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4760B1 - 자기디스크장치의 자기헤드 지지기구 - Google Patents

자기디스크장치의 자기헤드 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760B1
KR900004760B1 KR1019860008558A KR860008558A KR900004760B1 KR 900004760 B1 KR900004760 B1 KR 900004760B1 KR 1019860008558 A KR1019860008558 A KR 1019860008558A KR 860008558 A KR860008558 A KR 860008558A KR 900004760 B1 KR900004760 B1 KR 90000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head
disk
magnetic
central portion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436A (ko
Inventor
히로시 시부야
쥰 마까베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끼가이샤
다니 가쯔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끼가이샤, 다니 가쯔마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4Head support adjust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32Maintaining desired spacing between record carrier and head, e.g. by fluid-dynamic spa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Landscapes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디스크장치의 자기헤드 지지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자기디스크장치중 일부를 잘라낸 정면도.
제2도는 자기헤드를 디스크에 접속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자기헤드내의 지지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제1의 자기헤드 및 그의 지지 쉬트를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
제5도는 비 부하시의 제1 및 제2자기헤드 그리고 그 근방을 보여주는 일부 잘라낸 정면도.
제6도는 부하시의 제1 및 제2자기헤드 그리고 그 근방을 보여주는 일부 잘라낸 정면도.
제7도는 제2의 실시예의 지지쉬트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변형예의 지지쉬트를 각각 보여주는 평면도.
제10도는 종래예의 지지쉬트를 보여주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디스크 9 : 제1의 자기헤드
9a : 갭프면 10 : 지지쉬트
26 : 중앙부분 27 : 둘레 가장 자리 부분
28,29,30,31 : 연결부 32 : 제1의 띠 형상부분
33 : 제2의 띠 형상부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플로피 디스크라고 불리워지고 있는 자기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신호를 변환하는 자기디스크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인 자기헤드의 지지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자기디스크의 양면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변환하는 장치는, 예컨대, 미국특허 제4,089,029호에 게재되어 있다. 이곳에 게재되어 있는 장치에서는, 한쌍의 자기헤드(변환기)가 각기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디스크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인 한쌍의 캐리지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디스크가 휘어질때 이에 대한 자기헤드의 추종성이 양호할뿐 아니라 디스크의 마모도 적다. 그러나 양쪽의 자기헤드가 수평으로 지지되고 또는 아암형상인 판 용수철의 선단에 자기헤드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디스크의 회전평면이 기준평면으로부터 어긋났을때 진로일탈 즉 탈궤도 현상이 생기기 쉽다.
한편, 진로일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랫쪽의 자기헤드를 디스크 반경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캐리지에 고정시키고, 윗쪽의 자기헤드를, 요동아암에 수평용수철 쉬트로 부착하는 것이 미국특허 제4,151,573호에 게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확실히 궤도이탈이 적어진다. 그러나 아랫쪽 자기헤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디스크 회전평면의 높이 위치가, 디스크회전장치의 높이 위치의 오차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의 크기의 오차등으로 변화해도, 아랫쪽 자기헤드가 디스크에 추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때문에, 가요성 디스크를 변형시켜서 아랫쪽의 고정헤드로 밀어붙이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헤드에게 걸리는 부하가 크다는 것을 감안하여 설계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결과, 디스크의 마모가 커지게 된다. 그리고 한쪽의 자기헤드는 짐발 유지되어 있으므로, 양쪽의 자기헤드를 짐발 유지한 경우와 동일한 문제가 남는다.
