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6655B1 -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판 - Google Patents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655B1
KR900006655B1 KR1019860011229A KR860011229A KR900006655B1 KR 900006655 B1 KR900006655 B1 KR 900006655B1 KR 1019860011229 A KR1019860011229 A KR 1019860011229A KR 860011229 A KR860011229 A KR 860011229A KR 900006655 B1 KR900006655 B1 KR 90000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roughness
average
steel sheet
press formability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216A (ko
Inventor
사이지 마쓰오까
다까시 오바라
고조 쓰노야마
슈니찌 쓰가와
시게루 고바야시
도시오 이찌다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9661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5120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9661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512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9661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512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9661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512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7708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46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7708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46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7708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467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야기 야스히로 filed Critical 가와사끼세이데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27Surface roughening or tex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7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3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roll bo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22Static electricity metal bleed-off metallic stock
    • Y10S428/923Physical dimension
    • Y10S428/924Composite
    • Y10S428/925Relative dimension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89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993Surface feature [e.g., rough, mirr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 Roll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판
제1도는 한계 드로잉비와 표면 조도 패턴에서의 규칙성 매개 변수(S값)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2도는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와 평균 오목거리(Lmv)의 곱과 인산염 처리 특성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3도는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올록부분의 평균 면적비와 스폿 용접성 또는 인장 전단 강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4도는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평균 볼록 반경(Rmp)에 대한 평균 오목 반경(Rmv)의 비와 내박마성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5도와 제6도는 강판의 표면 조도 패턴.
본 발명은 강판의 표면 조도 패턴을 조절하므로써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인산염 처리특성, 용접성 및 내박마성을 지니는 냉간압연 강판 및 도금 강판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판넬, 전기기구, 주방설비등에 사용되는 일반 특성을 갖는 냉간압연 강판은 딥드로잉(deep drawing)성이 특히 우수하여야 한다. 딥드로잉성(deep draw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판은 기계적 성질로써 높은 연성(El)과 높은 랜크포드 값(Lankford value ; r-값)을 가질 필요가 있다. 실제로 드로잉(특히, 자동차 판넬의 성형에서)작업은 플랜지 작업(flanging)과 함께 종종 이루어지므로 가공 경화지수(n-값)역시 중요하게 된다.
자동차용 외부 판넬이 경우, 도장후의 마무리 정도는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자동차 품질과 직결되는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더구나 베이킹(baking) 또는 인산염 처리를 위한 예비처리는 자동차용 강판에 있어서 중요하다. 즉, 인산염 처리 특성이 좋지 않으면, 충분한 베이킹 특성을 보장받을 수 없다.
자동차용 강판에 있어서는, 프레스된 부분을 스폿 용접까지 하여야하므로 강판의 스폿 용접성도 역시 중요시 된다.
프레스 성형에 있어서, 강판과 프레스 모울드(press mold)간에 시이징(들어붙음) 또는 소위 박마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박마는 틀(모울드:mold)에 손상을 주며 프레스 제품들의 상업적 가치등을 상당히 저하시킨다.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심한 부식 환경에 노출되는 자동차의 차체판으로서는 지금까지는 한쪽면만 처리된 강판이 쓰여 왔는바, 그 강판의 내면은 도금 또는 유기 피복 표면이며 그 외면은 냉간압연된 표면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차체판의 외면에 있어서도, 모래나 자갈등과의 충돌로 인하여 녹이 슬거나 박리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양면을 도금한 강잔이 최근 차체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용 강판이 차체에 조립되기 전에 여러 차례의 프레스 성형을 받기 때문에, 우수한 딥드로잉성을 가질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아연 도금 강판은, 아연 도금 코우팅으로 인해 보통의 냉간압연 강판에 비해 프레스 성형시 프레스 모울드(press mold)에 들어 붙기 쉽고, 딥드로잉성이 좋지 못하다.
딥드로잉에 관한 연구는 강판과 드로잉 기술의 두가지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강판에 있어서 요구 조건들은 제품의 정밀성 증가 및 복잡성과 함께 고급 및 다양화 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특히, 이와같은 경향은 자동차용 냉간압연 강판에서 특히 심하다.
예를들어, 현재에는, 차체를 조립할 경우에, 많은 프레스 부품들이 스폿 응접된다. 그러므로, 프레스되는 부품들을 특대형화 하거나 이들 프레스되는 부품들을 일체화시켜 스폿 용접 부분의 수를 줄일것이 요망되어 왔었다. 한편, 차체디자인은 각종 필요성에 따라 더욱 복잡화 되고, 따라서 통상의 냉간압연 강판으로는 성형이 어려운 부분들이 증가한다. 이와같은 필요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통상의 냉간압연 강판에 비해 우수한 프레스 성형을 가진 냉간압연 강판들을 사용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실제의 프레스 성형 가공에 있어서, 프레스 성형성의 수치 표준으로서는 지금까지 강판의 기계적 성질(r-값. E1,n-값)이 이용되어 왔으나, 이것들로는 충분치가 않다. 예컨데, 프레스 성형성은 강판의 표면조도, 윤활유등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프레스 성형성등에 강판의 표면 조도가 미치는 영향을 밝힌 공지된 몇가지의 기술이 알려져 있는바, 이를테면, "소성과 가공(plasticity and work)" 제3권 l4호(1962-3)에는 고점성 윤활유를 사용할때 드로잉성은 수 μm인 강판 표면 조도에서 최대로 개선된다는 사실이 게재되어 있다.
