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5909B1 - 수동 프레스기 - Google Patents

수동 프레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909B1
KR900005909B1 KR1019870012846A KR870012846A KR900005909B1 KR 900005909 B1 KR900005909 B1 KR 900005909B1 KR 1019870012846 A KR1019870012846 A KR 1019870012846A KR 870012846 A KR870012846 A KR 870012846A KR 900005909 B1 KR900005909 B1 KR 900005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ain shaft
shaft
crankshaft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884A (ko
Inventor
남호현
Original Assignee
남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호현 filed Critical 남호현
Priority to KR1019870012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909B1/ko
Publication of KR89000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09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0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lever mechanism
    • B30B1/0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lever mechanism operated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2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0Brak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동 프레스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배면도.
제5도는 동력 전달장치의 평면 구성도.
제6도는 전체 동력 전달장치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요부 확대 구성도.
제9도는 제8도의 A-A선 단면도.
제10도는 역회전 조작 장치의 분리사시도.
제11도는 제8도 중 슬라이드기어의 작동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크랭크 축
3 : 크랭크 4 : 승강축
5 : 변속 입력측 5 : 변속 출력측
6 : 주축 7 : 플라이 휠
8 : 클러치 9,9 : 클러치판
10 : 휠 브레이크 11 : 제동간
12 : 제동핀 13 : 대기어
14,16,17 : 전동기어 15,18 : 체인
19 : 변속기 20 : 변속 기어군
21 : 변속레바 22 : 모우터
23 : 브레이크 페달 23 : 작업페달
25,26 : 작동 레버장치 27,28 : 횡축
29 : 작동간 30 : 연결간
31,32 : 구동레버 33,34,35 : 연동기어
36 : 동력 전달기어 37 : 슬라이드 기어
37 : 동력전달기어 38 : 후크
39,40 : 레버 41 : 조정간
42 : 요구
본 발명은 공작기의 일종인 크랭크 타입의 수동식 프레스기의 전동장치를 개량하여 프레스 판의 하강 속도를 가공작업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변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단일 기종으로서 다양한 작업을 능률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 중 긴급시에는 브레이크 제동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필요시에는 크랭크 축을 역회전이 가능케 하여 안전사고 또는 가공작업의 불량률을 저하시키므로서 수동식 프레스기의 신규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동식 크랭크 타입 프레스기는 프라이 휠의 회전력이 피니언 기어를 거쳐 전동기어에 전달되고, 이의 전동력은 동축의 동력전달 클러치에 의해 크랭크 축에 전동되므로서 프레스판이 승강 자재되도록 하였던 바, 이러한 종래의 프레스기는 프레스판의 하강 속도가 일정하게 필요시 변속을 할 수 없으므로 강판재의 절단, 절곡, 압형등 작업 종류나 가공 재질의 종류에 따른 대응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프레스판의 하강속도를 다르게 하여야 하는 작업종류에 따라서는 여러대의 프레스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프레스판이 일단 하강을 시작하면 도중에서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그 만큼 높은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프레스기의 구조적 결점을 시정 보완하여 프레스기의 주축에 자동차의 동력 전달 및 변속장치에 사용되는 스랜스 밋션(Transmission) : 이하 밋션이라함)의 기어군(Gear 群)을 연결하여 변속레바의 조작에 따라서 주축의 회전력이 변속되어 종동축에 전달되게 하므로서 작업종류에 따른 변속이 임의로 가능하게 하고 이와 아울러 출력축의 일단에 휠 브레이크와 역회전 기어를 부설하여 프레스판이 하강도중 일지라도 즉시 제동 또는 역방향 기동이 가능토록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하 본 고안의 구조와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프레스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모우터(22)에 연동되는 플라이 휠(7)의 회전력이 대기어(13)를 통해 크랭크축(2)에 전달되고 크랭크축(2)의 크랭크(3)에 연결한 승강축(4)이 승강되어 하단에 연결한 프레스판(4')이 작업대(1')에 가압되고 이러한 작동은 횡축(28)의 작업페달(24)을 밟는 동작에 의해 일련의 작동간(26)(제2도)를 거쳐 작동간 상측의 구동간 장치(26)에 연동되어 작업페달(24)의 1회 답압동작에 따라 프레스판(4')이 1회씩 승강 작동 사이클을 이루게 되는 것은 기히 공지된 기구이다.
본 발명은 플라이 휠(7)의 주축(6)을 종래의 기구처럼 바로 대기어(13)에 연결하지 않고 플라이 휠(7) 반대편에 전동기어(17)와 휠 브레이크(10)를 축설하고 주축(6)과 크랭크축(2) 사이에는 자동차의 변속기구인 트렌스 밋션기어 박스(19)를 제4도와 같이 개재하여 변속 기어군(20)의 입력축(5)과 출력축(5')에 전동기어(16)(14)를 착설하여 이들 전동기어(14)(16)를 체인(15)(18)으로서 전동기어(17)와 대기어(13)에 각각 연결시킨 것이다.
