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4290B1 - 빌딩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빌딩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290B1
KR900004290B1 KR1019840004959A KR840004959A KR900004290B1 KR 900004290 B1 KR900004290 B1 KR 900004290B1 KR 1019840004959 A KR1019840004959 A KR 1019840004959A KR 840004959 A KR840004959 A KR 840004959A KR 900004290 B1 KR900004290 B1 KR 900004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room
signal
ringing
circui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589A (ko
Inventor
모도히로 고단다
Original Assignee
모도히로 고단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도히로 고단다 filed Critical 모도히로 고단다
Publication of KR850001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빌딩 관리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자가 앞서 제안한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 2 도는, 자물쇠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 도의 (a), (b)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 4 도의 (a), (b)는 제 3 도의 실시예의 동작 실명을 위한 타이밍 챠트(Timing Chart)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 : 전화국 II : 빌딩
l : 전화 교환기 2, 4 : 전화 케이블(Cable)
3, 5 : 단자판 6 : 전화기
10 : 방 11 : 반송기
12 : 정보 분별회로 20 : 감시실
21 : 중앙 감시반 22 : 케이불
J : 잭(Jack) DSW : 자물쇠 스위치
FS, OSC : 세트(Set)신호 발진기
FR, OSC : 리세트(Reset)신호 발진기
RGF, OSC : 링깅(Ringing)신호 검출 발진기 AMPA : AMPD : 증폭기
TRA, TRB : 트랜스 RECA, RECB : 수신기
FFA, FFB : 플립플롭(Flinp-Flop)
CH, CHA, CHB, RT, TS, FR, FS, CK : 릴레이(Relay)
S1, S2센서(Sensor)
PTCA, PTCB : 포토카플러(Phopo Coupler) Rl-R7 : 저항기
C1-C4: 콘덴서 CONT : 제어회로 COMP : 비교기
VDET : 전압 판별기 Da1-Da3: 표시기
E : 전원
ZD :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TIMA-TIMF : 타이머(Timer) A : 세트/리세트 발진 회로부
B, C : 령깅검출 회로부 D : 링깅신호 검출 회로부
F : 발란스 회로부 G : 표시 회로부
본 발명은 빌딩내의 전화 케이블을 이용 하지만, 전화 교환기에는 나쁜 영향을 주지 아니하고, 빌딩내의 각방의 정보를 감시실에 통보할수 있도록한 빌딩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빌딩관리는, 감시원의 순회에 대신하여 전기적으로 감시하는 빌딩관리 장치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같은 방식은, 빌딩내의 각 방에 필요한 센서, 예를들면 연기센서, 가스센서 등을 설치하여 두고,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사고에 대응하는 센서가 작동 하도록 함으로써, 그 센서에 특유의 신호(특정의 전압레벨, 또는 특정의 주파수등)를 발생 시키는 전용회선을 통하여, 중앙 감시반에 상기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통보 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 각방과 중앙 감시반과의 연락에, 전용회선을 사용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여서, 그의 설치에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신설의 경우에는 시공이 용이하더라도, 추가 설치의 경우에는 시공이 곤란하며, 또한 외관도 좋지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빌딩관리 장치를 앞서 제안하였으나, 이것은 빌딩의 각방과 빌딩의 전화단자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전화 회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전용회선의 설치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고, 또한 전화 교환기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도록한 것이다.
앞서 제안한 바있는 발명을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앞서 제안한 발명을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도면중(I)은 전화국, (II)는 빌딩이고, 빌딩(II)내에는 방(10)이 다수개 있으나, 여기에서는 1개의 방만을 나타낸 것이고, (20)는 감시실이다.
전화국(I)의 전화교환기(l)는 옥의 전화케이블(2)에 의하여 빌딩(II)내의 다수개의 단자를 가진 단자판(3), 전화케이블(4)을 거쳐서, 방(10)내의 단자판(5)을 통하여 전화기(6)와 접속되어 있다.
이상은 통상의 전화회선이다.
여기에 있어, 방(10)내에는 이상 발생을 검출하여 검지신호를 발생하는 반송기(11)를 설치한다.
