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4783B1 - 이종재료의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재료의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783B1
KR900004783B1 KR1019880007621A KR880007621A KR900004783B1 KR 900004783 B1 KR900004783 B1 KR 900004783B1 KR 1019880007621 A KR1019880007621 A KR 1019880007621A KR 880007621 A KR880007621 A KR 880007621A KR 900004783 B1 KR900004783 B1 KR 900004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groove
forming
producing
rec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730A (ko
Inventor
시게토모 마쓰이
히로유끼 마쓰무라
다께시 야마다
야쓰히로 쿠몬
마코토 료지
마사끼 유에카도
시게끼 코에
히로아쓰 아사리
토시히코 이시쥬까
토시이오 아쓰타
시게미 무라까미
쇼죠 아까자끼
신지 고가
아키토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와사끼 쥬고교 주식회사
하세가와 겐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648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6087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6484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14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850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88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85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88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648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55035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사끼 쥬고교 주식회사, 하세가와 겐꼬 filed Critical 가와사끼 쥬고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00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783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8/00Rolling metal of indefinite length in repetitive shap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manufacture of particular objects, e.g. checker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5/00Uniting components to form integral members, e.g. turbine wheels and shafts, caulks with inserts, with or without shaping of th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0Power rails
    • B60M1/302Power rails composi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1Magnetic cores
    • H02K15/023Cag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25Asynchronous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25Inward deformation of aperture or hollow body wall
    • Y10T29/49934Inward deformation of aperture or hollow body wall by axially applying 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36Surface inter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ear Motor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종재료의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제1a도는 본 발명의 이종재료의 중합체의 1실시예의 단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중합체를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중합체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제7도는 중합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8도는 중합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9도 및 제10도는 중합체의 제1의 재료의 요부의 형상을 표시하는 각각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11도는 중합체의 제1의 재료의 접합면의 일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ⅩⅡ)-(ⅩⅡ)선도.
제13도는 제11도의 (ⅩⅢ)-(ⅩⅢ)선도.
제14도는 또다른 중합체의 제1의 재료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5도는 제14도의 재료를 얻기위한 1실시예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ⅩⅣ)-(ⅩⅣ)선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ⅩⅦ)-(ⅩⅦ)선 단면도.
제18도는 제16도의 제1의 재료에 제2의 재료를 체결한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제19도는 중합체의 제1의 재료의 접합면에 요부를 형성하기 전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중합체의 제1의 재료에 요부를 형성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상태에 계속하는 요부 형성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2도는 중합체의 제1의 재료에 다른 형상의 요부를 형성하고 있는 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3도는 제22도의 상태에 계속하는 요부 형성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4도는 중합체의 제1의 재료의 다른 형태의 요부 형성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방법으로 형성된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26도는 중합체의 제1 또는 제2의 재료로의 철부형성의 최초의 단계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27도 및 제28도는 제26도의 단계에 계속하는 2개의 공정을 순차로 표시하는 단면도.
제29도 내지 제31도는 중합체의 한쪽의 재료에 요부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의 3개의 공정을 순차로 표시하는 도면.
제32a도 및 제32b도는 다른 형식의 중합체의 제1재료의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제33a도 및 제33b도는 제32a도 및 제32b도에 표시하는 제1의 재료에 체결되는 제2의 재료의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
제34도 내지 제36도는 제1의 재료 및 제2의 재료를 연결하는 공정을 순차로 표시하는 도면.
제37도는 중합체의 제1의 재료의 다른 형식의 요부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38도는 제37도의 요부형성에 사용하는 로터리 커터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39도 및 제40도는 제38도의 로우터리 커터로 요부를 형성하는 두 개의 공정을 순차로 표시하는 도면.
제41도 내지 제43도는 중합체의 제1의 재료에 요부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의 3개의 공정을 순차 표시하는 도면.
제44도 내지 제48도는 중합체의 제1의 재료와 제2의 재료를 주입하는 것으로 체결하는 방법의 공정을 순차로 표시하는 도면.
제49도 내지 제52도는 중합체의 제1의 재료와 제2의 재료를 수성유동에 의하여 체결하는 방법의 공정을 순차로 표시하는 도면.
제53도 내지 제57도는 중합체의 2개의 재료를 소성 유동에 의하여 체결하는 다른 방법의 공정을 순차로 표시하는 도면.
제58도 내지 제62도는 중합체의 2개의 재료를 체결하는 또다른 방법의 공정을 순차 표시하는 도면.
제63도 내지 제65도는 제5도 내지 제62도의 방법의 변형예의 공정을 순차 표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종재료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중합체 1예는 로면에 작은 설정높이를 둔 상태에서 주행자재인 철레인 주행식의 리니어모타카의 로면쪽의 유도용 2차측 플레이트 등의 중합체이다. 주지한 바와같이 예를들어 교통기관은 극히 중요한 것이고 그중 철도 등의 교통수단은 고속이고 대량수송이 가능한 것으로서 자동차 수송과는 별도로 극히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전달의 고속화와 더불어 철도수송의 고속화가 요망되고 있으며 그 진동이나 소음이 무시할 수 없는 것으로 되고 또 지하철 등의 터널 굴삭 등에 대한 큰 단면의 굴삭에 수반되는 공사량의 증대와 가격상승 등으로부터 조용하고 무진동이고 또한 터널 등의 단면을 축소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이점으로부터 철레일 주행식의 리니어모타카가 각광을 받게되고 일부에서는 실용화되고 있다. 그리하여 이 종류의 철레일주행식의 리니어모타카의 1차측에 대하여 와전류를 생기게하여 구동력으로하는 2차측 플레이트의 구조는 그 재질적인 면으로보아 양전도성과 높은 투자(透磁)율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고 그리고 상당히 강력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반력지지때문에의 전단력이나 박리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이 되며 이들의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는 금속 등의 재료는 1체금속의 재료로서는 현단계 기술로는 얻을 수가 없고 따라서 서로 양전도성과 높은 투자율을 서로 가지는 이종재료의 금속체 등을 밀착접합시킨 중합체를 2차측 플레이트로 하여 사용되고 있다. 