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7664Y1 -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 - Google Patents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664Y1
KR900007664Y1 KR2019860007189U KR860007189U KR900007664Y1 KR 900007664 Y1 KR900007664 Y1 KR 900007664Y1 KR 2019860007189 U KR2019860007189 U KR 2019860007189U KR 860007189 U KR860007189 U KR 860007189U KR 900007664 Y1 KR900007664 Y1 KR 900007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pring
passage
fuel injection
spring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857U (ko
Inventor
가즈야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모찌즈끼 가즈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모찌즈끼 가즈시게 filed Critical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66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2Deliver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22Spring biased
    • Y10T137/7927Ball valves
    • Y10T137/7928With foll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22Spring biased
    • Y10T137/7929Spring coaxial with valve
    • Y10T137/7936Spring guides valv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의 정면 단면도.
제2도는 동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의 밸브에 대한 저면도.
제3도는 종래의 등압형 송출밸브를 장비한 연료분사펌프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정면 단면도.
제4도는 동 등압형 송출밸브의 정면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스페이서 5 : 밸브호울더
6, 22 : 배출통로 8, 23 : 복귀통로
9 : 오리피스 10, 40 : 첵밸브
14 : 밸브 14a, 18a : 단면
15 : 스프링 18 : 스프링시이트
18b : 지름이 작은 축부 19a : 나사부
32, 35 : 단부 33 : 통로
36 : 축부 37 : 홈
본 고안은 내연기관용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고압분사형의 연료분사펌프에 있어서 연료분사밸브가 닫혔을때에 생기는 압력파를 완하하여, 2차 분사를 방지하는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로서, 예컨대 일본국 길개소 58-63358호 공보에 게재된 것이다.
이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페이스(3)와 밸브호울더(5)로 구성되었으며, 스페이서(3)가 플런저실(12)을 형성하는 플런저배럴(2)의 상단측 지름이 큰 원통부(25)에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이 스페이서(3)는 중합면(4)에서 밸브호울더(5)가 겹쳐지게 된다.
밸브호울더(5)의 중간부분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플랜저(24)가 플런저 배럴(2)을 끼워 맞추는 분사펌프 본체(26)에 도면에 있는 보울트로 결합되어 있다.
플런저실(12)에는 밸브호울더(5)의 송출구(7)에 이어지는 배출통로(22), (6)와 송출구(7)에서 플런저실(12)에 이어지는 복귀통로(8), (23)가 스페이서(3) 및 밸브호울더(5)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7)는 도면에 없는 연료분사관을 개재하여 내연기관의 실린더헤드에 부착된 연료분사밸브와 접속되어 있다.
스페이서(3)의 배출통로(22)에는 첵밸브(10)가 밸브호울더(5)의 복귀통로(8)에는 오리피스(9) 및 첵밸브(40)가 각기 삽입접속되어 있다.
첵밸브(10), (40)는 그 크기는 약간 다르지만, 마찬가지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서로 역방향으로 삽입 접속되어 있다.
각 첵밸브(10), (40)는 스프링시이트(18)와 보올(13)을 결합하는 밸브(14)와 밸브(14)의 보올(13)이 배출통로(22)를 막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첵밸브(40)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복귀통로(23)의 중합면(4)에 개구하는 부분에 지름이 큰 원통부(28)가 구성되었고, 여기에 나사구멍(19)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시이트(18)는 6각형의 공구구멍(20)에 공구를 맞물어서 나사부(19a)를 나사구멍(19)에 나사식으로 맞추어져 있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시이트(18)는 스프링(15)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단부(32)의 부분에서 내단측을 지름이 작은 축부(18b)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공구구멍(20)의 스페이서(3)의 복귀통로(23)와 접속함과 동시에 스프링시이트(18)의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통로(33)는 지름방향의 통로(17)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부(28)는 통로(17) 및 공구구멍(20)을 거쳐 스페이서(3)의 복귀통로(23)과 접속되어 있다.