한편, 일본국 특허출원 공고 제59-34,441호에는 도장후의 외관 및 프레스 성형성은 롤 표면 조도로서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 Ra=2.8(μm)이고 PPI피크수(peak number)=226인 둔화 롤(dull roll)을 통해 냉간압연 강판을 조절 압연되게 함으로써 더욱 개선된다는 사실이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기술들은 프레스 성형성의 개선에 있어서는 우수한 것이지만, 강판의 표면 조도를 일정 수치까지 조절해야 한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제54-97,527호는 롤 표면 조도가 PPI=150인 롤을 통해 조절 압연되게 함으로써, 우수한 인산염 처리 특성을 갖는 냉간압연 강판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인산염 처리 특성은 우수하지만 프레스 성형성은 개선되지 않는다. 통상, 자동차에 사용되는 강판에는 인산염 처리 특성이 요구되며, 아울러 프레스 성형성 및 도장후의 상위 명확도(DOI)도 중요하다.
전술한 종래 기술로는, 선택적인 표면 조도(Ra,PPI)를 가지면서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인산염 처리 특성, 내박마성을 갖는 냉간압연 강판 및 도금 강판의 생산방법을 제시하지 못하였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고, 표면 조도 패턴에 방향성을 부여하고 또한, 중심선의 평균 표면 조도,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측정한 올록부분의 평균 면적비,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부분당 평균 면적,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측정한 볼록부분의 평균 반경, 및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측정한 오목부분의 평균 반경을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인산염처리특성, 용접성 및 내박마성을 갖는 냉간압연 강판과 도금 강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선의 평균 조도(Ra,μm)가 0.3∼2.0μm, 그리고 표면 조도의 규칙성을 나타내는 하기의 식으로 표시되는 적어도 한 방향의 규칙성 매개 변수(S)가 0.25이하임을 만족하는 표면 조도 패턴을 가지므로써,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연 강판 및 도금 강판이 제공된다.
Figure kpo00002
(Xi : 강판의 표면에서 올록부분의 정점간의 거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표면 조도 패턴은 또한,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부분당 평군 면적(SGr,μm2)이 2,000∼30,000임을 역시 만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표면 조도 패턴은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부분당 평균 면적(SGr,μm2)이 2,000∼30,000임을 또한 만족하고, 그리고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μm)와 평균 오목 거리(Lmv,μm)의 곱이 50이상, 평균 볼록 반경(Rmp,μm)에 대한 평균 오목 반경(Rmv,μm)의 비가 1보다 큼, 및 평균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올록부분의 평균 면적비(SSr,%)가 45이상인 조건에서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요구 조건을 더욱 만족토록 한다.
발명의 성공적인 실험 결과와 함께 본 발명을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다음표 1에 나타낸 화학 조성을 갖는 저탄소 알루미늄 킬드강으로된 2개의 냉간압연 강판을 시험 강판으로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2개의 시험 강판 각각을 한쌍의 틀을 통하여 조질압연시키고, 그중 적어도 하나는 0.8%의 압하율(draft)에서 레이저에 의한 둔화(dulling)처리하였다.(이후부터 레이저 둔화라고 표기함). 이경우, 조질압연 후의 강판의 표면 조도 패턴은, 레이저 둔화 처리 공정을 변화시킴에 따라 변화 되었다. 측정된 결과는 제1도에 나타나 있고, 여기서 S값은 강판의 압연 방향에서 측정한 값이다.
제1도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는 약 1.2μm이었고, 한편 한계 드로잉비는 S값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다. 프레스 성형성은 S≤0.25에서 크게 개선되었다.
더우기, 조질압연후 강판의 중심면에서 하나의 볼록부분당 평군 면적SGr(μm2)이2,000 내지 30,000으로 제한될때, 프레스 성형성은 더욱 개선되고 또한 상의 명확도도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또한, 강판의 조질압연후의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μm)와 평균 오목 거리(Lmv,μm)의 곱과 인산염처리 특성간의 관계를 표 l의 강판 B에 대해 조사하여 제2도에 나타낸 결과를 얻었다. 이경우 조질압연에서의 압하율은 0.8%이었고 S값은 0.18이었다.
인산염 처리 특성은 강판에 탈지, 물세척, 인산염 처리 및 다음에 기술하는 핀홀 시험을 행하였을때 핀홀면적비로 측정하였다. 또한, 인산염 처리는 일본 피커라이징 주식회사(perkerizing K.K.)제품인 BT 3112로써, 전체 산도를 l4.3, 자유 산도를 0.5로 조절하여 120초간 분무 시켜 실시하였다.
