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5087B1 - 콘넥터 - Google Patents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087B1
KR900005087B1 KR1019870010686A KR870010686A KR900005087B1 KR 900005087 B1 KR900005087 B1 KR 900005087B1 KR 1019870010686 A KR1019870010686 A KR 1019870010686A KR 870010686 A KR870010686 A KR 870010686A KR 900005087 B1 KR900005087 B1 KR 900005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spring receiving
spring
insulating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604A (ko
Inventor
미쯔오 소리마찌
교오스케 다지마
고로 이도이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4755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222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4755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3205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4755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32052Y2/ja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87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33Contact members made of resilient wi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넥터
제1도는 종래의 스켓콘넥터를 표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소켓콘넥터에 사용하는 소켓콘택트롤 표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콘넥터를 표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콘넥터의 단면도.
제5도는 코일스프링 13의 1부를 보통으로 감은 본 발명 소켓콘넥터의 예를 표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플럭콘넥터의 다른 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I-I선 단면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각각 플럭콘택트의 다른 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11도는 둥근막대형상 플럭콘택트를 사용한 플럭콘넥터의 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소켓톤넥터의 다른 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에 표시한 소켓콘넥터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소켓톤넥터에 사용하는 코일스프링을 표시한 정면도.
제15도는 후우프형상으로된 단자 15를 표시한 평면도.
제16도 및 제17도는 각각 코일스프링의 다른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18도는 공통의 코일스프링에 대해서 복수의 플럭콘택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소켓콘넥터를 표시한 단면도.
제19도는 복수의 코일스프링에 대해서 공통의 플럭콘택트를 사용하는 경우의 소켓콘넥터를 표시한 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콘넥터에 의해 2장의 배선기관을 접속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켓콘넥터 200 : 플럭콘넥터
11 : 절연블록 12 : 스프링 수용구멍
13 : 코일스프링 14 : 돌조
15 : 단자 16 : 되접어진 부분
17 : 콘택트 삽입구멍 20 : 절연보디
21 : 플럭콘택트 22 : 단자
24 : 돌기 27 : 오목홈
본 발명은 소켓콘넥터와 플럭콘넥터를 서로 결합시킴으로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켓콘넥터를 제1도에 표시한다. 절연재의 보디(1)의 전면에 링형상 오목구명(2)이 형성되고, 그 오목구멍(2)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복수의 콘택트 삽입구멍(3)이 형성되어, 콘택트 삽입구멍(3)내에 도시되지 않으나 소켓콘낵트가 수용되어 있다. 그 소켓콘택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단자(4)가 보디(1)의 바닥면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콘택트(5)는 앞뒤로 연장형성되고, 그 소켓콘택트(5)의 연장부(5C)의 후방단부가 아래쪽으로 절곡연장되어 단자(4)로 되어 있다. 소켓콘택트(5)는 대향한 1쌍의 협지편(挾持片)(5a), (5b)를 가지고, 그 협지편(5a), (5b)의 후방부가 연장부(5C)의 앞부분의 양쪽 가장자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럭콘넥터(도시않음)가 제1도의 소켓콘넥터에 결합되면, 플럭콘택트가 콘택트 삽통구멍(3)내에 삽입되어, 소켓콘택트(5)에 탄성적으로 감합되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4)와 소켓콘택트(5)는 금속판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며, 소형화하는데는 가공상 한계가 있고, 또 소형화에 의해 스프링성이 나빠져서, 특히 삽입된 플럭콘택트에 의한 뒤틀림에 약하였다. 또 콘텍터를 프린트 배선기판 동지끼리의 접속에 사용하는 경우, 플럭콘넥터와 소켓콘넥터와의 사이에서 위치 엇갈림이 조금이라도 존재하면, 콘택트가 변형해서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박형화할 수 있고, 또한 안정적인 양호한 접촉을 얻게 되는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린트 배선기판까지의 접속시등의 경우에 플럭콘넥터와 소켓콘넥터와의 위치 어긋남을 대폭으로 흡수할 수 있는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의 조립을 자동기를 사용해서 할 수 있는 소켓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켓콘넥터의 코일스프링의 코일선이 경사져 있어도 코일스프링을 밀어 찌부러뜨리는 염려가 없는 플럭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있어서는 소켓콘넥터의 네모진 기둥형상 절연블록의 1면에 스프링 수용구멍이 형성되고, 그 스프링 수용구멍에 코일스프링이 그축심방향으로 신축자재하게 수용된다. 그 코일스프링의 몸체의 둘레면과 대향해서 스프링 수용구멍에 연통된 콘택트삽입구멍이 절연블럭에 형성된다. 코일스프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가 절연블록의 외부에 도출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구멍은 복수개가 배열 형성되고, 그 배열 방향으로 연장한 1쌍의 돌조(突條)가 스프링 수용구멍을 사이에 두고 절연블록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 1쌍의 돌조에는 대향한 스릿이 각 스프링 수용구멍과 대응해서 형성되고, 그 스릿에 단자의 1단부가 삽통되어서 스프링 수용구멍과 대향하고, 그 대향한 단자에 대해서 코일스프링이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된다.