반송기(11)로서는, 센서(S)와, 가청할수 없는 주파수(예를들면 20KHZ이상)로서 저레벨(예를들면 40dB이하)의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이상 신호 발생기(OSC)와 직렬 접속된 저항기(R1)와, 직류 저지용 콘덴서(C1)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센서(S)와 이상 신호 발생기(OSC)는 1개만을 나타내었으나, 센서(S)로서는, 연기센서, 온도센서, 가스센서, 창문의 개방 센서, 누수센서등 각종의 것을 사용하며, 그것에 상응하여 이상 신호 발생기(OSC)로서의 발진 주파수가 상이한 것을 갖추어(1개의 이상 신호 발생기(OSC)의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음), 이상이 발생한 때에는 그의 이상에 대응하는 센서(S)가 동작하고, 이어서 이상 신호 발생기(OSC)를 작동 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한 반송기(11)는, 방(10)을 잠그는 것과 연동하여 온(ON)상태로되는 자물쇠 스위치(DSW)를 거쳐서 단자판(5)에 접속된다.
이에 의하여 전화기(6)와 반송기(11)는 병렬로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감시실(20)에 설치되는 중앙 감시반(21)에 대하여 설명한다.
(C2)는 직류 저지용, 콘덴서, (R2)는 저항기, (A)는 저레벨이 이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REC)는 수신 주파수를 판별하는 수신기, (D)는 표시기로서, 예를들면 발광다이오드 등이 사용된다.
제 1 도에서는 방 (10)이 1개만인 것이여서, 증폭기(A)도 1개만을 도시한것이나, 방(10)이 증가하면 그것에 상응하여 증폭기(A)의 개수도 증가한다.
(T)는 단자판이고, 중앙 감시반(21)은 케이블(22)에 의하여 단자판(3)에 접속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10)에 사람이 있을때에는 문에 자물쇠가 잠겨 있지 않은 것이어서, 자물쇠 스위치(DSW)는 도시한 바와같이 오프(OFF)로 되어있고, 반송기(11)는 전화기(6)와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어떤사고로서 센서(S)가 작동 하더라도 중앙 감시반(21)으로의 통보는 행하여 지지 않는다.
(다만 사람이 방에 있는 것이여서 적당한 처리를 취할수 있다.)
다음에, 외출을 위하여 방(10)의 자물쇠를 잠그면 이와 연동하여 자물쇠 스위치(DSW)가 온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전화기(6)와 반송기(11)는 병렬 접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일 사고가 발생하면, 센서(S)가 작동하고, 그것에 의하여 이상 신호 발생기(OSC)에서 특정의 이상 신호가 발생하여, 이것이 중앙 감시반(21)에 보내어 진다.
중앙 감시반(21)에서는 보내온 이상 신호를, 증폭기(A)로서 규정 레벨까지 증폭하고, 수신기(REC)에 가하여 그의 주파수를 판별하고, 그것이 반송기(11)로부터의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표 시기(D)를 작동시켜 표시를 행한다.
상기의 경우에, 자물쇠 스위치(DSW)가 작동하여 반송기(11)가 전화기(6)에 병렬로 접속되어도, 콘덴서(C1)로서 직류가 저지되어 있는 것이여서, 전화 교환기(1)의 교환 작동에 하등의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또한, 중앙 감시반(21)는 상기 단자판(3)에 접속되어 있으나, 음성, 링깅(16Hz)에 대하여 고 임피이던스인 콘덴서(C2)에 의하여 직류가 저지되어 있는 것이여서 중앙 감시반(21)도 전화 교환기(1)의 변환 동작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
제 2 도는 자물쇠 스위치(DSW)의 1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도에 있어서, (31)은 문이고, 고정부재(32)에 경첩(33)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둥근손잡이(34)의 회동에 의하여 점선으로 나타내는 래치 보울트(Latch Bolt)(35)가 끌려들어가서 고정부재(36)와의 걸이맞춤이 풀려 문을 열수가 있고, 또한, 문(31)을 닫을때에서는 고정부재(36)와 문(3l)이 일치하는것에 의하여 문(31)내부의 스프링의 힘으로 래치 보울트(35)가 돌출하여 고정부재(36)의 요입부(37)에 래치보울트(35)가 걸어맛춤되고, 다시 둥근 손잡이(34)를 회동하지 않으면 문(31)이 열리지 않도록 된다.
