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5068Y1 - Apparatus for enlarging/reducing im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nlarging/reducing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068Y1
KR900005068Y1 KR2019850004685U KR850004685U KR900005068Y1 KR 900005068 Y1 KR900005068 Y1 KR 900005068Y1 KR 2019850004685 U KR2019850004685 U KR 2019850004685U KR 850004685 U KR850004685 U KR 850004685U KR 900005068 Y1 KR900005068 Y1 KR 900005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orage
memory
original image
scaling
storage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46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60002421U (en
Inventor
따니 마사오 기꾸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제이.에이취.그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제이.에이취.그래디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60002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42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68Y1/en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32Normalisation of the pattern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상 확대 축소 장치Phase expansion and contraction device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상확대 축소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mage magnification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상메모리(2)중의 오리지날 기억영역과 스케일링 상 기억 영역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riginal storage area and a scaling image storage area in the upper memory 2;

제3도는 부동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loating point.

제4도는 2개의 예에 대한 부동점을 도시하는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floating point for two examples.

제5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축소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duction opera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제6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확대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nlargement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제7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의한 확대 또는 축소에 의하여 얻어지는 상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obtained by enlargement or redu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제8도 및 제9도는 버퍼(4)의 기억용량이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의 일행분을 수용할 수 없을 때의 확대 및 축소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8 and 9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examples of enlargement and reduction operations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uffer 4 cannot accommodate one row of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상 메모리 4 : 버퍼2: upper memory 4: buffer

6 : 확대축소기 8 : 연산장치6: enlarger and reducer 8: arithmetic unit

10 : 제어장치10: controller

본 고안은 문자나 도형 등의 상의 확대축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largement and reduction apparatus for images such as letters and figures.

종래, 1개의 오리지날 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하여, 메모리에 기억된 1개의 오리지날 상을 복수개의 상부분으로 분할하고 이들의 상부분을 순차확대 또는 축소하여 오리지날 상이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를 기록하는 상확대 축소장치에 있어서는, 아직 확대 또는 축소되지 않는 상부분이, 확대상 또는 축소상(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스케일링 상"이라 함)의 메모리에 기억되어 파괴되는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오리지날 상과 스케일링상의 기억 영역을 다르게 설정하기 때문에 상을 위해 많은 메모리 용량을 필요로 하고 상의 영역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enlarge or reduce one original image, one original image stored in the memory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pper portions,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sequentially enlarged or reduced to record an image in which the original image is stored. In the reduction apparatus, in order to avoid the risk that the upper portion which is not enlarged or reduced yet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enlarged image or reduced imag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caling image") and destroyed, the original image and the scaling image Since the memory area is set differently, a large memory capacity is required for the image, and the image area cannot be freely set.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리지날 상과 스케일링상의 기억 영역이 중복되어도 오리지날상의 미처리 부분, 즉 확대 또는 축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부분을 파괴하지 않고 상의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메모리가 불필요하며, 상기 영역의 설정을 자유로이 할 수 있는 상확대축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even if the original image and the storage region of the scaling image overlap, the unprocessed portion of the original image, that is, the upper portion which does not enlarge or reduce can be enlarged or reduced without destroying the image.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enlargement / reduction device capable of freely setting the above area, since many memories are unnecessary.

