어 있다. 또한 71은 여자코일 67의 역기전력을 흡수하는 다이오우드이다.
다른 각 구성은 종래장치와 동일하므로 대응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혀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상기 구성의 스위치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시동스위치(3)을 폐로하면은 제어회로(61)에 시동신호(31)가 입력되어 제어회로(61)은 MOS FET(51)를 온시켜 여자코일(67)에 통전한다. 제7a도, 제7b도는 각각 MOS FET(51)의 온/오프 및 여자코일(67)의 전류변화를 표시한 것이다. 여기서 S는 제어개시점이며 MOS FET(51)은 도시와 같이 온/오프되어서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충격계수(duty factor)가 증가하며
Figure kpo00001
따라서 여자코일(67)의 전류도 이 증가에 대응하여 점증하여 그 기자력이 차차 증가한다. (제7b도중 파선은 평균전류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m점에서 접점이 폐로하여 이후는 보지전류가 크게
Figure kpo00002
동작하며 e점에서 시동스위치(3)이 개로되면은 제어는 종료된다. 이 때문에 여자코일(67)의 전류는 접점폐로부터 감소되어간다.
제6도는 상술한 제어의 프로우차아트이다. 이것을 순서적으로 설명하면은 먼저 개시스탭(201)에서 스탭(202)로 진행하여 시동 스위치(3)이 "온"되어 있으면 스탭(203)으로 이행하여 상술의 여자코일(67)전류의 점증제어를 실행한다.
다음에 스탭(204)에서 접점폐로이면은 스탭(205)로 진행하여 보지전류로 하고 그후 스탭(206)에서 시동스위치(3)가 오프되면 (통상 기관이 시동한 상태)제어는 종료된다(스탭 (207), 그리고 스탭(202)에서 시동스위치(3)가 온되어 있지않으면 스탭(207)에 진행하여 제어는 실행되지 않으며 또 스탭(204)에서 접점이 오프된 상태 및 스탭(206)에서 시동스위치(3)가 온된 상태의 경우는 각각 다음 스탭으로 이행하지 않고 이를 반복한다.
제8도는 플런저위치와 흡인력의 관계를 표시한 것으로 파선 F1∼F4가 상기 실시예를 표시하며 A점은 정지상태(시동스위치(3)을 조작하지 않은 플런저위치), B점은 접점폐로위치, 0점은 흡인완료시점이다. 이와같이 플런저(5)는 흡인에 필요한 최소의 힘에 의하여 이동을 개시하여 (F1)전류의 점증에 수반하여 F2점에 도달하고 보지전류로되며 (F3)흡인완료시에 F4에 도달한다. 따라서 스위치부(101a)는 흡인에 필요한 전류가 흘른시점에서 흡인을 개시하기 때문에 종래 장치에 비하여 피니온(10)의 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따라서 레버스프링(12)의 압축에 의한 모우터의 가동력에 변화도 없고 피니온(10)과 링기어(13)의 원활한 맞물림이 달성될 수 있다. 또 접점 폐로후는 보지전류만이기 때문에 스위치의 발열도 감소된다.
그리고 제9도는 제15에서의 제어회로(61)의 구성도이며 도면에서, 61a는 전원회로, 61b는 전원회로(61a)에 의하여 구동되고 제7a도의 s에서 m에 표시한 시간과 더불어 충격계수가 증가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기, 마찬가지로 61c는 제7a도의 m에서 e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충격계수 일정한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기이다.
또 41a는 코일이며 접점폐로신호(41)에 의하여 구동되어서 코일접점을 (41b)측에서 (41c)측으로 절환하는 것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동신호(31)가 입력되면은 전원회로(61a)는 신호발생기(61b) 및 (61c)를 동작시킨다.
이때는 접점폐로신호(41)의 입력이 없기 때문에 코일접점은 (41b)측에 있으며 신호발생기(61b)의 출력에 의하여 파워 MOS FET(51)이 구동된다. 그후 접점이 폐로되면은 코일(41a)는 여자되어서 코일 접점은(41c)측으로 절환되고 신호발생기(61c)에 의하여 파워 MOS FET(51)은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기 T를 일정으로 하였지만 T를 변화시켜도 되며 접점폐로후의 t6를 변화시켜도 된다.
또 본 전자스위치장치는 스위치본체에 일체로 구성하여도 되며 이렇게 하며 스위치교환으로 기능부가된다.
