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049B1 - Training apparatus for track athletic sports - Google Patents
Training apparatus for track athletic spor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6049B1 KR900006049B1 KR1019850009423A KR850009423A KR900006049B1 KR 900006049 B1 KR900006049 B1 KR 900006049B1 KR 1019850009423 A KR1019850009423 A KR 1019850009423A KR 850009423 A KR850009423 A KR 850009423A KR 900006049 B1 KR900006049 B1 KR 9000060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ck
- control mechanism
- training support
- exercise
- exerci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a도는 트랙기구의 요부를 표시한 평단면도.Fig. 2A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track mechanism.
(b)는 트랙기구와 경사조절기구의 측단면도.(b) is a sectional side view of the track mechanism and the tilt adjustment mechanism.
(c)는 경사조절기구의 배면도.(c) is a rear view of the inclination control mechanism.
제3도는 콘트롤 기구의 근접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proximity switch of a control mechanism.
제4도는 근접 스위치에 의한 변속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hift state by a proximity switch.
제5도는 파지간(把持干)의 높이 조절수단의 요부 단면도.5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s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of the gripper.
제6도는 데이터 검지(檢知)수단중 보행수카운터와 맥박수카운터 및 콘트롤 기구 일부와 전기 케이블을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pedestrian counter, a pulse rate counter, a control mechanism, and an electric cable among data detection means.
제7도는 콘트롤 기구의 중앙 처리부에 각 기구가 연결 설치된 데이터 검지수단에 대한 각 기능과 콘트롤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s and control relationships for data detection means in which each mechanism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ntrol mechanism.
제8도는 콘트롤 기구의 패널 전체를 나타낸 정면도.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ntire panel of the control mechanism.
제9도는 본 장치의 콘트롤 계통도.9 is a control schematic diagram of the apparatus.
제10도는 운동 패턴 설정 모드.10 is a movement pattern setting mode.
제11도는 메모리 클리어 모드.11 is a memory clear mode.
제12도는 운동 반복 모드.12 is a motion repetition mode.
제13도는 운동 데이터 설정 모드.13 is a workout data setting mode.
제14도는 메모리 표시 모드.14 is a memory display mode.
제15a도 내지 (h)는 각 거리, 시간, 보행수, 보폭, 열량, 경사 단수, 변속, 맥박수의 각 운동 데이터 감시 모드.15A to 15H show the kinetic data monitoring modes for each distance, time, number of steps, stride length, calories, inclination, speed, and pulse rate.
제16도는 일시 정지 모드.16 is a pause mode.
제17도는 종료 모드.17 is an end mode.
제18도는 감시 항목 선택의 모드.18 is a mode of monitoring item selection.
제19도는 상승 경사 단수 조정 모드.19 is the rising slope stage adjustment mode.
제20도는 스타트 모드.20 is a start mod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트랙기구 2 : 경사조절기구1: track mechanism 2: tilt adjustment mechanism
3 : 콘트롤 기구 4 : 파지간3: control mechanism 4: holding gripping
8 : 운동자 11 : 하우징8: exerciser 11: housing
12 : 트랙벨트 18 : 총 운동거리 카운터12: Track Belt 18: Total Travel Distance Counter
23 : 피니언 24 : 랙23: pinion 24: rack
27,270,271 : 리미트 스위치 34 : 근접 스위치27,270,271: limit switch 34: proximity switch
42 : 러버터치 스위치 72 : 보행수 카운터42: rubber touch switch 72: walk count counter
111 : 지지구멍 339 : 데이터입력 표시근111: support hole 339: data input display root
342 : 조작키이 보-드342: Operation key board
본 발명은 무단(無端)형상 트랙벨트를 이용하여서 된 보행훈련 또는 달리기등의 트랙 훈련 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응용하여 운동상태 및 운동자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사전에 입력하여 운동 전체를 콘트롤 함과 동시에, 감시 항목의 선택적 표시, 기억 경고등의 기능을 갖는 트랙 훈련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k training support device such as walking training or running using an endless track belt, and more particularly, by applying a microcomputer to input various data regarding an exercise state and an athlete in adv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k training support device that controls the entire exercise and has functions of selective display of monitoring items and memory warning.
종래에 있어서 보행 훈련이나 달리기 기재로서는 "홈런너" 혹은 "건강용 자전거"등이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In the past, as a walking training or running substrate, a "home runner" or a "health bike" is known.
일반적으로 이러한 것에는 동력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총 운동 거리를 누적 표시하는 거리미터나 운동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Generally, these devices are not provided with a power means, and most of them are provided with a distance meter for accumulating and displaying a total exercise distance and a timer for setting an exercise time.