플럭콘넥터의 절연보디의 앞면에 플럭콘택트가 식설되고, 플럭콘택트는 콘택트 삽통구멍에 삽입되어, 그 선단부로 코일스프링의 코일선 상호간을 밀어 헤쳐서 코일선 상호간에 감입하고, 코일스프링의 코일선 상호간에서 콘택트가 협지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된다. 플럭콘택트이 타단부는 절연 보디로부터 외부에 도출되어서 단자로 되어 있다.
플럭콘택트는 띠형상판을 하고 있고, 그 선단부는 폭방향에 대해서 그 1부가 튀어나온 형상으로 되어, 플럭콘택트가 코일스프링의 코일선 상호간에 감합된다.
또 플럭콘택트의 판면(板面)에 돌기가 형성되어, 플럭콘택트를 코일스프링의 코일선 상호간에 감합시킬 때에 적당한 삽발력을 얻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켓콘넥터(100)는 합성수지재의 네모진 기둥형상의 절연블록(11)의 하개의 면에 길이방향에 따라서 복수개의 스프링 수용구멍(12)이 형성되고, 이 스프링 수용구멍(12)에 콘택트로 되는 코일스프링(13)이 수용된다. 스프링 수용구멍(12)을 형성한 면의 1변에 돌조(14)가 형성되고, 이 돌조(14)에 형성한 스릿에 단자(15)가 압입에 의해서 지지된다. 단자(15)의 반대쪽은 스프링 수용구명(12)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 되고, 그 단부가 u자 형상으로 되접어져서, 그 되접힘부(16)가 코일스프링(13)의 단부와 계합하여, 코일스프링(13)과 단자(15)가 전기적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절연블록(11)의 앞면에 콘택트삽입구멍(17)이 스프링수용구멍(12)과 연통해서 형성되고, 이 콘택트 삽입구멍(17)에 코일스프링(13)의 몸체가 당면하게 된다.
플럭콘넥터(200)는 합성수지재의 절연보디(20)에 복수개의 판형상 플럭콘택트(21)가 식설되어서 구성되고, 이 플럭콘택트(21)를 소켓콘넥터(100)의 콘택트삽입구멍(17)에 삽입하여, 플럭콘택트(21)의 선단부로 코일스프링(13)의 코일선 신호간을 밀어 헤쳐서, 플럭콘택트(21)를 코일스프링(13)의 코일선 상호간에 감입하고, 코일스프링(13)의 코일선 상호간에서, 플록콘택트(2)를 협지하여, 접촉되어, 플럭콘넥터(200)의 플럭콘택트(21)와 소켓콘넥터(100)의 단자(15)와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럭콘넥터(200)의 플럭콘택트(21)는 이 예에서는 절연보디(20)의 뒤쪽에 있어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그 선단부를 절연보디(20)의 단변(端邊)으로부터 돌출시켜 플럭콘넥터(200)의 단자(22)로서 도출시킨다.
