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7611B1 - 전화장치의 발호자 선택회로 - Google Patents

전화장치의 발호자 선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611B1
KR900007611B1 KR1019870009943A KR870009943A KR900007611B1 KR 900007611 B1 KR900007611 B1 KR 900007611B1 KR 1019870009943 A KR1019870009943 A KR 1019870009943A KR 870009943 A KR870009943 A KR 870009943A KR 900007611 B1 KR900007611 B1 KR 900007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all signal
telephone
caller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666A (ko
Inventor
료이찌 다까하시
세이이찌 오가와
이사오 오오따와라
Original Assignee
상요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1338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79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2263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766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2777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820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4437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982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5523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09632A/ja
Application filed by 상요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상요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611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04M1/66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by checking the validity of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장치의 발호자 선택회로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발호자 선택회로의 각각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 4 : 선택스위치
10 : 훅 제어회로 11 : 전화기회로
12 : 송수화기 13 : 다이얼 조작단추
14 : 다이얼신호 발생회로 18 : 메모리회로
19 : 제어회로 23 : 응답메시지 송출회로
26 : DTMF신호 수신회로 27 : 수신번호 메모리회로
28 : 번호 조합회로 32 : 제1메시지 송출회로
34 : 제2메시지 송출회로 35 :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
38 : 스위치회로 39 : 조합번호 지정회로
40 : 번호지정용 스위치 41 : 타이머회로
42 : 시각 설정회로 44 : 제어스위치
45 : 스위치 절환회로 46 : 절환스위치
본 발명은 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난전화나 틀린전화에 대해서 전화 소유자를 보호하는 발호자(潑呼者) 선택회로에 관한 것이다.
발호자가 전화를 걸면 전화회선으로부터 도래하는 호출신호에 대응해서 호출음이 울리고, 이 호출음을 청취함으로써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인지하도록 전화장치는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장난전화는 물론이고, 틀린전화의 경우에도 전화 소유자는 호출는 것으로 되어 매우 불쾌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암증번호(暗證番號)를 알고 있는 사람이 전화를 걸었을 때에만 호출음이 울리도록 구성된 전화장치가 개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소) 제55-11,668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또한, 전화를 걸 경우에 국번 및 상대의 번호를 조작하는 것은 조작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조작하는 번호를 틀린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메모리회로에 앞서서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호출함으로써 전화를 걸도록 한 자동다이얼장치로 불리우는 장치를 구비한 전화장치가 많이 보급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소) 제53-30,60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전술한 암증번호를 이용하여 발호자를 선택하는 기술로는, 암증번호가 전화 소유자에 의해서 설정되기 때문에, 그 암증번호를 특정 발호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발호자가 암증번호를 잊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발호자가 암증번호를 기억하고 있고, 이 암증번호를 송출했다고 하더라도, 송출 후 발호자에 대해서 하등 신호가 송출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발호자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었다. 또한 발호자를 선택하는 동작은 일반적으로는, 취침중인 밤중에 행해지도록 절환 조작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매일 절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불편함과 동시에 절환 조작을 잊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 발호자 선택회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다이얼동작을 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발호자 선택용의 암증번호로서 이용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호자 선택회로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전화회선과의 접속단자, (2)는 전화회선으로부터 도래하는 호출신호를 정류하는 제1다이오드 브릿지회로, (3)은 이 제1다이오드 브릿지회로(2)에 의하여 정류된 호출신호가 인가되면 그 호출신호에 대응해서 전자음화된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 (4)는 발호자 선택동작의 동작·부동작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로서,상기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공통단자(4a), 부동작상태로 있을 때 이 공통단자(4a)와 접속되는 제1단자(4b) 및 동작상태로 있을 때 상기 공통단자(4a)와 접속되는 제2단자(4c)를 구비하고 있다. (5)는 상기 선택스위치(4)가 부동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제1권선(6)에 인가되는 트랜스, (7)은 호출신호를 방음(放音)하는 스피커로서, 상기 트랜스(5)의 제2권선(8)에 부하로서 접속되어 있다. (9)는 전화회선과의 접속 극성을 결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제2다이오드 브릿지회로(10)은 전화회선의 폐결동작을 제어하는 훅(hook) 제어회로, (11)은 스피치 네트워크(speech network)라 불리우는 전화기회로로서, 송수화기(12)가 접속되어 있다. (13)은 다이얼 조작시 조작되는 다이얼 조작단추, (14)는 다이얼 조작단추(13)을 구성하는 번호에 대응한 다이얼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얼신호 발생회로, (15), (16) 및 (17)은 각각 자동다이얼용 조작단추를 조작함으로써 폐성되는 제 1, 제2 및 제3조작스위치, (18)은 자동다이얼동작을 행하기 위한 전화번호가 기억되는 메모리회로, (19)는 상기 각각의 조작스위치에 대응해서 메모리회로(18)로의 전화번호의 기억동작 및 호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20)은 