또한, 일부에는 엔드 레스 콘베이어(Conveyer)식의 트랙벨트를 이용하여서 된 보행 훈련 및 달리기용 장치도 있으며, 운동 선수의 체력 양성, 훈련이나 환자의 물리치료용(Rehabilitation)으로서 활용되고 있으나, 훈련량에 대한 콘트롤은 수동에 의해서만 된 것이 많고, 맥박수 측정등의 수단은 장치되어 있지 않았다.In addition, some of them also include walking training and running devices using endless conveyor belts, which are used for training athletes' physical fitness, training, or patient's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Many of these controls were only manual, and no means such as pulse rate measurement were provided.
상술한 바와같은 보행훈련이나 달리기용 기재는 특히, 동력수단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운동의 현실감이 부족하고, 이에 따라 운동을 지속적으로 행할 수 없는 큰 원인의 하나로 되어 왔다.The above-described walking training and running substrates, in particular, lack the realism of the exercise because they are not equipped with a power means, and thus have been one of the great causes of the inability to continuously carry out the exercise.
즉, 홈런너에 있어서는 총 달리기 거리를 누적 표시하는 미터가 한걸음 전진에 의하여 눈금을 한단위씩 앞으로 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차에 따라 큰 보폭을 보정할 수 없으며, 개개인의 운동거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었던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home runner, since the meter that displays the total running distance is forwarded by one step by one step forward, the stride length cannot be corrected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individual exercise distance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will be.
또한, 건강용 자전거에 있어서는 보행거리 및 보행속도가 상당히 정확하게 표시 되지만,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역시 현실감이 결핍되므로 트레이닝이 중단되는 경향이 많다.In addition, the walking distance and the walking speed are displayed quite accurately in a health bicycle, but in actual use, training tends to be interrupted because of lack of realism.
더우기 현대 인간 공학, 생리학에 있어서는 개개인의 체격, 연령, 몸의 상태(컨디션)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운동량과 운동 종류가 과학적으로 분명하게 기록될 수 있으므로 트레이닝 또는 물리 치료를 프로그램화하고, 또한 그때 마다 컨디션을 피드 백(feed back)시켜서 대응 콘트롤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을 감안할때, 종래의 방법은 비과학적이고 체력 안배에 불합리한 결점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Furthermore, in modern ergonomics and physiology, the most effective amount of exercise and type of exercise can be scientifically recorded according to individual physique, age, and physical condition, so that training or physical therapy can be programmed and Considering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back by feeding back,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n unscientific and unreasonable deficiency in physical arrangement.
다시말해서, 종래의 동력수단을 갖춘 트랙벨트는 속도 변경을 전적으로 수동 콘트롤에 의존하는 것이며, 운동자의 기초 체력 또는 운동시의 건강 상태에 맞추어 트랙벨트 속도를 피드 백 콘트롤 하는 것은 아직 없었던 것이다.In other words, the track belt with the conventional power means relies solely on manual control of the speed change, and there has not yet been a feedback control of the track belt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fitness of the athlete or the state of health at the time of exercise.
더우기 단순한 보행 혹은 달리기만이 아니고, 속도변화, 경사변화등을 운동자의 기초 데이터에 의거해서 프로그램 할수 있는 것도 아직 없으며, 운동자의 건강 상태를 자동적으로 파악하여 경고를 알려주게 되는 것도 아직 없다.Moreover, not only walking or running, but also speed change and slope change can be programmed based on the basic data of the exerciser, and the health status of the exerciser is not automatically detected and the warning is not yet provided.
따라서, 트랙벨트를 이용한 장치에 의해 운동 또는 훈련을 실시할때에는 경험이 풍부한 트레이너와 의사가 옆에서 시중을 들어야 하며, 운동자의 건강 상태에 주의 하면서 훈련이나 측정이 실시되지 않으면 안되었던 것이다.Therefore, when exercising or training by a track belt-based apparatus, experienced trainers and doctors should be on the side, and training or measurement should be carried out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health of the athlete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실정을 배경으로 한것으로 무단형상 트랙벨트를 이용하고, 구동수단을 갖추어서된 트랙 훈련 지원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를 응용하여 트랙벨트 속도 및 그 경사 단수의 자동 콘트롤, 운동자의 기초 데이터에 의거한 운동 프로그램, 운동자의 운동상태에 의거한 피드 백 콘트롤 및 안정 경고 조치를 종합적으로 실시하고, 또한 운동 데이터를 메모리할 수 있는 조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bove situation, in the track training support device using a stepless track belt, equipped with a driving means, by applying a microcomputer automatic control of the track belt speed and its number of inclinations, the basis of the athlet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prehensively implement an exercise program based on the data, a feedback control based on the exercise state of the exerciser, and a safety warning measure, and to provide measures to memorize the exercise data.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동 수단이 갖추어진 트랙벨트식 훈련지원장치에 있어서, 트랙기구, 경사조절기구, 콘트롤 기구, 파지간을 더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각 기구 및 파지간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ck belt type training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drive mean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track mechanism, the tilt adjustment mechanism, the control mechanism, the gripping between the configuration and each mechanism and gripping between It has the following structure.