또한, 코일스프링(13)은 조밀감기로 되고,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구멍(12)의 바닥부와 코일스프링(13)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3)은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혹은,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3)의 중앙부를 조밀감기로하고, 양단부를 간격감기(보통감기)로하여, 코일스프링(13)을 약간 압축한 상태에서, 스프링수용구멍(12)내에 수용한다. 상기 설명에서 분명하나, 코일스프링(13)의 코일선간 공극보다도 플럭콘택트(21)의 두께를 크게 한다.
코일스프링(13)에는 은등의 도금을 입히면 좋다.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럭콘넥터(200)에 있어서, 플럭콘택트(21)는 띠형상 도전체로 구성되고, 그 선단부에 폭방향의 일부에 돌부(21B)가 형성된다. 즉 이 예에서는 플럭콘택트(21)의 폭방향에 대해서 경사변(21A)을 형성하고, 이 경사변(21A)을 형성함으로서 폭방향의 일부에 돌부(21B)가 형성된 경우이다.
경사변(21A) 및 돌부(21B)의 전체에 걸쳐서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두께방향의 경사면(23)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23)에 의해서 플럭콘택트(21)의 선단부에 날이 형성된다. 또 이 예에서는 절연보디(20)의 한 개의 면(배면) 즉, 배선기판과 접촉해야될 면에 복수개의 돌기(26)가 형성되고, 이 돌기(26)는 배선기판에 형성된 구멍에 감합되어, 플럭콘넥터(200)의 부착위치가 규정된다.
플럭콘택트(21)에는 제6도,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판면에 돌기(24)가 형성된다. 이 돌기(24)는 예를 들면 플럭콘택트(21)를 구성하는 도전판의 한쪽의 면으로부터 쳐내기에 의해서 형성된다. 돌기(24)의 위치는 플럭콘택트(21)의 선단부로부터 코일스프링(13)의 직경보다 작은 거리의 범위내로 한다.
플럭콘택트(21)는 절연보디(20)에 형성된 스릿에 압입하여 지지한다.
이 압입은 자동기계에서 행하여진다. 즉 단자(22)쪽은 복수개의 단자(22)의 상호간을 연결한 상태 그대로 콘택트(21)를 절연보디(20)에 형성한 스릿에 압입하고, 압입후에 단자(22)쪽을 연결한 부재를 잘라내어서 단자(22)를 각 개별로 분리한다. 또 그 스릿에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럭콘택트(21)의 폭방향의 중앙에 오목홈(27)을 형성하고, 이 오목홈(27)에 의해서 돌기(24)를 통과시키는 구조로 한다.
제8도 내지 제10도에 플럭콘택트(21)의 선단부 현상의 변형 예를 표시한다.
제8도는 플럭콘택트(21)의 폭방향의 양옆으로부터 경사변(21A)을 형성하고, 플럭콘택트(21)의 폭의 중앙에 돌부(21B)를 형성한 경우를 표시한다. 제9도의 실시예는 플럭콘택트(21)의 선단부를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코일스프링(13)의 몸체에 대해서 접촉의 개시는 점접촉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13)의 코일선 사이를 용이하게 밀어서 벌어지게 할 수 있다. 제10도의 예에서는 플럭콘택트(21)의 선단부에 큰 경사변(21A)과 적은 경사변(21A1)을 형성하고, 폭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돌부(21B)를 형성한 경우를 표시한다.
