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280B1 - Telephone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Telephone contro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7280B1 KR900007280B1 KR1019870001760A KR870001760A KR900007280B1 KR 900007280 B1 KR900007280 B1 KR 900007280B1 KR 1019870001760 A KR1019870001760 A KR 1019870001760A KR 870001760 A KR870001760 A KR 870001760A KR 900007280 B1 KR900007280 B1 KR 9000072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lephone
- circuit
- control
- call
- val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동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아트.2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전화회선 6 : 제어부1: telephone line 6: control unit
10 : 착신검출회로 11 : 착신회수 계수 회로10: incoming call detection circuit 11: incoming call counting circuit
12 : 외출모우드 스위치12: go out mode switch
본 발명은 전화회선으로부터의 입력지령에 응답해서 기기를 제어하는 전화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in response to an input command from a telephone line.
최근 전화 회선으로부터의 입력지령에 응답해서 아파트 등의 주택내의 기기를 제어하는 전화제어장치가 개발되어 이미 실용화 되고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전화제어장치는 전화회선으로부터의 호출신호를 검출하므로서 응답제어로 들어가지만 전화 회선에는 전화제어장치 뿐만아니라 통화용의 전화기가 접속되어있고 더구나 회선 이용의 대부분은 통화용이다.In recent years, telephone control apparatuses for controlling devices in houses such as apartments in response to input commands from telephone lin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already in practical use. By the way, such a telephone control apparatus enters the answering control by detecting a call signal from the telephone line, but the telephone line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as well as the telephone control apparatus.
한편, 전화제어장치의 이용자는 대부분이 아파트등에 살고 있는 사람(이하, 주거인) 들로서 특히 외출한곳에서 사용되어진다. 예를들어 주거인이 짐에 있을 때에는 전화제어장치를 정지상태로 하며, 주거인이 외출해서 집을 비웠을 경우에는 전화제어장치를 작동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종래의 전화제어장치에 외출모우드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 외출모우드 스위치를 ON으로 했을때만 작동상태로 되는 전화제어장치가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주거인이 외출할때, 외출모우드 스위치를 ON으로 조작하는 것을 잊어버릴때가 있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users of the telephone control device are people who live in apartments or the like (hereinafter, residents), and are particularly used in places where they go out.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lephone control device be stopped when the tenant is in the baggage, and the telephone control device is in the operating state when the tenant is out of the house. Therefore, the telephone control apparatus which becomes an operation | movement state only when the outgoing mode switch is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telephone control apparatus and it turns ON is adopted. However, when a homeowner goes out, he sometimes forgets to turn the home mode switch ON.
이 경우, 당연히 전화제어장치의 이용은 전혀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같은 사정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재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외출모우드의 설정을 잊어버렸을 경우에도 장치의 이용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더구나, 그것을 이용할때에도 통화하기 위한 회선 이용에 하등의 지장을 주지 않는 신뢰성이 우수한 전화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is case, of course, use of the telephone control apparatus is impossible at all.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when a call is received in the ab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an be used even if the user forgets to set the outgoing mod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ly reliable telephone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전화제어장치는 전화회선으로 부터의 호출신호를 검출하는 각신 검출회로, 이 착신 검출회로의 검출회수를 계수((計數)하는 계수회로, 외출모우드시 전술한 계수회로의 계수값이 설정값 N1에 도달하면 응답제어를 실행하는 수단 및 비(非) 외출모우드시 전술한 계수회로의 계수값이 설정값 N2(>>N1)로 도달하게 되면 응답제어를 실행하는 수단을 지니는 제어부로 구성된다.In the telephon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nting circuit for detecting a call signal from a telephone line is set, a counting circu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detections of the incoming detecting circuit, and a counting value of the counting circuit described above in the outgoing mode. Means for executing response control when the value N 1 is reached, and means for executing response control when the count value of the above-mentioned counter circuit reaches the set value N 2 (>> N 1 ) in a non-outdoor mode. It consists of a control unit.
전화회선으로 전송되어 오는 호출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회수를 계수하여 계수값이 설정값에 도달하게 되면 응답제어를 실행한다.When the call signal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line is detected, the number of times of detection is counted, and when the count value reaches the set value, response control is executed.
이 경우 외출모우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계수값에 내한 설정값을 N1으로 해서 신속하게 응답제어를 실행한다.In this case, when the outgoing mode is set, response control is executed quickly by setting the internal limit value of the count value to N 1 .