상기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선택스위치(4)가 선택동작 위치에 있을 때 인가되는 제어단자로서, 이 제어단자(20)에 상기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에서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회로(19)에 의한 각각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1)은 상기 제어회로(19)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훅 제어회로(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훅 동작 제어신호 출력단자로서, 상기 제어단자(20)에 신호가 인가되면 전화회선을 폐결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2)는 제어회로(19)의 훅 동작 제어신호 출력단자(2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한 훅 제어회로(10)의 동작에 의해서 전화회선의 폐결동작이 행해진 후 구동신호가 출력되는 제1구동신호 출력단자, (23)은 이 제1구동신호 출력단자(22)에 구동신호가 출력되면 동작상태로 되는 응답메시지 송출회로로서, 발호자에 대해서 암증번호의 송신을 재촉하는 메시지를 송출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24)는 제어회로(19)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회로(18)의 전화번호의 기억동작시 상기 다이얼 조작단추(13)의 번호에 대응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25)는 제어회로(19)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자동다이얼동작시 상기 메모리회로(18)에서 호출된 전화번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자로서, 상기 다이얼신호 발생회로(14)에 접속되어 있다. (26)은 발호자로부터 암중번호로서 송신되는 신호, 즉 DTMF신호를 수신하는 DTMF신호 수신회로로서, 코드화된 신호를 제어회로(19)에 출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27)은 상기 DTMF신호 수신회로(26)에 의해서 수신된 번호가 기억되는 수신번호 메모리회로, (28)은 상기 훅 제어회로(10)에 의한 전화회선의 폐결동작이 행하여진 후 동작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회로(18)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상기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에 기억되어 있는 번호와의 조합(照合)을 하는 번호 조합회로로서, 그 번호가 합치된 때 H(고)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출력단자(29) 및 그 번호가 합치하지 않았을 때 H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출력단자(3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회로에 있어서, 메모리회로(18)에는 가입자 번호, 시내 국번 및 시외 국번이 기억되어 있지만, 상기 번호 조합회로(28)에 의한 조합동작은 예를 들면 가입자 번호, 즉 아래 4행의 번호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31)은 상기 번호 조합회로(28)의 제1출력단자(29)에 H레벨 신호가 출력되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2구동신호 출력단자, (32)는 이 제2구동신호 출력단자(31)에 구동신호가 출력되면 동작상태로 되는 제1메시지 송출회로로서, 발호자에 대해서 암증번호와의 합치가 행하여진 것에 대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작용를 갖고 있다. (33)은 상기 번호 조합회로 (28)의 제2출력단자(30)에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3구동신호 출력단자, (34)는 이 제3구동신호 출력단자(33)에 구동신호가 출력되면 동작상태로 되는 제2메시지 송출회로로서, 발호자에 대해서 암증번호와의 합치가 행하여지지 않은 것에 대한 메시지를 송출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35)는 상기 번호 조합회로(28)의 제1출력단자(29)에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면 동작상태로 됨과 동시에 상기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에서 출력되는 호출신호와는 다른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 (36)은 이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에서 출력되는 호출신호를 중폭하는 증폭회로로서, 그 출력신호는 상기 트랜스(5)를 구성하는 제3권선(37)에 인가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38)은 상기 중폭회로(36)에 의해서 증폭된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전화기회로(11)에 안내하려고 접속되어 있는 스위치회로로서, 상기 제1메시지 송출회로(32)로부터의 메시지가 송출된 후 호출신호를 전화기회로(11)에 안내하려고 상기 제어회로(19)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 구성에 있어서,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에서 출력되는 호출신호에 의한 호출동작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 즉 번호 조합회로(28)에 의한 번호의 합치동작에 따른 호출동작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 송수신기(12)를 전화기에서 떼어내면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가 부동작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발호자에게서 송신되는 번호와 메모리회로(18)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합치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2메시지 송출회로(34)로부터 메시지가 송출된 후 훅 제어회로(10)의 동작에 의해서 전화회선의 폐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훅 제어회로(10)에 의한 착신동작 후 예를 를면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에 의한 호출동작이 행하여지고 있을 때에 발호자가 전화를 끊으면 전화회선의 신호변화를 검출하는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제어회로(19)의 동작에 의해서 전화회선의 폐결 해제동작 및 각각의 회로의 복귀동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발호자 선택회로의 한 실시예는 구성되어 있고, 다음으로 이러한 회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발호자 선택회로의 기본적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메모리회로(18)로의 전화번호의 기억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전화번호의 기억동작은, 기억동작시에만 조작되는 기억용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기억동작 측으로 절환한 상태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조작스위치(15),(16) 및 (17)을 각각 조작함과 동시에 기억시기고 싶은 전화번호에 대응한 다이얼조작단추(13)올 조작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또한, 응답메시지 송출회로(23), 제1메시지 송출회로(32) 및 제2메시지 송출회로(34)에는 메시지가 기억되는 메시지용 메모리회로가 조입되어 있고, 메시지의 기억동작에 의해서 전화 소유자의 음성이 기억된다. 그리고, 이러한 응답메시지 송출회로(23)에 기억되는 응답용 메시지로서는, 예를 들면 「예, 00입니다. 당신 전화번호를 송신해 주십시오.」와 같은 것, 제1메시지 송출회로(32)에 기억되는 메시지로서는, 예를 들면 「호출을 행하고 있으므로 잠깐 기다려 주십시오.」와 같은 것' 제2메시지 송출회로(34)에 기억되는 메시지로서는, 예를 들면 「지금 전화에 나올 수 없으므로 후일 걸어 주십시오.」와 같은 것이 각각에게 기억된다.