트랙기구는 구동수단을 가지며, 주체가 되는 벨트 콘베이어식의 무단형상 트랙벨트를 유단(有段) 또는 무단 변속시켜서 됨과 동시에, 운동자에게 운동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The track mechanism has drive means, and the belt conveyor type endless track belt, which is the main body, is stepped or continuously shifted, and the exercise space is provided to the athlete.
상기 경사조절기구는 트랙기구 전단에 가까이 설치됨과 동시에, 경사 단수 변환 수단을 갖추어서 전술한 트랙기구를 여러 단계의 경사 단수로 나누어서 변화 경사되게 구성 되어 있다.The inclination control mechanism is installed near the front end of the track mechanism, and is equipped with an inclination stage converting means so as to change the inclination by dividing the aforementioned track mechanism into inclination stages of various stages.
상기 콘트롤 기구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중앙 처리부(CPU), 입출력 수단, PAM/ROM, 조작수단, 표시수단등을 구비하여 데이터 처리와 기억을 수행하며, 전술한 트랙기구와 경사조절기구의 자동 또는 수동 콘트롤을 실시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The control mechanism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 input / output means, a PAM / ROM, an operation means, a display means, etc. mainly for a microcomputer to perform data processing and storage. Or programmed to perform manual control.
상기 파지간은 트랙기구의 양측 상면에 트랙벨트를 끼워서 평행으로 입설(立設)되며, 높이 조절 수단과 러버터치 스위치를 갖추어서 된다.The gripping intervals are erected in parallel by sandwiching track belts on both upper surfaces of the track mechanism, and provided with height adjusting means and rubber touch switches.
이와같은 본 발명은 콘트롤 기구에 부설된 데이터 검지수단에 의해 항상 감시되는 데이터와 콘트롤 기구에 미리 입력된 운동자의 기초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경고 표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warning is displayed by comparing the data always monitored by the data detecting means attached to the control mechanism with the basic data of the exerciser previously input to the control mechanism.
본 발명은 상술한 수단에 의거해서 우선 콘트롤 기구의 주체를 이루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운동자의 기초 컨디션과 운동데이터를 입력함과 동시에, 운동거리, 시간, 속도, 순번등을 프로그램한 후, 운동을 시작 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puts the basic condition and exercise data of the exerciser to the microcomputer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control mechanism based on the above-described means, and then starts the exercise after programming the movement distance, time, speed, sequence, and the like. .
운동이 시작된 후에는 운동자와 콘트롤 기구간에 개설된 근접 스위치에 의해 트랙벨트의 활동(滑動) 속도를 변속 콘트롤하여서 됨과 동시에, 콘트롤 기구에 프로그램된 종류에 의거해서 트랙기구를 경사조절기구에 의해 어떤 종류인가의 경사 단수로 변환시킨다.After the start of the exercise, the speed of the track belt is shifted and controlled by the proximity switch established between the exerciser and the control mechanism, and the track mechanism is controlled by the inclination adjustment mechanism based on the type programmed in the control mechanism. Convert to the slope of the application.
또한, 속도 콘트롤은 상승상태에 있어서도 계속해서 실시된다.In addition, speed control is continued even in the ascending state.
작용도중 운동속도가 극단적으로 늦어진든가 맥박수가 너무 많아졌을 경우에는 경고수단에 의해 경고 표시함과 동시에, 경우에 따라서는 장치를 일시정지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If the movement speed becomes extremely slow or the pulse rate becomes too large during the operation, the alarm is displayed by the warning means, and in some cases, the device is programmed to pause the device.
그리고, 운동의 전 행정을 종료하였을 때에는 자동정지됨과 동시에, 종료한 운동의 각 데이터를 기억해 두게 된다.When the whole stroke of the exercise is finished, the automatic stop is performed, and each data of the finished exercise is stored.