밸브(14)는 스프링(15)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단부(3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밸브(14)의 단면에 형성한 반구형의 오목부(31)에 보올(13)을 세게 밀어 넣고 또한 가장자리(31a)를 코오킹하여 일체로 결합하였으며, 이 보올(13)이 복귀통로(8)를 폐쇄하도록 스프링(15)의 탄력에 의하여 힘이 가하여 맞물려지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배럴(2)에 끼워 맞추어진 플런저가 밀어올려지면 플런저실(12)의 연료가 배출통로(22)에 들어가서 첵밸브(10)의 밸브(14)를 스프링(15)의 힘에 저항하여 밀어올려 원통부(28)에 들어가게 되고, 나아가서 통로(17) 공구구멍(20), 밸브호울더(5)의 배출통로(6)를 통하여 송출구멍(7)에서 연료분사관을 거쳐서 연료분사밸브에 들어가게 되며, 실린더로 분사된다.
플런저가 유효스트로우크 범위이상으로 상승하면, 플런저실(12)의 압력이 급격히 저하하므로, 배출통로(22)의 첵밸브(10)가 닫혀져서 연료분사밸브로부터의 연료의 분사가 종료된다.
플런저가 유효스트로우크 범위내에서 하강하면, 플런저실(12)의 압력이 저하하므로 복귀통로(8)의 첵밸브(40)가 스프링(15)의 탄력에 저항하여 열려지며, 이에따라 오리피스(9)를 거쳐 연료분사관측의 연료가 천천히 플런저실(12)로 빨려서 되돌아온다.
오리피스(9)와 첵밸브(40)의 존재에 따라 연료를 빨아 되돌아오게 하는 작용이 완하되므로, 연료분사밸브 및 첵밸브(40)에 있어서의 공동현상(cavitation)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연료분사밸브로부터의 압력파에 대하여 첵밸브(40)의 밸브(14)의 스프링(15)에 저항하는 후퇴에 따라 압력파를 완화하도록 작용하며, 압력파의 반사에 의한 2차 분사가 방지된다.
밸브(14)의 리프트는 밸브(14)와 스프링시이트(18)의 단면 사이의 간극에 의하여 설정된다.
이 밸브(14)의 단면(14a)이 스프링시이트(18)의 단면(18a)에 맞부딪혔을 경우에 복귀통로(8)가 원통부(28), 통로(17) 및 공구구멍를 거쳐서 스페이서(3)의 복귀통로(23)와 접속하도록 통로(17)는 스프링시이트(18)의 지름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스프링시이트(18)의 공구구멍(20)에 이어지는 축방향의 통로(33)와 이에 교차하는 통로(17)를 기계가공에 의하지 않으면 아니되었다.
첵밸브(10)의 분사개시시 밸브(14)가 스프링시이트(18)의 단면(18a)에 세게 맞부딛히게 되면 스프링(15)을 안내하는 스프링시이트(18)의 지름이 작은 축부(18b)가 통로(17)를 가진 부분에서 꺽여질 염려가 있다.
또, 가로방향의 통로(17)의 입구단부와 스프링(15) 사이에 무리한 마찰이 생겨서 스프링(15)이 꺽어질 염려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에 비추어 가공이 용이하며, 또한 스프링이 원활하게 스프링시이트에 안내되어, 분사개시시의 충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고 있는 연료분사 펌프의 등합형 송출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은 플런저챔버와 송출구를 접속하는 배출통로 및 복귀통로를 구비한 송출밸브가 밸브호울더와 스페이서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스페이서의 배출통로에 부착된 첵밸브가 각기 밸브를 가압하는 스프링을 지지하는 단부를 지니고 또한 밸브호울더와 스페이서의 한편에 나사맞춤된는 스프링시이트와 스피링시이트와 대향하는 단면에 홈을 지닌 밸브등으로 된 것이다.
분사개시시에 스프링(15)의 힘에 저항하여 밸브(14)가 밀어서 제자리에 되돌아오게 밀치게 되면 밸브(14)의 단면(14a)이 스프링시이트(18)의 단면(18a)에 맞부딪쳐서 밸브(14)의 리프트(lift)가 제한된다.
이때 밸브(14)의 단면(14a)에는 +자형의 홈(3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분사개시시의 연료는 밸브(14)의 주위에서 홈(37)을 통하여, 스프링시이트(18)의 통로(33)에 흐른다. 밸브(14)는 바람직하기는 단조에 따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스프링시이트(18)의 단면(18a)에 맞부딪쳐도 손상하는등이 염려는 없다. 또, 스프링시이트(18)는 지름이 작은 축부(18b)의 주면에 가로방향의 통로가 없고, 평활하게 완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시이트(18)의 단부(32)에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15)은 지름이 작은 축부(18b)에 의하여 가로 방향으로 이어지는 일이없이 원활하게 안내된다.
