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6506Y1 - 증기 보일러 - Google Patents

증기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506Y1
KR900006506Y1 KR2019870005474U KR870005474U KR900006506Y1 KR 900006506 Y1 KR900006506 Y1 KR 900006506Y1 KR 2019870005474 U KR2019870005474 U KR 2019870005474U KR 870005474 U KR870005474 U KR 870005474U KR 900006506 Y1 KR900006506 Y1 KR 900006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heating tube
water tank
pu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011U (ko
Inventor
김원길
최정만
Original Assignee
김원길
최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길, 최정만 filed Critical 김원길
Priority to KR2019870005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506Y1/ko
Publication of KR880020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06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11/00Feed-water supply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 F22D11/02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 F22D11/06Arrangements of feed-water pumps for returning condensate to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1/00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 F22B21/22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of form other than straight or substantially straight
    • F22B21/26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of form other than straight or substantially straight bent helically, i.e. coi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기 보일러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증기 펌프 내부의 밸브체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 증기 펌프 내부의 밸브체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일러 동체 2 : 단열재
3 : 증기가열관 4 : 수조
5 : 증기펌프 6 : 밸브체
6' : 통공 7 : 통수구
8 : 송수관 9 : 환수관
본 고안은 증기가열관 내부의 압력 변화와 수조의 수압에 의해 내부의 밸브체를 상, 하로 동작시키면스 증기 가열관과 수조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용 버어너를 설치하지 않아도 가스렌즈등을 이용하여 필요한때 임의로 간편하게 난방을 할 수 있도록 된 증기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증기 보일러는 수조의 중앙내부에 화실을 형성하고 화실의 화구에 버어너등을 설치하여 수조의 물을 가열하거나 화실에 가로 또는 세로로 배관된 가열 수관내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증기보일러는 산업용으로 용이토록 되어있을 뿐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이 용이치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조의 하방에 증기 펌프와 함께 증기가열관을 설치하여 통상의 가스 버어너로 수조의 물과 증기가열관의 물을 가열하면 증기압력에 의해 펌프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밸브체의 동작으로 가열된 물을 증기가열관에 공급하여 기화시킨 다음 기화된 증기를 배관라인으로 공급하여 난방을 할 수 있고 또한 배관라인을 순환하고 환수관으로 환수되는 증기와 온수의 압력에 의해 증기펌프의 밸브체를 작동시켜 환수된 물을 수조로 재공급할 수 있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열재(2)로 피복되어 있는 보일러동체(1)의 내부 상측으로 수조(4)를 형성하고 보일러봉체(1)의 내부 하측으로는 2열의 코일상으로 감겨 있는 증기가열관(3)을 설치하여 증기가열관(3)의 일단은 증기펌프(5)의 일측면과 연결하고 증기가열관(3)의 타단은 외부의 송관(8)과 연결한 다음 조절밸브(9')를 외부에 결합하고 있는 환수관(9)을 절곡하여 증기펌픔(5)의 중앙으로 결합한뒤 수조(4)와 증기펌프(5)를 연결하고 있는 통수구(7)와 환수관(9)의 끝단 사이로 상측 외주연부에 수개의 통공(6')을 천공하고 있는 밸브체(6)를 결합하여서된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주입구, 11-가스렌지, 11'-버어너 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보일러 동체(1)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주입구(10)로 물을 부어 수조(4)의 내부에 물을 채운뒤 공지의 가스렌지(11)위에 제1도와 같이 보일러동체(1)를 올려놓고 버어너(11')에 의하여 가열을 하는 것인바, 먼저, 수조(4)의 물이 증기가열관(3)으로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조(4)의 물에 의해 수압이 작용하게 되므로 통수구(7)를 통하여 물은 증기펌프(5) 내부로 유입하게 되는데 이때 증피펌프(5) 내부의 밸브체(6)는 제2도와 같이 환수관(9)의 끝단을 긴밀하게 막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어서 통수구(7)로 유입된 물은 당연히 증기펌프(5) 내부로 흘러들어 증기가열관(3)에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스렌지(11)의 버어너(11')에 의해 증기가열관(3)은 가열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므로 증기가 발생하거나 온수로 데워져서 송수관(8)으로 나가게 되는 것이어서 실내의 라디에이터 등에 공급되어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버어너(11')의 화력은 증기가열관(3)을 가열하는 동시에 수조(4)의 저면을 가열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므로 수조(4)의 물도 데워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어서 어느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일정한 온도로 데워진 물을 증기펌프(5)를 통하여 증기가열관(3)으로 공급하게 되어 그만큼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증기펌프(5) 내부의 밸브체(6)에 의해 증기가열관(3)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증기내지는 온수에 의한 난방을 할 수 있는 것이고 환수관(9)의 물을 수조(4)로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난방을 하고 순환되는 물은 환수관(9)으로 환수되나 증기가열관(3)과 송수관(8) 그리고 환수관(9) 내부의 수압이나 증기압이 수조(4)의 수압보다 낮을 때에는 수조(4)의 수압에 의해 밸브체(6)는 환수관(9)의 끝단을 긴밀히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환수관(9) 배부의 물은 밸브체(6)를 밀어올리지 못하여 토출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증기가열관(3)과 송수관(8) 또는 환수관(9)의 내부 압력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급기야는 이들의 내부압력이 수조(4)의 수압보다 높아지게 되는바, 이순간 환수관(9) 끝단으로 증기 내지는 온수가 토출하게 되고 따라서 밸브체(6)가 제3도에 표현한 바와같은 상태로 상측으로 이동하여 통수구(7)를 막게되는 반면 밸크체(6)의 상측 외주연부에 천공되어 있는 통공(6')이 노출이 되어지기 때문에 환수관(9)의 물은 통수구(7)를 통하여 제3도와 같이 수조(4)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증기 내지는 온수가 수조(4) 내부로 토출한 뒤에 환수관(9)과 송수관(8) 그리고 증기가열관(3)의 압력은 수조(4)의 수압보다 낮게되므로 다시 밸브체(6)는 제2도와 같이 환수관(9)의 끝단을 막고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밸브체(6)의 작용이 반복되면서 증기가열관(3)과 수조(4)로 물을 공급하여 줄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증기가열관(3)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증기펌프(5)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증기펌프(5)의 밸브체(6)가 상측으로 상승되면서 통수구(7)를 막아주는 것이므로 증기펌프(5) 내부의 물이 수조(4)로 직접 역류되는 현상이 없게되고 아울러 밸브체(6)가 상승시에는 밸브체(6)의 통공(6')으로 환수관(9)의 물이 토출되어 수조(4)로 공급되는 것이므로 증기가열관(3)의 내부 압력을 적절하게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난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증기펌프 내부의 밸브체가 압력의 변화에 의해 자동으로 대응을 하면서 증기가열관과 수조로 물 또는 증기를 공급하여 주는 것이어서 간단한 구성에 의한 실내의 면적 점유율을 좁힐수 있고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가스렌지로 물을 가열하는 만큼 연통이 없이도 매연이 발생치 않고 취급이 용이한 동시에 열효율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단열재(2)로 피복되어 있는 보일러 동체(1)의 내부 상측으로 수조(4)를 형성하고 보일러 동체(1)의 내부 하측으로는 2열의 코일상으로 감겨있는 증기가열관(3)을 설치하여 증기가열관(3)의 일단은 증기펌프(5)의 일측면과 연결하고 증기가열관(3)의 타단은 외부의 송수관(8)과 연결한 다음 조절밸브(9')를 외부에 결합하고 있는 환수관(9)을 절곡하여 증기펌프(5)의 중앙으로 결합한뒤 수조(4')와 증기펌프(5)를 연결하고 있는 통수구(7)와 환수관(9)의 끝단 사이로 상측 외주연부에 수개의 통공(6')을 천공하고 있는 밸브체(6)를 결합하여서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보일러.
KR2019870005474U 1987-04-16 1987-04-16 증기 보일러 Expired KR900006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474U KR900006506Y1 (ko) 1987-04-16 1987-04-16 증기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474U KR900006506Y1 (ko) 1987-04-16 1987-04-16 증기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011U KR880020011U (ko) 1988-11-29
KR900006506Y1 true KR900006506Y1 (ko) 1990-07-26