즉 예를들어 높은 투자율을 가지는 재료의 금속체로서 연강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여기에 좋은 전도성을 가지는 다른 재료의 금속체로서의 알미늄 플레이트를 중합하고 이것을 프레스성형 하는 것으로서 이 연강 플레이트의 양쪽끝을 협지하게 기계 가공하여 접시볼트를 알미늄 플레이트 쪽으로부터 연강 플레이트에 나사 꽂이하여 양플레이트를 1체결합한 것이나, 연강플레이트에 대하여 알미늄 플레이트를 포착하는 것으로서 그라드 판상으로 밀착한 것 등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2차측 플레이트는 고빈도로 반복하여 작용하는 방대한 구동력의 반력에 대한 지지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경계면에 평행인 방향으로의 전단력에 대항하는 큰 저항을 가질 필요가 있고 또 상하방향의 박리력에 대한 항력도 충분하게 가지지 아니하면 안된다. 특히 지하철 등에 있어서는 온도 교차나 역학적인 진동에 대한 열거동이나 박리력 부가에 저항하지 않으면 안되고 전술한 바와같이 2장의 플레이트를 프레스성형 하는 것으로서 결합한 후 나사고착한 것이나 포착한 것에 있어서는 시간 경과하면 충분한 저항력을 구비시킬 수 없는 결점이 있다. 특히 프레스와 나사 고착에 의한 것에 있어서는 기계적인 밀착력이나 체결력이 시간 경과하면 이완하는 경향에 있는 난점이 있고 또 포착에 의한것에 있어서는 그 제조가 극히 고가이고 코스트면에서 맞지 않는 불리점이 있다. 또 터널을 사용하는 지하철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해안근방 등의 지하철 등에 있어서는 부식이나 간수 등의 가혹한 조건 등에 노출되는 등 그 환경이 현저하게 나쁘고 연강 플레이트와 알미늄플레이트와 접합면에 부식이 생겨 시간 경과하면 일차측 플레이트 기능을 유지할 수 없는 좋지 못한 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이종재료의 금속중합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있으며 특히 반복하여 작용하는 강대한 전단응력이나 심한 열거동 등에 의하여도 이종금속 상호간이 밀착접합면이 밀려남이나 박리를 발생함이 없이 체결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저 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고 그 기능이 시간경과해도 거의 변화하지 않게한 이종재료의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또 상술한 이종재료의 중합체의 여러종의 제조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종재료의 중합체에서는 이종재료중 제1의 재료의 접합면에, 내부한쪽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요부가 형성되고 또 제2의 재료의 접합면에, 한쪽에 언더행면을 가지고 또한 전기한 요부와 치수형상이 같은 철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요부내에 각각의 철부가 긴밀하게 결합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이중재료의 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접합면을 가지는 제1의 재료를 사용하고 이 재료의 내부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요부를 형성하고 제1의 재료를 주형내에 수용하고 제1의 재료의 접합면과 주형내면과의 사이에, 제2의 재료를 주입하여 전기한 요부내에 제2의 재료를 충진함과 동시에 제1의 재료의 접합면에 따라 제2의 재료를 소정두께로 부착시켜 1체화한 제1, 제2의 재료를 주형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으로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이종재료의 중합체의 제조의 다른 방법은, 접합면을 가지는 제1의 재료를 사용하고 이 제1재료의 접합면에, 내부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요부를 형성하고, 한편 접합면을 가지는 제2재료를 사용하고 제1 및 제2의 재료의 접합면 끼리를 대향시켜 양재료를 서로 압압하여 제2의 재료를 제1의 재료의 요부내로 소성 유동에 의하여 유입시켜 제1, 제2재료를 일체화하는 것으로 일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이종재료의 중합체의 제조의 또 다른 방법은 접합면을 가지는 제1의 재료를 사용하고 이 제1재료의 접합면에 내부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요부를 형성하고 제21의 재료의 접합면상에 1쌍의 제2의 재료를 플레이트를 병열로 장착하고 이들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끝언저리가 간격을 두고 전기가 요부 위에 있게하고 양플레이트의 대향끝언저리 사이의 틈새와 전기한 요부를 메우게 제3의 재료를 살붙이하고 살붙이부를 양플레이트의 외면과 동일면으로 되게 절삭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이종재료의 중합체의 제조의 또 다른 방법은 1쌍의 이종재료가 기계적 결합관계로 접합면에 있어서 밀착체결 되어 있는 중합체 제조방법으로서, 내부에 오버행면을 내부에 가지는 원형 구멍형 요부를 접합면에 형성한 제1의 재료를 사용하고 역절두 원추형상의 관통공을 가지고 관통공의 작은 지름쪽에 접합면을 가지는 제2의 재료를 사용하고, 제1 및 제2의 재료를 이들의 접합면이 대향하고 또한 요부와 관통공이 일치하게 하여 겹치고 요부와 관통공내에 앵커재를 삽입하고 요부와 관통공내를 완전하게 메우게끔 앵커재료를 소성 변형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 표시하는 실시예는 철레일 주행식의 리니어모타카의 2차측 플레이트의 양태이고 제1a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111은 본 발명의 이종재료의 중합체로서의 2차측 플레이트로 표시하고 높은 투자율을 가지는 제1의 재료의 금속체로서의 연강 플레이트 2와 그 상부의 제2재료의 금속체로서의 양전도성인 알미늄 플레이트 3이 접합면 11에 있어서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있다. 양 플레이트 2,3의 형태를 별도로 표시하는 제1b도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연강플레이트 2의 도면에 있어서의 상면11a은 하향으로 끝이 좁아지게되는 단면 V자형의 홈모양 요부 7이 형성되고 있고 이들의 요부7은 한쪽의 안쪽면 6이 오버행면(도면에 있어서 상방으로 향하게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은 면)을 이루게 경상방향으로 파여들어가고 있다. 요부7의 경사방향 및 배열을 설계조건에 따라 여러종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알미늄 플레이트 3의 도면에 있어서의 하면 11b에는 하향으로 끝이 좁게되는 단면 V자형의 홈모양 철부9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의 철부9는 한쪽의 측면 8이 언더행면(도면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향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는 면)을 이루게끔 경사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전기한 요부7 및 철부9는 서로 위치가 대응하고 또한 형상 칫수가 일치되게 형성되고 있다.
제1b도에서는 플레이트 2,3은 분리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철부9는 중합체의 제조시에 요부 7내로 주입하거나 또는 플레이트 3을 플레이트 2에 대하여 로울에 의해 철부 9를 요부 7내에 압입하는 등의 수단으로 양플레이트는 밀착상태로 기계적으로 체결한다. 이로서 중합체 111은 극히 높은 긴착력으로 일체화되고 길이 방향은 물론 가로방향에 있어서의 전단력에 대하여도 충분한 저항을 가지고 또 온도변화 등에 의한 열거동에 의한 박리력에 대하여도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상술의 구성에 있어서 부설된 2차측 플레이트 111위에 소정의 부상높이로 도시하지 않은 리니어모타카가 주행함에 있어서는 알미늄 플레이트 3을 경유하여 와전류가 생겨서 구동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그때의 구동력의 큰 반력을 알미늄 플레이트 3이 길이방향으로 받으나 요부 7과 철부 9와의 오버행면 6과 언더행면 8와의 견고한 기계적 결합에 의하여 그 길이방향은 물론 이와 직교하는 방향의 전단력에 대하여도 충분한 저항이 생기고 또 온도변화 등의 열거동에 의한 도면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강대한 박리력에 대하여는 오버행면 6과 언더행면 8과의 강력한 기계적 결합에 의하여 저지되고 설정거리 단위의 높이 이상의 높이변화는 저지된다. 또 연강 플레이트 2와 알미늄 플레이트 3와의 접합면 11은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바닷바람이나 간수 등에 의하여도 부식 등이 생기지 않고 따라서 양자 사이의 박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항상 충분한 설계대로의 긴착상태가 유지되어 리니어 모타카의 설계한 바와같은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2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중합체 112의 접합면에 있어서의 연강 플레이트 2쪽의 전부의 요부 7내의 중간정도에 상향의 돌기 10이 형성되어서 요부 7의 접합면을 보다 크게 하고 전단력에 저항하는 힘을 크게 하고 있다. 이 돌기 10은 알루미늄 플레이트 3이 요부 7에 소성적으로 압입될 때 소성적인 흐름을 양호하게 하고 충전을 좋게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 제3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중합체 113에 있어서는 요부의 오버행면 6과 철부의 언더행면 8을 면 P-P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철부 9는 P-P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직선 주행부 등에 부설하는 등의 경우에는 극히 유효하고 또한 낮은 코스트로 제조할 수 있는 양태이다. 다음에 제4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중합체 114에서는 소위 비둘기꼬리형의 요부 7과 철부 9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있다. 이 실시예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접합면에 관하여 종, 횡 또는 경사방향으로 요부 및 철부의 설계가 자재로 행하여서 낮은 코스트로 할 수 있는 양태이다. 또, 제5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중합체 115에서는 제1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요부 7과 철부 9의 오버행부 6과 언더행부 8에, 해당 오버행부 6과 언더행부 8의 피치보다 적은 피치의 2차적인 요철부 즉, 요부 7, 철부 9를 접합면의 전면에 형성시켜 연강 플레이트 2와 알루미늄플레이트 3이 보다 견고하게 긴착되게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단력이나 박리력에 큰 저항력을 부여할 수가 있다.