이상과 같이 메모리회로(18)로의 전화번호의 기억동작 및 각각의 메시지의 기억동작은 행해지지만, 다음으로 전화장치로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전화를 걸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메모리회로(18)에 전화번호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사람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송수화기(12)를 전화기에시 때어낸 후 다이얼 조작단추(13)을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송수화기(12)를 전화기에서 때어내면 주지한 바와같이 혹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절환되어서 전화회선의 폐결동작이 행해진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다이얼 조작단추(13)을 조작하면 그 조작단추에 대응한 다이얼신호가 다이얼신호 발생회로(14)에서 출력되고 전화기회로(11)을 통해서 전화회선으로 송출된다. 이와 같이 다이얼 조작단추(13)을 조작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의 동작은 행해지지만, 다음으로 자동다이얼 조작에 의해서 전화를 거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조작은, 상기 송수화기(12)를 전화기에서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 전화를 거는 상대의 전화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는 조작스위치(15),(16),(17)을 자동다이얼용 조작단추의 조작으로폐성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예를 들면 제1조작스위치(15)를 압압 폐성시기면 메모리회로(18)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중 이 제1조작스위치(15)에 대응하는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호출되고, 제어회로(19)를 통해서 다이얼신호 발생회로(14)에 인가된다. 그 결과, 그 번호에 대응하는 다이얼신호가 상기 다이얼신호 발생회로(14)에서 출력되고, 전화기회로(11)을 통해서 전화회선으로 송출된다. 이러한 동작이 행하여져 전화의 소유자는 메모리회로(18)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의 사람에게 자동다이얼 조작에 의해 전화를 걸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화를 거는 경우의 동작은 행해지지만, 다음으로 발호자로부터 전화가 걸려을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발호자 선택동작의 동작 부동작을 선택하는 선택스위치(4)가 도시한 부동작 위치에 있을 때, 즉 통상의 전화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시한 상태로 있을 때에 전화회선에서 호출신호가 도래하면 제1다이오드 브릿지회로(2)를 통해서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에 호출신호가 인가된다. 그 결과, 상기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이 동작상태로 되고, 그 출력단자에 전자음화된 호출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에서 출력된 호출신호는, 선택스위치(4)를 통해서 트랜스(5)를 구성하는 제1권선(6)에 인가된다. 그 결과, 상기 트랜스(5)를 구성함과 동시에 스피커(7)이 부하로서접속되어 있는 제2권선(8)에 호출신호가 유기되고, 스피커(7)에서 호출음으로서 방음된다. 따라서 전화 소유자는,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인지하게 되고, 송수화기(12)를 전화기에서 떼어냄으로써 전화회선과의 폐결동작이 행하여져 발호자와 통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통상의 전화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의 동작은 행해지지만, 다음으로 선택스위치(4)가 도시한 상태의 반대측인 동작위치, 즉 발호자 선택동작을 행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선택스위치(4)가 동작위치에 있을 때 전화회선에서 호출신호가 도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호출신호발생회로(3)에서 호출신호가 출력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을 때 선택스위치(4)의 절환에 의해 트랜스(5)를구성하는 제1권선(6)으로의 신호 경로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스피커(7)에서 호출음이 방음되는 일은 없다.
상기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에서 출력된 호출신호는 선택스위치(4)를 통해서 제어회로(19)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단자(20)에 인가되고, 이 제어회로(19)에 의한 제어동작이 개시된다. 상기 제어회로(19)의 제어단자(20)에 호출신호가 인가되면 이 제어회로(19)에 설치되어 있는 훅 동작 제어신호 출력단자(21)에서 폐결동작을 행하기 위한 신호가 출력되고, 훅 제어회로(10)에 의한 전화회선의 폐결동작이 행해진다. 이러한 폐결동작이 행해진 후 제어회로(19)에 설치되어 있는 제1구동신호 출력단자(22)에 구동신호가 출력되어 제1응답메시지 송출회로(23)에 인가된다. 상기 제1응답메시지 송출회로(23)에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이 제1응답메시지 송출회로(23)이 동작상태로 되고, 메시지용 메모리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메시지, 즉 「예, 00입니다. 당신 전화번호를 송신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암증번호에 송신을 재촉하는 메시지가 출력되고, 전화기회로(11)을 통해서 발호자에게 송출된다. 이러한 메시지를 청취한 발호자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다이얼단추를 조작하면 각각의 단추에 대응하는 신호, 즉 DTMF신호가 전화회선으로 송출된다. 발호자로부터 송출된 DTMF신호는 제2다이오드 브릿지회로(9), 훅 제어회로(10) 및 전화기회로(11)을 통해서 DTMF신호 수신회로(26)에 인가된다. 이 DTMF신호 수신회로(26)에 발호자 측으로 송출된 DTMF신호가 인가되면 이 DTMF신호 수신회로(26)에서 번호에 대응해서 코드화된 신호가 출력되어 제어회로(19)에 입력된다. 상기 제어회로(19)에 입력된 코드화 신호는, 이 제어회로(19)를 통해서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에 인가되고, 이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에 기억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에 기억된 번호와 메모리회로(18)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와의 조합동작이 번호 조합회로(28)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에 기억되어 있는 번호와 메모리회로(18)에 기억되어 있는 번호가 합치한 경우에는, 번호 조합회로(28)에 설치되어 있는 제1출력단자(29)에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 및 제어회로(19)에 인가된다, 그 결과, 상기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가 동작상태로 되고, 상기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에서의 호출음과는 다른 호출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제어회로(19)에 설치되어 있는 제2구동신호 출력단자(31)에 구동신호가 출력되고 제1메시지 송출회로(32)에 인기된다. 상기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에서 출력된 호출신호는 증폭회로(36)에 입력되어 증폭된 후 트랜스(5)를 구성하는 제3권선(37)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스(5)를 구성함과 동시에 스피커(7)이 부하로서 접속되어 있는 제2권선(8)에 호출신호가 유기되고, 이 스피커(7)에 의해 호출음으로서 방음된다. 한편 상기 제1메시지 송출회로(32)에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이 제1메시지 송출회로(32)가 동작상태로 되고, 메시지용 메모리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메시지, 즉 「호출을 행하고 있으므로, 잠시 기다려 주십시오.」라는 암증번호가 합치한 것에 대응하는 메시지가 출력되고, 전화기회로(11)을 통해서 발호자에게 송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메시지의 송출동작이 행해지고 있을 때 스피커(7)에 의한 호출신호의 방음동작은 행해지고 있으나, 스위치회로(38)에 의해 호출신호의 전화기회로(11)로의 출력동작이 저지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1메시지 송출회로(32)로부터의 메시지만이 발호자에게 송출되게 되어, 발호자는 이 메시지를 명확하게 청취할 수 있다.