또한, 데이터의 검색 호출도 당연히 가능하다.In addition, retrieval calls of data are naturally possib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EXAMPLE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트랙 훈련 지원장치는 트랙기구(1), 경사조절기구(2), 콘트롤 기구(3), 파지간(4)으로서 구성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track training sup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as a
트랙기구(1)는 "ㄷ"자형의 하우징(11)과 평판상의 트랙(12)을 주체로 하고 있으나, 하우징(11) 중앙의 "ゴ"자형 틀내에 벨트 콘베이어식의 무단상 트랙벨트(12)를 측으로 내설하여 이 트랙벨트(12)가 화살표(F) 방향으로 미끌어져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The
또한, 하우징(11)의 트랙벨트(12)를 끼운 양 길이측의 상면에는 한쪽으로 3개소씩 합계 6개소에 파지간(4)용의 지지구멍(111)을 마련하여 파지간(4)의 길이 조절을 할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각 파지간(4)용의 지지구멍(111)은 파지간(4)의 파이프 외경과 동일 내경의 구멍을 갖는 2개의 표주박 모양으로 하여 서로 원주(圓周)를 약간 겹치도록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간(4)사이의 폭을 소폭 범위내에서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Further, the support holes 111 for the gripping intervals 4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lengths of the
또한, 이 파지간(4)에 있어서는 다리부분에 높이 조절너트(41)를 마련함과 동시에, 파지간(4) 중앙부분에는 러버터치 스위치(42)가 길이조절겸 절연슬리이브(421)사이에 각기 권장되어 전기코드(35)에 의해 콘트롤 기구(3)와 연결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holding | gripping tool 4, the
상기 경사조절기구(2)는 상기 하우징(11) 전단에 고착된 박스(211)에 내설됨과 동시에, 이 박스(211) 상부에는 가동 아암(31)을 끼워서 콘트롤 기구(3)를 가동 유지하고 있다.The
또한, 상기 트랙기구(1)의 하우징(11) 후단에는 발판(13)을 그 전단 양측에 연결하여 착설시킨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제2도는 상기 트랙기구(1), 경사조절기구(2)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제2a,b,c도에 있어서 트랙기구(1)는 제2a도와 같이 "ゴ"자형 하우징(11) 전단부위에 구동 수단(14)을 내설함과 동시에, V벨트(142), 주동풀리(143), 전동 풀리(144)에 의해서 구동수단(14)의 회전 구동력을 하우징(11)내에 설치된 주동굴대축(15)에 전동한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하우징(11) 후단에는 주동굴대축(15)과 평행으로 하우징(11)에 설치된 종동굴대축(16)이 설치되어 있어서, 무한궤도 형상의 트랙벨트(12)를 양굴대(15)(16)상에 감아서 설치하여 전술한 구동수단(14) 및 V벨트(142), 주동, 전동 풀리(143)(144)에 의해 트랙벨트(12)를 일정 방향으로 활동 시키게 된다.The rear end of the
또한, 구동수단(14)은 전동 모우터등의 동력원(141)을 주체로 하여서 됨과 동시에, 이 동력원(141)에 의해서 전술한 트랙벨트(12)의 일정방향 이동속도는 시속 0-40km의 변속 범위내에서 유단 또는 무단 변속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14 is mainly composed of a
또한, 전술한 전동 풀리(144)에는 광전(光電)센서등에 의해서 이루어진 거리카운터(18)를 부설하여, 전동 풀리(144)의 회전수를 카운터 함과 동시에, 콘트롤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입력하여 트랙벨트의 속도 및 총 운동거리를 표시 할 때의 기초 데이터로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lectric pulley 144 is provided with a
또한, 표면측 트랙벨트(12)의 밑에는 하우징(11) 양측 및 주동, 종동 굴대축(15)(16) 사이를 덮도록 받침판(17)(제2도 (4)를 참조)을 마련하여 운동자의 체중을 떠받치고 있다.In addition, a base plate 17 (see FIG. 2) is provided under the surface
또 하우징(11) 전단과 인접하는 경사조절기구(2)의 박스(211)는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경사조절기구(2)는 제2b,c도와 같이 일부분을 제외하고 박스(211)에 내장되어 있으나, 이 박스(211) 내에는 감속수단을 갖춘 정,역회전 가능한 모우터(21)를 고정 설치하고 있는 것과 동시에, 이 모우터(21) 출력측 선단에 구동기어(28)를 고정 착설하여 전동기어(29)와 맞물리고 있으므로 모우터(2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때 전동기어(29)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전동기어(29)에 고정 착설 되어 있는 전동축(22)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되어 이 전동축(22) 양단에 마련된 피니언(23)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박스(211) 