제6도에 표시하는 중합체 116에서는 상술한 각 실시예의 연강 플레이트 2와 알미늄플레이트 3와의 접합면이 이종재료의 금속상호의 직접 밀착 타이프인 것에 대하여 양자의 부식 전위차가 틀리는 것에 의한 접합면에 있어서의 부식발생을 방지하게끔 예를들어 절연물로되는 절연층 12을 끼워서 양자간의 부식방지 기능을 높이게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연강플레이트 2와 알미늄플레이트 3이 층 12을 경유하여 밀착체결되어 전단력이나 박리력에 대한 저항은 충분히 보장된다. 제7도에 표시하는 중합체 117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6도에 표시한 실시예의 절연층 12의 아래쪽에 연강플레이트 2에 대하여 방식 플라이마 12를 도포하고 내장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식기능이 보다 촉진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식 페인트를 알미늄 플레이트 3쪽에 도포하여도 좋다. 오버행면을 가지는 요부와 언더행면을 가지는 철부의 배열양태에 대하여는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길이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같은 방향으로 배열하게 하여도 좋고 또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같은 방향으로 지그자그 모양으로 배열하여도 좋고 또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경사하게 배열하여도 좋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 표시하는 중합체 120(연강플레이트 2만을 표시한다)에서는 연강플레이트에 상면 11a에 평행하고 반듯한 홈의 형태를이루는 요부 7이 설치되어 있다. 각 요부 7의 단면 형상은 제2도에 있어서의 요부 7의 단면형상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다. 이 연강플레이트에서는 평행한 요부 7과 교차하는 홈 14이 상면 11a에 형성되고 있다. 교차홈 14은 요부 7과 예를들어 직각으로 교차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알미늄 플레이트 3이 요홈 7의 오버행면 6에 따른 언더행면을 가지는 철부를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같은 모양을 가짐과 동시에 전기한 교차홈 14의 내부를 완전하게 메우는 철부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특히 요부 7의 길이방향의 외력에 대한 저항이 교차홈 14의 존재에 의하여 강화된다.
제14도에 표시하는 중합체 121의 연강플레이트 2에서는 그 요부 7의 개구부에 간격을 두어 이어진 부분 16이 파형으로 형성되고 있다. 파형부 16의 형성때문에는 예를들어 제15도 내지 제1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홈모양의 요부 7의 양쪽에 있어서 예를들어 펀칭구멍 15를 간격을 두어 형성하는 등으로 하여 요부 7에 따른 재료의 일부를 펀칭구멍 15의 근방에서 요부 7위로 향하여 소성 변형시켜 그 결과 요부 7의 개구부에 간격을 두어 이어진 부분 16이 형성되게 하여도 좋다. 이와같이 하는 것으로서 요부 7내에 매입되는 알미늄 플레이트 3(제18도)의 철부 9는 연강플레이트 2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9도 내지 제18도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전방향에 관하여 기하학적인 내전단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예를들어 오버행면과 언더행면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복수단의 지그자그모양의 요철부를 설치하는 등 여러종의 양태가 채용가능하다. 또, 연강플레이트와 알미늄 플레이트는 다른 재료로 대치할 수 있다.
그리고 중합체의 적용 대상은 철레일 주행식의 리니어모타카의 2차측 플레이트뿐만 아니라 예를들어 전차선이나 심한 스라이딩이나 진동 또는 온도차가 심한 조건하에서 가동되는 공작기계 또는 다른 구조물에 있어 사용되고 견고한 밀착체결이 요구되는 중합체에 대하여는 전부 적용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는 고빈도로 반복하여 인가가 되는 전단력이나 박리력에 대하여도 시간이 지나도 안정한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하고 리니어모타카 등의 기능을 충분히 설계대로로 안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게 한다. 또 2개의 플레이트 접합면은 오버행면에 대하는 언더행면의 밀착결합에 의하여 일종의 라비닌스시일 상태로 되기 때문에 부식분위기의 환경상태로 내버려둬서 접합면에 부식체가 침입하지 않고 한쪽의 재료와 다른쪽의 재료와의 접합면에 박리가 생기지 않는 효과를 일으킨다. 연강플레이트 2의 접합면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V형 홈모양요부를 형성함에는 이하 진술하는 바와같은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먼저 제1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접합면 11a를 평탄하게 형성한 소재연강플레이트 2의 접합면 11a의 소정부위에 제2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양면이 평탄하고 또한 온둘레 능선부가 형성되게 둘레면을 소정의 테퍼형상으로 형성한 성형로울 20을 대고 눌러서 소정의 압압력에 의하여 압압하면서 전동시키면 제2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연강플레이트 2의 접합면 11a에는 한쪽으로 예리한 부풀림부 24이, 또 그 아래쪽에는 골 25가 그리고 다른쪽에는 적은부풀림부 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성형프로세스를 소정회수 최적형상의 로울로서 반복하는 것으로서 소정높이의 부풀림부 24을 한쪽에 가지는 골 25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원통상 로울 27을 골 25의 어떤표면을 압압하면서 전동시키면 골 25의 한쪽 및 다른쪽의 부풀림부 24,26은 일반부의 접합면 11a와 같이 평탄하게 되고 경사한 V형 단면을 이루어 오버행면 6을 가지는 홈모양 요부 7이 형성된다. 따라서 언드컷트의 절삭가공 등의 어려운 성형 가공을 하지 않고 오버행면 6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요부 7을 성형함에 있어서는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접합면 11a가 미리 평탄하게 성형된 소재의 연강플레이트 2에 대하여 그 접합면 11a에 제2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주면에 브이형 단면의 홈을 가지는 푸리형의 로울 20a을 접합면 11a에 압압하여 전동시키는 것으로서 내부에 산형부 28을 가지고 양쪽으로 수직인 측벽과 살돋이부 29,29를 가지는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22도에 표시하는 성형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소정깊이의 골부와 살돋이부 29,29가 형성되어 여기서 제2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주면이 축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는 원통형 성형로울 27a를 양쪽의 살돋이부 29,29에 압압시켜 소정 회수 전동시키는 것으로서 살돋이부 29,29는 안쪽으로 압입되어 산형부 28을 경계로 하여 바깥쪽으로 경사하게 연장되는 오버행면 6,6을 양쪽으로 가지는 요부가 형성된다.
제24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제22도에 표시한 풀리형 로울 20a의 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요소 30이 형성되어 있어 이 로울 20a가 전동할 때에 형성되는 홈모양 요부 7의 저면에 제2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돌기 31이 간격을 두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요부 7의 내부에 매입되는 알미늄플레이트 3의 철부는 돌기 31과 결합하여 요부 7의 길이방향의 외력에 대한 저항이 크게 된다. 또한 로울 20a의 요소 30의 대신에 철기(돌기)를 설치하면 요부 7에는 돌기 31에 대신하여 요함부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저항은 크게 된다.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비둘기꼬리모양의 요부 또는 철부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제2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연강플레이트 2의 접합면 11a에 미리 단면이 네모형의 돌출부 40을 형성하고 이어서 제2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외주면에 단면이 M형의 홈을 가지는 로울러 41을 돌출부 40에 압압시켜서 돌출부 40의 양쪽을 M형의 홈의 내측벽에 협지하면서 소정회수 전동하는 것으로서 돌출부 40은 단면 M형의 요부를 정점면에 가지는 돌출부 40'로 된다. 다음에 제2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원통상 주면을 가지는 성형로울 42를 돌출부 40'에 압압시켜 소정회수 전동하면 돌출부 40'는 정점면이 평탄한 돌출부 40"로 되고 이 돌출부 40"의 양쪽에는 오버행면 43,43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비둘기꼬리모양 단면 부분을 절삭가공에 의하지 않고 설계한 바와같이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연강플레이트 2의 오버행면에 결합하는 알미늄플레이트 3의 언더행면도 같은 방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제29도 내지 제31도는 제4도에 표시하는 요부 7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요부를 연강플레이트 2에 형성하는 다른 방법을 표시한다. 이 방법에서는 원통상 로울 45로서 제2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홈을 소성 가공하고 그 양쪽에 살돋이부 46을 형성하고 다음에 제3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형성된 홈 7에 대응하는 부분에 링형의 삼각형 단면홈 47을 가지는 압연로울 48을 사용하여 연강플레이트에 압연을 시행한다.
이와같이 하는 것으로서 홈 7의 양쪽에 살돋이부 46은 46'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홈의 안쪽에 향하여 소성변형한다. 그리고 최후로 제3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원통로울 49로서 연강플레이트 2에 압연을 시행하면 살돋이부 46'는 더욱 홈의 안쪽으로 향하여 변형하고 오버행면 6을 양쪽에 가지는 홈모양 요부 7이 형성된다. 제32a도 내지 36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연강플레이트 2에 형성되는 요부 7은 먼저 말한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은 홈모양은 아니고 제32a도 및 제32b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오버행면 6의 어떤 원형 구멍모양을 이루고 있다.