다음에, 문(31)에 설치된 열쇠구멍(38)에 도시하지 않은 열쇠를 삽입하여 회동하면, 점선으로 나타낸 데드 보울드(Dead Bolt)(39)가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전진하여, 고정부재(36)에 설치된 요입부(40)에 걸어맞춤되어, 자물쇠의 잠그는 것이 완료된다. 이 데드 보울트(39)내부에 영구자석(M)을 매설하여 두고, 고정부재(36)측에 리드 스위치로된 자물쇠 스위치(DSW)를 착설한다. 이로 인하여, 데드 보울트(39)가 잠겨지지 않은 위치에서는, 자물쇠 스위치(DSW)는 오프 상태이나, 잠그는 것에 의하여 데드 보울트(39)가 전진하게되면, 영구자석(M)의 자계내에 리드 스위치로된 자물쇠 스위치(DSW)가 들어가는 것에 의하여 온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하여 잠그고, 열고하는 것으로 연동하여 자물쇠 스위치(DSW)를, 온, 오프 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앞서 제안한 빌딩관리 장치는, 각방에서 발생한 이상 신호를 전화회선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전용회선의 설치를 필요로하지 않고, 또한 전화 교환기(1)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도 감시 할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반송기(11)는 문(31)의 자물쇠를 잠근후에 열때까지의 기간동안, 또한 중앙 감시반(21)은 항상 전화기(6)와 병렬로 접속된 상태대로 된다.
즉, 문의 자물쇠를 잠근후에 열때까지의 기간에는 전화 교환기는 전화 회선에서 분리되나, 이 사이에 착신이 되어도 벨은 울리지 않아, 호출한 사람에게 전화기가 고장난것으로 판단되게 하는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문의 자물쇠를 잠근후에 열때까지의 기간에는 전화 교환기를 전화회선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이 기간에 착신이 있을때에는 전화 교환기와 전화회선을 접속할수 있도록한 빌딩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의 (a), (b)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제 1 도와 동일하게 방(10)이 1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 3 도의 (a), (b)에 있어서, 제 1 도와 동일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J)는 잭(Jack), (FS, OSC)는 세트(Set), 신호 발진기(FR, OSC)는 리세트 신호 발진기, (RGF, OSC)는 링깅(Ringing)신호검출발진기, (AMPA), (AMPB), (AMPC), (AMPD)는 증폭기, (TRA), (TRB)는 트랜스, (RECA), (RECB)는 수신기, (TIMA), (TIMB), (TIMC), (TIMD), (TIME), (TIMF)는 타이머, (FFA), (FFB)는 플립플롭, (DS), (CH), (TS), (FS), (FR), (CK), (CHA), (CHB), (RT)는 릴레이로서, 각 릴레이의 접점은 소문자로 표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릴레이(DS)의 접점은 (dS0), (dS1), (dS2), (dS3)라고 표시 하였다.
(12)는 정보 분별회로로서, 센서(S1), (S2)에서의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축에 그의 경보에 대응하는 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예를들면, 가스 누출의 경우에는 센서(S1)가 동작하여, 정보분별회로(I2)에서의 10V의 진류전압이 발생하고, 화재의 경우에는 센서(S2)가 동작하여 5V의 직류전압이 발생한다.
(PTCA), (PTCB)는 포토 카플러, (R3), (R4), (R5), (R6), (R7)은 저항기, (COMP)는 비교기 (C3), (C4)는 콘덴서, (CONT)는 제어회로, (VDET)는 전압 판별기, (Dal), (Da2), (Da3)은 표시기, (E)는 전원, (ZD)는 제너 다이오드 이다.