(핀홀 시험)
강판 표면의 인산염 결정 비피복부는 상(image)분석에 의해 핀홀 면적비로 숫자화되는 처리 이온과의 반응에 의한 색깔을 나타내게 하는 시약으로 함침된 여과지를 강판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측정하였다. 인산염 처리 특성의 평가 기준으로, 1은 핀홀 면적비가 0.5% 미만인 경우이고, 2는 비가 0.5∼2%인 경우이며, 3은 비가 2∼9%, 4는 비가 9∼l5%, 5는 비가 15%보다 큰 경우이다. 1과 2는 실제 사용상 아무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값이다.
제2도로부터 알수 있듯이, 인산염 처리 특성은 Ra×Lmv에 크게 의존하고 Ra×Lmv≥50에서 상당히 개선된다.
또한, 표면 조도(SSr,%)의 중심 평편에서 볼록부분의 핑균 면적비와 스폿 용접성(또는 인장 전단 강도)사이의 관계를 조질압연후 표1의 강판 B에 대해 조사하여 제3도에 나타낸 결과를 얻었다. 이경우, 강판 게이지(gauge)는 0.8mm이었고, 조질 압연에서의 압하율은 0.8%, S값은 0.15이었다.
스폿 용접성은 SSr에 크게 의존하였다. 스폿 용접 후 인장 전단 강도는 SSr≥45(%)에서 현저히 개선되었다. 스폿 용접 조건으로서, 용접 시간은 8초, 압착력은 190kg, 용접 전류는 7800A이었다.
또한,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의 평균 볼록 반경(Rmp,μm)에 대한 평균 오목 반경(Rmv,μm)의 비와 내박마성과의 관계를 조질압연후의 표 1의 강판 B에 대해 조사하여 제4도에 나타낸 결과를 얻었다. 이경우 조질압연에서 압하율은 0.8%, S값은 0.16이었다. 제4도에서 알수 있듯이, 주형의 내적하성(resistance to mold dropping off)은 Rmv/Rmp에 크게 의존하고, Rmv/Rmp>l에서 상당히 개선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기초 자료를 토대로 추가적인 연구를 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인산염 처리 특성, 스폿 용접성 및 내박마성을 갖는 냉간압연 강판 및 도금 강판이 아래에 기술한 제조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먼저, 강판의 표면 조도 패턴이 가장 중요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표면 조도의 규칙성을 나타내는 규칙성 매개 변수(S)는 강판 표면 상의 볼록부분의 정점들 사이의 거리가 X 일때 하기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kpo00005
평균 오목거리 Lmv는 제5도에 나타난 표면 조도 패턴에서 하기식으로 표시된다 :
Figure kpo00006
또한, 평균 볼록 반경 Rmp와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평균 오목 반경 Rmv는 표 6에 나타낸 표면 조도 패턴에서 하기식으로 각각 표시되고 :
Figure kpo00007
여기서, Sp는 중심 평면에서 볼록부분의 면적, Sv는 중심 평면에서 오목부분의 면적, np는 중심 평면에서 볼록부분의 수, nv는 중심 평면에서 오목부분의 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규칙성 매개변수 S는 적어도 한방향에 대하여 S≤0.25를 만족할 것을 요구한다. S>0.25일때에는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을 얻을 수 없다. 종래 냉간압연 강판에서, S값은 약 0.3∼0.5이다.
강판의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는 0.3∼2.0범위내이어야 함은 필수적이다. Ra<0.3μm일때에는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을 얻을 수 없고, Ra>2.0μm일때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강판과 같은 상명확도를 얻을 수 없다.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면적 SGr(μm2)은 2,000∼30,000범위 이내인 것이 필요하다. SGr<2,000일때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강판과 같은 상명확도를 실질적으로 얻을 수 없고, SGr>30,000일때에는 프레스 성형성이 떨어진다.
또한,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 Ra(μm)와 평균 오목거리 Lmv(μm)는 Ra×Lmv≥50의 관계를 만족시킬필요가 있다. Ra×Lmv
Figure kpo00008
50일때는 우수한 인산염 처리 특성을 얻을 수 없다.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볼록부분의 평균 면적비 SSr(%)는 45%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SSr
Figure kpo00009
45%일때에는 우수한 스폿 용접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평균 올록 반경 Rmp(μm)와 평균 오목 반경 Rmv(μm)는 Rmv/Rmp
Figure kpo00010
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Rmv/Rmp≤1일때에는 바람직한 내박마성을 얻을 수 없다.
강판상에 위의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규칙적인 표면 조도 패턴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조질압연의 표면 조도 패턴이 반드시 규칙적이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조질압연 롤을 방출 둔화처리(discharge dulling process) 또는 레이저 둔화 처리 또는 특별히 성형된 그리드(grid)를 사용한 숏 블라스트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윤활유의 종류 및 프레스 조전들은 선택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강판의 규칙적인 표면 조도 패턴의 효과는, 강판 표면의 오목부분의 윤활유가 볼록부분에 균일하게 공급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윤활 조건이 양호하게 된다는 것에 있다. 더우기, 강판과 프레스 주형사이의 마찰 상태는 볼륵부분의 금속-접촉부가 강판 표면에 규칙적으로 존재함에 따라 개선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인산염 처리에 관해서는, 강판의 표면 조도 패턴은, 확실하지는 않으나 인산염 결정핵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우기, 스폿 용접에서 강판 표면들 사이의 접합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스폿 용접성은 SSr≥45%에서 개선된다고 생각된다.