한편 알미늄 플레이트 3에도 제33a도 및 제33b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역절두 원추형의 관통구멍 51이 형성되고 있다. 요부 7과 관통구멍 51는 서로 위치가 합치하게 설치된다. 이들의 요부 7이나 관통구멍 51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고 구형이나 타원 그밖의 형상으로도 좋다.
이상과 같은 연강플레이트 2와 알미늄플레이트 3을 사용하고 양플레이트를 3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요부 7과 관통구멍 51이 동심으로 되게 겹쳐 합하고 이어서 제3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단조 가능한 연질재 예를들어 알미늄과 같은 앵커재 52를 요부 7과 관통구멍 51내에 삽입하고 화살표시 F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심어 둔다.
이와같은 것으로서 연질재는 제36도에 52'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요부 7와 구멍 51을 매몰하고 앵카효과가 생겨 알미늄 플레이트 3은 연강플레이트 2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제37도에 표시하는 예에서는 연강플레이트 2의 요부 7은 안쪽의 부분이 지름이 큰 단붙이 원형 구멍에 의하여 성형되어있다. 이 단붙이부는 오버행부 6을 구성한다.
이와같은 요부 7을 형성함에는 제3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커터날 54가 실선위치와 그보다 반지름방향 바깥쪽에 돌출하는 가상선 위치와 사이에 이동 자재한 로터리 커터 55를 사용한다. 그리고 최초의 제3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커터날 54가 반지름방향 안쪽에 인입된 상태에서 연강플레이트 2에 구멍 뚫고 다음에 제4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커터날 54를 반지름방향 바깥쪽에 돌출시켜 구멍 뚫는다.
이로서 제37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단붙이 요부 7이 형성된다. 또 커터날 54를 천공함에 따라 점차 반지름 방향 바깥쪽에 돌출하게하면 제32b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요부 7을 형성할 수 있다. 제41도 내지 제43도에는 연강플레이트 2의 요부 7의 형성 때문에 다른 방법을 표시한다. 이 방법으로서는 제4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우선 플레이트 2위에 원형 구멍 57을 가지는 누름판 58을 고정하고 이로서 제4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누름판 58의 원형구멍 57의 위치에서 펀치 60을 플레이트 2에 때려박는다. 이로서 펀치 60의 둘레에서 누름판 58의 원형구멍 57의 범위에서 플레이트 2의 재료가 살돋이부 61를 형성한다.
다음에 제4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펀치 60을 제거하고 평판 62에서 플레이트 2의 상면을 아래쪽으로 압압하면 살돋이부 61은 구멍의 안쪽으로 변형하여 오버행면을 요부 7의 내부에 형성한다. 미리 진술한 방법 또는 절삭 가공 방법으로 오버행면의 어떤 홈모양요부를 형성한 연강플레이트 2에, 언더행면의 어떤 철부를 가지는 알미늄플레이트 3을 긴밀하게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다음에 진술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제2도에 표시하는 형태의 중합체를 얻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4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연장 플레이트 2의 상면 및 경우에 따라서는 양쪽면에 오버행면 6의 어떤 요부 7을 형성한 후 량산성을 얻기 위하여 제4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예를들어 석고 등의 박리재 63을 경유하여 한쌍의 연강 플레이트 2의 배면부를 대향 접합시켜 일체화하고 이어서 제4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주형 65내에 일체화된 연강 플레이트 2,2를 세트하고 주형 65의 주탕구멍 67로부터 미리 용융상태로 하여둔 알미늄 용탕 3'을 주탕하고 연강프레이트 2,2'의 접합면의 외주면과 주형 65의 사이의 캐피티에 알미늄 용탕 3'를 충만시킨다. 이 경우 주지한 관용 수단으로 전부의 요부 7,7…의 각 오버행면 6에 따라 알미늄 용탕 3'가 구석구석까지 번지게한다. 그리고 소정시간 경과후 알미늄 용탕 3'가 냉각응고한후 주형 65를 개방하고 제4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연강플레이트 2,2의 외주면에서 알미늄 플레이트 3이 전부의 요부 7,7…내에 그 각 오버행면 6에 따라 긴밀하게 파들어간 상태의 블럭을 얻는다.
다음으로 박리제 63에 따라 알미늄플레이트 3을 절단하는 것으로서 제48도에 표시하는 2차 측 플레이트를 얻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제45도와 제46도의 표시하는 공정사이에서 연강플레이트 2,2의 접합면 11에 철과 알미늄의 전식을 방지하게끔 절연재로서 되는 방식도장을 행하여 접합면 11에 방식성의 박막체를 형성한 후 주형 65내에 세트하여 알미늄 용탕 3'를 주입하게 하여도 좋다. 주형내의 한쪽의 재료에 대한 다른쪽의 재료의 용탕주입에 있어서는 용융하기 쉬운 쪽을 용융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연강플레이트 2와 알미늄플레이트 3의 체결은 지금부터 진술하는 소성유동에 의한 방법으로 할 수가 있다.
이 방법의 실시예를 위하여는 먼저 제4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접합면 11a에 오버행면 6을 가지는 요부 7을 형성한 연강플레이트 2를 사용함과 동시에 제5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접합면 11b를 가지는 평판상 알미늄 플레이트 3을 준비한다. 이어서 양 플레이트 2,3의 접합면 11a, 11b를 제5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대향시켜 양 플레이트를 맞대어 도시하지 않은 프레스 장치나 압연로울 등에 의하여 제51도에 화살표 F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전면 균일하게 압압력을 인가한다.
이로서 항복점이 낮은 알미늄 플레이트 3의 재료는 요부 7,7…의 부분에 대하여 소성유동 하는 것으로서 유입되어 압압력에 인가를 속행하는 것으로서 제5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알미늄 플레이트 3의 접합면11b의 재료는 연강플레이트 2의 요부 7,7내에 오버행면 6,6…에 따라 스며들어 압압력 F를 개방하여도 양 플레이트 2,3은 체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해당 압압력 F의 인가공정에 있어서 고주파 가열 장치 등으로서 알미늄 플레이트 3의 접합면 11b쪽을 가열하여 승온시키는 것으로서 연강플레이트 2의 요부 7,7…내로의 알미늄플레이트 3의 소성유동에 의한 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성형에는 트리밍 가공 등을 행하는 것으로서 소망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제53도 내지 제57도에 표시하는 실시예는 제2도에 표시하는 형태의 중합체 112의 제조방법을 표시하고 있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제5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접합면 11a에 오버행면 6을 가지는 요부 7을 형성한 연강플레이트 2와 제5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접합면 11b쪽에 요부 7에 대응하게 돌출부 66을 형성한 알미늄 플레이트 3을 준비한다. 이 경우 돌출부 66의 선단면은 단면 V홈 6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모양의 돌출부 66은 제27도에 표시하는 도중 단계의 돌출부 40'와 같은 것이다. 또 소망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알미늄을 압출형재로 하여 입수하여도 좋다.
또한 각 돌출부 66의 접합면 11b로부터의 돌출양은 연강플레이트 2의 요부 7의 용적보다 돌출부 66의 용적이 약간 크게되게 정한다. 다음에 제5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연강플레이트 2와 알미늄 플레이트 3을 요부 7와 돌출부 66이 서로 위치가 합하게 하여 대향시켜 요부 7내에 돌출부 66의 선단을 끼움으로서 이로서 제5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연강플레이트 2에 대하여 알미늄플레이트 3에 프레스 또는 압연 로울에 의하여 전면쪽으로 균일한 압압력 F를 인가한다.
이로서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알미늄 플레이트 3의 각 돌출부 66은 소성 유동이 생겨 제5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연강 플레이트 2의 요부 7내에 오버행면 6에 따라 유입한다. 이때 요부 7의 저부의 돌기부의 경사면으로서 코타작용(쐐기작용)으로서 각 오버행면 6에 따른 돌출부 66의 재료의 소성 유동에 의한 유입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져 그위에 상술한 바와같이 알미늄플레이트 3의 접합면 11b로 부터의 돌출부 66의 용량이 연강플레이트 2의 요부 7의 용적보다 약간이나마 크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서 압압력 F에 의한 요부 7내으로의 알미늄플레이트 3의 재료의 소성 유동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져 양자의 기계적인 체결 상태는 보다 확실하게 출현된다. 이 경우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압압력 F의 인가에 있어 알미늄 플레이트 3의 돌출부 66,66의 부분에 소정 온도로 가열 작용을 주는 것으로서 알미늄 플레이트 3의 항목 응력은 낮아져 보다 확실하게 유입이 이루어진다.