따라서, 본건 출원인은, 자기헤드를 디스크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만 변위시키는 자기헤드 지지기구를 제작하였다. 자기헤드를 수직 방향으로만 대폭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해서는, 제10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중앙부분(26)과 둘레갓부분(27)과 이들의 연결부(49)를 갖는 탄성지지 쉬트(10d)를 형성하고 중앙부(26)에 자기헤드(9)를 고착하고, 둘레갓부분(27)을 캐리지에 고착하면 된다. 연결부(49)는 중앙부분(26)의 외주(26)에 따라서 뻗어있으므로 수직방향의 변위를 대폭적으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중앙부분(26)이 수직방향으로 변위할때, 둘레갓부분(27)에 대한 연결부(49)의 접속부를 지지점으로 해서 연결부(49)가 변형하기 때문에, 연결부(49)와 중앙부분(26)과의 접속부의 평면상의 위치가 지지점으로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중앙부분(26)의 회전방향에 변위가 생긴다. 이결과, 자기헤드(9)의 방향도 변화하고, 진로이탈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헤드를 디스크 면과 직교 방향으로 대폭 변위시킬 수는 있으나 자기헤드를 회전방향으로 변위시키지 않는 헤드 지지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헤드 지지기구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의 부호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캐리지(11) 또는 (18)과 탄성지지 쉬트(10)로 구성된다. 지지쉬트(10)는, 자기헤드(9)가 고착되는 중앙부분(26)과, 캐리지(11) 또는 (18)에 고정하는 둘레갓부분(27)과, 이들은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8)-(31)와를 가지고 있다. 각 연결부(28)-(31)는, 중앙부분(26)의 외주에 따라 뻗어있는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3중으로 겹쳐 배치되고 있다. 캐리지는, 제1의 자기헤드(9)를 지지해서 디스크 반경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아랫쪽 캐리지(11) 뿐만 아니라, 요동아암(18)처럼 자기헤드를 지지하는 윗쪽 캐리지 및 이와 유사한 모든것을 의미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중앙부분(26)의 둘레갓부분(27)에 대한 변위는,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얻어진다. 이 변위가 생긴때에, 제1의 띠 형상부분(32)의 둘레갓부분(27)에 대한 접속점(지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제1의 띠 형상부분(32)의 되접어 꺽는 끌머리는 지지점으로 가까워지도록 평면상에서 변위한다. 그러나, 되접어 꺽는 제2의 띠 형상부분(33)에서도 똑같은 평면상의 변위가 생기고, 제1의 띠 형상부분(32)의 평면상의 변위와 제2의 띠 형상부분(33)과의 평면상의 변위가 서로 상쇄하는 현상이 생긴다. 이결과, 중앙부분(26)이 둘레 가장자리 부분(27)에 대하여 이들 주요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했을때의, 중앙부분(26)의 평면상에서의 위치변화 즉 회전방향의 변위를 극히 작게할 수 있다. 더우기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은 중앙부분(26)의 외주에 따르도록 뻗어있으므로, 중앙부분(26)과 둘레 가장자리 부분(27)과의 간격을 좁게 유지한 상태에서 중앙부분(26)을 크게 변위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1도-제5도에서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플로피 디스크장치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자기디스크 카트리지(1)는, 비교적 강성이 큰 케이스(도시하지 않았음)에 가요성 자기디스크(2)를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수용한것이며, 예컨대, 일본특허 공개공보60-117464호 공보에 공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디스크(2)의 중심에는 금속제 허브(3)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회전장치(4)도 상기 공보에 공개되어 있는것과 동일하며, 모우터(5)에 회전대(6)를 결합하고, 회전대(6)에는 허브(3)를 흡착하기 위한 자석(7)을 설치해 두고 있으며, 나아가서 허브(3)에 걸어 맞춰지게 하는 스핀들(8) 및 구동핀(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디스크(2)의 회전 평면과 회전대(6)의 상면(6a)과의 사이에 높고 낮은 차이가 있다.
디스크(2)의 하면에 접촉시키는 제1의 자기헤드(9)는, 탄성지지쉬트(10)를 통해서 합성 수지제인 강성이 큰 아랫쪽 캐리지(11)에 비짐발 지지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 캐리지(11)는, 안내수단으로서의 가이드봉(12)에 안내되어 디스크(2)의 반경방향으로 자유로히 이동할 수 있으며, 약도에서 제시되어 있는 반경방향 구동기구(13)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1의 자기헤드(9)는, 디스크(2)의 면에 직교하는 방향(수직방향)으로만 자유로 이동하도록 제1의 지지쉬트(10)에 고착되어 있으며, 이 제1의 자기헤드(9)의 갭프면(9a) 즉 정상면은, 제1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헤드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때에 쇄선으로 표시하는 디스크 기준회전평면(14)보다도 돌출하고 있다. 이때문에 제2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에 부하가 가해졌을때에 제1의 자기헤드(9)의 압압력을 얻을 수 있다. 더우기, 제1의 캐리지(11)에는 지지쉬트(10) 및 제1의 자기헤드(9)를 수직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게하는 구멍(15)이 설치되어 있다.