내박마성에 관해서는, 프레스 작업시 생성된 철 분말들이 Rmv/Rmp>1에서 오목부분으로 흘러 들어가는 경향이 있고, 강판과 프레스 주형 사이의 마손 현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기술하겠다.
하기표 2, 5, 8, 11, 14, 17, 20, 23 또는 26에 나타낸 화확 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전로 ―연속 주조 공정으로 생산하고, 1,250℃로 열침지하고, 조질압연―마무리 압연을 하여, 두께가 3.2mm인 열간압열 강판을 얻었다. 상기 강판을 산세척하고, 0.8mm의 두께로 냉간압연시켜서, 연속소둔(숙성(침지)온도 : 750∼850℃)하고 또 조질압연(압하율 : 0.8%) 하였다.
이경우, 숏 블라스트 또는 레이저 처리에 의해 둔화된 롤을 조집압연 롤로 사용하였다.
강판의 표면 조도는 중심선 평균 조도 Ra, 10개점의 평균조도 Rz 및 규칙성 매개 변수 S를 얻기 위해 L(압연)―방향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의 한 볼록부분당 평균 면적 SGr, 볼록부분의 평균 면적비 SSr, 편균 볼록반경 Rmp 및 평균 오목반경 Rmv 는 3차원 표면 조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장성은 JIS Z 2201에 정의된 No. 5시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랜크포드(Lankford)값은 3점 방법으로써 L-방향(압연방향), C-방향(압연 방향에 90°) 및 D-방향(압연 방향에 45°)에서 15%의 예비 인장 변형하에 측정하고, 이로부터 식 r=(rL+rC+2rD)/4에 따라 값을 계산하였다.
한계 드로잉(L.D.R.)는 32mm의 직경(dp)을 갖는 펀치로써 주형에서 딥드로잉(deep drawing)할 수 있는 강판의 최대직경(DOmax)을 측정함으로써 하기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
Figure kpo00011
드로잉 조건으로서, 드로잉 속도는 1mm/초이었고, 윤활유는 부식 방지유(오일식)이었다.
또한, 도금 강판은 조질압연(압하율 : 0.8%)으로 냉간압연된 강판을 아연 전기도금, Zn-Ni합금 도금 또는 Zn-Fe합금 도금시키거나 또는 냉간압연 강판을 아연 용융 도금시키고 추가적으로 조질압연(압하율 : 0.8%)시켜서 제조하였다.
[실시예1]
표 2는 사용한 냉간압연 강판의 화학 조성, 표 3은 조질압연 롤에 대한 둔화방법,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3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및 S≤0.25를 만족하는 냉간압연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을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표 3]
Figure kpo00014
[실시예 2]
표 5는 조질 압연 롤을 위한 둔화 방법(dulling method)도금의 종류, 표 4에 제시된 화학 조성을 갖는 도금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5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및 S≤0.25를 만족하는 도금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을 나타낸다.
[표 3]
Figure kpo00015
[표 5]
Figure kpo00016
[실시예 3]
표 6은 사용한 냉간압연 강판의 화학 조성. 표 7은 조질압연 롤에 대한 둔화방법 및 강판의 표면 조도와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7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및 2,000≤SGr≤30,000을 만족하는 냉간압연 강판에 비교강판에 비하여 도장(painting)후,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및 상의 명확도를 나타낸다
[표 6]
Figure kpo00017
[표 7]
Figure kpo00018
[실시예 4]
표 9는 조질압연 롤에 대한 둔화방법, 도금의 종류, 및 표 8의 화학 조성을 갖는 도금 강판의 표면 조도와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9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2.0, S≤0.25 및 2,000≤SGr≤30,000를 만족하는 도금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도장 후,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과 상의 명확도를나타낸다.
[표 8]
Figure kpo00019
[표 9]
Figure kpo00020
[실시예 5]
표 10은 사용한 냉간압연 강판의 화학 조성, 표 11은 조질압연 롤에 대한 둔화방법,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1l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를 만족하는 냉간압연 강판은 비교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후의 상의 명확도 및 인산염 처리 특성을 나타낸다.
[표 10]
Figure kpo00021
[표 11]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실시예 6]
표 13은 조질압연 롤에 대한 둔화방법, 도금의 종류, 그리고 표 12의 화학 조성을 갖는 도금 강판의 표면조도와 성질을 도시한 것이다. 표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및 Ra×Lmv≥50를 만족하는 도금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후의 상의 명확도 인산염 처리 특성을 나타낸다.
[표 12]
Figure kpo00024
[표 13]
Figure kpo00025
[실시예 7]
표 14는 사용한 냉간압연 강판의 화학 조성, 표 15는 조질압연 롤에 대한 둔화방법,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5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및 Rmv/Rmp
Figure kpo00026
1를 만족하는 냉간압연 강판은 비교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후의 상의 명확도 및 내박마성(resistance to galling)을 나타낸다.