한편 플라이 휠(7)의 내측에는 통상의 클러치 장치(8)를 부착하여 이의 클러치판(9)이 제동간(11)의 제동핀(12)에 의해 플라이 휠(7)에 접탈되게 함과 동시에 일련의 작동 레버장치(25)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23)과 연결된 작동간(29)의 후단측에 상기 제동간(11)을 연결하여 브레이크 페달(23)을 밟으면 플라이 휠(7)이 제동되게 하였다.
또한 작동 레버장치(25)에는 제5도와 같이 연결간(30) 및 구동레버(31)를 연결하고, 구동레버(31)는 휠 브레이크(10)의 구동간(10')에 연결하며, 타측 연결간(30)은 크랭크축(2)을 구동하는 기존의 구동레버(31)와 링크(32')(제2도)로서 연결시킨 것이다.
그리고 제7도는 제1도의 장치에 역회전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즉 전동기어(16)(17)내측에 연동기어(36)(33)를 측설하여 중간기어(34)(35)에 의해 주축(6)의 회전이 입력축(5)에 역방향 회전이 가능토록 하고 주축(6)은 제9도 및 제11도와 같이 동력전달기어(36)를 중심으로 하여 연동기어(33)와 전동기어(17)를 공회전(아이들링:Idling) 상태로 축설하여 후크(38)에 의해 슬라이드 기어(37)를 좌우 양측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전동기어(17)를 통한 정회전과 연동기어(33)를 통한 역회전 전동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후크(38)는 제10도와 같이 레버(39)(40)와 연결하여 정역방향 조정간(41)의 요구(42)(42')(42")에 레버(4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므로서 후크(38)가 슬라이드 기어(37)의 위치를 절환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부호21은 변속 기어군(20)을 변속시키는 변속조정 레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프레스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플라이 휠(7)의 회전력은 주축(6)으로부터 크랭크축(2)에 전달되어 크랭크(3)가 회전하므로서 승강축(4)이 승강작동을 하게되고 작업페달(24)을 밟으면 작동레버장치(26')(제2도)측의 작동간(26)이 구동레버(32)를 작동시켜 크랭크축(2)을 1회전 시키므로서 프레스판(4')이 1회 차강하였다가 위로 융기되도록 하는바 이의 프레스 작동장치의 구성과 방법은 공지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주축(6)과 크랭크축(2) 사이에 변속기(19)가 설치되어 이의 입력축(5)과 출력축(5')의 전동기어(14)(16)를 체인(15)(18)으로서 주축(6)과 크랭크축(2)에 연결시킨 것이므로 주축(6)의 회전은 입력축(5)을 경유하여 변속 기어군(20)에 의해 공회전(Idling)되거나 1단에서 4단까지 변속(밋션 기어군의 유형에 따라 5단 변속도 가능)이 되어 출력축(5')에 전달된다.
즉 변속레버(21)의 단계적인 변속에 따라서 일정한 입력축(5)의 회전이 출력축(5')에서는 변속된 회전력을 얻으므로 이에 연결된 크랭크축(2)의 회전속도도 변속이 되어 승강축(4)의 하강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빠르게 할 수 있는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의 종류에 따라서 프레스판(4')의 하강 속도를 임의로 변속시킬 수 있어 소재의 절단, 절곡, 성형등 다양한 작업조건에 적절히 부응 시킬 수가 있어 기존의 프레스기에 비해 보다 다양하게 그리고 보다 능률적으로 프레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5도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23)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는 클러치 장치(8)의 클러치판(9)이 자체의 내향 탄지력에 의해 플라이 휠(7)에 접속되어 주축(6)에 동력이 전달되고 브레이크 페달(23)을 밟으면 작동간(29)에 연결된 제동간(11)의 제동핀(12)이 클러치 장치(8)를 가동하여 클러치판(9)을 플라이 휠(7)로부터 떨어지게 하므로 주축(6)으로의 동력 전달은 차단됨과 동시에 연결간(30)이 휠 브레이크(10)의 구동핀(10')을 당겨주므로 휠 브레이크(10)는 고정드럼(10")에 접지되어 즉시 제동이 되므로 체인(18)을 통한 출력축(5')으로의 동력전달이 차단되고 또한 이에 연결된 크랭크축(2)의 회전도 중지되므로 프레스판(4')이 하강도중 일지라도 즉시 제자리에서 정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도중 작업중지를 시키고져 할시 브레이크 페달(23)을 밟기만 하면 순간적으로 프레스판(4')의 작동은 중지되므로 작업중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7도 내지 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5)의 역회전 연동기어(33)(34)(35)(36)를 부설한 경우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기어(37)의 이동조작에 의해 크랭크축(2)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 기능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레버(40)를 요구(42)에 결합시키면 후크(38)가 제11도와 같이 동력전달기어(36)의 회전력을 전동기어(17)에 전달시키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동작이 이루어 지게되고 반대로 레버(40)를 요구(42")쪽에 결합하면 후크(38)가 연동기어(33)에 주축(6)의 동력을 전달시키므로 중간기어(34)(35)를 통해 입력축(5)은 역회전을 하게된다.
