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6441Y1 -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441Y1
KR900006441Y1 KR2019880007623U KR880007623U KR900006441Y1 KR 900006441 Y1 KR900006441 Y1 KR 900006441Y1 KR 2019880007623 U KR2019880007623 U KR 2019880007623U KR 880007623 U KR880007623 U KR 880007623U KR 900006441 Y1 KR900006441 Y1 KR 900006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late
coupled
printing table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7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2730U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기계
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기계, 이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기계
Priority to KR2019880007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441Y1/ko
Publication of KR890022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27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44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장치가 스크린 인쇄기에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5도 (a), (b)는 인쇄물을 재치하는 받침판을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린 인쇄기 2 : 스크린 고정구
3 : 인쇄테이블 4 : 높이조절부
6 : 레일 7 : 고정판
8 : 이동판 9 : 받침판
12 : 탄발스프링 13 : 고정보울트
14 : 간격유지링 15 : 지지판
16 : 조절보울트 17, 19 : 고정핀
18 : 인장스프링 41 : 나선축
42 : 조절링 43 : 주축대
81 : 구멍 82 : 단턱
91 : 고정너트
본 고안은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은 인쇄물이 재치되는 받침판을 에어실린더나 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우측 또는 전방으로 직선왕복운동시켜 인쇄물을 공급 및 회수하도록 되어 있고, 인쇄테이블을 받치는 축에 랙과 피니온이 결합되고 피니온을 회동시키는 전동모터 및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인쇄테이블의 높이를 상하조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이에 있어서는 인쇄물의 공급 및 회수작업은 편리하나 최초 인쇄물의 인쇄위치 설정작업시 받침판에 재치된 인쇄물을 일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크린틀을 결합한 고정구의 조정작업만으로 스크린등의 위치를 이동시켜 인쇄물의 인쇄위치를 설정하여야 하므로 인쇄위치 설정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인쇄테이블을 상하로 높이 조정하는 장치부분이 복잡하며 설치단가가 고가인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인쇄물을 재치하는 인쇄테이블의 받침판을 전후 또는 좌우측으로 조정되도록 하고, 인쇄테이블의 상하 높이조정장치 또한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여 용이하게 조작되게 한 것이며, 빠른 시간내에 인쇄물의 인쇄위치를 설정시켜 매우 능률적인 작업이 이루어져 높은 생산성을 얻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크린 인쇄기(1)의 스크린틀 고정구(2)하측으로 인쇄테이블(3)과 인쇄테이블(3)을 받치는 높이조절부(4)가 베이스(11)에 설치되며 상부에 있는 인쇄부(5)에 의해 인쇄테이블(3)에 재치된 인쇄물을 인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쇄테이블(3)은 하부에 높이조절부(4)가 결합되고 상부에 레일(6)이 설치된 고정판(7)과 레일(6)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판(8) 그리고 이동판(8)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수평이동되고 