[표 14]
Figure kpo00027
[표 15]
Figure kpo00028
[실시예 8]
표17은 조질 압연 롤에 대한 둔화 방법, 도금의 종류 및 표 16에 제시된 화학 조성의 도금 강의 표면 조도와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17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및 Rmv/Rmp>1을 만족하는 도금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과 도장후의 상의 명확도 및 내박마성을 나타낸다.
[표 16]
Figure kpo00029
[표 17]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1
[실시예 9]
표 18은 사용한 냉간 압연 강판의 화학 조성, 표 19는 조질 압연 롤에 대한 둔화 방법,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19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및 SSr≥45를 만족하는 냉간 압연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후의 상의 명확도, 및 스폿 용접성(spot weldability)을 나타낸다.
[표 18]
Figure kpo00032
[표 19]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실시예 10]
표 21은 조질 압연 롤에 대한 둔화 방법, 도금의 종류, 표 20에 제시된 화학 조성을 갖는 도금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21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및 SSr≥45를 만족하는 도금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 후의 상의 명확도 및 스폿 용접성을 나타낸다.
[표 20]
Figure kpo00035
[표 21]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실시예 11]
표 22는 사용한 냉간 압연 강판의 화학 조성, 표 23은 조질 압연 롤에 대한 둔화 방법,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23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Ra×Lmv≥50 및 Rmv/Rmp
Figure kpo00038
1을 만족하는 냉간 압연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 후의 상의 명확도 및 내박마성을 나타낸다.
[표 22]
Figure kpo00039
[표 23]
Figure kpo00040
[실시예 12]
표 25는 조질 압연 롤에 대한 둔화 방법, 도금의 종류, 표 20에 제시된 화학 조성을 갖는 도금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25에서 알 수 있는 바아같이, 본 발명에 다라 0.3≤Ra≤2.0, S≤0.25, 2,000≤SGr≤30,000, RaxLmv≥50, Rmv/Rmp>1을 만족하는 도금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상, 도장 후의 상의 명확도 및 내박마성을 나타낸다.
[표 24]
Figure kpo00041
[표 25]
Figure kpo00042
[실시예 13]
표 26은 사용한 냉간 압연 강판의 화학 조성, 표 27은 조질 압연 롤에 대한 둔화 방법, 강판의 표면 조도와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27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Ra×Lmv≥50 및 SSr≥45을 만족하는 냉간 압연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 후의 상의 명확도, 인산염 처리 특성 및 스폿 용접성을 나타낸다.
[표 26]
Figure kpo00043
[표 27]
Figure kpo00044
Figure kpo00045
[실시예 14]
표 29는 조질 압연 롤에 대한 둔화 방법, 도금의 종류와 표 28에 제시된 화학 조성을 갖는 도금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나타낸다. 표 29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Ra×Lmv≥50 및 SSr≥45를 만족하는 도금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 후의 상의 명확도, 인산염 처리 특성 및 스폿 용접성을 나타낸다.
[표 28]
Figure kpo00046
[표 29]
Figure kpo00047
[실시예 15]
표 30은 사용한 냉간 압연 강판의 화학 조성, 표 3l은 조질 압연 롤에 대한 둔화 방법과,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31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Rmv/Rmp
Figure kpo00048
1 및 SSr≥45를 만족하는 냉간 압연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 후의 상의 명확도, 내박마성 및 스폿 용접성을 나타낸다.
[표 30]
Figure kpo00049
[표 31]
Figure kpo00050
[실시예 16]
표 33은 조질 압연 롤에 대한 둔화 방법, 도금의 종류와, 표 32에 제시된 화학 조성을 갖는 도금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33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Rmv/Rmp
Figure kpo00051
l 및 SSr≥45를 만족하는 도금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 후의 상의 명확도, 내박마성 및 스폿 용접성을 나타낸다.
[표 32]
Figure kpo00052
[표 33]
Figure kpo00053
Figure kpo00054
[실시예 17]
표 34는 사용한 냉간 압연 강판의 화학 조성, 표 35는 조질 압연 롤에 대한 둔화 방법. 강판의 표면 조도 및 성질을 제시한 것이다. 표 35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Ra×Lmv≥50, Rmv/Rmp
Figure kpo00055
1 및 SSr≥45를 만족하는 냉간 압연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 후의 상의 명확도, 인산염 처리 특성, 내박마성 및 스폿 용접성을 나타낸다.
[표 34]
Figure kpo00056
[표 35]
Figure kpo00057
[실시예 18]
표 37은 조질 압연 롤에 대한 둔화 방법, 도금의 종류, 표 36에 제시한 화학 조성을 갖는 도금 강판의 표면 조도와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3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0.3≤Ra≤2.0, S≤0.25, 2,000≤SGr≤30,000, Ra×Lmv≥50, Rmv/Rmp
Figure kpo00058
l 및 SSr≥45를 만족하는 도금 강판은 비교 강판에 비하여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도장 후의 상의 명확도, 인산염 처리특성, 내박마성 및 스폿 용접성을 나타낸다.