더욱이 상기 접점폐로신호(41)를 사용하지 않고 시동스위치(3) 투입으로부터 소정시간경과한 시점에서 보지전류가 되도록 제어하면은 접점폐로신호(41)용 신호선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접점 폐로까지는 흡인력을 점증시키도록 복수 분할된 각 여자코일을 순차 통전시키며, 접점폐로후는 접점폐로를 보지하는데 필요한 여자코일에만 통전하도록 하였으므로 플런저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소비전력의 저감화를 도모하고, 또 여자코일의 총 발열량이 감소되어 장치를 소형할 수 있으며, 전기효율의 형상과 전자스위치장치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에 의하면은 여자코일의 전류를 시동스위치 투입에서 접점폐로까지는 점증시키며 한편 접점폐로후는 감소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가. 플런저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피니온이나 링기어의 손상이 방지되는 동시에 흡인에 필요한 전류로 동작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저감된다.
나. 맞물림시에 피니온의 회전상승이 낮아져 맞물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다. 접점폐로후의 전류감소에 의하여 여자코일의 발열이 감소하고 소형 경량화를 기할 수 있다.
라. 전류를 점증 감소시키므로서 배선이 가는 것으로 족하며 염가로 된다.

Claims (5)

  1. 부하장치와 전원간을 개폐하는 접점과 이 접점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보유하며, 이 접점을 폐로시키기 위한 소요흡인력을 발생하는 여자코일이 복수개로 분할되고 각 여자 코일이 병렬 접속되어 된 전자스위치 본체와, 상기 복수분할된 각 여자코일을 상기 접점폐로까지는 흡인력을 점차 증대하도록 순차 통전시키고, 상기 접점폐로후는 적어도 접점폐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여자코일을 제외하고는 다른 여자코일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부하장치는 시동 전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위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분할된 각 여자코일로의 통전제어는 반도체소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위치.
  4. 시동스위치투입에 의하여 동작하여 피니온기어에 이동력을 부여하며, 접점을 폐로하여 시동전동기에 통전시켜 회전하게하는 전자스위치를 구비한 전자 압입식 시동전동기의 전자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스위치의 여자코일에 통전하는 전류를 상기 시동스위치투입에서 상기 접점폐로까지의 사이에는 시간경과와 더불어 증가시키고, 이 접점폐로후는 접점폐로를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류까지로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위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여자코일에 통전하는 전류의 증가 및 감소는 충격계수제어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스위치 장치.
KR1019880001780A 1987-02-25 1988-02-20 전자 스위치 장치 Expired KR900009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98487U JPS63134432U (ko) 1987-02-25 1987-02-25
JP62-41848 1987-02-25
JP??62-26984 1987-02-25
JP62041848A JPH0742909B2 (ja) 1987-02-25 1987-02-25 始動電動機のスイツチ制御装置
JP??61-41848 1987-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454A KR880010454A (ko) 1988-10-08
KR900009058B1 true KR900009058B1 (ko) 1990-12-17

Family

ID=2636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780A Expired KR900009058B1 (ko) 1987-02-25 1988-02-20 전자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73607A (ko)
KR (1) KR900009058B1 (ko)
FR (1) FR2611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4855A1 (de) * 1988-10-13 1990-04-1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tarter eines kraftfahrzeugs mit integrierter leistungselektronik
US4917410A (en) * 1988-12-12 1990-04-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onic starting motor control
FR2679717B1 (fr) * 1991-07-23 1994-12-23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positif de commande d'un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IT1263110B (it) * 1992-03-24 1996-07-30 Magneti Marelli Spa Sistema di avviamento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e solenoide utilizzabile in tale sistema di avviamento
FR2706071B1 (fr) * 1993-06-01 1995-07-07 Ece Dispositif de commande du fonctionnement d'un contacteur.