또, 압압력 인가중의 냉각중에 재료의 수축이 있어도 돌출부 66의 용량이 요부의 그보다 약간 큰 것으로서 수축 후도 요부 7내로의 알미늄 플레이트 3의 재료의 유입은 틈새없이 행하여져 보다 확실한 체결 상태의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중합체에 있어서는 알미늄 플레이트 3의 연강플레이트 2에 대하는 결합면적이 넓기 때문에 평면방향의 전단 변위나 상하 방향의 박리, 특히 전단변위에 대한 저항력을 현저하게 높힐 수 있다.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체결 방법을 제58도 내지 제62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제5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리니어모타카의 궤도의 침목에 부착하기위한 부착 스텐드 70을 미리 일체 성형하여 연강 플레이트 2를 준비한다. 이 연강 플레이트 2는 접합면 11a의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오버행면 6을 가지는 요부 7이 형성되어 있어 또 양쪽면에 단면원호상의 요홈 7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5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연강플레이트 2의 요부 7내에 그의 길이방향에서 요부와 같은 단면 형상 및 치수의 받침대 형상의 알미늄바 72를 주입한다. 또한 이에 대신하여 요부 7내에 알미늄 용탕을 주입하여 알미늄바 72로서 연강플레이트 2에 일체화하여도 좋다. 이어서 제6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단면 L형으로 연강플레이트 2의 양쪽면의 요홈 71,71에 대응하는 돌조 73을 한쪽언저리에 일체로 형성하고 다른끝언저리 74를 테이퍼면으로한 제2의 금속체로서의 알미늄플레이트 3,3을 준비하고 그것을 미리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팽창시켜두고 거기서 그의 각 돌조 73을 연강플레이트 2의 요홈 71에 결합시켜 다른 끝언저리 74를 오버행면 6의 상면에 양단언저리 74 사이에 간격을 두어 임하게하여 한쌍의 알미늄 플레이트 3,3을 상호로 대향시켜 면접합시킨다.
다음에 제6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연강플레이트 2의 요부 7내의 알미늄바 72와 알미늄플레이트 3,3의 해당 알미늄바 72에 임하는 부분에 알미늄에 의한 살붙이 용접부 75를 시행하여 연강플레이트 2, 알미늄바 72 알미늄플레이트 3,3의 4자를 일체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들을 방냉하는 것으로서 알미늄플레이트 3,3의 냉각에 의한 수축과 살돋이용접부 74의 열수축에 의하여 알미늄플레이트 3,3은 폭방향에서 수축하고 그의 돌조 73은 연강플레이트 2의 요홈 71에 강하게 파여들어 따라서 연강플레이트 2와 알미늄플레이트 3,3은 일체긴착상태로 체결되어 마무리공정으로서 살돋이 용접부 74를 절삭 가공하는 것으로서 제62도에 표시하는 최종제품으로서의 2차측 플레이트를 얻을 수 있다.
해당제품으로서 2차측 플레이트를 보면 연강플레이트 2에 알미늄 플레이트 3이 견고하게 체결된 결합상태를 시간이 경과해도 유지할 수 있어 평면방향의 전단이나 상하 방향의 박리력에 대한 저항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63도 내지 제65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오버행면 6을 가지는 요부 7을 접합면 11a에 또 양쪽면에 요홈 71,71을 미리 형성한 연강플레이트 2에 대하여 제6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L형의 1쌍의 알미늄플레이트 3,3을 요홈 71과 돌조 73의 결합으로서 장착한다. 이때 요부 7내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알미늄바는 삽입하지 않는다. 또한 각 알미늄 플레이트 3의 돌조 73과 반대쪽의 끝언저리에는 요부 7내에 돌출하는 플랜지 76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63도의 상태에 있어서 제64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양플랜지 76 사이의 틈새로부터 요부 7내의 알미늄 용탕 77을 주입하여 요부 7와 플랜지 76사이를 채운 후 양플랜지를 융착하여 방냉한다. 그리고 알미늄 플레이트 3,3은 미리 가열하는 것으로서 그 냉각 과정에서 열수축하고 돌조 73은 대응하는 요홈 71에 파여 들어 연강플레이트 2와 알미플레이트 3,3은 일체적인 체결 상태로 된다. 또 연강플레이트 2의 요부 7내에 있어서는 고화한 용탕 77로서 연강플레이트 2와 알미늄플레이트 3,3이 일체화된다. 여기서 제6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살돋이 중합부 77을 알미늄 플레이트 3,3의 면과 같은 면으로 절삭 가공하는 것으로 제62도와 같이 제65도에 표시하는 결합체로서의 제품의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이 중합체는 제62도에 표시하는 중합체와 같이 연강플레이트 2에 알미늄플레이트 3이 견고하게 결착체결된 결합체로 되어 평면방향으로의 또는 상하 방향의 박리력에 대하여 저항력을 충분한 시간경과에 변화함이 없이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종의 개량변화를 할 수 있다. 예를들어 기 진술한 요부의 형성방법은 기 진술한 중합체의 여러종의 제조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2)

  1. 한쌍의 이종재료가 기계적 결합관계로 접합면에 있어서 밀착체결되어 있는 중합체에 있어서, 이 종류 재료 중의 제1의 재료의 접합면에, 내부 한쪽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요부가 형성되고 또 제2의 재료의 접합면에, 한쪽에 언더행면을 가지면서 또한 전기한 요부 칫수, 형상이 같은 철부가 형성되어 각각의 요부내에 각각의 철부가 긴밀하게 결합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재료의 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철부 및 요부가 경사방향으로 연장하는 V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철부 및 요부의 단면이 비둘기꼬리모양을 하고 있는 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요부, 철부 및 접합면이 적어도 일부에 가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요부 및 철부가 각각 홈 및 돌조를 이루고 있는 중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요부 및 철부가 양자의 사이에 별도재료의 박막을 끼워서 결합하고 있는 중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요부 및 철부가 각각 국부적 구멍 및 국부적 돌기를 이루고 있는 중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요부가 홈모양을 하고 그 방향이 고르지 않는 중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요부가 홈모양을 하고 이에 교차하게 제1의 재료의 접합면에 교차홈이 형성되고 제2의 재료가 교차홈내에 긴밀하게 결합하고 있는 중합체.
  10. 제1항에 있어서, 요부가 홈모양을 하고 그 저면에 홈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돌기 또는 요함부가 설치되어 있는 중합체.
  11. 제1항에 있어서, 요부가 홈모양을 하고 요부의 양쪽 언저리가 파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합체.
  12. 한쌍의 이종재료가 기계적 결합관계로 접합면에 있어서 밀착체결되어 있는 중합체의 제조방법이고, 접합면을 가지는 제1의 재료를 준비하고 이 제1재료의 접합면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요부를 형성하고 한편 접합면을 가지는 제2의 재료를 준비하여 제1 및 제2의 재료의 접합면 끼리를 대향시켜 양재료를 상호로 압압하여 제2의 재료를 제1의 재료의 요부내로 소성 유동에 의하여 인입시켜 제1, 제2의 재료를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되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의 재료의 접합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제1의 재료의 요부에 전기한 돌출부가 각각 대향하게 제2의 재료를 위치시켜 양재료를 상호로 압압하여 전기한 돌출부를 요부내에 소성 유동에 의하여 인입시켜 제1, 제2의 재료를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되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재료의 요부가 단면이 요크모양의 홈모양 요부를 이루고 전기한 돌출부의 선단이 V형 단면의 홈을 가지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제1의 재료의 접합면으로의 요부의 형성이, 주면에 따라 능선부를 가지는 성형로울의 전동에 의하여 축 언저리부에 살돋이부를 가지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접합면을 원통형 로울에 의하여 평탄하게 압압하여 오버행면을 가지는 홈모양 요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제1의 재료의 접합면으로의 요부의 형성이, 주면에 V형 단면의 홈을 가지는 성형로울의 전동으로서 저면의 중앙부가 높게된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홈을 포함하는 접합면을 원통형 로울에 의하여 평탄하게 압압하여 양쪽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단면이 요크모양의 홈모양 요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17.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성형로울이 주면에 간격을 두어 요소 또는 철기를 가지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제1의 재료의 접합면으로의 요부의 형성이 성형로울의 전동으로서 양쪽으로 살돋이부가 있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홈의 양쪽의 살돋이부를 홈의 중앙부에 향하여 변형시키는 한쌍의 경사면을 가지는 삼각형 단면의 주위홈을 가지는 압연로울에 의하여 접합면을 압연하는 단계와, 홈을 포함하는 접합면을 원통형로울에 의하여 평탄하게 압압하여 양쪽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홈모양 요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중합체 제조방법.