제1, 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시이트(18)는 나사 구멍(19)에 나사 맞춤하는 나사부(19a)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보다도 선단축에 단부(32)의 부분으로부터 지름이 작은 축부(18b)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시이트(18)의 단부에 공구구멍(20)이 설치되어 있어 이에 연속하는 통로(33)가 단부까지 관통하고 있는 점에서 종래예와 다르다.
또, 밸브(14)는 이 일단측에 보올(13)을 맞무는 반구형의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타단측은 단부(35)의 부분에서 지름이 작은축부(36)가 구비되었으며, 이 단면(18a)에 +자형의 홈(37)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밸브(14)는 단조함에 따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오목부(31)에 보올(13)(제3도 참조)이 맞물리어 있고, 이 오목부(31)의 개구단부(31a)를 코오킹하여 보올(13)이 벗어지지 않도록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스프링시이트(18)의 단부(32)와 밸브(14)의 단부(35) 사이에 스프링(15)(제3도 참조)에 개재 장착되어 있다.
더우기,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밸브(14)의 단면에 +자형의 홈(37)이 설치되어 있으나, 단조에 의한 경우에는 반드시 +자형이 아니더라도 좋고, 예컨대 밸브(14)의 단면(14a)이 스프링시이트(18)의 단면(18a)에 맞부딪혔을때의 통로면적이 제한되지 않도록 홈(37)의 수 및 길이, 홈폭등을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자형의 홈(37)의 대신에 Y자형의 홈을 설치하면, 스프링시이트(37)의 단면(18a)과의 접촉면적도 넓어져서 강도라고 하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다음에, 본 고안에 의한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사개시시 스프링의 탄력에 저항하여 밸브(14)가 밀어서 제자리에 되돌아오게 밀치게 되면 밸브(14)의 단면(14a)이 스프링시이트(18)의 단면(18a)에 맞부딪혀서 밸브(14)의 리프트가 제한된다.
이때, 단면(14a)에는 +자형의 홈(3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료는 밸브(14)의 주위에서 홈(37)을 통하여, 스프링 시이트(18)의 통로(33)로 흐른다.
밸브(14)는 단조함에 따라 일체적으로 형성함에 의하여 충분한 강도를 구비하므로 스프링시이트(18)의 단면(18a)에 맞부딪쳐도 손상하는 등의 염려는 없다.
또 스프링시이트(18)는 동 지름이 작은 축부(18b)의 주면에 가로방향의 통로가 없어 평활하게 다듬어져 있으므로 스프링의 신축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임무를 다한다.
스프링시이트(18)의 단부(32)에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15)은 지름이 작은 축부(18b)에 의하여 가로방향으로 늘어지는 일이 없이 원활하게 안내된다.
지름이 작은 축부(18b)에 가로방향의 통로가 없으므로, 강도가 종래예에 비하여 대폭 향상되어 스프링시이트(18)를 소형화 할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시이트에 대하여 공구 구멍과 연통하는 통로가 관통하여 구비될수 있는 한편, 밸브의 스프링시이트와 대향하는 단면에 홈이 구성되므로 밸브의 리프트를 제한하는 스토퍼의 임무를 다하는 스프링 시이트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됨과 동시에 스프링이 신축이 스프링시이트의 지름이 작은 축부에 원활하게 안내되어, 스프링이 국부적으로 마모하여, 꺽여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가로방향의 통로를 설치하는 대신에 밸브의 단면에 지름방향을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밸브는 단조함에 의하여 홈과 함께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종래의 스프링 시이트에 가로방향통로를 기계가공하는 경우에 비하여 스프링 시이트의 강도의 향상과 제조코스트의 삭감에 도움이 된다.