양측에 연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봉(棒) 형상의 랙(24)을 축선 방향에 연해서 하단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또한, 이 전동축(22)은 축수대(軸受臺)(212)에 의해서 박스(211)내의 정치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경사조절기구(2)의 박스(211)는 피니언(23)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구동에 따라서 랙(24)에 기어오르는 모양으로 상승되며, 제2b도의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211)와 일체적으로 고정착설된 트랙기구(1)의 전단이 상승하게 되어 바닥면(G)과의 사이에 경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랙(24)의 하단은 볼 조인트(25)로 지지시킴과 동시에, 이 볼조인트(25) 하측의 소켓트는 받침부가 성형되어 직접 바닥면(G)과 당접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또한, 트랙기구(1) 후단 부근의 하면에는 전술한 볼조인트(25)와 같은 받침부(112)를 마련하여 경사조절기구(2)에 의해 상승이 형성될시의 지지점이 된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near the rear end of the
다음에 경사조절기구(2)의 경사 단수 표시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2c도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27)와 랙(24)의 선단 내측면에 돌설된 작은 돌기(241)에 의해 단계적으로 그 경사 단수를 콘트롤 하여서 되는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것을 단수 표시하여 박스(211)의 최상 위치에 있는 리미트 스위치(270)를 0단, 그 밑의 리미트 스위치(271)을 1단, 이하는 동일하게 각 리미트 스위치와 대응하여 2단, 3단, 4단으로 하면, 각단의 리미트 스위치에 랙(24)의 작은 돌기(241)가 당접 할때, 그 단의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여 모우터(21)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2c도의 전동축(22) 위의 고착된 계측판(261)의 회전수를 계측하게 된다.Next, the inclination number display of the
즉, 광전센서등을 이용한 경사 단수 카운터(26)에 의해서 계측하고 콘트롤 구조(3)에 의해 경사조절기구(2)의 경사 단수 표시를 함과 동시에, 피드 백 콘트롤의 기초 데이터로 하게 된다.That is, the
다음에 제1도로 되돌아가서 콘트롤 기구(3)에 관해서 설명하면, 콘트롤 기구(3)는 "<"모양의 가동 아암(31)에 의해 경사조절기구(2)중의 박스(211) 상부에 추착됨과 동시에, 이 가동 아암(31) 각각의 상하단에는 조절 나사(32)를 마련하여 사용상의 실제에 맞추어 콘트롤 기구(3) 상부에 있는 표시 조작용 패널(33)을 전후로 이동시킨다든가 경사각도를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Next, returning to FIG. 1 and the
또한, 이 패널(33)은 밑변의 중앙에 근접 스위치(34)를 끼워서 설치하고, 운동자의 트랙벨트(12) 위의 위치에 맞추어서, 자동적으로 트랙벨트(12)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is
제3도에 의거해서 검지(檢知) 거리의 대역 설정이 가능한 공지의 근접 스위치(34)에 의한 트랙벨트 속도의 조절을 설명하면, 운동자(8)가 트랙벨트(12)위에서 보행 또는 달리기를 할때, 대략 흉부 위치에서 근접 스위치(34)가 발하는 초음파등을 반사함과 동시에, 동일한 근접 스위치(34)에 의해 반사파를 포착하므로 운동자의 보행 또는 달리기 속도가 트랙벨트(12)의 이동속도보다 빨리 전방방향으로 전진해가고 있을 때의 전진한계선을 A로하고, 근접 스위치(34)와 A와의 거리를 Da로 할때, 운동자(8)의 흉부가 A선에 이르는 경우에는 트랙벨트(12)의 이동속도가 자동적으로 한걸음씩 가속되어 운동자(8)가 트랙벨트(12)위의 표준 위치 D에 되돌아 오도록 하고 있다.Referring to the adjustment of the track belt speed by the known
다음에 운동자(8)의 달리기 속도가 트랙벨트(12)의 이동속도보다 늦고, 그 흉부가 후퇴한계선 B보다 후퇴하면, 즉 근접 스위치(34)로 부터의 거리가 Db보다 크게 되는 경우, 벨트(12)의 이동속도는 자동적으로 한걸음씩 감속되어 운동자가 전술한 표준 위치 D로 되돌아 오도록 하고 있다.Next, when the running speed of the
이러한 속도조절은 초음파등을 이용하여 검지거리가 대역 설정되는 공지의 근접 스위치(34)에 의해 항상 보행 또는 달리기 속도와 벨트 속도와의 상대 관계에 의거해서 그 변속이 한걸음씩 행하여져서 운동자(8)가 표준위치 D로 되돌아 갔을때, 변속이 정지된다(제4도의 콘트롤 시스템의 블럭도 참조).This speed control is performed by the known