[표 36]
Figure kpo00059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간 압연 또는 도금 강판의 표면에 규칙적인 표면 조도 패턴을 부여하고, 그 인자들을 소정 레벨로 제어함으로써, 우수한 프레스 성형성, 우수한 인산염 처리 특성, 내박마성 및 스폿 용접성을 갖는 냉간 압연 강판 및 도금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8)

  1.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 압연 강판에 있어서,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 μm)가 0.3∼2.0, 그리고 다음식으로 표시되는 표면 조도의 규칙성에서 적어도 한 방향에 대한 규칙성 매개 변수(S)가 0.25이하임을 만족하는 표면 조도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 압연 강판.
    Figure kpo00060
    (Xi : 강판의 표면에서 볼록 부분의 정점간의 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이 2,000∼30,000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 압연 강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이 2,000∼30,000이고, 또 중심의 평균 조도(Ra, μm)와 평균 오목 거리(Lmv, μm)의 곱이 50이상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 압연 강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이 2,000∼30,000이고, 또 평균 볼록 반경(Rmp, μm)의 비가 1보다 큰 것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 압연 강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이 2,000∼30,000이고,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볼록 부분의 평균 면적비(SSr, %)가 45이상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 압연 강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μm2)이 2,000∼30,000이고,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 μm)와 핑균 오목 거리(Lmv ,μm)의 곱이 50이상이며, 또한 평균 볼록 반경(Rmp, μm)에 대한 평균 오목 반경(Rmv, μm)의 비가 1보다 큰 것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 압연 강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이 2,000∼30,000이고,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 μm)와 평균 오목 거리(Lmv, μm)의 곱이 50이상이며,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볼록 부분의 평균 면적비(SSr,%)가 45이상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르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 압연 강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이 2,000∼30,000이고, 평균 볼록 반경(Rmp, μm)에 대한 평균 오목 반경(Rmv, μm)의 비가 l보다 크며, 또한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볼록 부분의 평균 면적비(SSr,%)가 45이상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 압연 강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이 2,000∼30,000이고,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 μm)와 평균 오목 거러(Lmv, μm)의 곱이 50이상이며, 평균 볼록반경(Rmp, μm)에 대한 평균 오목 반경(Rmv,μm)의 비가 1보다 크고, 또한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볼록 부분의 평균 면적비(SSr,%)가 45이상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 압연 강판.
  10.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에 있어서, 중심선 평균 조도(Ra, μm)가 0.3∼2.0, 그리고 다음식으로 표시되는 표면 조도의 규칙성에서 적어도 한 방향에 대한 규칙성 매개변수(S)가 0.25이하임을 만족하는 표면 조도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
    Figure kpo00061
    (Xi : 강판의 표면에서 볼록 부분의 정점간의 거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 2,000∼30,000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 압연 강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이 2,000∼30,000이고, 또한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 μm)와 평균 오목 거러(Lmv, μm)의 곱이 50이상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선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이 2,000∼30,000이고, 또한 평균 볼록 반경(Rmp, μm)에 대한 평균 오목 반경(Rmv, μm)의 비가 1보다 큰 것임을 더 만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이 2,000∼30,000이고, 또한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볼록 부분의 평균 면적비(SSr,%)가 45이상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이 2,000∼30,000이고,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 μm)와 평균 오목 거리(Lmv, μm)의 곱이 50이상이며, 또한 평균 볼록 반경(Rmp, μm)에 대한 평균 볼록 반경(Rmv, μm)의 비가 1보다 큰 것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
  16. 제l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이 2,000∼20,000이고,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 μm)와 평균 오목 거리(Lmv ,μm)의 곱이 50이상이며, 또한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볼록 부분의 평균 면적비(SSr,%)가 45이상임을 더 만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이 2,000∼30,000이고, 평균 볼록 반경(Rmp ,μm)에 대한 평균 오목 반경(Rmv, μm)의 비가 1보다 크며, 또한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볼록 부분의 평균 면적비가 45이상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도 패턴이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하나의 볼록 부분당 평균 면적(SGr, μm2)이 2,000∼30,000이고,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 μm)와 평균 오목 거리(Lmv, μm)의 곱이 50이상이며, 평균 볼록 반경(Rmp, μm)에 대한 평균 오목 반경(Rmv,μm)의 비가 1보다 크고, 또한 표면 조도의 중심 평면에서 볼록 부분의 평균 면적비(SSr,%)가 45이상임을 더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도금 강판.