Claims (1)

  1. 스페이서(3)와 밸브호울더(5)에 플런저실(12)와 송출구(7)를 접속하는 배출통로(6), (22)와 복귀 통로(8), (23)로 형성하여 스페이서(3)의 배출통로(22)와, 밸브호울더(5)의 복귀통로(8), (23)에 통로에 나사 맞춤한 스프링시이트(18)와 가동의 밸브(14)와 스프링시이트(18)의 단부(32)와 밸브(14)의 단부(35) 사이에 장치한 스프링(15)으로 된 첵밸브(10), (40)를 배설하여서 이루어지는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에 있어서 전술한 스프링시이트(18)에 나사부(19a)의 단부(32)로부터 돌출하는 지름이 작은 축부(18b)와 축방향의 관통통로33)를 설치하여 밸브(14)의 일단측에 볼을(13)을 결합하고 타단측에 단부(35)로부터 돌출하여 스프링시이트(18)의 지름이 작은 축부(18b)와 맞닿을수 있는 지름이 작은 축부(36)를 설치하여 그 지름이 작은 축부(36)의 단면(14a)에 +자형홈(3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송출밸브.
KR2019860007189U 1985-06-13 1986-05-23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 Expired KR9000076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089453U JPH0332783Y2 (ko) 1985-06-13 1985-06-13
JP60-89453 1985-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57U KR870000857U (ko) 1987-02-20
KR900007664Y1 true KR900007664Y1 (ko) 1990-08-23

Family

ID=1397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189U Expired KR900007664Y1 (ko) 1985-06-13 1986-05-23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05729A (ko)
JP (1) JPH0332783Y2 (ko)
KR (1) KR9000076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0281A1 (de) * 2002-05-07 2003-11-27 Bosch Gmbh Robert Kraftstoffpumpe, insbesonder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Direkteinspritzung
DE102005024042A1 (de) * 2005-05-25 2006-11-30 Robert Bosch Gmbh Auslassstutzen für eine Hochdruckpumpe
IT1396473B1 (it) * 2009-03-30 2012-12-14 Magneti Marelli Spa Pompa carburante con una valvola di massima pressione perfezionata per un sistema di iniezione diretta
CN118128675B (zh) * 2024-03-29 2024-09-17 仪征威业油泵油嘴有限公司 一种等压出油阀偶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0483A (en) * 1920-03-27 1921-03-01 Powell George Frederick Air-valve
US1553184A (en) * 1921-11-08 1925-09-08 Theodore M Mueller Valved coupling
US2481713A (en) * 1945-04-30 1949-09-13 Bertea Alex Flexible seal check valve
US3559678A (en) * 1969-01-21 1971-02-02 Deltrol Corp Check valve
US3544065A (en) * 1969-04-09 1970-12-01 Jacques H Mercier Resilient annular valve seat with coaxial rigid annular member
JPS5032652Y2 (ko) * 1971-09-14 1975-09-23
US3799194A (en) * 1972-12-20 1974-03-26 A Bedo Ball check valve
JPS5552553U (ko) * 1978-09-30 1980-04-08
JPS591349A (ja) * 1982-06-15 1984-01-06 三洋電機株式会社 金属箱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57U (ko) 1987-02-20
JPH0332783Y2 (ko) 1991-07-11
US4905729A (en) 1990-03-06
JPS61204963U (ko) 1986-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901B1 (ko) 내연기관에사용되는연료분사장치
US5839414A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692102A (en)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6827297B2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7048521B2 (en) High pressure fuel supply pump with an intake valve member and a discharge valve member aligned along a plunger axis
JPH09126090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噴射装置
KR100427569B1 (ko) 내연기관용연료인젝터
US7290559B2 (en) Check valve for a high-pressure pump of a fuel injec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09540A (en) Outwardly opening nozzle valve for a fuel injector
US20230096056A1 (en) High-Pressure Fuel Pump
KR900007664Y1 (ko) 연료분사펌프의 등압형 송출밸브
US4459086A (en)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112009001971T5 (de) Rückschlagventil mit separater kugelförmiger Federführung
US5487368A (en) Combustion gas seal assembly adapted for a fuel injector
EP2278163A1 (en) Pump assembly
KR930003086B1 (ko) 유닛 인젝터
EP1277950B1 (en) High-pressure pump
US5333786A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371438B1 (en) Control valve for an injector that injects fuel into a cylinder of an engine
JP4571980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のための高圧ポンプ
GB2274886A (en) Fuel injection pump delivery valve.
US20250043759A1 (en) Fuel pump with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
JP2005299641A (ja) 燃料噴射ノズル
US4513916A (en) Fuel injection nozzle
US4941613A (en) Fuel injection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05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05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91107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7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11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11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111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7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8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3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7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