상기 제1메시지 송출회로(32)로부터의 메시지의 송출동작이 종료되면 스위치회로(38)에 의한 저지동작이 해제되고, 증폭회로(36)에 의해서 증폭된 호출신호가 전화기회로(11)을 통해서 발호자에게 송출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발호자는 송신되어 오는 호출음을 청취함으로써 착신 후의 호출동작이 행해지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전화 소유자는, 스피커(7)에서 방음되는 호출음에 의해 전화가 걸리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호출음의 상위에 의해 발호자 선택동작에 따른 호출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인지를 행한 후 전화 소유자가 송수화기(12)를 전화기에서 떼어내면 번호 조합회로(28) 및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가 부동작상태로 됨과 동시에 발호자와의 통화가 행해지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발호자로부터 송출되는 번호와 메모리회로(18)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합치하면 번호 조합회로(28)의 제1출력단자(29)에 H레벨 신호가 출력되어 전술한 동작이 행하여지지만, 합치하는 번호가 없었을 경우에는 번호 조합회로(28)의 제1출력단자(29)에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일은 없고,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에 의한 호출동작은 행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이러한 합치하는 번호가 없었을 경우에는, 상기 번호 조합회로(28)에 설치되어 있는 제2출력단자(30)에서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제어회로(19)에 입력된다. 그 결과, 상기 제어회로(19)에 설치되어 있는 제3구동신호 출력단자(33)에서 구동신호가 출력되어 제2메시지 송출회로(34)에 인가된다.
상기 제2메시지 송출회로(34)에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이 제2메시지 송출회로(34)가 동작상태로 되고, 메시지용 메모리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메시지, 즉 「지금 전화에 나올 수 없으므로 후일 걸어 주십시오.」라는 암증번호가 합치하지 않았던 것에 대응하는 메시지가 출력되고, 전화기회로(11)을 통해서 발호자에게 송출된다. 이러한 메시지의 송출동작이 행해진 후 제어회로(19)에 설치되어 있는 훅 동작 제어신호 출력단자(21)에서 전화회선의 폐결을 해제하는 신호가 출력되고, 훅 제어회로(10)에 의한 폐결 해제동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메모리회로(18)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합치하지 않은 전화번호의 사람으로부터 전화가 걸려 왔을 경우에는, 스피커(7)에서 호출음이 방음되지 않기 때문에, 장난전화나 틀린전화를 배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행하는 발호자 선택회로에 있어서, 메모리회로(18)에 기억시키고 있는 전화번호 중에서 지정한 전화번호만을 조합번호로서 사용하기 위한 기능을 부가한 경우에 관해서 제2도를 사용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제1도와 같은 회로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또한 제1도에 있어서의 제1메시지 송출회로(32), 제2메시지 송출회로(34) 및 스위치회로(38)은 생략하고 있다. (39)는, 번호 조합회로(28)에 의한 조합동작에 사용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회로(18)에 기억 되어 있는 전화번호 중에서 지정하는 조합번호 지정회로이고, 번호 지정용 스위치(40)이 폐성되어 있을 때 동작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고, 이 조합번호 지정회로(39)에 의한 번호 지정동작은 상기 번호 지정용 스위치(40)을 폐성 시킨 상태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15),(16) 및 (17)중의 지정시키고 싶은 번호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폐성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으로, 제2도를 사용해서 조합번호의 지정을 행한 때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러한 조합번호를 지정하는 동작은 번호 지정용 스위치(40)을 폐성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15),(16) 및 (17)중의 지정시기고 싶은 번호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폐성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예를 들면, 제1조작 스위치(15) 및 제2조작 스위치(16)을 폐성시키면 조합번호 지정회로(39)의 동작에 의해 번호 조합회로(28)에 의해 조합되는 전화번호가 이 제1조작 스위치(15) 및 제2조작 스위치(16)에 대응하여 메모리회로(18)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지정된다. 따라서, 제1조작 스위치(15) 및 제2조작 스위치(16)에 대응해서 메모리회로(18)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의 사람으로부터 전화가 걸려 왔을 경우에는 상기 번호 조합 회로(28)의 출력단자(29)에서 출력되는 H레벨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에서 출력되는 호출신호에 의한 호출동작이 행해지지만, 제3조작 스위치(17)에 대응해서 메모리회로(18)에 기역되어 있는 전화번호의 사람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온 경우에는 상기 번호 조합회로(28)의 출력단자(29)에서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에서 호출신호가 출력되는 일도 없이 호출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조합번호의 지정을 행한 때의 동작은 행해진다. 다음으로 제1도의 발호자 선택회로에 있어서 타어머회로를 설치하고, 이 타이머회로의 동작에 의해 발호자 선택동작의 동작·부동작을 설정한 시간에서 절환 동작시키도록 한 경우에 관해서 제3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제1도와 같은 회로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또한 제1도에 있어서 제1메시지 송출회로(32), 제2메시지 송출회로(34) 및 스위치회로(38)은 생략하고 있다. (41)은 시계기능을 갖고 있는 동시에 시각 설정 회로(42)에 의해 설정된 시간의 사이에 H레벨의 신호가 출력 되는 출력단자(43)을 갖는 타이머회로, (44)는 타이머회로(41)에 의한 제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 (45)는 상기 제어스위치(44)가 폐성상태에 있을때 타이머회로(41)의 출력단자(43)에서 출력되는 H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있는 동안 동작상태로 되는 스위치 절환회로, (46)은 이스위치 절환회로(45)가 동작상태로 있을 때 도시한 상태보다 반대측으로 절환되는 절환스위치로서, 상기 선택 스위치(4)의 제1단자(4b)에 접속되어 있는 공통단자(46a), 상기 선택 스위치(4)의 제2단자(4c)에 접속되어 있는 제1단자(46b) 및 트랜스(5)의 제1권선(6)에 접속되어 있는 제2단자(46c)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4)가 부동작 위치에 있는 때에 이 절환스위치(46)의 공통단자(46a)가 제2단자(46c)에 접속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트랜스(5)의 제1권선(6)에는 상기 호출신호 발생회로(3)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인가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3도를 사용해서 타이머회로(41)에 의한 발호자 선택동작의 동작·부동작의 제어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어스위치(44)가 