또한, (A)는 세트 신호 발진기(FS, OSC), 리세트 신호 발진기(FR, OSC), 증폭기(AMPA), 트랜스(TRA)등으로 구성되는 세트/리세트 발진 회로부이고, (B)는 포토 커플러(PTCB)등으로 구성되는 링깅검출 회로부이고, (C)는 포트 커플러(PTCA)등으로 구성되는 링깅 검출 회로부이고, (D)는 콘덴서(C4), 저항(R7), 트랜스(TRB), 중폭기(AMPD), 링깅신호 검출 발진기(RGF, OSC)등으로 구성되는 링깅신호 검출 발진 회로부이고, (E)는 전원이고 (F)는 저항(R3-R5), 비교기(OMP)등으로 구성되는 발란스회로부이고, (G)는 전압 판별기(VDET)·표시기(Da1-Da3)등으로 구성되는 표시회로부이며, 그밖의 특별한 설명이 필요없는 부분의 부호는 생략하였다.
다음에, 제 3 도의 실시예를 제 4 도의 (a), (b)의 타이밍 챠트(Timing Chart)에 의하여 설명한다.
외출시에 자물쇠를 잠그면(시각 t1)자물쇠 스위치(DSW)가 닫히고, 반송기(11)의 릴레이(DS)가 구동되어 그의 접점(dSO)이 변환되므로 타이머(TIMB)에 의하여 릴레이(TS), (FS)를 제1의 일정시간 약(4초)동안 동작 시킨다.
이와 동시에 플립플롭(FFA)이 세트 상태로 되어 릴레이(CH)를 동작시켜 그의 접점(ch0), (ch1)으로 전화기(6)를 전화 케이블(4)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접점(fs), (ts0), (ts1)을 통하여 세트/리세트 발진 신호부(A)의 세트 신호 발진기(FS, OSC)의 세트신호(예를들면 20KHZ, -40dB)를 중앙 감시반(21)측으로 송출한다.
중앙 감시반(21)측에서는 이 신호를 증폭기(AMPC)로서 증폭하여 수신기(RECB)로 받아서, 플립플롭(FFB)을 세트하여 릴레이(CHA), (CHB)를 동작 시키며, 그의 접점(cha0), (cha1), (chb0), (chb1)으로 전화교환기(1)측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타이며(TIMF)로 시작(t1)으로부터 제2의 일정시간(e, g 약 4초)후에 릴레이(CHB)를 동작 시켜서 접점(chb0), (chbl)에 의하여 표시 회로부(G)를 접속한다.
즉, 시각(t1)의 시점에서 전화 회선의 전화 케이블(4)은 양단이 다같이 분리되고, 분리된 전화 교환기(1)측의 전화 케이블(4)은, 포토 카플러(PTCB)를 포함하는 링깅 검출회로부(B)에 인입되어, 제1의 일정시간이 경과된후 착신시에 대응할수 있도록 되고, 그 다음에 제2의 일정시간후에, 이 분리된 전화 케이블(4)을 1쌍의 선으로 하여 여러가지의 감시를 행하게 된다.
다음에, 시각(t2)에서 사람이 방에 들어가기 위하여 자물쇠가 열리면 자물쇠 스위치(DSW)가 열리고, 접점(ds0)이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되므로 타이며(TIMC)에 의하여 릴레이 (TS), (FR)를 제3의 일정시간 (약 4초)동작 시킨다.
이때에 플립플롭(FFA)이 리세트 되어 릴레이(CH)가 복귀 함과 동시에, 집점, (ts0), (ts1), (fr2)을 통하여 세트/리세트 발진 신호부(A)의 리세트 신호 발진기(FR, OSC)의 리세트 신호(예를들면 25 KHZ, -40 dB)를 중앙 감시반(21)측에 송출한다.
그리고, 송출을 끝낸 전화 회선을 전화기(6)의 방향으로 되돌린다.
중앙 감시반(21)측에서는 이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플립플롭(FFB)을 리세트시겨, 릴레이(CHA), (CHB)를 복귀 시키고, 감시회로를 분리한후, 타이며(TIME)에 의하여 시각(t2)으로부터 제4의 일정시간의 후에, 릴레이(CHA)가 복귀되어, 전화 회선을 원상태로 되돌려서, 전화기(6)를 전화 교환기(1)측으로 접속한다.
또한, 타이며(TIME)는 제 4 도(a)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자물쇠를 여는 시각(t2)으로부터 일정시간(약4초)동작을 계속한다.