따라서 크랭크축(2)은 정회전에서 역회전으로 전환되므로 소재가 프레싱 작업중 잘못 올렸을 경우라던지 안전사고 발생시 등 하강하던 프레스판(4')이 위로 도로 올라가게 되므로 소재의 불량 발생의 방지나 사고방지 효과가 더욱 완벽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레버(40)를 요구(42')에 중립으로 놓으면 슬라이드 기어(37)능 동력전달기어(36)에만 걸리므로 공회전 상태인 양측 연동기어(33)나 전동기어(17)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아이들링 상태에 머물게 된다. 이 상태는 크랭크 축의 회전이 중지된 상태에 있어 기계 작동상 소음 발생이 거의 없다. 종래의 경우는 판 클러치의 아이들링시에도 대기어가 회전하고 있으므로 소음이 심하였고 불필요한 동력의 소모가 많았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이 제거된 잇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시에는 항상 슬라이드 기어(37)가 제11도와 같이 전동기어(17)에 결합된 상태로 두고 작업을 하게되면 연동기어(33)는 공회전에 거쳐 역회전 기능은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수동프레스기에 변속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역회전 장치를 3중으로 부설하므로 작업의 다양성과 능률성 및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어 단일 기종으로서 그 사용 용도를 보다 넓힐 수 있는 산업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플라이 휠(7)의 주축(6)이 크랭크축(2)에 전동되게 한 크랭크 타입 프레스기 장치에 있어서, 주축(6)과 프랭크축(2)사이에 밋션 기어박스(19)를 개재하여 기어박스(19)의 기어군(20)에 연결된 입력축(5)과 출력축(5')을 체인(15)(18)으로서 주축(6)과 크랭크축(2)에 연결하고, 플라이 휠(7)에는 클러치 판(9)을, 주축(6)의 일단에는 휠 브레이크(10)를 대향으로 설치하며, 전동기어(16)(17) 내측에는 연동기어(33)(36)를 축설하여 이들을 중간기어(34)(35)로써 연동시키고 연동기어(33)와 전동기어(17)를 주축(6)에서 공회전 상태로 두고 이들 사이에 동력전달기어(36)에 교합한 슬라이드 기어(37)를 축설하여 입력축(5)을 정.역회전 방향으로 절환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프레스기.
KR1019870012846A 1987-11-13 1987-11-13 수동 프레스기 Expired KR900005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846A KR900005909B1 (ko) 1987-11-13 1987-11-13 수동 프레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846A KR900005909B1 (ko) 1987-11-13 1987-11-13 수동 프레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884A KR890007884A (ko) 1989-07-06
KR900005909B1 true KR900005909B1 (ko) 1990-08-16

Family

ID=1926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846A Expired KR900005909B1 (ko) 1987-11-13 1987-11-13 수동 프레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506B1 (ko) * 2018-01-25 2019-06-10 크로텍바이오 주식회사 바삭한 식감을 갖는 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506B1 (ko) * 2018-01-25 2019-06-10 크로텍바이오 주식회사 바삭한 식감을 갖는 홍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884A (ko) 1989-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69151A (ja) パンチプレス機
GB2248818A (en) Lever type hoist with free rotation provision and load limitation
KR900005909B1 (ko) 수동 프레스기
US4739850A (en) Walking operator type agricultural machine having transmission system with disk type frictional stepless change speed apparatus
CN114458757A (zh) 一种机动电喷摩托车快速换档装置和方法
EP1380405A2 (en) Drive device for a mechanical press
KR900008215B1 (ko) 밴딩기의 전동장치
JP3375371B2 (ja) 作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H0122413Y2 (ko)
JPH0322352B2 (ko)
JPS6090025U (ja) トラクタにおける動力取出装置
KR200152208Y1 (ko) 차량의 자동화 수동변속기와 엑셀레이터 페달의 연동장치
CN1131383C (zh) 摩托车两用离合装置
JPH0739725Y2 (ja) 作業車の走行用伝動構造
JPH064670Y2 (ja) 作業車輌
US2870643A (en) Clutch shifting mechanism
JPH0436597Y2 (ko)
KR900009942Y1 (ko) 차량용 변속기
JP2596194Y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H0625737Y2 (ja) 作業車の走行変速装置
JPH0715783Y2 (ja) ブルドーザにおける機械駆動と油圧駆動の切換え装置
CN1131384C (zh) 摩托车两用双离合装置
KR100245072B1 (ko) 승용관리기의 작업기 구동축 출력장치
JPH02133235A (ja) トラクターのptoクラッチ機構
JPS6269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608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6081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