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5558Y1 - 쌀 통 - Google Patents

쌀 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558Y1
KR900005558Y1 KR2019870011237U KR870011237U KR900005558Y1 KR 900005558 Y1 KR900005558 Y1 KR 900005558Y1 KR 2019870011237 U KR2019870011237 U KR 2019870011237U KR 870011237 U KR870011237 U KR 870011237U KR 900005558 Y1 KR900005558 Y1 KR 900005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alarm unit
window
viewing window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1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166U (ko
Inventor
진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 삼 익
진우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 삼 익, 진우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 삼 익
Priority to KR2019870011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558Y1/ko
Publication of KR890002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1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55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쌀 통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쌀통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부분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B-B선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쌀통의 사용상태단면도.
제 5 도는 (a)는 본 고안에 따른 알람유니트의 확대단면도, (b)는 (a)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쌀통본체 2 : 전면부
3 : 쌀배출레버 4 : 투시창
5 : 알람부 6 : 타임머
7 : 전지함 8 : 알람유니트
본 고안은 쌀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쌀통내부에 알람유니트를 설치해서 쌀의 잔량이 최소가 되었을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서 쌀을 적시에 보충시킬 수 있도록 된 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통은 실내의 한쪽구석에 설치하여 쌀을 보관하면서 필요한 양만큼 쌀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는 쌀통의 살을 토출함에 따라 그 내부에 담겨있는 쌀이 갑자기 떨어져 당황하는 일이 없도록 수시로 쌀의 잔량으로 확인하여야함은 물론이고 잔량이 얼마남지 않을 경우 쌀을 재보충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쌀의 잔량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써 종래에는 쌀통전면판에 부착된 잔량확인투시창을 통해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거나 메타기와 같은 게이지를 이용해서 쌀의 잔량으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나, 쌀통은 대체로 밝은 것이 아닌 거실의 구석이나 부엌에 설치하게 되므로 허리를 구부리거나 쪼그려 않아 가까이에서 직접확인하여야만이 쌀의 잔량을 알 수 있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또 메타기와 같은 게이지는 구조자체가 복잡하기 때문에 고장발생율이 높을 뿐만아니라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쌀통의 전면판에는 쌀통외부의 빛을 내부로 통과되도록 하는 투시창이 형성되고 이 투시창 안쪽의 근접위치에는 상기 투시창을 통과한 빛을 감지하는 관센서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 알람유니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쌀통내부에 담겨 있는 쌀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빛이 쌀의 계속적인 토출로 인해 투시창을 통해 쌀통내부로 투과되게 되면 상기 투시창 안쪽에 설치된 알람유니트가 관센서의 빛감지에 따라 작동되어 음을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쌀의 재보충여부를 알려줄 수 있도록 된 쌀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예시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쌀을 저장한 다음 필요할 때마다 일정량씩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쌀통에 있어서, 쌀통본체(1)의 전면부(2)에 설치된 쌀배출레버(3)상단에 잔량확인투시창(4)이 설치되고, 본체(1)내부의 투시창(4)근접위치에는 이 투시창(4)을 통해 쌀통내부로 들어온 빛을 감지해서 ON되는 광센서에 의해 동작되는 알람부(5)와 이 알람부(5)를 일정시간동안 울리도록 하는 타임머(6) 및 이들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지함(7)이 구비된 알람유니트(8)가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쌀의 보충시기를 알려줄 수 있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9은 경사판, 10은 홉되, 11은 계량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쌀통본체(1) 내부의 아랫쪽에 쌀배출을 한곳으로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된 경사판(9)이 설치되고 이 경사판(9)의 하단에는 배출레버(3)의 작동으로 일정량의 쌀을 계량해서 배출하도록 된 계량기(11)가 설치되며 이 계량기(11)하단으로는 계량되어 배출된 쌀이 담겨지는 흡되(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쌀통본체(1)의 전면부(2)에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내부에 담겨있는 쌀의 잔량을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투시창(4)이 형성되고 이 투시창(4)하단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알맞은 양의 쌀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쌀배출레버(3)가 설치되는 한편, 투시창(4)안쪽의 근접위치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투시창(4)을 통해 쌀통내부로 들어온 빛을 감지해서 ON되는 광센서에 의해 동작되는 알람부(5)와 이 알람부(5)를 일정시간 동안 울리도록 하는 타임머(6)및 이들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전지함(7)으로 구성되어 있는 알람유니트(8)가 부착되어져 있는 바, 이 알람유니트(8)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많은 양의 쌀을 쌀통내부에 충전시킴으로써 쌀통본체(1)의 내부공간에 충전된 쌀이 투시창(4)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간되는 빛을 차단하게 되면, 쌀에 파묻힌채 빛이 차단된 알람유니트(8)는 미작동 상태로 있게 되는 한편, 쌀의 배출로 인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살의 잔량이 쌀통본체(1)의 투시창(4)아랫쪽에 위치하게 되면 충전된 쌀에 의해 차단되어졌던 빛이 비로소 투시창(4)을 통해 쌀통본체(1)내부로 투과하게 되는데, 이때 쌀에 파묻혀 있던 알람유니트(8)의 광센서가 외부로 드러남과 더불어 상기 투시창(4)을 통과한 빛을 감지하게 되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센서가 ON됨으로써 회로가 구성되어 전지(7)로부터의 전원이 타임머(6)에 인가됨과 더불어 알람부(5)의 일단에 인가된다. 이어 타임머(6)의 동작에 의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만 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치용 트랜지스터(Tr)가 ON됨에 따라 알람부(5)의 일단에 인가된 전원이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단과 베이스단을 통해 접지단에 인가되는 전류경로가 형성됨으로써 알람부(5)가 작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알람부(5)가 작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음을 듣고 쌀통내의 쌀잔량이 얼마남지 않았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쌀의 잔량이 얼마남지 않을 때마다 알람유니트가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쌀의 보충시기를 정확히 알려주게 되므로 잔량확인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필요이상으로 쌀을 많이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쌀이 갑자기 떨어져 당혹스러운 경우를 당하지 않도록 미리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쌀을 저장하면서 필요한 양만큼의 쌀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쌀통에 있어서, 쌀통본체(1)의 전면부(2)에 설치된 쌀배출레버(3) 상단에 투시창(4)이 형성되고 본체(1)내부의 상기 투시창(4)근접위치에는 광센서에 의해 동작하는 알람부(5)와 이 알람부(5)의 동작시간을 제어해주는 타임머(6) 및 이들에 동작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지함(7)을 갖춘 알람유니트(8)가 부착되어 사용자에게 쌀 보충시기를 알려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KR2019870011237U 1987-07-09 1987-07-09 쌀 통 Expired KR900005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237U KR900005558Y1 (ko) 1987-07-09 1987-07-09 쌀 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237U KR900005558Y1 (ko) 1987-07-09 1987-07-09 쌀 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166U KR890002166U (ko) 1989-03-28
KR900005558Y1 true KR900005558Y1 (ko) 1990-06-22