본 고안은 메모리의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과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과의 위치 관계를 기초로 하여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과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을 같은 비율로 분할하는 부동점을 구하는 연산장치와, 확대명령을 받았을 때 상기 부동점으로 먼쪽의 오리지날 상 기억 보조 영역(오리지날 상 기억영역을 복수개로 분할한 기억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상부분을 판독시키고, 또한 상기 부동점으로부터 먼 쪽의 스케일링 상 기억보조영역(스케일링 상 기억영역을 복수개로 분할한 기억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확대상 부분을 기록시키고, 축소 명령을 받았을 때 상기 부동점에 가까운 쪽의 오리지날 상기억 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상부분을 판독시키며, 또한 상기 부동점에 가까운 쪽의 스케일링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축소상 부분의 기록을 행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and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of the memory, and an operation unit for obtaining a floating point for dividing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and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by the same ratio, and when receiving an enlargement command. The upper portion is sequentially read from the original image storage auxiliary region (the memory region obtained by dividing the original image storage region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farther away from the floating point, and the scaling image storage auxiliary region (scaling phase memory) farther from the floating point. The enlarged image portions are recorded in order from a plurality of storage region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when the reduction command is received, the upper portions are sequentially read from the original storage auxiliary region closer to the floating point. Recording of thumbnail parts in order from the near-scaling upper memory area Provided with a control apparatus for performing,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고안에 의한 상 확대축소 장치는, 상 확대시에는, 부동점으로부터 먼 쪽의 오리지날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상부분의 판독을 행하고, 판독된 상부분을 버퍼에 기억시키고, 그리고 확대 축소기에 의하여 상부분의 확대를 행하고, 부동점으로부터 먼 쪽의 스케일링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확대 부분의 기록을 행하고, 상 축소시에는, 부동점에 가까운 쪽의 오리지날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상부분의 판독을 행하고, 판독된 상을 버퍼에 기억시키고, 확대 축소기에 의하여 상부분의 축소를 행하며, 부동점에 가까운 쪽의 스케일링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축소 상 부분의 기록을 행하는 것이다.In the image enlargement /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image enlargement, the upper portion is sequentially read from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farther from the floating point, the read upper portion is stored in the buffer, and The upper portion is enlarged, the enlarged portion is sequentially recorded from the scaling up image storage area farther from the floating point, and at the time of image reduction, the upper portion is sequentially moved from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closer to the floating point. Is read out, the read image is stored in a buffer, the upper portion is reduced by an enlarged reducer, and the reduced image portion is sequentially written from the scaling image storage auxiliary area closer to the floating point.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상 확대 축소장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상메모리(2)는 오리지날 상을 기억함과 동시에 오리지날 상을 확대 또는 축소한 스케일링 상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다.1 shows one embodiment of the image enlargement and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image memory 2 is a memory for storing an original image and a scaling image obtained by enlarging or reducing the original image.

오리지날 상을 기억하는 오리지날 상 기억 영역은 복수개의 오리지날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 같이, 1개의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은, 예를 들면 축소인 경우 8개의 메모리 행 R1 내지 행 R8로 구성되고, 확대의 경우, 4개의 메모리행 H1내지 행 H4로 구성된다. 스케일링 상을 기억하는 스케일링 상 기억 영역은 복수개의 스케일링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 같이, 1개의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은, 예를 들면, 축소의 경우, 4개의 메모리 행 H1 내지 행 H4로 구성되고, 확대의 경우 8개의 메모리 행으로 구성된다.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과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은 중복하여 설정할 수 있다.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for storing the original ima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 storage auxiliary areas. As shown in FIG. 2, on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is composed of eight memory rows R1 to R8, for example, in the case of reduction, and four memory rows H1 to H4 for the expansion. It consists of.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for storing the scaling ima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caling image storage auxiliary areas. As shown in FIG. 2, one scaling image storage area D is composed of, for example, four memory rows H1 to H4 in the case of reduction, and eight memory rows in the case of enlargement. .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and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D can be set to overlap.

버퍼(4)는, 상 메모리(2)의 기억 영역중 제어 장치(10)에 의하여 지정된 영역으로부터 판독되는 행을 기억하는 버퍼로서, 예를 들면 상 메모리의 2행분의 기억용량을 가진다. 확대 축소기(6)는, 제어장치(10)로부터 주어지는 확대명령 또는 축소명령 및 확대 축소비에 따라서 버퍼(4)에 기억되어 있는 상부분을 확대 또는 축소한다. 확대상 부분 또는 축소상 부분은, 제어장치(10)에 의하여 상메모리(2)의 기억 영역중의 지정된 영역에 기록된다.The buffer 4 is a buffer for storing rows read from the area designated by the control device 10 in the storage area of the upper memory 2, and has a storage capacity of, for example, two rows of the upper memory. The magnification reducer 6 enlarges or reduces the upper portion stored in the buffer 4 in accordance with the magnification command or the reduction command given from the control device 10 and the magnification reduction ratio. The enlarged image portion or the reduced image portion is recorded in the designated area in the storage area of the upper memory 2 by the control device 10.