동일하게 타이머(TIME)는 자물쇠를 잠근 시각(t1)으로부터 일정시간(약4초)후에 동작을 계속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전화 케이블(4)을 정보용 회선으로 변환중에 착신이 있으면, 포토 카플러(PTCB)등으로 구성한 링깅 검출회로부(B)로 착신을 검출하여, 제어회로(CONT)를 동작시켜 릴레이(RT)를 소정의 시간동안 동작 시킨다.
이때에, 접점(rt0), (rt1), (rt2)을 통하여 령깅신호 검출회로부(D)의 링깅신호 검출 발진기(RGF, OSC)의 링깅신호(예를들면 30 KHZ, -40dB)를 반송기(11)측으로 송출한다.
반송기(11)측에서는 상기의, 이 링깅신호를 증폭기(AMPB)로서 증폭하여 수신기(RECA)로 받아서, 플립플롭(FFA)을 리세트 하여 릴레이(CH)를 복귀 시킴과 동시에, 릴레이(FR)를 타이머(TIMC)의 제3의 일정시간 동안 동작 시켜서, 리세트 신호 발진기(FR, OSC)의 리세트 신호를 중앙 감시반(21)측으로 송출한다.
그리고, 제3의 일정시간의 종료후에, 전화 케이블(4)과 전화기(6)를 접속한다.
중앙 감시반(21)측에서는, 이 리세트 신호를 릴레이(RT)의 접점(rt2)이 복귀한후에 수신하게 되면, 플립플롭(FFB)을 리세트 시키어 릴레이(CHA), (CHB)를 북귀시키므로, 감시 회로를 분리함과 동시에 전화회로를 링깅 검출 회로부(B)로부터 원상태로 되돌린다.
이에 따라 전화기(6)는 울림 작용과 동시에, 반송기(11)측에서는 포토 카플러(PTCA)등으로 구성한 링깅검출 회로부(C)로서 링깅 벨스톤의 정지를 감시한다.
이때에, 발신자가 끊던가(이것을 t3의 시점으로함), 사람이 응답하여(이것을 t4의 시점으로함)링깅이 정지하게 되면, 타이머(TIMD)에 의하여 릴레이(CK)를 제 4 도(b)의 개방의 시각(t3) 또는 응답의 시각(t4), 보다 제5의 일정시간(약 1초)동안 동작 시키어, 저항기(R3), (R4), (R5) 및 비교기(COMP)등으로 구성하는 밸런스(Balance)회로부(F)에 의하여 개방하게 되거나, 통화(응답)인가의 판정을 한다.
만일, 개방되어 있으면, 상기한 밸런스 회로부(F)의 밸런스가 흐트러지게 되는 것이므로, 비교기(COMP)에서 출력신호가 나타나고, 이 출력신호로서 플립플롭(FFA)를 세트 시키는 밸스톱(BS)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릴레이(CH), (TS), (FS)를 동작 시키어 상술한 바와같이 전화 케이블(4)을 정보용 회선에 변환한다.
또한, 제 4 도(b)의 시각(t4)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통화(응답)되어 있으면, 상기한 밸런스 회로부(F)는 밸런스 되는 것이므로 밸스톱(BS)신호는 출력되지 아니하고, 따라서 그대로 통화선으로되어 통화가 종료하여도 그 상태대로 유지한다.
또한, 제 4 도(a)에서(TV)는 상기한 전화 케이블(4)을 정보용 회선으로 사용하는 기간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빌딩내의 각방에, 이상이 발생한때에 작동하는 센서와, 이 센서의 작동에 의하여 이상 신호를 발생하는 이상 신호 발생기와, 직류 저지용의 콘덴서로된 반송기를, 그방의 자물쇠 스위치를 통하여 전화기와 병렬로 접속하고, 한편, 감시실에는, 직류 지지용 콘덴서, 증폭기, 이 증폭기의 출력을 판별하는 수신기 및 이 수신기의 출력을 표시하는 표시기로서 되는 중앙 감시반을 설치하고, 또한, 자물쇠 스위치의 온 상태일때에 전화 교환기를 전화 회선으로부터 분리하여 링깅 검출 수단에 접속 함과 동시에, 자물쇠 스위치의 온 상태일때에 착신이 있으면 전화 교환기를 전화 회선에 접속하는 변환 수단을 설치하고,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반송기를 중앙 감시반에 접속하게한 것이여서, 종래에서와 같이 전용회선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므로, 기 설치된 빌딩에의 적용이 용이하며, 또한, 시공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반송기, 중앙 감시반을 직류 저지용 콘덴서를 통하여 전화케이블에 접속한 것이므로, 전화 교환기의 작동에 하등의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또한, 반송기는 문의 자물쇠 스위치를 통하여 전화 케이블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므로, 사람이 방에 있을때에는 반송기는 분리된 상태로 되는 것이여서, 만일 반송기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전화 교환기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다.