DE4426021A1 (de) * 1994-07-22 1996-01-25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elektromagnetischen Verbrauchers
DE19503536A1 (de) * 1995-02-03 1996-08-08 Bosch Gmbh Robert Schaltungsanordnung für ein Einrückrelais
FR2739969B1 (fr) * 1995-10-12 1997-11-14 Schneider Electric Sa Circuit d'alimentation d'une bobine d'excitation d'un electro-aimant
DE19645323A1 (de) * 1996-11-04 1998-05-07 Teves Gmbh Alfred Schaltungsanordnung zur Anpassung des Stromes eines Ventiltreibers an den benötigten Strom zur Betätigung des Ventiles
DE10041999A1 (de) * 2000-08-26 2002-03-07 Bosch Gmbh Robert Start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DE10046987A1 (de) * 2000-09-22 2002-04-18 Bosch Gmbh Robert Startvor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JP3829684B2 (ja) * 2001-10-16 2006-10-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始動装置
US6633099B2 (en) 2001-12-05 2003-10-14 Delco Remy America, Inc.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mechanism for a coaxial starter motor assembly
US6630760B2 (en) 2001-12-05 2003-10-07 Delco Remy America, Inc. Coaxial starter motor assembly having a return spring spaced from the pinion shaft
DE102007015396A1 (de) * 2007-03-30 2008-10-02 Robert Bosch Gmbh Startermechanismus mit mehrstufigem Hubrelais
DE102009027407A1 (de) * 2009-07-01 2011-01-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tartersteuerung, Computerprogrammprodukt und Startersteuerung
FR2959891B1 (fr) 2010-05-07 2016-06-03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positif de commande electronique pour contacteur electromagnetique a double contact et demarreur pour moteur thermique l'incorporant
DE102011014023B4 (de) * 2011-03-15 2013-08-14 Auto-Kabel Managementgesellschaft Mbh Startstrombegrenzungssystem, Verfahren zum Begrenzen eines Startstroms sowie Verwendung eines Startstrombegrenzungssystems
US9105431B2 (en) * 2011-06-20 2015-08-11 Nissan Motor Co., Ltd. Electromagnetic relay
US20130173144A1 (en) * 2011-12-30 2013-07-04 Remy Technologies, Llc Starter Motor Assembly
CN115360057A (zh) * 2022-08-12 2022-11-18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继电器控制电路、继电器控制方法及电动汽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05343A1 (de) * 1973-02-03 1974-08-08 Baum Elektrophysik Gmbh Schaltung an einer erregerspule fuer schuetze oder relais
CH607260A5 (ko) * 1975-09-05 1978-11-30 Lucifer Sa
US4418289A (en) * 1978-11-20 1983-11-29 Facet Enterprises, Incorporated Two stage starter drive system
JPS5851233A (ja) * 1981-09-21 1983-03-25 Hitachi Ltd 燃料噴射弁駆動回路
IT1140007B (it) * 1981-10-29 1986-09-24 Magneti Marelli Fabbrica Itali Elettromagnete a doppio avvolgimento per motorino di avviamento di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particolarmente di autoveicolo
US4516185A (en) * 1983-09-30 1985-05-07 Siemens-Allis, Inc. Time ratio control circuit for contactor or the like
FR2568715B1 (fr) * 1984-08-03 1986-09-05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commande d'une bobine d'electroaimant et appareil electrique de commutation equipe d'un tel disposi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73607A (en) 1989-10-10
KR880010454A (ko) 1988-10-08
FR2611981B1 (ko) 1994-04-22
FR2611981A1 (fr) 1988-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058B1 (ko) 전자 스위치 장치
US7973623B2 (en) Starter for engines and its starting circuit
US8513825B2 (en) Engine starting system with high- and low-speed modes of motor operation
KR101225307B1 (ko) 엔진 시동 장치, 저항 단락 장치
US5731638A (en) Starter motor having a two stage magnetic switch and current limiting member
JP3829684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US6737759B2 (en) Engine starter system having duty-controlled switching device
KR100753736B1 (ko) 차량용 시동기의 전기 모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 및 차량용 시동기
CN1057860C (zh) 起动继电器的电路装置
US5095864A (en) Star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6553972B1 (en) Fuel pump control device
JP4025242B2 (ja) スタータ装置
JPH0742909B2 (ja) 始動電動機のスイツチ制御装置
JP3169515B2 (ja) スイッチ
JP2003083211A (ja) 始動用電動機装置
EP0537754A1 (en) A starter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10008392Y1 (ko) 전자스위치 제어장치
JP2002227750A (ja) スタータ
CN114257127B (zh) 车辆的启动马达的开关装置及控制方法
JP2000240541A (ja) スタータのマグネチックスイッチ制御装置
KR100214959B1 (ko) 연료펌프 구동 릴레이회로
KR200160350Y1 (ko) 시동 전동기용 전자 스위치장치
JPH04112945A (ja) エンジン燃料遮断装置
JP2000100621A (ja) 電磁付勢部材を励起する切換装置および同装置の動作方法
JP2002027769A (ja) 電動格納ドアミラー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12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121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