개방상태로 절환스위치(46)의 공통단자(46a)가 제2단자(46c)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1도에서 설명한 동작이 행해지고, 또한, 제어스위치(44)가 폐결하고 있어도 절환스위치(46)의 공통단자(46a)가 제1단자(46b)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있고, 상기 선택 스위치(4)가 동작위치에 있으면 타이머회로(41)의 제어를 받는일이 없이 함상 발호자 선택 동작이 행해지지만, 다음으로 타이머회로(41)에 의한 제어를 받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동작은, 선택 스위치(4)가 도시한 부동작 위치에 있을 때에 제어스위치(44)를 폐성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시각 설정 회로(42)에 의하여 타이머회로(41)의 출력단자(43)에서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은 오후 10시에서 오전 6시까지로설정되어 있다고 하면, 그 시간 이외, 즉 오전 6시에서 오후 10시까지는 상기 타이머회로(41)의 출력단자(43)에는 L(저)레벨의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스위치 절환회로(45)는 부동작상태에 있고, 절환스위치(46)은 도시한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호출신호의 도래에 따라서 상기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에서 출력되는 호출신호는, 선택 스위치(4) 및 절환스위치(46)을 통해서 트랜스(5)를 구성하는 제1권선(6)에 인가되고, 제어회로(19)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단자(20)에 인가되는 일은 없고, 전화장치는 통상의 전화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상태로 있을 때에 설정한 시각, 즉 오후 10시로 되면 타이머회로(41)의 출력단자(43)에서 H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제어스위치(44)를 통해서 스위치 절환회로(45)에 인가된다. 그 결과, 상기 스위치 절환회로(45)가 동작 상태로 되고, 절환스위치(46)을 도시한 상태의 반대측으로 절환한다. 상기 절환스위치(46)이 도시한 상태의 반대측으로 절환되면, 상기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에서 출력되는 호출신호는 트랜스(5)를 구성하는 제1권선(6)에 인가되는 일은 없고 제어회로(19)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단자(20)에 인가되는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전화장치는 전술한 발호자 선택동작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 있을 때에 설정한 시각, 즉 오전 6시로 되면 타이머회로(41)의 출력단자(43)에서 출력되어 있던 H레벨의 신호가 L레벨로 반전한다. 그 결과, 스위치 절환회로(45)가 부동작상태로 되고, 절환스위치(46)이 도시한 상태로 복귀되어지므로, 전화장치는 통상의 전화장치로서 동작하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제어스위치(44)를 폐성시기면 전화 장치를 타이머회로(41)의 동작에 의해 통상의 전화장치 및 발호자 선택을 행하는 전화장치의 다른 2개의 동작상태로 자동적으로 절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발호자 선택 회로의 동작은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다이얼 동작을 행하는 전화번호의 기억 수가 3개인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그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일 단추를 조작함으로써 다이얼 동작을 행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조합하도록 하였으나, 단축 다이얼, 즉 다이얼 조작단추(13)의 특수조작을 행함으로서 메로리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호출하도록 된 전화장치에서 이 메로리회로에 기억 되어 있는 전화번호와의 조합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의 조합번호의 지정동작은 다이얼 조작 단추(13)을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응답 메시지 송출 회로(23)으로서 응답 메시지를 메로리회로에 기억시키도록 하였으나, 테이프레코더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호자 선택회로는, 착신동작 후 발호자로부터 송신되는 DIMF신호에 대응하는 번호와 메모리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번호가 합치된 때 호출신호를 방음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장난 전화나 틀린 전화로부터 전화 소유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호자 선택용의 암증번호로서 자동 다이얼 동작을 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이용하도록 하였으므로 전화 소유자가 특정한 상대에게 암증번호를 알릴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발호자가 암증번호를 잃어버린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동작 후 발호자로부터 송신되는 번호와 메모리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와의 조합동작이 행해지면 상기 조합동작에 관한 메시지가 발호자에 대해 송출되고, 또한 합치된 때에는, 호출 신호도 발호자에 대해 송출되도록 했기 때문에 발호자는 불안감을 갖지 않아도 좋도록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회로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중에서 조합번호로서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지정하는 조합번호 지정회로를 부가함으로써, 자동 다이얼 동작을 행하는 전화번호의 수가 많은 전화장치에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타이머회로를 부가하고, 이 타이머회로에 의해 발호자 선택동작의 동작 부동작을 절환하도록 하면, 발호자 선택동작을 행하는 시간을 한번 설정하면 매일 동일시간이 되면 발호자 선택동작을 행하는 상태로 자동적으로 절환되도록 되어, 대단히 편리하게 된다.

Claims (5)

  1.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호출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제1호출신호를 발생하는 제1호출신호 발생신호(3) 이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로부터의 제1호출신호를 수신하여 기동하는 제어회로(19), 이 제어회로(19)가 기동함으로써 제어를 받아서, 전화 회선의 폐결동작을 행하는 훅 제어회로(9), 이 훅 제어회로(9)의 폐결동작 후 상기 제어회로(19)의 제어를 받아서, 전화회선을 통하여, 발호자에게 암증번호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메시지의 송출동작을 행하는 응답 메시지 송출회로(23), 이 응답 메시지 송출 후 발호자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DTMF신호로 구성된 암증번호의 수신동작을 행하는 DTMF신호 수신회로(26), 이 DTMF신호 수신회로(26)로 수신한 암증번호를 일시 기억시켜 두는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 자동 다이얼 동작에 사용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기억 시키고 있는 메모리회로(18), 이 메모리회로(18)에 기억시키고 있는 전화번호와 상기 수신 번호 메모리회로(27)에 기억된 암증번호를 비교, 조합하여, 합치하면, 출력신호를 내는 번호 조합회로(28), 및 이 번호 조합회로(2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2호출신호를 발생하는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의 발호자 선택회로.