Family

ID=1926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474U Expired KR900006506Y1 (ko) 1987-04-16 1987-04-16 증기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5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649A (ko) * 2014-05-22 2015-12-02 임관순 보일러겸용 난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649A (ko) * 2014-05-22 2015-12-02 임관순 보일러겸용 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011U (ko) 198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0458A (en) Method of producing hot air and hot water for sanitary purpose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id method
US4570612A (en) Induced draft submerged burner
KR100393917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RU2076284C1 (ru) Стальной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фермер"
KR900006506Y1 (ko) 증기 보일러
US5433379A (en) Dual tank water heating system
US4194558A (en) Waste heat recovery device
US5437264A (en) Waste heat collector for domestic gas water heaters
TW202026575A (zh) 儲存保溫式電熱水器區間加熱構造(二)
KR200219771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WO2009059565A1 (fr) Système de chauffage à circulation unidirectionnelle du fluide
JPS6142020Y2 (ko)
GB1559958A (en) Water heating installation
KR920000504Y1 (ko) 휴대용 소형 온수보일러
KR102445167B1 (ko) 온수 및 난방수의 동시 사용이 가능한 보일러
KR200176376Y1 (ko) 가정용 보일러의 온수 예열장치
WO1988008105A1 (en) A device for preparing hot water by means of an external heating source
CN2215095Y (zh) 带保温结构的热水器
KR200215960Y1 (ko) 가정용 심야축열식 전기보일러를 사용한 온수공급장치
EP0198836A1 (en) Gas immersion heater
SU1260646A1 (ru) Солнечн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JPH0224043Y2 (ko)
JPS6039712Y2 (ja) 風呂釜
KR200242246Y1 (ko) 보일러 연통 온수시설 장치
JPS59176536A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4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4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0013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11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11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