제5도는 파지간(4)의 다리부분에 개설되어 파지간(4)의 높이 조절을 하는 높이 조절 너트(41)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제5도에 있어서 유니온 너트(411)는 유니온 죠인트를 응용하여 스리브 형상의 외부 파이프(415) 안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감합(嵌合)된 내부 파이프(414)를 단단히 조여 양쪽 파이프(414)(415)를 서로 고정 유지되는 것이며, 그 구조는 외부 파이프(415) 상단에 그 상단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클램프 링(Clamp Ring)(143)을 당접하게 하고, 또한 이 클램프 링(413)은 내부 파이프 외주에서 미끄러져 운동이 가능하도록 감합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유니온 너트(411) 내부면 하부의 반이 외부 파이프(415)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로서 형성되며, 또한 그 상부의 반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내부가 두껍게 된 테이퍼 단면을 갖는 것으므로, 유니온 너트(411)를 돌려서 너트(411)가 아래쪽으로 내려갈때, 클램프 링(413) 상단 외주의 테이퍼면과 유니온 너트(411) 상단 외주의 테이퍼편(412)이 압압(押壓)되어 내부 파이프(414)를 단단히 조여서 유니온 너트(411)를 끼워 외부 파이프(415)에 대하여 압압 고정된다.FIG. 5 shows the structure of the
반대로 유니온 너트(411)를 돌려서 너트(411)를 위쪽으로 이동하게 할때, 상기 테이퍼면(412)의 압압은 해소되어 내부 파이프(414)가 외부 파이프(415) 내부를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되므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높이 조절 후에는 재차 유니온 너트(411)를 조여서 내·외 파이프(414)(415)를 서로 압압 고정한다.After height adjustment, the
파지간 부분에 감겨서 설치된 러버터치 스위치(42)는 예를 들면, 본 장치를 물리치료 목적으로 사용할때 보행자의 손이 파지간으로 부터 떨어지면, 본 장치를 일시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제6도는 맥박수 및 보행수 측정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이러한 수단은 공지의 맥박수 센서(71)와 보행수 카운터(72)를 전기 케이블(73)(74)에 끼워서 연접함과 동시에, 케이블(74) 선단의 플러그(75)를 콘트롤 기구(3)의 하면에 마련된 소켓(36)에 나사식으로 삽입 고정된다.6 is a diagram showing the pulse rate and the number of walking means, which means that the known
따라서 운동자의 맥박수 및 보행수를 맥박수 센서(71), 보행수 카운터(72)를 거쳐서 콘트롤 기구(3)에 입력하여 맥동 상태 및 운동 상태를 항상 감시하게 됨과 동시에, 유효한 기초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ulse rate and the number of steps of the exerciser are inputted to the
또한, 상기 맥박수 센서(71)는 운동자의 손가락에, 보행수 카운터(72)는 그 허리 벨트 근처에 각각 계지된다.In addition, the
제7도는 본 발명의 콘트롤 계통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며, 중앙 처리부(30)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그 주체로 하고 있으나, 각 콘트롤 수단은 중앙처리부(30)에 의해 상호연결하여 패널(33)에 의해 데이터의 입출력 및 각종 콘트롤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7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면, 트랙기구(1)와 경사조절기구(20)와의 콘트롤에 의해서 트랙벨트(12)의 이동속도와 경사 단수가 조절됨과 동시에, 이러한 경사 단수카운터(26), 총 운동거리 카운터(18)에 의해 각각 패널(33) 위에 표시되는 숫치는 트랙벨트(12)의 속도 및 경사 단수 콘트롤의 기초 데이터로 된다.For example, the movement speed and the number of inclination of the
또한, 총 운동거리 카운터(18)와 보행수 카운터(72)에 의해 총 운동거리, 보행수가 표시됨과 동시에 보폭이 연산된다.In addition, the total exercise distance and the number of walking are displayed by the total
그리고, 맥박수 센서(71)에 의해 맥박 상태의 감시 및 경고가 이루어지게 된다.Then, the
통상적으로 각 검출 데이터 신호가 입력으로서 피드 백되어 메모리에 기억되고, 패널(33)에 표시됨과 동시에, 설정치와 비교하여 그 차이에 맞게 출력 콘트롤 하도록 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중앙처리부(30)에 있어서는 데이터 표시, 데이터 처리 및 각 지시의 발,수신이 총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지만, 그 상세한 항목에 대해서는 제7도의 중앙처리부(30)에서 나타낸 바와 같다.Normally, each detected data signal is fed back as an input, stored in a memory, displayed on the
제8도는 콘트롤 기구(3)의 표시, 조작용 패널(33) 표시 및 조작키이의 평면도이며, 패널(33)의 상단에는 도면의 좌로부터 표시명판(表示名板)(331), 트랙속도계(332), 디지탈 표시계(333)로 되지만, 디지탈 표시계(333)에는 도면의 좌로부터 보행수, 보폭, 열량 또는 경사 단수를 선택적으로 수치 표시하는 4자리 숫자의 제 1 표시부(334), 총 운동거리 또는 시간을 선택 표시하는 4자리 숫자의 제 2 표시부(336)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8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of the