이들 제8도 내지 제10도에 표시한 변형 예에 있어서도 콘택트(21)의 선단부에 두께방향의 경사면(23)은 모두에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플럭콘넥터(200)의 플럭콘택트(21)를 띠형상의 도전판에 의해서 형성한 예를 표시하였으나, 기타의 예로서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플럭콘택트(21)를 둥근막대형상의 도체로도 할 수 있다. 둥근막대형상 도체를 플럭콘택트(21)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막대의 둘레면에링형사의 돌기(24)를 형성하고, 이 링형상의 돌기(24)를 코일스프링(13)의 코일선 사이에 감입함으로서 삽입시의 클릭감 및 인발력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소켓콘넥터(100)로서는 제12도, 제1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네모진 기둥형상의 절연블록(11)의 1개의 면(앞면)에 스프링 수용구멍(12)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스프링 수용구멍(12)을 형상한 면의 양변에 스프링 수용구멍(12)을 사이에 두고 둘조(14A)와 (1B)가 형성된다. 배선기판에 형성한 구멍에 감합하여, 소켓콘넥터(100)의 부착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돌기(18)가 절연블록(11)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절연블록(11)의 1개의 면에 3개의 스프링 수용구멍(12)을 형성한 경우를 표시한다. 스프링 수용구멍(12)에는 콘택트가 되는 코일스프링(13)이 삽입되고, 스프링 수용구멍(12)의 개구면이 단자(15)에 의해 폐색되고, 코일스프링(13)이 압축변형되어서 스프링 수용구멍(12)내에 수납된다.
즉 코일스프링(13)은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자유상태에서는 코일선 신호간이 비교적 크게 벌어진 보통감기(간격감기)의 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 코일스프링(13)은 예를 들면 인청동(燐靑銅)과 같은 도전성 스프링재에 의해서 형성되고, 코일스프링의 상태에서 은도금이 실시된다. 따라서, 코일선 서로가 벌어져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을 구성하는 선재에 균등하게 도금이 실시된다.
코일스프링(13)의 자유길이(L)는 스프링구멍(12)의 깊이보다 길게 선정하고, 스프링 수용구멍(12)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압축변형하여 수납한다. 수납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13)의 코일선 상호는 플럭콘넥터(200)의 플럭콘택트(21)의 판두께보다 작은 간격으로 되게 그 압축변형량을 설정한다.
2개의 돌조(14A)와 (14B)에 스릿이 형성되고, 이 스릿에 단자(15)가 압입되어 단자(15)는 절연블록(11)의 옆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단자(15)의 돌조(14A)와 (14B)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스프링 수용구멍(12)의 개구부가 폐색되고, 코일스프링(13)을 압압하여, 압축 변형된 상태로 유지한다.
단자(15)는 예를 들면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1단부쪽에 있어서 연결부재(15A)로 연결된 상태에서 도전판으로부터 프레스가공(打拔)되며, 이 상태에서 단자(15)의 배치피치(P)는 절연블록(11)에 있어서의 단자(15)의 배열피치와 동등하게 선정된다. 연결부재(15A)로 연결한 형상 그대로 도금등을 실시하고, 자동장착기계에 건다.
자동 장착기계에서는 준비한 절연블록(11)의 단자수에 따른 길이로 연결부재(15)를 절단면(A)(제15도 참조)에서 절단하고, 그 절단한 칩을 절연블록(11)의 돌조(14A)와 (14B)에 형성한 스릿에 자동적으로 압입한다. 돌조(14A)와 (14B)에 압입한 후에 절단면(B)에서 절단하고 단자(15)를 분리한다.
단자(15)를 압입할때에는 코일스프링(13)은 치구를 사용하여 미리 스프링 수용구멍(12)내에 압축 변형시킨 상태에서 압입해두고, 그 상태에서 단자(15)를 치구와 코일스프링(13)의 단부와의 사이에 슬라이딩시켜서 압입을 행한다.
또한 단자(15)의 양옆에 형성한 돌기(15B)(제15도)는 압입에 의해서 절연블록(11)의 수지에 감합하여 단자, (15)를 탈출방지용으로서 작용하는 돌기이다.
또 코일스프링(13)은 제16도, 제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코일의 감는 형상을 둥근 형상이외에 4-8각 정도의 각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제18도에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절연블록(11)내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스프링 수용구멍(12)이 형성되고, 절연블록(11)의 복수개의 면으로부터 스프링 수용구멍(12)내에 통하는 콘택트 삽입구멍(17)이 형성되고 복수개소에서 플럭콘택트(21)를 콘택트 삽입구멍(17)에 삽입하여 동일한 코일 스프링(13)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단자(15), (22)는 각 개별의 배성기판(300)에 접속되어 있다.