상부에 인쇄물(P)을 재치하는 받침판(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판(8)의 사방에는 마름모꼴을 이루게 구멍(81)을 천공하여 탄방스프링(12)에 의해 탄발되는 고정보울트(13)가 끼워지도록 하고 이 고정보울트(13)가 받침판(9) 저면의 사방 즉 이동판(8)의 구멍(81)과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된 고정너트(91)와 체결되도록 하여 탄발스프링(12)의 탄발력을 받은 고정보울트(13)가 받침판(9)을 이동판(8)쪽으로 당기게 하며, 받침판99)의 고정너트(91)와 고정보울트(13)에 끼워진 비금속 간격유지링(14)에 의하여 이동판(8)과 받침판(9)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동판(8) 상부의 전면 양측과 측면의 중심부분 적소에는 단턱(82)을 설치하며 이 단턱(82)과 대응되는 받침판(9)의 전면과 측면에 각 지지판(15)을 하향되게 고정하고 지지판(15)에 조절보울트(16)를 결합시켜서 이동판(8)의 단턱(82)과 조절보울트(16)이 끝단이 접하도록 하며 조절보울트(16)의 회동에 따라 받침판(9)이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동판(8) 상부의 전면과 측면에는 최소한 2개 이상의 고정된 고정핀(17)에 인장스프링(18)의 일단이 결합되며 인장스프링(18)의 타단은 이동판(8)의 고정핀(17)과 대응하도록 받침판(9)의 저면에 고정된 고정핀(19)에 결합시키므로 인장스프링(18)의 인장력에 의해 이동판(8)의 단턱(82)과 받침판(9)이 지지판(15)에 결합된 조절보울트(15)의 끝단이 항상 접한 상태를 유지시켜 이동판(8)과 받침판(9)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부(4)는 인쇄테이블(3)의 고정판(7) 저면 중심부에 고정되는 나선축(41)과 나선축(41)을 상하 이동시키는 조절링(42)과 조절링(42)은 바깥둘레 하부에 형성된 홈(421)에 복수개의 "ㄱ"자 클램프(21)를 결합하며 클램프(21)에 의해 주축대(43)에 고정되고, 조절링(42)의 핸들(22)을 잡고 회동시키면 나선축(41)이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인쇄테이블(3)을 동시에 이동시키므로 인쇄테이블(3)에 재치되어 인쇄되는 인쇄물(P)의 인쇄높이가 조정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3은 조절보울트(16)를 고정시키는 제동링, 24는 에어실린더, 25는 에어실린더(24)의 축과 이동판(8)을 고정시키는 고정편, 26은 스크린 인쇄기(1)의 작동제어부, 27은 고정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쇄테이블(3)을 받치고 있는 높이조절부(4)가 스크린 인쇄기(1)의 베이스(11)에 설치되고 에어실린더(24)를 스크린 인쇄기(1)의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에어공급장치에 연결 하게 되며 스크린틀(도시없음)을 스크린틀 고정구(2)에 결합시킨 다음 인쇄테이블(3)의 받침판(9)에 재치된 인쇄물(P)의 인쇄높이 및 위치를 설정하게 되고 설정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작동제어부(26)를 조작하여 스크린 인쇄기(1)을 구동시키면 에어실린더(24)가 작동하여 에어실린더(24)가 인쇄테이블(3)의 이동판(8)을 이동시키게 되며, 이동판(8)은 고정판(7)에 설치된 레일(6)을 따라서 인쇄물(P)을 공급 및 회수하는 전방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판(8)의 상부에 결합된 받침판(9)에 인쇄물(P)을 재치하게 되고 곧 에어실린더(24)의 작동에 따라 이동판(8)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인쇄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면 정지됨과 동시에 상부의 인쇄부(5)가 통상의 인쇄방법으로 인쇄물(P)에 원하는 문자 또는 도형 등을 인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동작중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물(P)의 높이 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높이조절부(4)의 조절링(42)에 체결된 고정구(27)를 푼 다음 핸들(22)을 잡고 회동시키면 나선축(41)이 상하 이동되므로 나선축(41)의 상부에 결합된 인쇄테이블(3) 전체가 상하 이동되어 인쇄테이블(3)의 받침판(9)에 재치되어진 인쇄물(P)의 인쇄높이를 조정하게 되고, 조정작업후 다시 고정구(27)를 조이면 조절링(42)과 나선축(41)이 고정되므로 인쇄물(P)의 높이조정 작업은 끝나게 된다.