패널(33)중단에는 도면 좌측의 약 2/3를 발광다이오드에 의한 각 표시군(337)(338)(339)(340)(341)과, 도면 우측의 약 1/3을 입력 및 콘트롤 하기 위한 조작 키이 보-드(342)를 갖추지만, 이러한 각 표시군(337)(338)(339)(340)(341)은 발광다이오드와 표시문자와의 설계에 의해 된 것이며, 도면의 좌로부터 경고 표시군(337), 기기 상태 표시군(338), 데이터 입력 표시군(339), 경사 단수 표시군(340), 메모리 표시군(341)으로 되어 있다.In the middle of the
도면 우측의 조작 키이 보-드(342)는 입력 및 콘트롤을 위한 각 키이를 갖추고 있다.The operation
패널(33) 하단에는 도면의 좌단 부근에 매입식의 경고부저(343), 도면의 중앙 하측에 매입식의 근접 스위치(34), 도면의 우측에 스위치군(344)을 갖추고 있으나, 경고 부저(343)는 패널(33) 중단의 경고 표시군(337)과 연동(連動)하여 경고음을 내는 것이고, 중앙의 근접 스위치(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랙 속도를 운동자와의 관계에 있어서 콘트롤 하는 것이며, 스위치군(344)은 도면의 좌로부터 전원표시등, 온(ON), 오프(OFF)스위치, 스타트, 일시정지, 종료의 각 스위치로 되어 있다.The lower part of the
다음에 제8도와 표 1,2에 의거하여 패널(33)에 의한 조작 순서를 설명하면, 우선 본 장치가 스타트 하기 전에 조작 키이 보-드(342)중의「반복」또는「운동설정」키이를 누르는 것에 의해서 먼저의 운동 종류를 계속하여 반복하지 않을 경우에는 운동 종류를 새로이 설정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Next, the operation procedure by the
먼저의 운동 종류를 반복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조작은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여기에서는 운동 종류를 새로이 설정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When the previous exercise type is repeated, a new operation is not required. Here, the case of newly setting the exercise type will be described.
전원 스위치(344)를 온(ON)으로한 후, 기계상태 표시군(338)의 표시에 따라서 조작키이 보-드(342)중의「운동설정」키이를 누르는 것에 의해 우선 운동 모드가 설정될 수 있는 상태로 한후,「입력」키이를 누르고, 또한 데이터 입력 표시군(339)의 표시에 맞추어서 운동자의 분류 코-드, 체중, 연령, 정상 맥박수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다음에 거리, 시간, 속도, 경사 단수등을 입력해 둔다.After the power switch 344 is turned ON, the exercise mode can first be set by pressing the "movement setting" key in the
운동자는 조작 키이 보-드(342)의 감시 항목 키이를 눌러 운동중에 감시한 11항목을 선택하고, 패널(33)상단의 디지탈 표시계(333)중에 표시시킬 수 있다.The exerciser can press the monitoring item key of the operation
실제 운동중에 중앙처리부(30)는 항상 운동 상태를 감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운동자의 트랙벨트 위치에 의해 트랙벨트의 이동 속도가 한걸음씩 적절히 자동변속 됨과 동시에, 맥박수가 너무 많아진다든지 하면 감속 또는 일시정지 되면서 경고 표시군(337)을 나타내어 경고 부저(343)를 울리도록 하고 있다.During the actual exercise, the
또한, 운동 종료후에는 그 운동 데이터는 그대로 메모리에 기억되어 다음에 본장치를 사용할때에는 조작 키이 보-드(342)의 메모리 표시키이에 의해 이전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After the exercise, the exercis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as it is, and the next time the apparatus is used, the previous data can be displayed by the memory display key of the operation
도시는 되어 있지 않으나, 제1도에 있어서 도시한 파지간(4)은 2개가 한쌍으로 되어 있으나, 그중 1개를 트랙벨트(12) 전단부근을 가랑이를 벌리고 넘는 것 처럼 취부함과 동시에, 파지간(4)의 수평 부분에 러버터치 스위치(42)를 감아서 설치하고 파지간의 다리부분에 높이 조절 너트(41)를 개설시키면, 운동의 물리치료용 종류에 있어서 사용성,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gripping section 4 shown in FIG. 1 is a pair of two, but one of them is mount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of the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한 콘트롤 기구와 여기에 부설한 데이터 검지수단에 의해 종래 단순하고 단조로웠던 운동 종류를 변화가 풍부한것으로 함과 동시에, 운동의 스타트로부터 종료까지 일관하여 자동콘트롤 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chanism mainly composed of microcomputers and the data detection means attached thereto make the conventional simple and monotonous type of movement abundant, and consistently automatically starts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 movement. It can be controlled.