  2.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호출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제1호출신호를 발생하는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 이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로부터의 제1호출신호를 수신하여 기동하는 제어회로(19), 이 제어회로(19)가 기동함으로써 제어를 받아서, 전화회선을 폐결동작을 행하는 훅 제어회로(9), 이 훅 제어회로(9)의 폐결동작 후 상기 제어회로의 제어를 받아서, 전화회선을 통하여, 발호자에게 암증번호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메시지의 송출동작을 행하는 응답 메시지 송출회로(23), 이 응답 메시지 송출 후 발호자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DTMF신회로 구성된 암증번호의 수신동작을 행하는 DTMF신호 수신회로(26), 이 DTMF신호 수신회로(26)로 수신한 암증번호를 일시 기억시켜두는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 자동 다이얼 동작에 사용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기억시키고 있는 메모리회로(18), 이 메모리회로(18)에 기억시키고 있는 전화번호와 상기 수신 번호 메모리회로(27)에 기억된 암증번호를 비교, 조합하열 합치하여, 출력신호를 내는 번호 조합회로(28), 및 이-번호 조합회로(2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2호출신호를 발생하는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를 구비 상기 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에서 발생하는 제2호출신호를 전화회선을 통하여 발호자에게 송출하도록 한 것을 특정으로 하는 전환 장치의 발호자 선택회로.
  3.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호출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제1호출신호를 발생하는 제1호출 신호발생회로(3), 이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로부터의 제1호출신호를 수신하여 기동하는 제어회로(19), 이 제어회로(19)가 기동함으로써 제어를 받아서, 전화회선의 폐결동작을 행하는 훅 제어회로(9), 이 훅 제어회로(9)의 폐결동작 후 상기 제어회로(19)의 제어를 받아서, 전화회선을 통하여, 발호자에게 암증번호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메시지의 송출동작을 행하는 응답 메시지 송출회로(23), 이 응답 메시지 송출 후 발호자로부터 송신 되어 오는 DTMF신호로 구성된 암증번호의 수신동작을 행하는 DTMF신호 수신회로(26), 이 DTMF신호 수신회로(26)에서 수신한 암증번호를 일시 기억시켜두는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 자동 다이얼 동작에 사용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기억 시키고 있는 메모리회로(18), 이 메모리회로(18)에 기억시키고 있는 전화번호와 상기 수신번호 메모리(27)에 기억된 암증번호를 비교, 조합하여, 합치하면, 출력신호를 내는 번호 조합회로(28), 이 번호 조합회로(2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2호출신호를 발생하는 제2호출신호 발생신호(35), 및 상기 번호 조합회로(28)가 조합동작을 행한 후. 상기 제어회로의 제어를 받아서, 발호자에 대해, 메시지를 송출하는 메시지 송출회로(23)를 구비하여, 발호자로부터 송신되어 온 DTMF신호에 의하여 구성된 암증번호에 대해서의 대답을 발호자에 대해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의 발호자 선택회로.
  4.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호출신호를 검출 함으로써 제1호출신호를 발생하는 제1호출신호발생회로(3)이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로부터의 제1호출신호를 수신하여 기동하는 제어회로(19), 이 제어회로(19)가 기동함으로써 제어를 받아서, 전화회선의 폐결동작을 행하는 훅 제어회로(9), 이 훅 제어회로(9)의 폐결동작 후 상기 제어회로(19)의 제어를 받아서, 전화회선을 통하여, 발호자에게 암증번호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메시지의 송출동작을 행하는 응답 메시지 송출회로(23), 이 응답 메시지 송출 후 발호자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D TMF신호로 구성된 암증번호의 수신동작을 행하는 DTMF신호 수신회로(26), 이 DTMF신호 수신회로(26)에서 수신한 암증번호를 일시 기억시켜 두는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 자동 다이얼 동작에 사용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기억시키고 있는 메모리회로(18), 이 메모리회로(18)에 기억시키고 있는 전화번호와 상기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에 기억된 암증번호를 비교, 조합하여, 합치하면, 출력신호를 내는 번호 조합회로(28), 이 번호 조합회로(2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2호출신호를 발생하는제2호출신호 발생회로(35), 상기 번호 조합회로(28)에 의한 조합동작에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회로(18)에 기억시키고 있는 전화번호 중에서 지정하는 조합 번호 지정회로를 (39)를 구비하여, 발호자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암중번호에 합치하는 전화번호를 지정한 전화번호에 한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장치의 발호자 선택회로.
  5.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호출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제1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1호출 신호발생회로(3), 이 제1호출신호 발생회로(3)로부터의 제1호출신호를 수신하여, 기동하는 제어회로(19), 이 제어회로(19)가 기동함으로써 제어를 받아서 전화회선의 폐결동작을 행하는 훅 제어회로(9), 이 훅 제어회로(9)의 폐결동작 후 상기 제어회로(19)의 제어를 받아서 전화회선을 통하여, 발호자에게 암증번호의 송신을 요구하는 응답 메시지의 송출동작을 행하는 응답 메시지 송출회로(23), 이 응답 메시지 송출 후 발호자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DTMF신호로 구성된 암증번호의 수신 동작을 행하는 DTMF 신호 수신 회로(26),이 DTMF신호 수신회로(26)로 수신한 압증번호를 일시 기억시켜 두는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 자동 다이얼 동작에 사용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기억 시키고 있는 메모리 회로(18), 이 메모리회로(18)에 기억시키고 있는 전화번호와 상기 수신번호 메모리회로(27)에 기억된 암증번호를 비교, 조합하여, 합치하면, 출력신호를 내는 번호 조합회로(28), 이 번호 조합회로(28)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2호출신호를 발생하는 제2호출 신호 발생회로(35), 및 상기 제1호출 신호 발생회로(3)에서 출력 되는 제1호출 신호가 설정 시각에만 상기 제어회로에 가해지도록 한 타이머회로(41)를 구비하여, 상기 타이머회로(41)에 설정한 시각이 되면 발호자 선택 동작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한 것을 특정으로 하는 전화장치의 발호자 선택회로.