제2의 자기헤드(16)는, 디스크(2)의 다른쪽 표면에 접하여 신호를 변환하는 것이며, 제1의 지지쉬트(10)의 동일형상인 제2의 탄성지지 쉬트(17)를 통해서 강성이 큰 합성수지제 요동아암(18) 즉 윗쪽 캐리지에 부착되어 있다. 제2의 지지쉬트(17)는, 제2의 자기헤드(16)를 디스크(2)의 면에 수직방향으로만 변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의 자기헤드(16) 및 지지쉬트(17)를 수직방향으로 변위하도록하기 위하여 요동아암(18)에 구멍(19)이 설치되어 있다. 더우기, 구멍(19) 안에는 제2의 지지쉬트(17)가 필요 이상으로 변형하는 것을 저지하는 단부(19a)가 설치되어 있다.
요동아암(20)에 의하여 캐리지(11)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캐리지(11)과 동시에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윗쪽 자기헤드(16)를 운반한다. 따라서, 이 요동아암(18)을 윗쪽 캐리지 또는 헤드 지지체라고 말할 수 있다.
(21)은 굽은 용수철이며, 요동아암(18)을 제1도에서와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하고, 자기헤드(16)의 디스크(2)에 대한 압착력을 얻기 위하여, 한쪽 끝이 요동아암(18)을 밀어 눌르고 있다. 더우기, 이 굽은 용수철(21)의 코일부분은, 캐리지(11) 위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편(22)의 축(23)에 돌려 감겨지고 있다. 판 용수철(20)은, 굽은 용수철을 제거했을때에 요동아암(18)을 거의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작동하는것 뿐이므로, 제2의 자기헤드(16)의 디스크(2)에 대한 압압력의 거의 대부분은 굽은 용수철(21)에 의하여 주어지고 있다. 제2의 자기헤드(16)의 디스크(2)에 대한 압압력은, 제1의 자기헤드(9)의 디스크(2)에 대한 압압력과 거의 같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2의 자기헤드(16)의 갭프면(16a)은, 디스크(2)의 윗면에 접촉되어 있으며, 제1의 자기헤드(9)의 갭프면(9a)과 대향하고 있지만, 한쌍의 자기헤드(9), (16)의 갭프위치는, 서로 간섭을 방지하기 때문에 대향하지 않고 있다 자기헤드(9), (16)은 개략적으로 개시되고 있지만, 코어, 권선을 가지고 있으며, 코어는 세라믹을 슬라이더에 끼워져 있으며, 디스크(2)에 접촉하는 상면은 활성면이 되도록 처리되어 있다. 또한, 자기헤드(9), (16)으로 부터 도출되어 있는 리드선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자기헤드(9), (16)의 제1 및 제2의 지지쉬트(10), (17)보다도 디스크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은 거의 직4각형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갭프면(9a), (16a)는 거의 장방향으로, 디스크(2)의 면에 접촉하고 있다.
(24)는, 헤드에 부하가 가해지거나 가해지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한 걸어맞춤부이며, 요동아암(18)으로 부터 돌출하고 있다. 이곳에는 이간제어편(25)이 걸어맞춰지고 있으며, 헤드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고 있을때에는 굽은 용수철(21)에 저항해서 요동아암(18)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제2의 자기헤드(16)를 디스크(2)로 부터 이간시킨다.