Family

ID=1926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1237U Expired KR900005558Y1 (ko) 1987-07-09 1987-07-09 쌀 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5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166U (ko) 198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8076A (en) Dispenser for an aerosol can
US5038972A (en) Metered aerosol fragrance dispensing mechanism
US5945911A (en) Footwear with multilevel activity meter
US5132543A (en) Electronic pocket dosimeter
CA2475912A1 (en) Water softener monitoring device
KR900005558Y1 (ko) 쌀 통
SE409662B (sv) Anordning for leckageindikering vid en centrifugalseparator
US20020121973A1 (en) Oil tank sight glass monitor
KR100826076B1 (ko) 세제 공급 장치
GB2140286A (en) Espresso coffee machine for domestic use
JP2630816B2 (ja) 超音波加湿器
JP2004069482A (ja) 液位検知装置
WO1996013429A1 (en) Fuel recovery system
KR900006091Y1 (ko) 쌀통의 잔량표시장치
JP2754893B2 (ja) コードレススチームアイロン
GB2134654A (en) Liquid soap dispensers
JPH08238317A (ja) 液体ディスペンサ
US20070295748A1 (en) Beverage dispenser with display and alarm
JPH07250761A (ja) 給湯装置
CN218552251U (zh) 一种基站及清洁系统
KR0139254Y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의 조명장치
CN218074530U (zh) 饮水设备
JP2917326B2 (ja) 水量表示装置
JPH11244185A (ja) 水石鹸供給装置
JP2925585B2 (ja) 手指消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7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70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88092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00202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5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9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10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101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09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6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