연산장치(8)는, 상메모리(2)의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과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과의 위치 관계로부터 2영역을 동일비로 분할하는 부동점(RP)를 구하는 장치이다. 제3도는, 부동점(RP)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부동점(RP)은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과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을 수직 방향으로 같은 비로 분할하는 부동선(AA")과 2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같은비로 분할하는 부동선(BB')과의 교점이다. 연산장치(8)는,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좌하단을 원점으로 하고,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의 좌하단의 좌표를 (XD, YD)로 하고, 확대 축소비를 n로 하고, 부동점(RF)의 Y좌표(YR)를, 다음 연립 방정식The arithmetic unit 8 is a device which obtains the floating point RP which divides two areas by the same ratio from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and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D of the upper memory 2. 3 is for explaining the floating point RP. The floating point RP is a floating line AA "which divides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and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D by the same ratio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loating line BB which divides the two regions by the same ratio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mputing device 8 sets the coordinates of the lower left end of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D as (X D , Y D ) with the origin of the lower left end of the original upper storage area S as the origin. , The enlargement / reduction ratio is n, and the Y coordinate Y R of the floating point RF is

의 해(yC)를 구하여 얻고 부동점(RP)의 X좌표(X)를 다음 연립방정식To obtain the solution (y C ) and obtain the X coordinate (X) of the floating point (RP)

의 (XP)를 구하여 얻는다.Obtain (X P ) of.

예를 들면,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메모리 행으로 이루어지는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상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 대하여 각각 1/2로 축소하고, 영역(S)의 최하단의 좌표를 원점으로 하였을 때 좌하단의 좌표가(2,3)인 4개의 메모리 반행으로 이루어지는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에 기억시킬 경우에는,For example, as shown in FIG. 4A, the image of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consisting of eight memory rows is reduced to 1/2 eac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st end of the area S is shown. In the case where the coordinate is stored in the scaling upper memory area D consisting of four memory rows having the lower left coordinates of (2, 3) when the coordinate is the origin,

And

를 계산하므로서, 부동점(RF)의 좌표가(4,6)인 것을 알 수 있다.By calculating, it can be seen that the coordinate of the floating point RF is (4,6).

제4b도에 도시된 바 같이, 4개의 메모리 반행으로 이루어지는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상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 대하여 각각 2배로 확대하고, 영역(S)의 좌하단의 좌표를 원점으로 하였을 때 좌하단의 좌표가(-2,3)인 8개의 메모리 행으로 이루어지는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에 기억시키는 경우에는,As shown in FIG. 4B, the image of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consisting of four memory rows is doub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coordinates of the lower left end of the area S are returned to the origin. Is stored in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D consisting of eight memory rows having the coordinates (-2,3) at the bottom left,

을 제어하여, 부동점(RF)의 좌표가(2,3)인 것을 알수 있다.By controlling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oordinate of the floating point RF is (2, 3).

제어장치(10)는, 외부로부터 확대명령을 받았을 때 부동점(RP)으로부터 먼 쪽의 오리지날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제2도의 예에서는, 메로리 반행 H1으로부터 H2의 순서대로 또한 H4로부터 H3의 순서대로 메모리(2)의 판독을 행하고, 부동점(RP)으로부터 먼 쪽의 스케일링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제2도의 예에서는, 메모리행 R1, R2, R3, R4)의 순으로 또한 메모리 행 R8, R7, R6, R5의 순으로 메모리(2)에 확대상 부분의 기록을 해하고, 외부로부터 축소 명령을 받았을 때에 부동점(RP)에 가까운 쪽의 오리지날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제2도의 예에서는, 메모리행 R4, R3, R2, 및 R1의 순 또는 메모리행 R5, R6, R7 및 R8의 순)메모리(2)의 판독을 행하고, 부동점(RP)에 가까운 쪽의 스케일링 상 기억부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제2도의 예에서는, 메모리 반행 H2로부터 메모리 반행 H1까지 또는 메모리 행 H3으로부터 메모리 반행 H4까지의 순)메모리(2)에 축소상의 기록을 행하게 하는 것이다.When the control device 10 receives an enlarged command from the outside, the controller 10 sequentially moves from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farther from the floating point RP (in the example of FIG. 2, in the order of memory return H1 to H2 and from H4 to H3). The memory 2 is read in the order of, and in order from the scaling-up storage auxiliary area farther from the floating point RP (in the example of FIG. 2, the memory rows R1, R2, R3, R4). The magnified image portion is written to the memory 2 in the order of the memory rows R8, R7, R6, and R5, and in order from the original upper memory storage area closer to the floating point RP when a reduction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In the example of FIG. 2, the memory rows R4, R3, R2, and R1 or the memory rows R5, R6, R7, and R8 are read in order.) The memory 2 is read and the one closer to the floating point RP is read. In order from the scaling phase storage area (in the example of FIG. 2, The reduced-size image is written to the memory 2 in the order from the memory row H2 to the memory row H1 or from the memory row H3 to the memory row H4.