제1의 자기헤드(9)가 고착되어 있는 제1의 지지쉬트(10)는, 예컨대 베릴륨(beryllium)등과 같이 평탄한 용수철판을 가공한 것이며, 제3도 및 제4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1의 자기헤드(9)가 고착되어 있는 원형의 중앙부분(26)과, 이를 둘러싼 환형상의 둘레 가장자리부분(27)과, 양자간의 네개의 연결부(28), (29), (30), (31)을 가지고 있다. 중앙부분(26)에는 구멍(도시하지 않았음)이 뚫려 있으며, 이 구멍을 통해서 코어의 일부가 지지쉬트(10)의 한쪽 방향으로 부터 다른쪽 방향으로 도출되어 있는 자기헤드(9)는 접착제에 의해서 중앙부분(26)에 고착되어 있다. 둘레 가장자리부분(27)은, 캐리지(11)의 구멍(15)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고착되어 있다. 캐리지(11)의 구멍(15)은, 중앙부분(26) 및 각 연결부(28)-(31)의 수직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우기, 구멍(15)안에는 중앙부분(26)에서 필요 이상의 수직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고, 지지쉬트(10)를 보호하는 단부(15a)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28)-(31)은, 본 발명에 의해서 되접어 배치된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 각 띠 형상부분(32), (33)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리고 중앙부분(26)과 둘레 가장자리부분(27)과를 구획하기 위하여 홈(3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부분(26)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각 띠 형상부분(32), (33)도 중앙부분(26)의 외주에 따르도록 원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을 가일층 상세히 설명하면, 제1의 띠 형상부분(32)은, 둘레 가장자리부분(27)으로 부터 중앙부분(26)의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반경방향)에 근소하게 뻗어 있는 부분과 이곳으로 부터 중앙부분(26)의 둘레 가장자리에 따라 원호형상으로 뻗는 부분과 제2의 띠 형상부분(33)과의 접속부분 즉 되접은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2의 띠 형상부분(33)은 되접은 부분으로 연속하여 중앙부분(26)의 외주에 따라 뻗어있는 부분과 이 부분을 중앙부분(26)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중앙부분(26)의 중앙으로 향하여 근소하게 뻗어있는 부분과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은, 길이가 거의 같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평행하게 놓여지고 있다.
제3 및 제4의 연결부(30), (31)의 둘레 가장자리부분(27) 및 중앙부분(26)에 대한 접속부분(지지점)은 동일 개소에 설치되어 있지만, 원리적으로는 제1 및 제2의 연결부(28), (29)와 동일하다.
각 연결부(28)-(31)을 ㄷ자형으로 되접은 형상으로 해두면, 중앙부분(26)의 회전방향 변위를 수반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다음에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앙부분(26)은 그 면에 직교하는 방향(수직방향)으로 변위시켰을때, 이 수직 변위량에 대응한 탄성 변형이 각 연결부(28)-(31)에서 발생한다. 제6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아랫쪽 자기헤드(9)의 지지쉬트(10)의 중앙부분(26)이 아랫쪽으로 눌려졌을때에는, 제1의 띠 형상부분(32)이 둘레 가장자리(27)로 부터 경사를 이루어 서서히 낮아지게 되고, 되돌려 접은 부분으로 부터는 제2의 띠 형상부분(33)이 중앙부분(26)으로 향하여 서서히 낮아진다. 제1의 띠 형상부분(32)은, 둘레 가장자리부분(27)과의 접속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변위하기 때문에 되접은 부분의 평면 위치는 수직방향으로의 변위가 증대함에 따라 지지점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제10도에서와 같이, 되접은 부분이 없는 종래와 같은 연결부인 경우에는, 중앙부분(26)이 수직으로 변위하면, 중앙부분(26)의 회전방향도 변위하게 되어 자기헤드(9)의 위치가 어긋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4도-제6도의 경우에는, 제2의 띠 형상부분(33)이 되접어져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중앙부분(26)의 회전방향이 변위되지 않는다. 즉, 제2의 띠 형상부분(33)은 중앙부분과의 접속점을 지지점으로 해서 회동변위하므로, 제2의 띠 형상부분(33)의 되접은 부분 즉 제1의 띠 형상부분(32)과의 접속부분도 지지점 방향으로 변위하고,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의 지지점 방향으로의 평면 상에서의 변위량이 실질적으로 갈아지므로 중앙부분(26)회전방향이 변위되지 않는다.
이 장치에서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경우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요동아암(18)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카트리지(1)를 장전한다. 이때 카트리지(1)는, 제1도에서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자기헤드(9) 및 회전대(6)보다도 약간 윗쪽으로 삽입된다. 그후, 회전대(6) 위로 숙여지게 된다. 디스크(2)를 회전대(6)에 고정하는 동작에 따라 움직이게 해서 이간제어편(25)을 제2도에서와 같은 위치로 되게금 숙이고, 요동아암(18)의 제한을 해제하면 굽은 용수철(21)의 힘으로 요동아암(18)이 제2도의 헤드로드 위치까지 회동한다. 제1의 자기헤드(9)의 갭프면(9a)은, 헤드가 부하되지 않는 때에는 디스크 기준회전 평면(14) 보다도 돌출되고 있지만, 제2의 자기헤드(16)에 의하여 디스크(2)를 통하여 눌려지면 돌출부분이 해소되도록 수직방향인 아랫쪽으로 눌려 들어가게 된다.