KR1019870009943A 1986-09-10 1987-09-09 전화장치의 발호자 선택회로 Expired KR900007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13380A JPS6367951A (ja) 1986-09-10 1986-09-10 電話装置の発呼者選択回路
JP213380 1986-09-10
JP61-213380 1986-09-10
JP222631 1986-09-19
JP61-222631 1986-09-19
JP61222631A JPS6376659A (ja) 1986-09-19 1986-09-19 電話装置の発呼者選択回路
JP227775 1986-09-25
JP61-227775 1986-09-25
JP61227775A JPS6382050A (ja) 1986-09-25 1986-09-25 電話装置の発呼者選択回路
JP61244373A JPS6398257A (ja) 1986-10-15 1986-10-15 電話装置の発呼者選択回路
JP61-244373 1986-10-15
JP244373 1986-10-15
JP61-255233 1986-10-27
JP255233 1986-10-27
JP61255233A JPS63109632A (ja) 1986-10-27 1986-10-27 電話装置の発呼者選択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666A KR880004666A (ko) 1988-06-07
KR900007611B1 true KR900007611B1 (ko) 1990-10-17

Family

ID=2752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943A Expired KR900007611B1 (ko) 1986-09-10 1987-09-09 전화장치의 발호자 선택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802202A (ko)
KR (1) KR900007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7307A (en) * 1988-06-13 1993-11-30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EP0347155B1 (en) * 1988-06-13 1998-09-23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storing caller inform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id apparatus
US5062133A (en) * 1989-07-07 1991-10-29 Logotronix Incorporated Multi-function telephone call management system
JPH0334352U (ko) * 1989-08-11 1991-04-04
US5228075A (en) * 1989-11-29 1993-07-13 Hyundai Electronics Co., Ltd. Telephone capable of selectively accepting callers and enabling partial recognition of callers
GB2240903B (en) * 1990-02-13 1994-07-13 Proton Communications Automatic telephone call interceptor and interrogator devices
US5157712A (en) * 1990-03-13 1992-10-20 Wallen Jr James Telephone nuisance call mitigation screening device
JP2735357B2 (ja) * 1990-04-26 1998-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
US5283818A (en) * 1992-03-31 1994-02-01 Klausner Patent Technologies Telephone answering device linking displayed data with recorded audio message
US5390236A (en) * 1992-03-31 1995-02-14 Klausner Patent Technologies Telephone answering device linking displayed data with recorded audio message
US5604791A (en) * 1993-10-13 1997-02-18 Lee; Shonh S. Single line telephone answering system with access security features
JP3229469B2 (ja) * 1993-12-07 2001-11-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7162550A (ja) * 1993-12-07 1995-06-23 Brother Ind Ltd 電話装置
US5991371A (en) * 1993-12-07 1999-11-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US5659607A (en) * 1993-12-07 1997-08-1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elephone set
US5673313A (en) * 1993-12-07 1997-09-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elephone set of distinctive ringing type wherein pattern of telephone number call signal is registered for determination of telephone number being called
DE4416384C2 (de) * 1994-05-09 1996-09-05 Raimund Dr Schmitz Verfahren zur akustischen Identifizierung eines Telefonanrufers
KR100247344B1 (ko) * 1997-05-21 2000-04-01 윤종용 전화단말장치에서발신자식별정보를이용한착신링발생제한방법
US6625270B1 (en) * 1998-09-09 2003-09-23 Tele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iltering incoming telephone calls
US6700957B2 (en) * 1998-12-07 2004-03-02 Curio, Ltd. Caller ID system with retransmitted caller ID information
US6298122B1 (en) * 1998-12-07 2001-10-02 Gregory L. Horne Caller ID system
US6697473B2 (en) 2000-12-04 2004-02-24 Bobby G. Batten Automated personalized telephone management system
US7388949B2 (en) * 2000-12-28 2008-06-17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System and method for audio caller identification service
US7254226B1 (en) 2001-05-08 2007-08-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nc. Call waiting priority alert
US20040233892A1 (en) * 2001-05-16 2004-11-25 Roberts Linda Ann Priority caller alert
US7085358B2 (en) 2001-06-25 2006-08-0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Visual caller identification
US7012999B2 (en) * 2001-06-25 2006-03-14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Audio caller identification
US7403768B2 (en) 2001-08-14 2008-07-22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Method for using AIN to deliver caller ID to text/alpha-numeric pagers as well as other wireless devices, for calls delivered to wireless network
US7315614B2 (en) 2001-08-14 2008-01-01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Remote notification of communications
US7269249B2 (en) * 2001-09-28 2007-09-11 At&T Bls Intellectual Proper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profile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an enhanced caller information system
US7079837B1 (en) 2001-11-06 2006-07-18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Caller identification queue for wireless telephones
US7315618B1 (en) 2001-12-27 2008-01-01 At&T Bls Intellectual Property, Inc. Voice caller ID
US6775364B2 (en) 2002-03-27 2004-08-10 Royal Appliance Mfg. Co.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sending a false system information tone on a telephone line
US7385992B1 (en) 2002-05-13 2008-06-10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Internet caller-ID integration
US20050073999A1 (en) * 2002-05-13 2005-04-0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Delivery of profile-based third party content associated with an incoming communication
US7586898B1 (en) 2002-05-13 2009-09-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hird party content for internet caller-ID messages
US7127488B1 (en) * 2002-07-23 2006-10-24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information related to a geographical location of a caller in an internet-based communication system