다음에, 상술한 바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상 확대 축소장치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 8개의 메모리행 R1 내지 R8로 이루어지는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상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1/2로 축소하고, 4개의 메모리 반행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중심이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중심과 일치하는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에 축소상을 기록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연산장치(8)는, 상기의 연립방정식(1) 및 방정식(2)을 계산하므로서, 부동점(RF)이 영역(S) 및 영역(D)의 중심인 것을 구하고, 이것에 따라서, 제어장치(10)는, 우선 메모리(2)의 부동점에 가장 가까운 메모리행 R3 및 메모리행 R4에 기억되어 있는 상부분을 버퍼(4)에 출력시킨다. 그리고 제어장치(10)는 확대축소기(6)에 축소명령 및 축소비(본 예에서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각각 1/2)를 제공하여, 확대축소기(6)의 버퍼(4)에 기어되어 있는 상부분을 상기 비에 따라서 축소시킨다. 다음, 제어장치(10)는, 부동점에 가까운 메모리 반행 H2을 지정하고, 여기에 확대 축소기(6)으로부터의 축소 상부분을 기억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이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메모리 반행 H2의 영역에는 이미 축소처리가 끝난 오리지날 상부분이 기억되어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아직 축소처리 되어있지 않는 오리지날 상부분이 파괴하는 일은 없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image enlargement and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image of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consisting of eight memory rows R1 to R8 is now reduced to 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is made up of four memory rows, and the center is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The case where the reduced image is recorded in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D coinciding with the center of X)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irst, the computing device 8 calculates the simultaneous equations (1) and (2), and finds that the floating point RF is the center of the regions S and D,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 first outputs the upper portion stored in the memory row R3 and the memory row R4 closest to the floating point of the memory 2 to the buffer 4.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reduction command and a reduction ratio (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example) to the enlarger 6, and is geared to the buffer 4 of the enlarger 6 The upper portion is reduced according to the above ratio. Next, the control apparatus 10 designates memory return H2 close to a floating point, and stores the reduced upper portion from the enlarged reducer 6 therein. This operation is illustrated in FIG. Since the original upper portion that has already been reduced has been stored in the area of the memory return H2, the original upper portion that has not been reduced yet does not be destroyed.

다음에, 제어장치(10)는, 메모리(2)의 메모리행 R2, R1에 기억되는 상을 버퍼(4)에 출력시킨다.Next, the controller 10 outputs the image stored in the memory rows R2 and R1 of the memory 2 to the buffer 4.

그리고 상술된 것과 동일하게 확대축소기(6)에 축소시켜, 확대 상부분을 메모리(2)의 메모리 반행 H1에 기억시킨다.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enlarged reducer 6 is reduced to store the enlarged upper portion in the memory transfer H1 of the memory 2.

이 동작은 제5b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 반행 H1의 영역도 이미 축소처리가 끝난 오리지날 상이 기억되어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아직 축소 처리되어 있지 않은 오리지날 상이 파괴되는 일은 없다. 나머지 메모리 R5 내지 R8에 기억되어 있는 오리지날 상부분도 동일하게 축소되고 메모리 반행 H3 및 H4에 기억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에 "J"라고 하는 문자가 기억되어 있다고 한다면,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과 중복되는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에 축소하여 기억된다.This operation is shown in FIG. 5B. Since the area of the memory return H1 is also an area in which the original image that has already been reduced has been stored, the original image that has not been reduced yet is not destroyed. The original upper portion stored in the remaining memories R5 to R8 is similarly reduced and stored in the memory transfers H3 and H4. Thus, for example, if the character "J" is stored in the original image storage region S, as shown in Fig. 7A, the scaling image storage region (S) overlapping with the original image storage region S ( It is memorized in D).