제6도는 헤드 부하시의 상태를 보여준다. 굽은 용수철(21)에 의하여 헤드를 눌러 부하를 가하면 제1의 자기헤드(9)의 지지쉬트(10)의 중앙부분(26)이 수직방향으로 변위하고, 자기헤드(9)도 이에 따라 변위한다. 제2의 자기헤드(176)의 지지쉬트(17)도 아랫쪽에 지지쉬트(10)와 똑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반작용으로 제2의 자기헤드(16)도 똑같이 변위한다. 이로 인하여, 제1 및 제2의 자기헤드(9), (16)이 서로 동일한 압압력을 가하면서 디스크(2)에 접촉한 상태가 얻어진다. 그리하여, 제1 및 제2의 지지쉬트(10), (17)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인 상태이므로, 디스크(2)를 중심으로한 한쌍의 자기헤드(9), (16)의 대칭적 지지기구가 얻어진다.
그러나, 디스크(2)가 항상 기준회전 평면(14)과 일치한다고 할수만은 없다. 허브(3)의 제작상의 오차에 기인한 높이(T)의 변화, 회전대(6)의 높이의 오차, 디스크(2)의 회전중에 디스크(2)의 휘여짐에 기인한 변화 등으로 제1의 자기헤드(9)에 대한 디스크(2)의 위치에 미소한 변화가 생긴다. 그러나, 본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의 자기헤드(9), (16)이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디스크(2)에 대한 압압력이 서로 동등하므로, 디스크(2)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서 제1 및 제2의 자기헤드(9), (16)가 추종한다. 이 때문에 양호한 신호변환 특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아랫쪽에 제1의 자기헤드(9)가 고정되어 있으나, 또는 제1 및 제2의 자기헤드(9), (16)의 압압력이 같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디스크(2)의 높이의 변화에 대하여 자기헤드(9), (16)을 추종시키는 것이 아니라, 디스크(2)를 변형시켜서 자기헤드(9), (16)에 디스크(2)를 추종시켰다. 이 때문에, 굽은 용수철(18)의 압력이 크도록 설계하였으며, 디스크(2)에 대한 제2의 자기헤드(16)의 압압력을 크게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며, 필연적으로 디스크(2)의 마모가 커지게 되었다.
본 장치는 상술한 종래의 장치의 결점을 해결할 수가 있따. 또한 제1 및 제2의 지지쉬트(10), (17)는, 짐발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짐발지지로 인한 자기헤드(9), (16)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되고, 트랙으로 부터의 이탈이 적어 기록 또는 재생을 훌륭히 해낼 수 있다. 즉, 짐발로 되도록 지지하면, 자기헤드(9), (16)의 로울 동작으로 인한 트랙이탈, 피치동작으로 인한 싱킹 현상이 발생하여, 고밀도 기록을 양호하게 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양면 타입의 자기디스크장치에서는, 한쌍의 자기헤드(9), (16)중 한쪽이 다른쪽의 퍼트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갭프면(9a), (16a)를 평탄면으로 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평탄면으로 되게하면 디스크(2)에 대한 접촉 압력을 적도록해서 디스크(2)의 마찰을 적게할 수도 있다. 또한, 양면 타입에서는 갭프면(9a), (16a)에 거의 균일한 하중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부분(26)이 원형으로 되게해서 이 중심에 자기헤드(9)가 배치되어 있다.
제4도에서, 직선(35)방향은, 디스크(2)의 트랙접선 방향이며, 직선(36)의 방향은, 디스크(2)의 반경방향이다. 그리하여, 디스크(2)의 회전방향은 제4도의 위로 부터 아랫쪽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터널 이레이즈(tunnel erase)방식의 자기헤드(9)의 리드/라이트 변환 캠프(37)는, 한쌍의 소거 갭프(38)보다도 다소 윗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의 자기헤드(9)와 제2의 자기헤드(16)를 마주대하도록 배치하고, 한쪽을 다른쪽의 퍼트로서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신호 변환시에 상호 교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갭프(37), (38)는 장방향의 헤드 갭프면(9a)의 우측 반쪽면에 배치되어 있다. 자기헤드(9)는, 갭프(37), (38)을 가지는 자기 코아 외에 세라믹스 라이더라고 불리는 코아 유지체를 가지고 있으며, 코아는 이에 의하여 끼워지고 있다. 제5도에서와 같이, 갭프면(9a)의 중앙에는 우측 반쪽과 좌측 반쪽을 분리하도록 얕은 홈(39)이 마련되어 있다.