  19. 한쌍의 이종재료가 기계적 결합관계로 접합면에 있어서 밀착체결되어 있는 중합체의 제조방법이고, 접합면을 가지는 제1의 재료를 가지고 이 재료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요부를 형성하고 제1의 재료를 주형내에 수용하여 제1의 재료의 접합면과 주형내의 사이에, 제2의 재료를 주입하여 전기한 요부내에 제2의 재료를 충진함과 동시에 제1의 재료의 접합면에 따라 제2의 재료를 소정두께로 부착시켜 일체화한 후 제1, 제2의 재료를 주형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으로 되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의 재료에 접합면으로의 요부의 형성이 주위면에 따라 능선부를 가지는 성형로울의 전동으로서 측 언저리부에 살돋이부를 가지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접합면을 원통형 로울에 의하여 평탄하게 압압하여 오버행면을 가지는 홈모양 요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제1의 재료의 접합면으로의 요부의 형성이, 주위면에 V형 단면의 홈을 가지는 성형 로울의 전동에 의하여 저면의 중앙부가 높게된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접합면을 원통형 로울에 의하여 평탄하게 압압하여 양쪽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단면이 요크 모양의 홈모양 요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행하여 지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22. 제12항 또는 제13항 기재에 있어서, 성형로울이 주면에 사이를 두어 요소 또는 철기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제1의 재료의 접합면으로의 요부의 형성이 성형로울의 전동으로서 양쪽으로 살돋이부가 있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홈의 양쪽에 살돋이부를 홈의 중앙부로 향하여 변형시키는 한쌍의 경사면을 가지는 삼각형단면의 주위홈을 가지는 압연 로울에 의하여 접합면을 압연하는 단계와, 홈을 포함하는 접합면을 원통형 로울에 의하여 평탄하게 압압하여 양쪽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홈모양 요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24. 한쌍의 이종 재료가 기계적 결합관계로 접합면에 있어서 밀착체결되어 있는 중합체의 제조방법이고, 오버행면을 내부에 가지는 국부적 구멍모양 요부를 접합면에 형성한 제1의 재료를 준비하고, 역절두 원추형상의 관통 구멍을 가지고, 관통구멍의 작은 지름쪽에 접합면을 가지는 제2의 재료를 준비하고, 제1 및 제2의 재료를 각각의 접합면이 대향하고 또한 요부와 관통구멍이 일치하게 중합하여 요부와 관통구멍내에 앵커재를 삽입하고, 요부와 관통구멍내를 완전하게 메우게 앵커재를 소성 변형시키는 것으로 되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25. 한쌍의 이종재료가 기계적 결합관계로 접합면에 있어서 밀착체결 되어있는 중합체의 제조방법이고, 접합면을 가지는 제1의 재료를 준비하고 이 제1의 재료의 접합면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요부를 형성하고 제1의 재료의 접합면상에 한쌍의 제2의 재료의 플레이트를 나열 장착하고 이들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끝언저리가 간격을 두어 전기한 요부위에 있게하고, 양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끝언저리의 사이의 틈새와 전기한 요부를 메우게 제3의 재료를 살돋이 용접하고 살돋이 용접부 양플레이트의 외면과 동일면으로 되게 절삭한 것으로 되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한쌍의 제2의 재료의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끝언저리가 제1의 재료의 요부내에 돌출하는 플랜지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한쌍의 제2의 재료의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끝언저리와 반대쪽의 끝언저리가 돌조를 가지고 이 돌조를 제1의 재료의 양쪽으로 형성한 요홈에 각각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제2의 재료의 플레이트가 제1의 재료에 장착되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제1의 재료의 접합면으로의 요부의 형성이, 주위면에 따라 능선부를 가지는 성형로울의 전동으로 측언저리부에 살돋이부를 가지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접합면을 원통형 로울에 의하여 평탄하게 압압하여 오버행면을 가지는 홈모양 요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향하여지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제1의 재료의 접합면으로의 요부의 형성이 주위면에 V형 단면의 홈을 가지는 성형 로울의 전동으로 저면의 중앙부가 높게된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접합면을 원통형 로울에 의하여 평탄하게 압압하여 양쪽에 오버 행면을 가지는 단면이 요크모양의 홈모양 요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성형로울이 주위면에 간격을 두어 요소 또는 철기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31. 제25항에 있어서, 제1의 재료의 접합면으로의 요부의 형성이, 성형로울의 전동에 의하여 양쪽으로 살돋이부가 있는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홈의 양쪽의 살돋이부를 홈의 중앙부에 향하여 변형시키는 한쌍의 경사면을 가지는 삼각형단면의 주위홈을 가지는 압연 로울에 의하여 접합면을 압연하는 단계와, 홈을 포함하는 접합면을 원통형 로울에 의하여 평탄하게 압압하여 양쪽에 오버행면을 가지는 홈모양 요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32. 제25항에 있어서, 제1의 재료의 요부에 제2의 재료를 충진시킨후 대향하는 제2의 재료의 플레이트의 끝언저리 사이를 충진한 제2의 재료를 용접하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9880007621A 1987-07-01 1988-06-23 이종재료의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KR900004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64851A JP2608723B2 (ja) 1987-07-01 1987-07-01 異種材料の締結方法
JP164851 1987-07-01
JP62164848A JP2561474B2 (ja) 1987-07-01 1987-07-01 リニアモ−タ−カ−の路面側の二次側プレ−ト重合体構造
JP164848 1987-07-01
JP164849 1987-07-01
JP16485087A JPS648859A (en) 1987-07-01 1987-07-01 Combining method for dissimilar materials
JP16485287A JPS648861A (en) 1987-07-01 1987-07-01 Manufacture of dissimilar material aggregate
JP164850 1987-07-01
JP62164849A JP2550354B2 (ja) 1987-07-01 1987-07-01 異種材料係合の切り下げ部の成形方法
JP164852 1987-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730A KR890001730A (ko) 1989-03-28
KR900004783B1 true KR900004783B1 (ko) 1990-07-05

Family

ID=2752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621A Expired KR900004783B1 (ko) 1987-07-01 1988-06-23 이종재료의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79825A (ko)
EP (3) EP0507357B1 (ko)
KR (1) KR900004783B1 (ko)
AU (4) AU600369B2 (ko)
DE (3) DE385551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2375B2 (ja) * 1988-07-13 1997-07-2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アンカーボンド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FR2668236A1 (fr) * 1990-10-18 1992-04-24 Bronze Acior Sa Fourchette de boite de vitesses comportant un insert et son procede de realisation.
DE4134431C2 (de) * 1991-10-18 1995-01-19 Carlo Finzer Verbundbauteil aus zwei Kunststoffteilen
US5299620A (en) * 1992-01-21 1994-04-05 Deere & Company Metal casting surface modification by powder impregnation
US5267600A (en) * 1992-01-21 1993-12-07 Deere & Company Hard facing casting surfaces with wear-resistant sheets
FR2693894B1 (fr) * 1992-07-24 1994-09-30 Seb Sa Procédé pour modifier les caractéristiques d'une surface de métal.