다음에, 4개의 메모리 반행 H1 내지 H4으로 이루는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상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2배로 확대하고, 8개의 메모리행 R1 내지 R8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중심이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중심과 일치하는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에 확대상을 기록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연산 장치(8)는 상기의 연립방정식(1) 및 방정식(2)를 계산하므로서, 부동점(RF)이 영역(S,D)의 중심인 것을 구한다. 이것에 따라서, 제어장치(10)는, 우선, 메모리(2)의 부동점(RF)으로부터 가장 먼 메모리 반행 H1에 기억되어 있는 상부분을 버퍼(4)에 출력시킨다. 그리고, 제어방치(10)는 확대축소기(6)에 확대명령 및 확대비(본 예에서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2)를 제공하여 확대축소기의 버퍼(4)에 기억되어 있는 상부분을 상기 비에 따라서 확대시킨다. 다음, 상기 제어장치(10)는, 부동점으로부터 가장 먼 메모리 행 R1 및 R2를 지정하고, 여기에 확대축소기(6)로부터의 확대상 부분을 기억시킨다.Next, the image of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consisting of four memory rows H1 to H4 is doub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is composed of eight memory rows R1 to R8 and the center is the original image memory.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the enlarged image is recorded in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D coincident with the center of the region S. FIG. The computing device 8 calculates the simultaneous equations (1) and (2) above, and finds that the floating point RF is the center of the regions S and D. 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ler 10 first outputs the upper portion stored in the memory line H1 farthest from the floating point RF of the memory 2 to the buffer 4. Then, the control device 10 provides the enlargement reducer 6 with an enlargement command and an enlargement ratio (2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respectively) in the upper portion stored in the buffer 4 of the enlarger. Is enlarged according to the above ratio. Next, the control device 10 designates the memory rows R1 and R2 furthest from the floating point, and stores the enlarged image portion from the zoom reducer 6 therein.

이와 같은 동작이 제6a도에 도시되어 있다. 메모리 행 R1 및 R2의 영역은 오리지날 상부분이 기억되어 있지 않는 영역이기 때문에, 처리되지 않은 오리지날 상부분이 파괴되는 일이 없다.This operation is shown in Figure 6a. Since the regions of the memory rows R1 and R2 are regions in which the original upper portion is not stored, the unprocessed original upper portion is not destroyed.

다음에, 제어장치(10)는 메모리(2)의 메모리 반행 H2에 기억되어 있는 상을 버퍼(4)에 출력시킨다.Next, the controller 10 outputs the image stored in the memory transfer H2 of the memory 2 to the buffer 4.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확대축소기(6)에 의해 확대시키고, 확대상을 메모리(2)의 메모리행 R3 및 R4에 기억시킨다. 이 동작은 제6b도에 도시되어 있다.In the form as described above, the enlargement and reduction unit 6 enlarges the enlarged image and stores the enlarged image in the memory rows R3 and R4 of the memory 2. This operation is shown in FIG. 6B.

메모리행 R4은 메모리 반행 H2와 중복되지만, 메모리 반행 H2에 기억되어 있는 오리지날 상부분은 이미 확대처리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확대 처리에 사용되어 있지 않은 오리지날 상부분이 파괴되는 일은 없다,.The memory row R4 overlaps with the memory row H2, but since the original upper portion stored in the memory row H2 is already used for the enlargement process, the original upper portion not used for the enlargement process is not destroyed.

나머지 메모리 반행 H3 및 H4에 기억되어 있는 오리지날 상부분도 같은 형태로 확대되고 메모리행 R4 내지 R7에 기억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에는 "J"라고 하는 문자가 기억되고 있다고 한다면,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과 중복되는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에 확대되어 기억된다.The original upper portion stored in the remaining memory lines H3 and H4 is also expanded in the same manner and stored in the memory lines R4 to R7. Thus, for example, if the character "J" is stored in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as shown in Fig. 7B,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S) overlapping with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 It is enlarged and stored in D).