자기헤드(9)의 지지쉬트(10)로 부터 윗쪽으로 돌출한 부분은 거의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갭프면(9a)의 길이 방향이 제4도에서의 직선(35)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4도에서 두개의 직선(35), (36)은, 중앙부분(26)의 중심을 통하고 있으므로, 갭프(9a)면의 중심은, 중앙부분(26)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원형의 중앙부분(26)에 대하여 원형 갭프면을 갖는 자기헤드를 배치하지 않고, 장방형의 갭프면(9a)의 갖는 자기헤드(9)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갭프면(9a)의 전영역에 동일한 하중을 가할 수 없다. 그러나, 가급적 균일한 하중을 가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4도에서는, 직선(35)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회전방향의 각도 위치에서 60도의 위치로 제1의 연결부(28)의 지지점(접속점)이 설치되어 있으며, 180도의 위치에 제3 및 제4의 연결부(30), (31)의 지지점이 설치되 있으며, 300도의 위치에 제2의 연결부(29)의 지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은, 약 60도의 원호에 상당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결부(28)-(31)는 직선(35)을 중심으로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직선(36)을 중심으로 해서는, 각 연결부(28)-(31)이 배치되어 있는 각도 위치는, 직선(38)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되어 있으므로, 중하가 언벌런스로 되는 경우는 적다.
직선(36)보다도 윗쪽 절반부분에서는, 제1 및 제2의 연결부(28), (29)의 지지점을 120도 간격으로 배치하고, 직선보다도 아랫쪽 절반부분에서는 제3 및 제4의 연결부(30), (31)의 지지점을 같은 장소에 배치함으로써, 직선(36)보다도 윗쪽 절반부분의 하중을 아랫쪽 절반부분 보다도 약간 크게할 수 있다. 자기헤드(9)에 대하여 디스크(2)가 진입해 오는쪽 즉 윗쪽의 하중을 약간 크게하면, 디스크(2)에 대한 자기헤드(8), (16)의 안정적 미끄럼 접촉을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중앙부분(26)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네개의 연결부(28)-(31)의 지지점이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중이 중앙부분(26)의 전 영역에서 대폭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장방향의 자기헤드(9)를 배치하여도 거의 균일한 하중을 얻을 수있다. 더우기, 세개의 지지점에 대하여 등거리의 중앙부분(26)의 중심이 가장 강하게 그리고 안정된 하중을 얻을 수 있다. 제4도의 직선(36)상의 중앙부분(26)의 양쪽끝 영역은, 중앙부분(26) 중에서 비교적 불안정한 영역이지만, 장방향의 자기헤드(9)의 양쪽 방향이 직선(35)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자기헤드(9)는 비교적 안정된 영역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 장치의 제2의 지지쉬트(17)도 제1의 지지쉬트(10)와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2)를 중심으로 제1 및 제2의 자기헤드(9), (16)는 대칭적으로 지지되고, 또한 동일한 압압력을 가지고 디스크(2)에 접촉한다. 이결과 동일한 디스크장치를 수평으로 배치해서 사용한 경우와, 수직으로 배치해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데이터 변환 특성의 차이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지지쉬트(10a)를 보여준다. 이 지지쉬트(10a)는 제4도의 지지쉬트(10)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며, 중앙부분(26)과 둘레 가장자리부분(27)과의 사이에 제1, 제2, 제3 및 제4의 띠 형상부분(32), (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지지점이 네군데로 되어 있으며, 각 연결부(28)-(31)은,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지지점이 네군데로 되어 있으며, 각 연결부(28)-(31)는, 두개의 직선(35), (36)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각 연결부(28)-(31)의 지지점(접속부)은, 직선(35)을 기준으로 해서 60도, 120도, 240도, 300도의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부분(26)의 하중 분포는, 직선(35) 및 (36)을 중심으로 대칭적이다. 이와 같이 형성하여도 제1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A) 제8도에서와 같이, 지지점을 120도 간격으로 3개소에 설치하고, 6개의 연결부(40), (41), (42), (43), (44), (45)를 설치하여 각각을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에 형성하고, 연결부(40)과 (41), (42)와 (43), (44)와 (45)를 각 공통된 지지점을 중심으로 해서 대칭적으로 배치한 지지쉬트(10b)로 해두어도 무방하다. 이경우, 중앙부분(26)의 하중의 균일성이 제7도에 비하여 약간 나빠지지만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은 되접어 배치되고 있으므로 중앙부분(26)의 수직방향 변위에 기인하는 회전방향 변위는 생기지 않는다.