KR1019860011229A 1985-12-24 1986-12-24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판 KR900006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96612A JPS62151206A (ja) 1985-12-24 1985-12-24 プレス成形性と耐型かじり性に優れる冷延鋼板
JP60296614A JPS62151208A (ja) 1985-12-24 1985-12-24 プレス成形性等に優れる冷延鋼板
JP60-296611~4 1985-12-24
JP296611 1985-12-24
JP296614 1985-12-24
JP60296611A JPS62151205A (ja) 1985-12-24 1985-12-24 プレス成形性に優れる冷延鋼板
JP296613 1985-12-24
JP60296613A JPS62151207A (ja) 1985-12-24 1985-12-24 プレス成形性と化成処理性に優れる冷延鋼板
JP296612 1985-12-24
JP61177081A JPH0784673B2 (ja) 1986-07-28 1986-07-28 プレス成形性、塗装後鮮映性に優れるめつき鋼板
JP177082 1986-07-28
JP61177083A JPH0784675B2 (ja) 1986-07-28 1986-07-28 プレス成形性および塗装後鮮映性に優れるめつき鋼板
JP177081 1986-07-28
JP61-177081~3 1986-07-28
JP61177082A JPH0784674B2 (ja) 1986-07-28 1986-07-28 プレス成形性、耐型かじり性もしくは塗装後鮮映性に優れるめつき鋼板
JP177083 1986-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216A KR870006216A (ko) 1987-07-10
KR900006655B1 true KR900006655B1 (ko) 1990-09-17

Family

ID=2756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229A KR900006655B1 (ko) 1985-12-24 1986-12-24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75599A (ko)
EP (1) EP0231653B1 (ko)
KR (1) KR900006655B1 (ko)
CN (1) CN1011121B (ko)
AU (1) AU579271B2 (ko)
BR (1) BR8606445A (ko)
CA (1) CA1275154C (ko)
DE (1) DE368681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2171A (en) * 1986-06-26 1993-01-26 Taiyo Steel Co., Ltd. Conductive and corrosion-resistant steel sheet
US4841611A (en) * 1986-07-14 1989-06-27 Kawasaki Steel Corporation Work roll with dulled surface having geometrically patterned uneven dulled sections for temper rolling
LU86531A1 (fr) * 1986-07-28 1988-02-02 Centre Rech Metallurgique Produit metallique presentant une brillance apres peinture amelioree et procedes pour sa fabrication
US4861441A (en) * 1986-08-18 1989-08-29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black surface treated steel sheet
US4978583A (en) * 1986-12-25 1990-12-18 Kawasaki Steel Corporation Patterned metal plate and production thereof
DE3905679A1 (de) * 1989-02-24 1990-08-30 Heidelberger Druckmasch Ag Metallfolie als aufzug fuer bogenfuehrende zylinder und/oder trommeln an rotationsdruckmaschinen
US4996113A (en) * 1989-04-24 1991-02-26 Aluminum Company Of America Brightness enhancement with textured roll
JP2704070B2 (ja) * 1991-10-30 1998-01-26 川崎製鉄株式会社 プレス金型摺動性に優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3067353B2 (ja) * 1991-12-09 2000-07-17 川崎製鉄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用シャッター材
US5250364A (en) * 1992-02-03 1993-10-05 Aluminum Company Of America Rolled product with textured surface for improved lubrication, formability and brightness
JP2762328B2 (ja) * 1992-07-16 1998-06-04 東洋鋼鈑株式会社 インナーシールド用素材およびその製造法
US5629099A (en) * 1993-06-30 1997-05-13 Nkk Corporation Alloying-treated iron-zinc alloy dip-plated steel sheet excellent in press-form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A2119938C (en) * 1994-03-25 1999-11-09 Andre F. Vigeant Enhanced protective metallic coating weights for steel sheet
JP2952660B2 (ja) * 1996-09-05 1999-09-27 日新製鋼株式会社 太陽電池基板用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太陽電池用基板,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US6129990A (en) * 1998-04-10 2000-10-10 R. E. Service Company, Inc. Copper/steel laminated sheet for use in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s
US6355360B1 (en) 1998-04-10 2002-03-12 R.E. Service Company, Inc. Separator sheet laminate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printed circuit boards
US6127051A (en) * 1998-04-10 2000-10-03 R. E. Service Company, Inc. Copper/steel laminated sheet for use in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s
JP4233726B2 (ja) * 2000-03-23 2009-03-04 新日鉄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電気接点安定性に優れた金属箔
US6783860B1 (en) 2001-05-11 2004-08-31 R. E. Service Company, Inc. Laminated entry and exit material for drilling printed circuit boards
TWI303672B (en) * 2002-07-29 2008-12-01 Jfe Steel Corp Coated steel sheet provided with electrodeposition painting having superior appearance
KR100955982B1 (ko) * 2005-03-31 2010-05-06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도막 밀착성, 가공성 및 내수소취화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냉연 강판 및 자동차용 강 부품
US20100180427A1 (en) * 2009-01-16 2010-07-22 Ford Motor Company Texturing of thin metal sheets/foils for enhanced formability and manufacturability
US20100330389A1 (en) * 2009-06-25 2010-12-30 Ford Motor Company Skin pass for cladding thin metal sheets
PL2495347T3 (pl) * 2009-10-26 2019-05-31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Stopowa blacha stalowa cienka cynkowana zanurzeniowo na gorąco i sposób jej wytwarzania
DE102010030465B4 (de) * 2010-06-24 2023-12-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lechformteils aus einem höherfesten Stahlblechmaterial mit einer elektrolytisch aufgebrachten Zink-Nickel-Beschichtung
CN102200423B (zh) * 2011-02-21 2012-10-03 刘汉平 用于钢板生产厚度均匀性提升的8∑标准板及其制法