상기 예에서,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1행분의 상부분을 일괄하여 버퍼(4)에 인출할 수 있는 경우이지만, 버퍼(4)의 기억용량이 적어서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1행분을 수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upper portion of one row of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can be collectively pulled out to the buffer 4, but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uffer 4 is small so that 1 of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is reduced. If you can't accommodate the line breaks, you can do this:

즉,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각 행을 복수개로 분할하고, 1개의 영역의 기억용량이 버퍼(4)의 기억용량에 수용되도록 하며, 확대인 경우에는, 우선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부동선(AA')으로부터 가장 먼 행(100)에 대해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바 같이 상기 행의 부동선(BB)에 가장 먼 분할영역(102)으로부터 순서대로 각 분할 영역에 대해 확대처리를 행하고(제8도의 분할 영역내의 숫자는 처리순서를 가리킴) 가장 먼 행의 확대처리가 끝나면, 다음에 먼 행으로부터 부동선(AA')에 가까운 행에 대해 순차적으로 상기와 동일하게 확대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That is, each row of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so that the storage capacity of one area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uffer 4, and in the case of enlargement,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is firstly expanded. As shown in FIG. 8 for the row 100 furthest from the floating line AA 'of Fig. 8, the image is enlarged for each partition in order from the partition 102 furthest from the floating line BB of the row. After the processing is performed (the number in the divided area in FIG. 8 indicates the processing procedure) and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farthest line is finished, the process of enlargement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for the next line closest to the floating line AA 'from the farthest line. You can also do

제8도의 화살표는 처리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축소인 경우에는, 우선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의 부동선(AA')에 가장 가까운 행(110)에 대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의 부동선(BB)에 가장 가까운 분할영역(112)으로부터 순서대로 각 분할 영역에 대해 축소처리를 행하고(제9도의 분할 영역내의 숫자는 처리순서를 가리킴) 가장 가까운 행의 축소처리가 끝나면, 다음에 가까운 행으로부터 부동선(AA')에 대해 가장 먼 행의 순차로 상기와 같은 축소처리를 행하여도 좋다.The arrow in FIG. 8 shows the processing sequence. In the case of reduction, first, the divided region closest to the floating line BB of the row as shown in FIG. 9 for the row 110 closest to the floating line AA 'of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 is shown. Redu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for each divided area in order from (112) (the number in the divided area in FIG. 9 indicates the processing order). After the reduction processing of the closest row is finished, the next line is moved from the next row to the floating line AA '. The reduction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order of the farthest line.

제9도의 화살표는 처리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Arrows in FIG. 9 show the processing sequence.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 및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을 사각형으로 하였지만, 기억영역이 사각형 이외의 2차원 폐영역이라도, 부동점을 구하여 미처리된 오리지날 상을 파괴하는 일없이 확대축소를 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original image storage region and the scaling image storage region are rectangular, but even if the storage region is a two-dimensional closed region other than the square, the floating point can be reduced and enlarged without destroying the unprocessed original image. Of course it can.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과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을 같은 비로 분할하는 부동점을 구하고, 확대의 경우에는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의 부동점으로부터 다음으로 먼 영역으로부터 가까운 방향으로 순차 상부분을 판독하고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의 부동점으로부터 다음으로 먼 영역으로부터 다음으로 가까운 영역에 순차 확대상 부분을 기록하고, 축소인 경우에는, 오리지날 상 기억 영역의 부동점에 가까운 영역으로부터 다음 영역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향하여 순차 상부분을 판독하고 스케일링 상 기억 영역의 부동점에 다음으로 가까운 영역으로부터 먼 다음 영역에 순차적으로 축소상 부분을 기록하기 때문에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과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이 중복되어 있어도 오리지날 상 부분을 파괴하는 일이 없고 확대 또는 축소를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대용량의 메모리가 불필요하게 되고 특히 퍼스널 컴퓨터에 유효하다. 또, 상 영역의 설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의 사용 효율도 개선된다.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a floating point for dividing the original image storage region and the scaling image storage region by the same ratio, and in the case of enlargement, sequentially in the direction from the floating point of the original image storage region to the next farther region. The upper portion is read out and the sequential enlarged image portion is recorded in an area next to the next area far from the floating point of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and in the case of reduction, from the next area from the area close to the floating point of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Since the upper part is read in the distant direction and the reduced parts are sequentially recorded in the next area far from the next closest to the floating point of the scaling image memory area, even if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and the scaling image memory area overlap. Destroy the iconic part You can zoom in or out without a problem. Therefore, a large amount of memory becomes unnecessary and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a personal computer. In addition, since the image area can be set freely, the use efficiency of the memory is also improved.