US5490680A (en) * 1993-04-06 1996-02-13 Parker-Hannifin Corporation Captive O-ring face seal
US5609638A (en) * 1994-11-29 1997-03-11 Zimmer, Inc. Reinforced polyethylene for articular surfaces
JPH0919728A (ja) * 1995-07-05 1997-01-21 Atsushi Terada 押し出し材同志の結合方法及び液冷ヒートシンク
US5819407A (en) * 1995-04-19 1998-10-13 Tousui, Ltd. Method of joining together a pair of members each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DE69616870T2 (de) * 1995-05-16 2002-05-29 Tousui, Ltd. Verfahren zum Verbinden zweier Werkstücke, jedes mit hoher Wärmeleitfähigkeit
WO1997021887A1 (de) * 1995-12-14 1997-06-19 Attlington Investments Limited Metallprofil
WO1997021506A1 (de) * 1995-12-14 1997-06-19 Attlington Investments Limite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tallprofils
EP0800890A1 (en) * 1996-04-08 1997-10-15 Tousui Ltd Heat sink
US5907966A (en) * 1996-06-19 1999-06-01 Moore; Boyd B. Rolled-formed seat and retainer for a fluid-tight ferrule seal on a rigid metal tube which is harder than the ferrule, method and apparatus
CA2183032C (en) * 1996-08-09 2001-07-17 Lawrence Alexander Hruschak Method for making slots in metal pipe
AUPP247798A0 (en) 1998-03-18 1998-04-23 Rudduck, Dickory Fixing and release systems
FR2785030B1 (fr) * 1998-10-27 2001-01-12 Coutier Moulage Gen Ind Fourchette composite de boite de vitesses
JP4037588B2 (ja) * 1999-03-16 2008-01-23 株式会社東芝 原子炉制御棒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076129B2 (ja) * 2001-09-20 2008-04-16 財団法人生産技術研究奨励会 結合体及び結合方法
US7600301B2 (en) 2002-06-19 2009-10-13 Telezygology, Inc. Fixing and release systems and fastener networks
US20040016608A1 (en) * 2002-06-20 2004-01-29 Vladyslaw Gutowski Brake backing plat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DE10315420A1 (de) * 2003-04-04 2004-10-14 Ina-Schaeffler Kg Führungsschiene für ein Linearlager
CA2464631C (en) 2003-04-17 2007-03-13 International Roller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slot width in tubular members
US7222701B2 (en) * 2003-06-02 2007-05-29 Capital Tool & Design Limited Backing plate with friction material retention member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JP4501408B2 (ja) * 2003-10-30 2010-07-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締結方法
AT414226B (de) * 2004-07-07 2006-10-15 Siemens Transportation Systems Schalen-/plattenförmiges bauelement
US9266191B2 (en) 2013-12-18 2016-02-23 Aeroprobe Corporation Fabrication of monolithic stiffening ribs on metallic sheets
US9511446B2 (en) * 2014-12-17 2016-12-06 Aeroprobe Corporation In-situ interlocking of metals using additive friction stir processing
GB2433908B (en) * 2006-06-03 2008-05-07 Brecknell Willis & Co Ltd Conductor rails
WO2010063299A1 (en) * 2008-12-02 2010-06-10 Ab Skf Bearing unit
GB0905731D0 (en) 2009-04-03 2009-05-20 Eads Uk Ltd Hybrid component
DE102009051392B4 (de) 2009-10-31 2015-12-03 INPRO Innovationsgesellschaft für fortgeschrittene Produktionssysteme in der Fahrzeugindustrie 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undkörpers aus mindestens einem vorzufertigenden Metallbauteil und mindesten einem Kunststoffbauteil und formschlüssig gefügter Verbundkörper
CA2722759A1 (en) * 2009-11-24 2011-05-24 Pro-Line Automation Systems Ltd. Machine for connecting metal profiles with plastic strips
DE102009056854A1 (de) * 2009-12-03 2011-06-09 Festo Ag & Co. Kg Zahnstange, Lineardirektantrieb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ahnstange für einen Lineardirektantrieb
US20130219687A1 (en) * 2010-03-23 2013-08-29 Chin-Han Wang Fastening method
CN102834629B (zh) * 2010-04-15 2016-07-06 Skf公司 一种用于机动车车轮轴承单元的凸缘轴承环
IT1400320B1 (it) * 2010-04-15 2013-05-24 Skf Ab Anello flangiato di cuscinetto per un'unita' cuscinetto della ruota di un veicolo a motore
DE102010019407B4 (de) * 2010-05-04 2013-06-27 Lpkf Laser & Electronics Ag Verfahren zum Einbringen elektrischer Isolierungen in Leiterplatten
EP2579798B1 (en) * 2010-06-11 2019-07-31 CareFusion 2200, Inc. Reduced backlash joint and method of making same
ITTO20110279A1 (it) * 2011-03-29 2012-09-30 Skf Ab Anello flangiato di cuscinetto per il mozzo della ruota di un veicolo a motore
ITTO20110276A1 (it) * 2011-03-29 2012-09-30 Skf Ab Anello flangiato di cuscinetto per un'unità cuscinetto della ruota di un veicolo a motore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ITTO20110275A1 (it) * 2011-03-29 2012-09-30 Skf Ab Configurazione ad accoppiamento di forma in un anello di cuscinetto per la ruota di un veicolo a motore
ITTO20110278A1 (it) 2011-03-29 2012-09-30 Skf Ab Anello flangiato di cuscinetto per il mozzo della ruota di un veicolo a motore
ITTO20110277A1 (it) 2011-03-29 2012-09-30 Skf Ab Anello flangiato di cuscinetto per un'unità cuscinetto della ruota di un veicolo a motore
DE102011100449A1 (de) 2011-04-30 2012-10-31 INPRO Innovationsgesellschaft für fortgeschrittene Produktionssysteme in der Fahrzeugindustrie 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undkörpers aus mindestens einem vorzufertigenden Metallbauteil und mindestens einem Kunststoffbauteil
ITTO20121056A1 (it) * 2012-12-07 2014-06-08 Skf Ab Anello flangiato di cuscinetto per il mozzo della ruota di un veicolo a motore
CN106994798A (zh) * 2016-01-25 2017-08-01 林暄智 复合物件及其制作方法
US20180258791A1 (en) * 2017-03-10 2018-09-13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nent having a hybrid coating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component
DE102017109059A1 (de) 2017-04-27 2018-10-31 Ks Huayu Alutech Gmbh Bremstromm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rartigen Bremstrommel
CN107139780A (zh) * 2017-06-02 2017-09-08 成都金和工贸有限公司 一种导电轨及其制造方法
US11311959B2 (en) 2017-10-31 2022-04-26 MELD Manufacturing Corporation Solid-state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and material compositions and structures
US10895276B2 (en) * 2018-02-20 2021-01-19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Two material joint design
JP7035695B2 (ja) * 2018-03-26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接合装置および接合体の製造方法
CN119972796B (zh) * 2025-04-14 2025-06-17 洛阳铜一金属材料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嵌槽结构的铜铝复合带制造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485A (en) * 1885-02-17 John makin
US309439A (en) * 1884-12-16 chillingwokth
US121036A (en) * 1871-11-21 Improvement in stereotypes
DE67506C (de) * J. MASON und J. MASON in London, Nr. 15 Barbican E. C, und W. S. CODNER in Newington, Nr. 10 Queen Elizabeth Walk, County von London Verfahren, Trittflächen durch Walzen herzustellen
DE498412C (de) * 1930-05-22 Kerb Konus G M B H Verfahren zur Herstellung gewulsteter Stifte von kegelfoermiger Form aus Rundmetall
US558271A (en) * 1896-04-14 Rail-joint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1622825A (en) * 1927-03-29 Construction op vault or safe doors and the like
US543192A (en) * 1895-07-23 Adolf rodig
DE356109C (de) * 1922-07-17 Hermann Bud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undringen fuer Vollgummireifen mit unterschnittenen flachen Nuten
US1209948A (en) * 1915-06-15 1916-12-26 Flannery Bolt Co Bar for bolt-blanks.