(B) 제9도에서와 같이, 세개의 연결부(46), (47), (48)이 120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지지쉬트(10c)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예에서도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32), (33)이 되접은 형상이므로, 제1의 실시예와 같이 회전방향 변위를 막을 수가 있다. 그러나 하중의 균일성이라는 점에서 약간 나쁘다.
(C) 본 발명에 관한 지지쉬트(10), (10a), (10b), (10c)를 한쌍의 자기헤드(9), (16)중의 한쪽만을 지지하는데 사용하고, 다른쪽을 고정 또는 수평으로 지지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D) 굽은 용수철(21) 대신, 압축코일 용수철에 의하여 요동아암(18)을 압축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판용수철(20)로 헤드로드를 위한 편기력을 가해도 무방하다.
(E) 요동아암(18) 대신, 캐리지(11)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부재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F) 미국특허 제4,089,029호에 제시되어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디스크장치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G) 편면(片面)타입이 자기디스크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의 자기헤드(16) 대신에 패드를 배치하면 된다.
(H) 중앙부분(26)을, 원형으로 하지않고 4각형이나 또는 기타 다각형으로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I) 둘레 가장자리부분(27)을 필요에 따라서 단일 또는 복수장소로 분단하고, 환형상으로 하지않아도 좋다. 또한, 자기헤드(9), (16)의 리드선의 배치와의 관계를 고료해서 연결부의 위치를 바꾸어도 좋다.
이상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중앙부분과 둘레 가장자리부분과의 연결부가 되접어도 이루어진 제1 및 제2의 띠 형상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앙부분을 수직방향으로 변위시켜도 회전방향이 변위되지 않는다. 따라서, 트랙으로 부터의 어긋남이 적어지면, 고밀도 기록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자기디스크에 접하여 정보신호를 변환하는 자기헤드를 지지해서 자기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리지와, 캐리지에 자기헤드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을 가지는 지지쉬트(10)로 구성되며, 지지쉬트는 중앙부분(26)과, 이 중앙부분의 바깥쪽에 배치된 둘레 가장자리부분(27)과, 중앙부분과 둘레 가장자리부분과의 사이에 마련된 복구의 연결부(28), (29), (30), (31)를 가지고 있으며, 중앙부분에는 자기헤드가 고착되어 있고, 둘레 가장자리부분은, 캐리지에 고착되어 있으며, 각 연결부는, 중앙부분의 외주에 따라서 뻗어있는 제1의 띠 형상부분(32)과 이 제1의 띠 형상부분(32)의 끝으로 부터 되접어서 중앙부분의 외주에 따라서 뻗어있는 제2의 띠 형상부분과(33)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캐리지는, 각 연결부의 탄성적 변형에 기인하는 중앙부분의 디스크의 주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기디스크장치의 자기헤드 지지기구.
KR1019860008558A 1985-10-14 1986-10-13 자기디스크장치의 자기헤드 지지기구 KR900004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29345 1985-10-14
JP60229345A JPS6288188A (ja) 1985-10-14 1985-10-14 磁気デイスク装置の磁気ヘツド支持機構
JP229345 1985-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36A KR870004436A (ko) 1987-05-09
KR900004760B1 true KR900004760B1 (ko) 1990-07-05

Family

ID=1689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8558A KR900004760B1 (ko) 1985-10-14 1986-10-13 자기디스크장치의 자기헤드 지지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40854A (ko)
JP (1) JPS6288188A (ko)
KR (1) KR900004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63B2 (ja) * 1986-09-30 1995-01-30 株式会社東芝 磁気デイスク装置
DE3788930T2 (de) * 1986-11-12 1994-08-18 Seiko Epson Corp Montage von magnetischen Köpfen.