다만, 비 외출모우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계수값에 대한 설정값을 N2(>>N1=20)로 하여 통화를 위한 회선 이용을 우선 시킨 상태에서 응답제어를 실행한다.However, if the non-outgoing mode is set, response control is executed with the setting value of the count value as N 2 (>> N 1 = 20) with priority on the line for the call.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에 있어서, 전화회선(1)에 스위치(2) 및 트랜스(3)를 거쳐서 D.T.M.F.(DualTone Multi Frequeney) 신호판정회로(4) 및 음성회답회로(5)를 접속한다.1, the D.T.M.F. (DualTone Multi Frequeney) signal determination circuit 4 and the
D.T.M.F.신호판정회로(4)는 외부의 전화기로부터 전화회선(1)을 통해서 전송되어오는 D.T.M.F.신호(코우드 신호)의 내용을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를 제어부(6)로 제공한다.The D.T.M.F.signal determination circuit 4 determines the content of the D.T.M.F.signal (woo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lephone via the
음성회답회로(5)는 제어부(6)의 지령에 따른 음성정부를 트랜스(3)로 출력하는 것이다.The
제어부(6)는 D.T.M.F.신호판정회로(4)의 판정결과에 따라서 피(被)제어기기(예를들면 공기조화기, 조명기구, 목욕탕, 조리기등)(7)를 제어하는 동시에 그 피제어기기(7)의 상태를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를 음성회답회로(5)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또한, 전화회선(1)에 착신검출회로(10)를 접속한다.The
이 착신검출회로(10)는 전화회선(1)을 통해서 전송되어 어는 호출신호(16Hz 의 신호)를 검출하여 그것을 검출할 때 마다 논리"1"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파형성형 회로를 사용한다. 그리고, 착신검출회로(10)의 출력을 착신희수 계수회로(11)로 공급한다. 이 계수회로(l1)는 착신검출회로(10)로 부터 출력되는 논리"1"신호를 계수하여 그 계수값이 설정값에 도달하면 거기에서 논리"1"신호를 반신하는 것이다.The
단, 이 경우의 설정값인 외출모우드 스위치(12)의 설정 상태에 따른 두가지의 값이 있으며, 외출모우드스위치(12)가 ON일때(외출모우드시)는 설정값(N1)은 예를들면 "3"을 선택하고, 외출모우드 스위치(12)가 OFF일때(비 외출모우드시)는 실정값 N2(>>N1)은 예를들면"20"을 선택한다.However, there are two values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e of the outgoing mode switch 12, which is the setting value in this case, and when the outgoing mode switch 12 is ON (outgoing mode), the set value N 1 is, for example, "3" is selected, and when the outgoing mode switch 12 is OFF (non-outing mode), the actual value N 2 (>> N 1 ) selects "20", for example.
그래서, 계수회로(11)의 출력을 제어부(6) 및 전술한 스위치(2)로 공급하는데, 이 계수회로(1l)는 일정시간(예를 들면 10초 정도) 착신 검출회로(10)로 부터 논리"1"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계수값을 크리어(clear) 한다.Thus, the output of the
스위치(2)는 계수회로(11)의 출력이 논리"1"로 되었거나 통화용의 전화기의 수화기가 들려져 있을 때 각각 ON으로 된다. 또한, 통화용의 전화기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스위치(2)를 거쳐서 전화회선(1)로 접속된다.The switch 2 is turned ON when the output of the
다음, 전술한 바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특징적 사항인 외출모드설정시, 계수회로의 계수값이 설정값 N1에 도달하거나 혹은 재택모드 설정시, 계수회로의 계수값이 설정값 N1보다 큰 설정값 N3에 도달하면 입력지령에 응답한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지니는 제어부 및 착신회수를 검출하는 계수 회로의 동작을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unting value of the counting circuit reaches the set value N 1 at the time of setting outing mode,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when the home mode is set, the counting value of the counting circuit is higher than the set value N 1 .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having the function of executing control in response to the input command and the counting circuit for detecting the incoming number of times when the large set value N 3 is reach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외출모우드 스위치가 ON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때 외출모우드 스위치가 온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외출중이라고 판단하여 외출 모우드에서의 제어가 실행되면, 외출모우드 스위치가 OFF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재택중이라고 판단하여, 재택모우드에서의 착신제어가 실행되게 된다.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utgoing mode switch is turned on. At this time, when the outgoing mode switch is turned o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out, and when the control in the outgoing mode is executed, when the outgoing mode switch is turned off,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at home, and the incoming call control in the home mode is executed.