Claims (1)

오리지날 상을 기억하는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S)이 복수개의 오리지날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오리지날 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얻어지는 스케일링 상을 기억하는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D)이 복수개의 스케일링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과 상기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이 적어도 일부가 중복하는 임의의 위치 관계로서 설정되는 메모리(2)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된 상부분을 일시 기억하는 버퍼(4)와, 상기 버퍼에 기억된 상부분을, 확대명령을 받았을 때에 확대하여 출력하고, 축소 명령을 받았을 때 축소하여 출력하는 상 확대축소기(6)와, 상기 메모리의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과 상기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과의 위치 관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오리지날 상 기억영역과 상기 스케일링 상 기억영역을 같은 비로 분할하는 부동점(RP)을 구하는 연산장치(8)와, 확대 명령을 받았을 때에 상기 부동점으로 부터 먼 쪽의 오리지날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상부분을 판독하고, 또한 상기 부동점으로부터 먼쪽의 스케일링 상 기억보조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확대상 부분을 기록하며, 축소 명령을 받았을 때 상기 부동점에 가까운 쪽의 오리지날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상부분을 판독하고 또한 상기 부동점에 가까운 쪽의 스케일링 상 기억보조 영역으로부터 순서대로 축소상 부분의 기록을 행하게 하는 제어장치(10)를 구비하는 상 확대 축소장치.The original image storage region S for storing the original ima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 storage auxiliary regions, and the scaling image storage region D for storing the scaling image obtained by enlarging or reducing the original image includes a plurality of scaling images. A memory 2 configured as a storage auxiliary area, wherein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and the scaling image storage area are set as an arbitrary positional relationship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m overlap, and a buffer for temporarily storing an upper portion read from the memory ( 4) and an image enlarger 6 which enlarges and outputs the upper portion stored in the buffer upon receiving an enlargement command, and reduces and outputs when receiving a reduction command,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of the memory, and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scaling image storage region, the original image storage region is equal to the scaling image storage region. Reads the upper portion in order from the arithmetic unit 8 for obtaining the floating point RP divided by the ratio, and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farthest from the floating point when the magnification command is received, and from the floating point. The magnified image portions are recorded in order from the remote scaling image storage area, and when the reduction command is received, the upper portions are sequentially read from the original image storage area closer to the floating point, and the upper portion is closer to the floating point. And a control device (10) for causing recording of the reduced image portions in order from the scaling image storage auxiliary area.
KR2019850004685U 1984-08-24 1985-04-24 Apparatus for enlarging/reducing image Expired KR900005068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612 1984-08-24
JP1984127612U JPS6142659U (en) 1984-08-24 1984-08-24 Image sca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421U KR860002421U (en) 1986-03-31
KR900005068Y1 true KR900005068Y1 (en) 1990-06-08

Family

ID=3068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4685U Expired KR900005068Y1 (en) 1984-08-24 1985-04-24 Apparatus for enlarging/reducing im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42659U (en)
KR (1) KR90000506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5775A (en) * 1986-10-09 1988-04-26 Konica Corp Picture processing unit capable of magnifying and reducing
JPS63167565A (en) * 1986-12-27 1988-07-11 Konica Corp Image processor capable of designating recording 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9673A (en) * 1982-10-28 1984-05-08 Ricoh Co Ltd Expanding and contracting method of pi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634Y2 (en) 1990-01-16
JPS6142659U (en) 1986-03-19
KR860002421U (en) 198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6205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th reduced handling and storage
EP0216931B2 (en) Image rotating system having an arbitrary angle
US5291582A (en) Apparatus for performing direct memory access with stride
JPH02287684A (en)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JPH0431154B2 (en)
JPH09245179A (en) Computer graphic device
EP0410771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900005068Y1 (en) Apparatus for enlarging/reducing image
US6577776B1 (en) Transforming video images
JPS59172064A (en) Parallel processing system in video system
JPS5972568A (en) Picture converter
JP3580685B2 (en) Electronic book display control device
JPS63239542A (en) Image memory device and image processing device
JPS63113770A (en) Image processing method
JPH0524552B2 (en)
JPH0863595A (en) Method and device for rotation processing of image
JPS5979673A (en) Expanding and contracting method of picture
JP2004056557A (en) Image processor
JPS63255778A (en) Picture processor
JPS6225382A (en) Image processor
JPS63109650A (en) Picture reader
JPS63111584A (en) Image processor
JPS63124178A (en) Picture processor
JPS62262184A (en) Binary image encoding system
JPH01199280A (en) Sequential mask arithmetic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504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504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90925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5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10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10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