JPH0316069A (ja) * 1989-06-13 1991-01-24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ヘッド用サスペンション
JP2767130B2 (ja) * 1989-07-07 1998-06-1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パッド支持装置
US5115363A (en) * 1990-02-16 1992-05-1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Head/gimbal assembly having low stiffness cross band flexure
US5166847A (en) * 1990-04-05 1992-11-24 Seagate Technology, Inc. Reduced stick/slip load arm assembly having a coating with a low frictional coefficient
US5079659A (en) * 1990-07-06 1992-01-07 Seagate Technology, Inc. Gimbal for supporting a hydrodynamic air bearing slider
JPH0495263A (ja) * 1990-08-10 1992-03-27 Teac Corp ヘッドキャリッジ装置
US5293289A (en) * 1990-08-10 1994-03-08 Teac Corporation Head carriage device
US5225950A (en) * 1991-02-25 1993-07-06 Seagate Technology, Inc. Gimbal having stiffness properties
JPH06349221A (ja) * 1993-06-10 1994-12-22 Hitachi Ltd 磁気ヘッドスライダ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AU1432395A (en) * 1993-12-08 1995-06-27 Maxtor Corporation Wire lead-frame head suspension
JP3002984B1 (ja) * 1998-09-24 2000-01-24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微小駆動装置および微小位置決め装置および記憶装置
US7364145B2 (en) * 2004-09-08 2008-04-29 Equipment Solutions, Inc High stiffness flexure
TWM320097U (en) * 2007-02-13 2007-10-01 Mustek Systems Inc High stability planar spring utilized in a voice coil motor
NL2007451A (en) * 2010-10-27 2012-05-01 Asml Netherlands Bv Leaf spring, stage system, and lithographic apparatus.
US9850814B2 (en) * 2014-02-19 2017-12-2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nnular spring for a bearing assembly of a gas turbine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09012A1 (fr) * 1975-04-21 1976-11-19 Ibm Memoire a disque magnetique flexible
US4058843A (en) * 1975-07-03 1977-11-15 Burroughs Corporation Head and gimbal assembly
US4151573A (en) * 1977-06-13 1979-04-24 Tandon Magnetics Corp. Magnetic recording device for double sided media
JPS61192067A (ja) * 1985-02-21 1986-08-26 Tokyo Electric Co Ltd 磁気ヘツド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88188A (ja) 1987-04-22
US4740854A (en) 1988-04-26
KR870004436A (ko) 198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760B1 (ko) 자기디스크장치의 자기헤드 지지기구
US4151573A (en) Magnetic recording device for double sided media
US6236531B1 (en) Flex support snubber
US4306260A (en) Dual magnetic head mount
US6351344B1 (en) Stiffened cover for a head disc assembly of a disc drive
US4807070A (en) Supporting structure for dual magnetic head
JPH02156487A (ja) ディスクドライブのヘッド取り付け構造
US5659448A (en) Magnetic head supporting mechanism including a slider fixed to a slider spacer by a fixing area smaller than a contact area
US5008768A (en) Disk head assembly flexure with sloped ramp support structure
EP0214597B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4800455A (en) Magnetic disk drive having a magnetic-head with a head gap supported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magnetic-head positioning mechanism
AU6481280A (en) Z-axis flexure suspension apparatus
US5124865A (en) Microminimonolithic magnetic head slider having vertically extending slots to reduce flux leakage losses
US4943881A (en) Head supporting structure in disk drive system for double sided flexible disk
JPH01251468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3765805B2 (ja)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のアクチュエータロッキング装置
JP3144372B2 (ja) 磁気ヘッドスライダ支持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磁気ディスク装置
JPS59227077A (ja) 磁気デイスク装置
KR910006573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2885201B2 (ja) 磁気ヘッド支持装置
JP3492197B2 (ja) ヘッドサスペンションアッセンブリの作成方法
KR840000146B1 (ko) 자기헤드
JPH10162533A (ja) ヘッド支持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再生装置
JP3928517B2 (ja) ディスク装置およびヘッド支持装置
JP3234110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ヘッド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6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5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0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7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