착신검출회로에서의 "1"출력의 계수값 N을 0을로 재설정한다. 전화선(1)으로부터 호출신호가 전송되어오면, 그것을 착신 검출회로(10)가 검출하고 검출회수를 계수회로(11)가 계수하며 호출신호(16Hz)는 1초간 ON, 2초간 OFF의 타이밍으로 발생된다.The count value N of the "1" output in the incoming call detection circuit is reset to zero. When the cal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착신 검출회로에서 "1"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1"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 단계가 반복된다. 따라서 계수회로(11)에서 논리 "1"신호가 출력되면 착신 회수 N가 가산되며, 가산된 착신회수 N가계수 설정값에 도달하지 않으면, 착신 회수 N를 다시 가산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가산된 착신회수 N가 계수설정값에 도달하면 스위치(2)가 ON됨으로서 전화가 의부와 연결되게 되고 동시에 제어부(6)는 응답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즉, 제어부(6)는 지령을 입력해도 좋다는 뜻으로 음성 정보를 음성회답회로(5)로 출력시킨다.This step is repeated when the "1" signal is not output by determining whether the "1" signal is output from the incoming detection circuit. Therefore, when the logic " 1 " signal is output from the
이 음성 정보는 트랜스(3) 및 스위치(2)를 거쳐서 전화하는 사람에게 전달되어서 전화를 건 사람이 바라는 지령을 나타내는 D.T.M.F.신호를 입력하면, 그것이 스위치(2) 및 트랜스(3)를 거쳐서 D.T.M.F.판정회로(4)로 전달되어 내용이 판정된다.This voi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aller via the
제어부(6)는 D.T.M.F.판정회로(4)의 판정결과에 따라서 피제어기기(7)를 제어하고 제어부(6)가 피제어기기(7)의 상태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음성회답회로(5)로 출력시키므로서, 그것이 전화를 건사람에게 전달되어 응답제어가 종료된다. 한편, 외출모우드 스위치(12)가 ON으로 조작되어 있으면, 즉 외출모우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계수회로(11)에서 논리 "1"신호가 출력되면 착신회수가 가산되고, 가산된 착신회수 N가 설정값 N1(=3)에 도달되면 스위치(2)가 ON되며, 동시에 제어부(6)가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주거인이 외출시는 3번의 호출신호로 응답제어로 들어가서 전화제어장치를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단, 외출모우드 스위치(12)가 OFF상태이면, 즉, 비 외출모우드(재택(在宅)모우드라고도 칭함)가 설정되어 있으면, 계수회로(1l)에서 논리"1"신호가 출력되면 착신회수가 가산되고, 가산된 착신회수 N가 설정값 N(=20)에 도달되면 스위치(2)가 ON되며 동시에 제어부(6)가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즉, 20번의 호출신호가 계속된 경우에만 응답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며, 주거인이 외출모우드 스위치(12)를 ON으로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출 하였을 경우에도 전화제어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전화 제어장치가 응답제어를 실행할때까지 약 1분의 호출시간을 확보하게 되므로 통화를 위한 회선이용을 우선 시킨 상태에서 응답제어를 할 수 있게된다. 즉, 주거인이 집에 있을 경우에도 통화를 위한 회선 이용에 하등의 지장을 주지 않는다. 더구나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호출 신호의 계수값에 대한 설정값 N1을 "3", N2를"20"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그렇게 해야할 필요는 없으며, 상황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하면 좋다.The
기타,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지를 마구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출모우드의 설정을 잊어버렸을 경우에도 전화제어장치를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화제어장치의 이용시에도 통화를 위한 회선 이용에 하등의 기장을 주지 않는 신뢰성이 우수한 전화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lephone control device can be used even when the setting of the outgoing mode is forgotten, and the telephone control device with excellent reliability that does not give any length to the line for the call even when the telephone control device is used. Can be provided.
Claims (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1-42931 | 1986-02-28 | ||
JP42931 | 1986-02-28 | ||
JP61042931A JPS62200854A (en) | 1986-02-28 | 1986-02-28 | Telephone control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8462A KR870008462A (en) | 1987-09-26 |
KR900007280B1 true KR900007280B1 (en) | 1990-10-06 |
Family
ID=1264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1760A Expired KR900007280B1 (en) | 1986-02-28 | 1987-02-28 | Telephone control system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2200854A (en) |
KR (1) | KR90000728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16253A (en) * | 1988-10-26 | 1990-04-2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Telephone control system |
JPH02279058A (en) * | 1989-04-20 | 1990-11-15 | Sanyo Electric Co Ltd | Facsimile equipment |
-
1986
- 1986-02-28 JP JP61042931A patent/JPS62200854A/en active Pending
-
1987
- 1987-02-28 KR KR1019870001760A patent/KR900007280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8462A (en) | 1987-09-26 |
JPS62200854A (en) | 1987-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46096B1 (en) | Proximity detector for initiating automatic callback | |
US5612994A (en) | Interphone system | |
US3360777A (en) | Pulse receiver responsive to plural code groups having predetermined time separation | |
US4943997A (en) | Device for communicating a doorside intercom set with a remote telephone | |
KR900007280B1 (en) | Telephone control system | |
US4813067A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selectively a telephone answering device or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facsimile machine, to telephone lines | |
US4572928A (en) | Key telephone system | |
US7003084B2 (en) | Telephone-controlled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0230488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by using telephone | |
US5537465A (en) | Integrated telephone and intercom system | |
JPH0828902B2 (en) | Telephone system | |
KR930009860B1 (en) | Wire / wireless selection control method of telecontroller | |
US5909288A (en) |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controlled start | |
JPH057909B2 (en) | ||
KR100238539B1 (en) | Circuit and method of detection of off-hook state | |
KR100194462B1 (en) | How to switch trunk line for home automation equipment in unmanned security system | |
JPS6490697A (en) | Telephone system | |
JPH0530228A (en) | Tele-control system | |
JP2507021B2 (en) | Telephone device | |
JP3538536B2 (en) | Terminal system for data communication | |
KR100245335B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all of video phone | |
JPH0517757Y2 (en) | ||
JP2747691B2 (en) | Housing information panel | |
JPS63276348A (en) | Telephone set system | |
JPH0537662A (en) | Event presence notic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509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610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61007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