제19도는 다른 예를 표시하며, 스프링 수용구멍(12)의 배열방향에 콘택트 삽입구멍(17)이 공통으로 형성되고, 그 콘택트 삽입구멍(17)에 플럭콘택트(21)를 삽입하여, 이 예에서는 3개의 코일스프링(13)에 대해서, 공통의 플럭콘택트(21)를 접속 가능하게 한 경우이다.
제3도에 표시한 소켓콘넥터(100), 플럭콘넥터(200)는 예를 들면 제2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한 2장의 배선기판(300)에 각각 대향해서 부착되고, 그 2장에 배선기판(300)을 상호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 경우, 콘택트 삽입구멍(17)에 플럭콘택트(21)를 삽입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소켓콘넥터(100)와 플럭콘넥터(200)와의, 부착 위치의 위치 어긋남(코일스프링 축방향에 있어서)이 있어도, 소켓콘넥터(100)와 플럭콘넥터(20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어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대폭적인 위치 어긋남이 허용된다. 특히 단자수가 많아져도 위치맞춤 여유도가 높기 때문에, 소켓콘넥터와 플럭콘넥터와의 감합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소켓콘넥터의 콘택트로서 코일스프링(13)을 사용했기 때문에, 소켓콘넥터를 소형으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절연블록(11)을 3×4㎜ 각 정도의 굵기로 할 수 있고, 길이는 3단자형에서 7-8㎜, 단자(15)의 상호간의 간격을 2.5㎜정도로 할 수 있다. 코일스프링(13)로서 선 직경이 0.2㎜ 몸체직경이 1.5㎜의 밀착감기로 하고, 플럭콘택트(21)의 두께를 0.2㎜로 하여 안정된 양호한 접촉을 얻을 수 있었다.
플럭콘택트(21)로서 판형상의 것을 사용하면, 이것을 코일스프링(13)의 코일선으로 탄성적으로 사이에 끼우기 때문에, 다점 접촉이 되어 접촉이 안정적이고, 또 양호하다.
플럭콘택트(21)를 코일스프링(13)에 감합시킬 때에, 플럭콘택트(21)와 코일스프링(13)이 상호간에 마찰되기 때문에 클리이닝 효과를 얻게 되어, 이점에서도 접촉이 안정적이고, 또 양호한 것이 된다.
플럭콘택트(21)가 뒤틀려도, 코일스프링(13)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스프링이 변형할 가능성이 없고, 뒤틀림에 대해서 강한 콘넥터를 얻게 된다.
플럭콘택트(21)에 돌기(24)를 형성하는 경우, 그 돌기(24)의 코일선 사이를 통과할 때에 일시적으로 저항력이 급변하여, 소위 클릭감을 얻게 된다. 따라서 플럭콘넥터(200)가 소켓콘넥터(100)에 대하여 확실하게 감합된 것을 감촉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감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플럭콘넥터(200)에 인발력이 가해져도 돌기(24)가 코일스프링(15)의 코일선에 당접해서 저항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는 빠지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소형화해도 삽발력을 강하게 할 수 있어, 감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콘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플럭콘넥터(200)의 플럭콘택트(21)로서 띠형상의 도전판을 사용하고, 그 선단부형상을 폭방향에 대하여, 폭방향의 일부에 돌부(21B)를 형성한 경우에는, 콘택트(21)의 삽입시에, 먼저 이 돌부(21B)가 코일스프링(13)의 몸체에 대해서 점접촉하고, 이 점접촉의 상태에서 코일스프링(13)의 코일선사이를 밀어 벌어지게 하므로 플럭콘택트(21)의 코일스프링(13)에의 감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을 얻게 된다.