US7139374B1 (en) * 2002-07-23 2006-11-21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information related to a geographical location of a callee i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US7623645B1 (en) 2002-07-23 2009-11-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information related to a geographical location of a caller i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US8287340B2 (en) * 2003-04-17 2012-10-16 Par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ployee incentive game
US7283625B2 (en) * 2003-04-18 2007-10-16 At&T Bls Intellectual Property, Inc. Caller ID messag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s
US7978833B2 (en) * 2003-04-18 2011-07-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ivate caller ID messaging
US7443964B2 (en) * 2003-04-18 2008-10-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L.P. Caller ID messaging
US7463727B2 (en) * 2003-04-18 2008-12-09 At&T International Property, I, L.P. Caller ID messaging device
US7280646B2 (en) * 2003-04-18 2007-10-09 At&T Bls Intellectual Property, Inc. Dynamic Caller ID messaging
US7269412B2 (en) * 2003-05-29 2007-09-11 At&T Bls Intellectual Property, Inc. Caller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7239693B2 (en) 2003-06-30 2007-07-03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Network-based timed ring suppression
US7113586B2 (en) * 2003-06-30 2006-09-26 Edward Michael Silver Caller controlled network-based timed ring suppression
US7529564B2 (en) * 2003-06-30 2009-05-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imed ring suppressor
US7352854B1 (en) 2003-09-29 2008-04-01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Call waiting suppression
US7443967B1 (en) 2003-09-29 2008-10-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cond communication during ring suppression
US7609832B2 (en) * 2003-11-06 2009-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L.P. Real-time client survey systems and methods
US7623849B2 (en) * 2003-11-13 2009-11-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comprehensive originator identification services
US7672444B2 (en) * 2003-12-24 2010-03-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lient survey systems and methods us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6970546B2 (en) * 2004-01-12 2005-11-29 Bellsouth Intellecutal Property Corp. Intelligent remote caller ID
US20060002540A1 (en) * 2004-07-02 2006-01-05 Barrett Kreiner Real-time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 workload management
US8195136B2 (en) * 2004-07-15 2012-06-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of provid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lated registries and radiotelephone networks
US8243909B2 (en) 2007-08-22 2012-08-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ogrammable caller ID
US8160226B2 (en) 2007-08-22 2012-04-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Key word programmable caller ID
US20090306569A1 (en) * 2008-06-06 2009-12-10 Cook Carolyn F Tip bandage
US8929875B2 (en) 2013-05-13 2015-01-06 Lawrence R Youst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contact specific silent mode disabling capabiliti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4675A (en) * 1970-06-04 1972-02-22 Frank W Watlington Polling method utilizing telephone transmission and recording system
GB1435945A (en) * 1973-02-16 1976-05-19 Ansafone Ltd Telephone apparatus
US4006316A (en) * 1974-08-12 1977-02-01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Code-controlled detection and function actuating system
US4266098A (en) * 1978-11-03 1981-05-05 Novak Albert P Device to automatically screen incoming telephone calls, determine the identity of the caller and process the call accordingly
JPS56129469A (en) * 1980-03-14 1981-10-09 Fujitsu Ltd Transfer system of incoming call
US4387272A (en) * 1981-07-31 1983-06-07 Marcelo Castro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ubscriber phone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automatic phone-answering machine
US4446334A (en) * 1983-01-31 1984-05-01 Groff James W Telephone number coding device
JPS59208965A (ja) * 1983-05-12 1984-11-2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話機の呼出方式
DE3347331A1 (de) * 1983-12-23 1985-07-04 Fritz Kuke Kg, 1000 Berlin Stillschaltung fuer eine teilnehmereinrichtung
JPS60144055A (ja) * 1984-01-06 1985-07-30 Nec Corp 電話装置
DE3411206A1 (de) * 1984-03-27 1985-10-10 Telefonbau Und Normalzeit Gmbh,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herstellen und aufheben eines anrufschutzes bei an fernmelde-, insbesondere fernsprechvermittlungsanlagen angeschlossenen teilnehmergerae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666A (ko) 1988-06-07
US4802202A (en) 198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611B1 (ko) 전화장치의 발호자 선택회로
US4817133A (en) Party selecting circuit arrangement
KR0164372B1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EP0541087A1 (en) Facsimile receiving method and facsimile apparatus carrying out the method
SE9601364L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generering av ring-röst- meddelande hos automatisk telefonsvarare
SU158942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граничени вызовов
JP2775756B2 (ja) 保留自動解除機能付き電話交換機
JP2562638B2 (ja) 電話装置の発呼者選択回路
JP2786173B2 (ja) 留守番電話制御システム
KR100195012B1 (ko) 전화기의 오류 톤 송출 방지 제어 방법
KR100245624B1 (ko) 사용자설정 우선 메모기능을 갖는 전화기
JP2651694B2 (ja) 自動電話回線切替装置
JPS62189854A (ja) 電話信号方式
JPH0723099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1106660A (ja) 電話装置の発呼者選択回路
JPS6382051A (ja) 電話装置の発呼者選択回路
JPS63111747A (ja) 電話装置の発呼者選択回路
JPH07115453A (ja) 転送機能付電話機
KR920011159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의 착신자의 전화전환 및 키폰의 오프네트 콜 포워드 방식 및 회로
JPS58117763A (ja) 通話中離席した加入者の呼び戻し方式
JPS63109632A (ja) 電話装置の発呼者選択回路
KR950002334A (ko) 2라인 전화기를 이용한 자동응답, 녹음 및 착신전화전환장치 및 1라인 전화기를 이용한 자동응답, 녹음 및 멧세지 자동송출장치
JPH08163210A (ja) 電話機及び発信者/受信者識別方法
JPH01177255A (ja) 簡易交換機
JPS6490660A (en) Facsimile communic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10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101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