한편 인쇄물(P)의 높이조정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인쇄물(P)의 인쇄위치를 맞추기 위해서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테이블(3)의 받침판(9) 전방 또는 측방에 설치된 3개의 조절보울트(16)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먼저 조절보울트(16)에 결합된 제동링(23)을 풀고 조절보울트(16)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5도(a)의 상태에서 제5도(b0와 같이 받침판(9)에 부착된 지지판(15)이 가상선의 위치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지지판(15)이 고정된 받침판(9)이 이동하게 되고 받침판(9) 저면의 고정너트(91)와 결합된 고정보울트(13)가 이동판(8)에 천공된 구멍(81)의 직경내에서 이동되어 받침판(9)의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3개의 조절보울트(16)의 상호조작에 의해 인쇄물(P)의 인쇄위치를 설정하게 되고 설정된 후 다시 제동링(23)을 조여서 조절보울트(16)의 회동을 정지시키게 되므로서 인쇄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높이조절부의 조절링과 받침판에 결합된 조절보울트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인쇄테이블의 높이 조정과 받침판의 수평조정이 용이하여 인쇄물의 인쇄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매우 능률적인 작업이 이루어져 높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스크린 인쇄기(1)의 스크린틀 고정구(2) 하측으로 인쇄테이블(3)과 인쇄테이블(3)을 받치는 높이조절부(4)가 베이스(11)에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인쇄테이블(3)을 하부에 높이조절부(4)가 결합되고 상부에 레일(6)이 설치된 고정판(7)과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판(8)과 이동판(8)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평이동되는 받침판(9)으로 구성시키며, 이동판(8)의 사방에 구멍(81)을 천공하여 탄발스프링(12)이 결합된 고정보울트(13)가 끼워지도록 하고 이 고정보울트(13)가 받침판(9) 저면에 부착된 고정너트(91)와 체결되도록 하며 고정너트(91)와 고정보울트(13)에 끼워진 간격유지링(14)에 의하여 이동판(8)과 받침판(9)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동판(8) 상부의 전면양측과 측면의 중심부분적소에 단턱(82)을 설치하며 이 단턱(82)과 대응되는 받침판(9)의 전면과 측면에 각 지지판(15)을 하향되게 고정하고 지지판(15)에 조절보울트(16)를 결합시켜서 단턱(82)에 조절보울트(16)의 끝단이 접하도록 하며, 이동판(8)의 상부전방과 측방에 고정된 고정핀(17)과 받침판(9)의 저면 후방 중심부에 고정된 고정핀(19)에 인장 스프링(18)을 결합시켜 인장력에 의해 이동판(8)의 단턱(82)과 받침판(9)의 조절보울트(15)의 끝단이 항상 접하게 하고, 상기 높이조절부(4)를 인쇄테이블(3)의 고정판(7) 저면 중심에 고정되는 나선축(41)과 나선축(41)을 상하 이동시키는 조절링(42)과 조절링(42)을 지지하는 주축대(43)가 결합되어 인쇄테이블(3)이 상하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
KR2019880007623U 1988-05-24 1988-05-24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 Expired KR900006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623U KR900006441Y1 (ko) 1988-05-24 1988-05-24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7623U KR900006441Y1 (ko) 1988-05-24 1988-05-24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730U KR890022730U (ko) 1989-12-01
KR900006441Y1 true KR900006441Y1 (ko) 1990-07-26

Family

ID=1927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7623U Expired KR900006441Y1 (ko) 1988-05-24 1988-05-24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915B1 (ko) * 2009-07-03 2011-05-06 장완섭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915B1 (ko) * 2009-07-03 2011-05-06 장완섭 판실린더의 대각방향 조정이 가능한 라벨인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730U (ko) 198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0029A1 (en) Glass plate cutting device
CN110842244A (zh) 一种板材加工用打孔装置
JP2000107474A (ja) パイピングを付けられたポケット開口の製作のための裁縫設備
CN111069765A (zh) 一种沙发加工用夹板生产装置
CN112474935A (zh) 一种折弯机上压刀自由调节装置
KR900006441Y1 (ko) 스크린 인쇄기의 인쇄테이블 조정장치
US5438922A (en) Automated textile printing apparatus
JP3083921B2 (ja) 工作機械の主軸の工具着脱装置
JP4164260B2 (ja) 多刃鋸盤における材料押さえ装置
US2629321A (en) Stenciling apparatus
KR930011792A (ko) 칩 부품의 프레스 장치
CN220295934U (zh) 一种精准开孔机构
JPH06143063A (ja) 卓上ロボット装置
US6185981B1 (en) Transmission control system for a wire forming machine
CN219030883U (zh) 一种具备主动式上料机构的自动印刷机
CN222004690U (zh) 一种pcb板的自动丝印机
CN213615187U (zh) 一种后盖螺丝补偿装置
JP2523455B2 (ja) 工作機器等の位置調整テ―ブル
CN223114383U (zh) 一种加工打标装置
CN216938247U (zh) 一种拉锁旋铆装置
CN220428238U (zh) 压头的支撑装置和压装设备
JPS6351818B2 (ko)
KR100517213B1 (ko) 천공장치의 벨마우스부재 상부지지장치
CN220808362U (zh) 一种剪水口设备的固定装置
CN213501374U (zh) 一种网版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05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805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9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12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12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726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511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