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8530Y1 - 절첩식(折疊式)컵 - Google Patents

절첩식(折疊式)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530Y1
KR900008530Y1 KR2019870010045U KR870010045U KR900008530Y1 KR 900008530 Y1 KR900008530 Y1 KR 900008530Y1 KR 2019870010045 U KR2019870010045 U KR 2019870010045U KR 870010045 U KR870010045 U KR 870010045U KR 900008530 Y1 KR900008530 Y1 KR 900008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folded
present
state
fold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258U (ko
Inventor
최돈균
Original Assignee
최돈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돈균 filed Critical 최돈균
Priority to KR2019870010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530Y1/ko
Publication of KR890000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530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折疊式) 컵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a)는 컵의 절첩된 상태를, (b)는 컵의 전개시상태를, (c)는 컵의 완전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것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조립전 상태 개략도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 2 : 당김구
11, 12, 13, 14 : 입면 11', 12' : 분임면
13' : 바닥면 a, b : 입면 절첩선
c : 바닥면 절첩선
본 고안은 절첩된 상태로 제품화되어 휴대 및 보관하다가 사용시에는 전개시켜 컵의 역활을 하게되는 절첩식 컵에 관한 것으로서 절첩시 적은 부피로 되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며,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도 저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사용되는 휴대용 컵 및/또는 1회용 컵의 경우,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이 대부분이였으며, 조립식 등 그외의 경우에는 그 구조 자체가 복잡하여, 제작이 번거러웠고 컵자체가 가진 부피로 인해 휴대 또는 보관하는데 용이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결점을 개량한 것으로 방수처리된 특수지류 또는 합성수지재를 재질로하여 사각 형상의 컵을 형성하되, 네개의 입면중 서로 마주보는 그 면과 바닥면을 절첩되게 함으로써 절첩된 상태로 휴대 및 보관하다가 사용시에는 전개시키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서는 청량음료, 우유등이 수장된 포리팩등에 부착할수도 있고 또는 컵만에 분말쥬스등을 내장한 상태로 상품화 할수 있는 것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수지 또는 합성수지를 재질로한 입면(11), (12), (13), (14)와 바닥면(13')으로 된 사각형상의 컵(1)을 형성하되, 서로 마주보는 입면(13), (14)에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절첩선(가) 및 절첩선(나)를, 바닥면(13')에 절첩선(다)를 절첩성형하였으며, 절첩되는 입면(13), (14)에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접착테이프등으로 되는 당김구(2)를 부착한 구성으로된 절첩식 컵으로 단부의 접합은 첨부도면과 같이 붙임면(11'), (12')등을 접착제 등으로 접합 하거나 또는 별개의 테이프등으로 접합 할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첩된 상태의 컵을 당김구(2)를 양손으로 잡고 제 1a 도에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제 1b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상태를 거치어 제 1c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첩되었던 입면(13), (14)와 바닥면(13')가 전개되어 컵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절첩시에는 종이 몇장을 겹쳐놓은 것밖에 되지 않는 두께를 하고 있어 적은 공간으로 다량의 컵을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포켓등에 간편하게 소량의 휴대가 가능하며, 우유 또는 청량음료등의 포리팩에 당김구(2)를 접착테이프로 하여 부착하거나 또는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부착 할 경우 아주 실용적으로 사용할수 있음은 물론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또는 미리 절첩된 컵내에 분말쥬스등을 넣고 봉하여 포장지 자체로 상품화하여 사용 할때는 포장지 자체를 컵으로 사용 할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기계적인 방법이나, 수공업 형태로도 얼마든지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므로 종래 고가로 제작되는 1회용컵의 문제점도 해결 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입면(11), (12), (13), (14)와 바닥면(13')으로된 사각형상의 컵(1)을 형성하되, 서로 마주보는 입면(13), (14)에 절첩선(가) 및 절첩선(나)를, 바닥면(13')에 절첩선(다)를 절첩성형하였으며 절첩되는 입면(13), (14)에 당김구(2)를 부착한 구성의 절첩식컵.
KR2019870010045U 1987-06-23 1987-06-23 절첩식(折疊式)컵 Expired KR900008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045U KR900008530Y1 (ko) 1987-06-23 1987-06-23 절첩식(折疊式)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045U KR900008530Y1 (ko) 1987-06-23 1987-06-23 절첩식(折疊式)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258U KR890000258U (ko) 1989-03-02
KR900008530Y1 true KR900008530Y1 (ko) 1990-09-22

Family

ID=1926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045U Expired KR900008530Y1 (ko) 1987-06-23 1987-06-23 절첩식(折疊式)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5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550A (ko) * 2000-03-25 2001-05-15 김동환 포장겸용 사각 종이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258U (ko) 198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55133A (en) Collapsible drinking-cup.
KR900008530Y1 (ko) 절첩식(折疊式)컵
CN222041056U (zh) 一种可折叠容器
KR890008984Y1 (ko) 일회용 컵
USD261847S (en) Folding cup
JPS6349337U (ko)
KR890002567Y1 (ko) 일회용종이 컵
JPS603061Y2 (ja) 底面に緩衝部を有する紙箱
JPS592648Y2 (ja) ワンタッチ両開きカ−トン
JPS5917784Y2 (ja) 紙函
JPS593944Y2 (ja) 仕切箱
CN2415654Y (zh) 折叠式一次性方便饭盒
JPS5824826Y2 (ja) ラベルスタンデイングパツク
JPS63174653U (ko)
JPS588653Y2 (ja) おにぎり用包装容器
JPS6394135U (ko)
JPH0438788Y2 (ko)
JP2575565Y2 (ja) 陳列台
KR890002566Y1 (ko) 일회용 컵
JPH01155444U (ko)
JPS63131941U (ko)
JPS6379306U (ko)
JPH0384781U (ko)
JPS6399836U (ko)
JPH0471627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6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6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8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