즉 플럭콘택트(21)의 선단부에 돌부(21B)를 형성하지 않고 평탄한 형상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코일스프링(13)의 코일선이 플럭콘택트(21)의 판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고 하면, 플럭콘택트(21)는 2개의 코일선에 걸쳐서 접촉하고, 이것을 미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코일스프링(13)의 코일선사이가 멀어지지 않는 그대로 압압력을 받게 되어, 잘못하면 코일스프링(13)이 밀려서 찌부러져 버릴 사고가 일어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콘택트(21)의 선단부에 돌부(21B)를 형성함으로서 이와 같은 사고가 일어날 수 없는 안정성 높은 콘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소켓콘넥터로 하면 단자(15)를 연결부재(15A)로 연결한 상태 그대로, 절연블록(11)의 돌조(14A)(14B)에 형성한 수릿에 압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압입은 자동기계를 사용해서 행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또 단자(15)에 절곡등의 가공을 전혀 행하지 않기 때문에, 이점에서 부품의 코스트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0)

  1. 플럭콘넥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소켓콘넥터로서, 1면에 스프링 수용구멍이 형성되고, 앞면에 그 스프링 수용구멍과 연통한 콘택트 삽입구멍이 형성된 절연블록과,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내에 수용되고, 몸체가 상기 콘택트 삽입구멍과 대향한 도전재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절연블록에 유지되어, 1단부가 상기 코일스프링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절연블록으로부터 돌출된 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블록은 네모진 기둥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은 복수개가 절연블록의 동일면에 있어서 절연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 성형되고, 그 각 스프링이 수용구멍에 각각 상기 스프링코일이 수용되고, 상기 각 스프링 수용구멍에 각각 연통된 콘택트 삽입구멍이 절연블록의 앞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 코일스프링에 각각 접속된 단자가 절연블록에 유지되고, 이들 단자의 도출방향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의 1단부는 각각, 이것에 접속된 코일스프링이 수용된 스프링 수용구멍의 개구부를 거의 폐색하도록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이 형성된 면의 1변에 따라서 수용구멍 배열방향으로 연장한 돌조가 절연블록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 돌조에 형성된 스릿에 상기 단자가 압입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쪽의 단자의 단부가 되접어지고, 그 되접힘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1단부가 감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부와 스프링 수용구멍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이 형성된 면에 있어서, 그 스프링 수용구멍을 사이에 두고, 1쌍의 돌조가 절연블록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 1쌍의 돌조에 스릿이 대향해서 형성되고 그 스릿에 단자가 압입되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1단부는 상기 1쌍의 돌조사이의 단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판형상 단자이고, 또한 거의 동일면내에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몸체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1.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몸체는 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은 절연블록내에 절곡되어 형성되고, 그 스프링 수용구멍에 대해 복수개의 콘택트 삽입구멍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은 복수개가 배열 형성되고, 그 각 스프링 수용구멍내에 각각 축심이 평행한 코일스프링이 수용되고, 상기 스프링 수용구멍의 배열방향의 1단부으로부터, 이들 스프링 수용구멍에 공통으로 연통해서 콘택트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4. 소켓콘넥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플럭콘넥터로서, 절연보디와 그 절연보디의 앞면에 배열하여 식설된 복수개의 플럭콘택트와, 그 플럭콘택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보디의 1면으로부터 동일방향으로 각각 도출된 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콘택트는 막대형상체를 하고 있으며, 선단부가 끝이 가늘어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콘택트는 옆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콘택트는 띠형상판을 하고 있으며, 이들 판면은 거의 동일면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콘택트의 선단부는 그 폭방향에 대해서 그 일부가 튀어나온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콘택트의 선단부 가장자리는 그 두께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선단부 전체에 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콘택트의 판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KR1019870010686A 1986-09-26 1987-09-26 콘넥터 Expired KR900005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47557U JPH0312226Y2 (ko) 1986-09-26 1986-09-26
JP61-147556 1986-09-26
JP1986147555U JPH0332051Y2 (ko) 1986-09-26 1986-09-26
JP147556 1986-09-26
JP1986147556U JPH0332052Y2 (ko) 1986-09-26 1986-09-26
JP61-147555 1986-09-26
JP147557 1986-09-26
JP61-147557 1986-09-26
JP147555 1986-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604A KR880004604A (ko) 1988-06-07
KR900005087B1 true KR900005087B1 (ko) 1990-07-19

Family

ID=2731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686A Expired KR900005087B1 (ko) 1986-09-26 1987-09-26 콘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838815A (ko)
KR (1) KR900005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0109A (en) * 1990-08-24 1991-07-09 Amp Incorporated Area array connector for substrates
FR2710461B1 (fr) * 1993-09-21 1995-11-24 Matra Marconi Space France Dispositif de connexion électrique embrochable.