또한, 운동자의 기초 데이터와 운동상태를 비교하여 경고를 낸다든가 장치를 일시정지하는 안전 조치도 되어 있으므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안심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a safety measure to warn or pause the device by comparing the basic data of the athlete and the exercise state, so that more people can use it with confidence.
또한, 운동 종류는 임의 조작이 가능하며, 마이크로 컴퓨터의 메모리 기능도 합쳐서 개인의 운동 능력 및 건강 상태에 맞춘 운동 종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ype of exercise can be arbitrarily manipulated, and the memory function of the microcomputer is combined to provide an effect of providing a type of exercise suited to an individual's exercise ability and health condition.
참고로, 본 장치에 관련하여 발생되는 여러가지의 운동패턴은 다음의 표 1내지 표 5와 같이 다양성을 갖게 된다.For reference, various movement patterns generated in relation to the present device have a variety as shown in Table 1 to Table 5 below.
[표 1]TABLE 1
[표 2]TABLE 2
[표 3]TABLE 3
[표 4]TABLE 4
[표 5]TABLE 5
Claims (2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50009423A KR900006049B1 (en) | 1985-12-14 | 1985-12-14 | Training apparatus for track athletic spor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50009423A KR900006049B1 (en) | 1985-12-14 | 1985-12-14 | Training apparatus for track athletic spor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5658A KR870005658A (en) | 1987-07-06 |
KR900006049B1 true KR900006049B1 (en) | 1990-08-20 |
Family
ID=1924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9423A Expired KR900006049B1 (en) | 1985-12-14 | 1985-12-14 | Training apparatus for track athletic spor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604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3630B1 (en) * | 1999-09-21 | 2002-07-19 | 임정수 | A treadmill which can be driven in both directions |
WO2018085053A1 (en) * | 2016-11-01 | 2018-05-11 | Icon Health & Fitness, Inc. | Distance sensor for console positioning |
US10561893B2 (en) | 2016-10-12 | 2020-02-18 | Icon Health & Fitness, Inc. | Linear bearing for console position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3355A (en) * | 2000-05-09 | 2001-11-23 | 김영귀 | An individual momentum control system |
-
1985
- 1985-12-14 KR KR1019850009423A patent/KR900006049B1/en not_active Expir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3630B1 (en) * | 1999-09-21 | 2002-07-19 | 임정수 | A treadmill which can be driven in both directions |
US10561893B2 (en) | 2016-10-12 | 2020-02-18 | Icon Health & Fitness, Inc. | Linear bearing for console positioning |
WO2018085053A1 (en) * | 2016-11-01 | 2018-05-11 | Icon Health & Fitness, Inc. | Distance sensor for console positioning |
US10343017B2 (en) | 2016-11-01 | 2019-07-09 | Icon Health & Fitness, Inc. | Distance sensor for console position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5658A (en) | 1987-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56117A (en) | Stairclimbing and upper body, exercise apparatus | |
US5260870A (en) | Apparatus for measuring instantaneous power by leg-stretching power | |
US4708337A (en) | Automatic treadmill | |
US4934692A (en) | Exercise apparatus providing resistance variable during operation | |
US4998725A (en) | Exercise machine controller | |
US5149084A (en) | Exercise machine with motivational display | |
US5062632A (en) | User programmable exercise machine | |
EP0569879B1 (en) | Exercise system for managing physiological intensity of exercise | |
US7604571B2 (en) | Exercise device with a user-defined exercise mode | |
US7572206B2 (en) | Exercise device having position verification feedback | |
US5512025A (en) | User-programmable computerized console for exercise machines | |
US5383826A (en) | User interface console for exercise equipment | |
US7156776B2 (en) | Easy access stepper | |
US20130210578A1 (en) | Exercise device path traces | |
US5574669A (en) | Device for measuring foot motion and method | |
US10507354B2 (en) | Exercise Apparatus with oscillating tilt system | |
US20150065303A1 (en) | Exercise apparatus capable of calculating stride length | |
US5433683A (en) | Ski exerciser with sensor system | |
KR900006049B1 (en) | Training apparatus for track athletic sports | |
US4795150A (en) | Stretching apparatus | |
JPS62139677A (en) | Track training support apparatus | |
CN206867579U (en) | Adjustable slope human limb cooperates with climbing training device | |
KR100503623B1 (en) | Motorized rope-jumping device | |
KR200235049Y1 (en) | Treadmill be possible angle adjustment | |
TW202045115A (en) | Gait training mach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llows a user to know the condition of the ankle joint movement and the body's center of gravity during the gait training so as to adjust a healthy gait pos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7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08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082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