WO2016055227A1 (de) 2014-10-09 2016-04-14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Kaltgewalztes und rekristallisierend geglühtes stahlflachproduk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EP4231330A1 (en) 2016-09-13 2023-08-23 Lg Innotek Co., Ltd. A deposition mask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DE102017103303A1 (de) 2017-02-17 2018-08-23 Voestalpine Stahl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tahlblechen
DE102017103308A1 (de) * 2017-02-17 2018-08-23 Voestalpine Stahl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tahlblechen
CN107442569B (zh) * 2017-07-21 2019-04-19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轧制金属带材的十八辊轧机
CN108559936B (zh) * 2018-04-23 2020-10-02 黄石山力科技股份有限公司 利用带花纹的基板生产镀锌板的方法及镀锌板
CN113172096B (zh) * 2021-05-10 2022-07-01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效控制花纹板豆高的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1544A (en) * 1955-09-27 1960-06-21 Renault Fluid control devices and elastic pressure-responsive valves
DE1247251B (de) * 1964-04-25 1967-08-17 Opel Adam Ag Ziehblech fuer Ziehteile
US3619881A (en) * 1969-01-17 1971-11-16 United States Steel Corp Cold rolling work roll
FR2290623A1 (fr) * 1974-11-06 1976-06-04 Lorraine Laminage Tole pour emboutissage profond ou extraprofond et procede d'obtention d'une telle tole
JPS548330A (en) * 1977-06-21 1979-01-22 Nihon Plast Co Ltd Preparation of wooden handle
LU80792A1 (fr) * 1979-01-15 1980-08-08 Ntre De Rech Metallurg Ct Voor Dispsitif et procede pour effectuer des perforations a la surface des cylindres de laminoirs
FR2476524A1 (fr) * 1980-02-27 1981-08-28 Sumitomo Metal Ind Procede pour travailler la surface d'un cylindre de laminage a froid
DE3137827C2 (de) * 1981-09-23 1984-05-10 Krupp Stahl Ag, 4630 Bochum Verfahren zum Aufrauhen der Walzenoberfläche einer Dressierwalze für das Nachwalzen von Feinblech
LU85267A1 (fr) * 1984-03-22 1985-10-14 Centre Rech Metallurgique Procede d'amelioration de l'etat de surface d'un cylindre
AU573111B2 (en) * 1986-01-17 1988-05-26 Kawasaki Steel Corp. Steel sheets for painting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79271B2 (en) 1988-11-17
CA1275154C (en) 1990-10-16
CN1011121B (zh) 1991-01-09
KR870006216A (ko) 1987-07-10
EP0231653B1 (en) 1992-09-23
DE3686816D1 (de) 1992-10-29
AU6690786A (en) 1987-06-25
EP0231653A3 (en) 1987-12-09
EP0231653A2 (en) 1987-08-12
BR8606445A (pt) 1987-10-20
CN86108640A (zh) 1987-08-19
US4775599A (en) 1988-10-04
DE3686816T2 (de) 199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655B1 (ko) 프레스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판
EP1439240A1 (en) METHOD FOR PRESS WORKING, PLATED STEEL PRODUCT FOR USE THERE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TEEL PRODUCT
EP0870847A1 (en) Rust preventive carbon steel sheet for fuel tank having good welding gastightness and anticorrosion after forming
US5336567A (en) Nickel alloy electroplated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press-formability and phosphating-treatability
CA2081645C (en) Hot-dip zinc-coated steel sheets exhibiting excellent press die sliding property
US486139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formable as-rolled thin steel sheets
KR100267624B1 (ko) 합금화 용융 아연도금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718627B2 (ja) 摺動性と塗装鮮映性に優れた亜鉛系めっき鋼板
JP2006061953A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904060B2 (ja) 打ち抜き加工性と成形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
US5178687A (en) Chromium containing steel sheet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nd workability
EP0492576B1 (en) Chromium containing high 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nd workability
JP2001247951A (ja) めっき密着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RU2823786C2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покрытый стальной лист для горячего пресс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горячепрессованная стальная деталь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US5322741A (en) Aluminum alloy sheet with improved formability and method of production
JP3068938B2 (ja) 成形性に優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784675B2 (ja) プレス成形性および塗装後鮮映性に優れるめつき鋼板
JPH0971879A (ja) 加工性に優れた燃料タンク用鋼板
Granzow Sheet formability of steels
JP6597947B1 (ja) 溶融Sn−Zn系合金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364596B1 (en) METHODS FOR PRODUCING Zn-Ni ALLOY-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RESS MOLDABILITY
JP2005305539A (ja) 高強度自動車用部材の製造方法
JPH0691305A (ja) 深絞り性と耐型かじり性と耐食性に優れた亜鉛系めっき鋼板
JPH0687001A (ja) 深絞り性と耐かじり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
Dinda et al. Worldwide Supply of Zinc Coated Sheet Steel for Automotiv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2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705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6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0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8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1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1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9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9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9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