JP2000508875A (ja) * 1996-04-04 2000-07-11 カーベルコンフェクツイオーン・ゲベウエル・ウント・グリレル・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ケーブルの電流を遮断するための装置
DE69810152T2 (de) * 1997-11-21 2003-04-17 Francesco Voltolina Beleuchtungsvorrichtung mit abnehmbaren tragarmen
US6439894B1 (en) 2001-01-31 2002-08-27 High Connection Density, Inc. Contact assembly for land grid array interposer or electrical connector
JP2003218620A (ja) * 2002-01-24 2003-07-31 Hitachi Cable Ltd 平板アンテナの製造方法
US20030215706A1 (en) * 2002-05-17 2003-11-20 Alcatel Current collection through the ends of a spirally wound electrochemical cell by the use of a wound wire
US6846184B2 (en) * 2003-01-24 2005-01-25 High Connection Density Inc. Low inductance electrical contacts and LGA connector system
US20040157483A1 (en) * 2003-02-11 2004-08-12 Methode Electronics, Inc. Vibration resistant wireless interconnection system
US7014479B2 (en) * 2003-03-24 2006-03-21 Che-Yu Li Electrical contact and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029288B2 (en) * 2003-03-24 2006-04-18 Che-Yu Li Electrical contact and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040902B2 (en) * 2003-03-24 2006-05-09 Che-Yu Li & Company, Llc Electrical contact
US7527502B2 (en) 2005-11-01 2009-05-05 Che-Yu Li Electrical contact assembly and connector system
US7293995B2 (en) * 2005-11-08 2007-11-13 Che-Yu Li & Company, Llc Electrical contact and connector system
US7358603B2 (en) * 2006-08-10 2008-04-15 Che-Yu Li & Company, Llc High density electronic packages
KR200445574Y1 (ko) * 2008-05-28 2009-08-14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전기적 검사장치
JP5525558B2 (ja) * 2012-02-24 2014-06-18 株式会社沖データ 連結機構、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54493B2 (ja) 2013-03-06 2017-06-28 カーディアック ペースメイカ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ヘッダを備える植込み型装置およびヘッダの形成方法
WO2014186330A1 (en) * 2013-05-13 2014-11-20 Cardiac Pacemakers, Inc. Header connection with reduced complexity
US9748678B2 (en) * 2015-03-31 2017-08-29 Sensata Technologies, Inc. Connectivity in a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5606C (de) * Firma ENGEL & VOGEL NACHF. in Halle a. d. Saale Neuerung an Bierdruckpumpen
US4620761A (en) * 1985-01-30 1986-11-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density chip so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38815A (en) 1989-06-13
KR880004604A (ko) 198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087B1 (ko) 콘넥터
US4274700A (en) Low cost electrical connector
US6482045B2 (en) Connector socket, connector plug and connector assembly
US7556543B2 (en) One-piece PC board magnet wire terminal
JP3070762B2 (ja) 低損失な電気的相互接続
US6592407B2 (en) High-speed card edge connector
US4526436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US6368156B1 (en) Audio jack conveniently and reliably mounted on a circuit board
EP066044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retention
JPH05826B2 (ko)
US2882514A (en) Electric circuit connector
US4445742A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4012102A (en) Solderless electrical contact
US5167544A (en) Female electrical contact
US3806859A (en) Contacts for pin terminals
US5236368A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outrigger edg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697922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with high contact normal force and sufficient resiliency
US600097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contact elements of plate material
EP0418045B1 (en) Coaxial pin connector having an array of conductive hollow cylindrical structures
US2023014762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etallic shell with unitary grounding member
US4416499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21114397A (ja) コネクタ
US9847613B2 (en) Connector and contact
EP0058080A2 (en) Binary code assembly
EP0060024A1 (en) Electric socket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707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072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