FR507264A (fr) * 1919-02-26 1920-09-09 Olier Sa Ets A Procédé de fabrication par laminage des profilés pour armatures destinées aux bandages pleins en caoutchouc
US1610945A (en) * 1923-08-18 1926-12-14 Mosler Safe Co Construction of composite plates for safes
US1680369A (en) * 1925-04-09 1928-08-14 James J Dugan Method of making compound stock
US1692529A (en) * 1926-01-29 1928-11-20 American Luigi Corp Machine for making hollow tubes or conductors
DE455259C (de) * 1926-10-08 1928-01-27 Hydraulik G M B H Pressplatte mit Heizkanaelen
US1990140A (en) * 1931-04-29 1935-02-05 Seiferth Hugo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etal bars with transverse ribs
US2157456A (en) * 1935-02-23 1939-05-09 Naamlooze Vennootshap Derde Nl Method of uniting sprayed metal to wood
DE758303C (de) * 1937-01-31 1953-07-06 Karl Martin Stuetzschale
US2193231A (en) * 1937-06-04 1940-03-12 Vincent J Gibbons Process of rolling metallic sheet and plate materials
US2262074A (en) * 1938-07-13 1941-11-11 Cleveland Trust Co Piston and process of making
FR874135A (fr) * 1939-02-24 1942-07-29 Conradty Fa C Corps en charbon artificiel avec armature rapportée par coulée à la surface et à l'intérieur
FR872779A (fr) * 1939-09-27 1942-06-18 Dortmund Hoerder Hu Ttenver Ag Procédé de fabrication de récipients frettés pour hautes pressions et frettes pour sa mise en oeuvre
US2285583A (en) * 1940-04-13 1942-06-09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Surface preparation of bearings for babbitting
US2361089A (en) * 1942-03-30 1944-10-24 Cutler Hammer Inc Pressure molded metallic composition article and support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490548A (en) * 1945-07-07 1949-12-06 Gen Motors Corp Method of making composite articles
US2639119A (en) * 1947-11-14 1953-05-19 Lockheed Aircraft Corp Rotor blade attachment means and method
US2793571A (en) * 1949-11-15 1957-05-28 Us Rubber Co Suction press roll
US2775030A (en) * 1954-05-26 1956-12-25 New England Lead Burning Corp Method of securing sheets of dissimilar metals together
DE1133089B (de) * 1954-12-07 1962-07-12 Georg Hufnagel Fa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Werkzeugen fuer die spanabhebende Bearbeitung durch Umgiessen gesinterter Koerper, insbesondere Hartmetallkoerper
US2888742A (en) * 1955-08-15 1959-06-02 Engelhard Ind Inc Compound metal member
US3175893A (en) * 1959-02-02 1965-03-30 Clevite Corp Laminate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985747A (en) * 1959-11-27 1961-05-23 Titanium Metals Corp Welding titanium
US3100930A (en) * 1959-12-30 1963-08-20 Baldwin Lima Hamilton Corp Heat exchanger tubing manufacture
FR1255831A (fr) * 1960-05-02 1961-03-10 Mahle Kg Pièce de fonderie cylindrique composite soumise à des contraintes thermiques et sou procédé de fabrication
GB908557A (en) * 1960-06-02 1962-10-17 Hans Joachim Fuch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ght metal alloy engine casings
US3131471A (en) * 1961-07-06 1964-05-05 Borg Warner Method of material joining
CH402518A (de) * 1962-06-18 1965-11-15 Ruffner Arno Verfahren zum unlösbaren Verbinden von tafel- und bandförmigen Materialien und nach diesem Verfahren miteinander verbundenen Blechteilen sowie Anwendung des Verfahrens
US3415555A (en) * 1964-04-16 1968-12-10 Federal Mogul Corp Composite sintered powdered material workpiece
US3461944A (en) * 1965-09-28 1969-08-19 Ti Line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a lined iron-base article
US3526420A (en) * 1968-05-22 1970-09-01 Itt Self-locking seam
US3682227A (en) * 1970-07-24 1972-08-08 Jerome C Motz Method of making bi-metal crusher liner
US3871264A (en) * 1971-08-17 1975-03-18 Robert L Hallock Driven fastener for limited penetration of metal
US4005991A (en) * 1971-12-29 1977-02-01 Toyo Kogyo Co., Ltd. Metal made of steel plate and aluminum material
US4023613A (en) * 1971-12-29 1977-05-17 Toyo Kogyo Co., Ltd.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metal casting
US3888296A (en) * 1974-05-30 1975-06-10 Gen Motors Corp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composite article
US4032243A (en) * 1976-10-18 1977-06-28 Fansteel Inc. Joint fabrication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4111572A (en) * 1977-03-10 1978-09-05 General Electric Company Ceramic-metal assembly
JPS55139540A (en) * 1979-04-14 1980-10-31 Mazda Motor Corp Combined vibration-absorbing material
DE3373203D1 (en) * 1982-05-22 1987-10-01 Joint Technology Ltd Forged joints
GB2135222B (en) * 1983-02-04 1987-11-11 Ae Plc The reinforcement of pistons of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JPS59199166A (ja) * 1983-04-26 1984-11-12 Sakae Kitsuta 一部に耐摩耗性面を有する機械部品の製造方法
JPS6037226A (ja) * 1983-08-10 1985-02-26 Hitachi Ltd 二部材の結合方法
JPS60250872A (ja) * 1984-05-25 1985-12-11 彭 大雄 ポンチにおけるシヤンクとタングステンカ−バイドチツプのろう付け法
JPS61165264A (ja) * 1986-01-14 1986-07-25 Sakae Kitsuta 一部に耐摩耗性面を有する機械部品の製造方法
CA1309843C (en) * 1986-09-08 1992-11-10 Roger H. Appeldorn Intermeshable article
JPS6434501A (en) * 1987-07-30 1989-02-06 Sumitomo Metal Ind Manufacture of steel sheet having proj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5946T2 (de) 1994-06-30
DE3885946D1 (de) 1994-01-13
EP0507357B1 (en) 1996-09-04
EP0508497A3 (en) 1993-07-28
AU5594590A (en) 1990-10-04
AU5594790A (en) 1990-10-04
EP0508497A2 (en) 1992-10-14
KR890001730A (ko) 1989-03-28
DE3855517D1 (de) 1996-10-10
AU620250B2 (en) 1992-02-13
AU620517B2 (en) 1992-02-20
DE3855632T2 (de) 1997-05-28
EP0507357A3 (en) 1993-07-28
EP0297552A3 (en) 1990-04-18
DE3855632D1 (de) 1996-11-28
DE3855517T2 (de) 1997-04-17
AU1855288A (en) 1989-01-05
AU600369B2 (en) 1990-08-09
EP0507357A2 (en) 1992-10-07
EP0508497B1 (en) 1996-10-23
AU5594690A (en) 1990-10-04
US5079825A (en) 1992-01-14
EP0297552A2 (en) 1989-01-04
EP0297552B1 (en) 1993-12-01
AU620251B2 (en) 199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783B1 (ko) 이종재료의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US5244746A (en) Composite structures
US5226469A (en) Composi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121537A (en) Method of production of anchor-bonded composite structures
CA1315917C (en) Anchor-bonded composite structures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CN1020562C (zh) 异种材料的复合体及其制造方法
JP6398778B2 (ja) 接合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接合構造体
US2190490A (en) Structural material
CN1167218A (zh) 改进的七巧板式锁合的压缩环
US6935473B1 (en) Composite profiled section
US516905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structures
CN103586684A (zh) 用于精确地定位部件的弹性凸起壁对准系统和方法
CN1020687C (zh) 异种材料的复合体及其制造方法
CN111169020A (zh) 用于获得不同材料的元件之间的接头的方法
JP2649132B2 (ja) リアクション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32528A (ja) 樹脂製品の製造方法及び樹脂製品の振動溶着金型
CN1164744A (zh) 两种不同金属制成的特别用作导电轨的复合型材及制法
JP2550354B2 (ja) 異種材料係合の切り下げ部の成形方法
JP2561474B2 (ja) リニアモ−タ−カ−の路面側の二次側プレ−ト重合体構造
JPH09234529A (ja) アンカーボンド接合用板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53943B2 (ko)
US20240351293A1 (en) Construction ma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250158498A1 (en) Induction rotor assembly
EP0107490A2 (en) A matrix assembly
EP4378668A1 (en) Method for mechanically bonding a first sheet made of metal and a second sheet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fibers and installation for carrying out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007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0070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