또한, 전화 교환기와 전화 회선을 분리한 상태에서 착신이 있으면, 전화 교환기와 전화 회선이 접속되게한 것이므로, 자물쇠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의 기간중에 착신이 있은 경우에도, 전화기가 울림동작을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빌딩관리 장치를 기존의 빌딩에, 전화 교환기에 나쁜 영향을 주지않고 적용할수 있는 우수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화 교환기(1)에 접속된 각각의 전화 케이블(4)을 통해 빌딩내의 각 방(10)에 전화기(6)를 접속하고, 센서(S1), (S2)와 정보 분별회로(12)와 직류 저지용 콘덴서(C1)로된 반송기(11)를 각 방(10)마다에 자물쇠스위치(DSW)를 통하여 전화기(6)와 병렬로 접속하며, 직류 저지용 콘덴서(C2)와, 증폭기(AMPC) 및 수신기(REC B)와 표시기(Da1-Da3)로된 중앙 감시반(21)을 각 방(10)의 전화 케이블(4)에 접속하여 감시실(20)에 설치한 빌딩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 스위치(DSW)의 작동에 의해 동작되는 릴레이(DS)의 접점에 링깅 검출 회로부(C) 또는 릴레이(CH), (TS), (FS), (FR)를 접속하고, 릴레이(CH), (TS), (FS), (FR)의 각각의 접점에 전화기(6) 및 반송기(11)의 세트/리세트 발진 신호부(A)의 세트 신호 발진기(FS, OSC) 및 리세트 신호 발진기(FR, OSC)를 접속하며, 상기 중앙 감시반(21)의 수신기(RECB)에 접속된 릴레이(CHA), (CHB)의 각각의 접점에 링깅 검출 회로부(B) 및 표시 회로부(G)를 접속하고, 링깅 검출 회로부(B), (C)에 접속된 각각의 릴레이(RT), (CK)에 링깅신호 검출 발진회로부(D) 및 밸란스 회로부(F)를 접촉하여 구성된 빌딩관리 장치.
KR1019840004959A 1983-08-25 1984-08-17 빌딩 관리 장치 KR900004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54072 1983-08-25
JP58154072A JPS6048597A (ja) 1983-08-25 1983-08-25 ビル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589A KR850001589A (ko) 1985-03-30
KR900004290B1 true KR900004290B1 (ko) 1990-06-20

Family

ID=1557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959A KR900004290B1 (ko) 1983-08-25 1984-08-17 빌딩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80010A (ko)
JP (1) JPS6048597A (ko)
KR (1) KR900004290B1 (ko)
CA (1) CA1207403A (ko)
DE (1) DE3430974A1 (ko)
FR (1) FR2551280B1 (ko)
GB (1) GB21455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56B1 (ko) * 1995-11-08 2003-10-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수상관용새도우마스크와그제조방법
GB2320394A (en) * 1996-11-25 1998-06-17 Irv Kon Monitoring system
US5925861A (en) * 1997-04-02 1999-07-20 Sidney Fromberg Security door lock arrangement with magnetically operated switch in the closed door position
GB2346469A (en) * 1999-01-21 2000-08-09 I T Guard Limited Securit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09873A (en) * 1971-09-17 1975-10-15 Belling & Lee Ltd Alarm signals
US3786502A (en) * 1971-12-17 1974-01-15 J Stendig Security system
US3969584A (en) * 1975-01-17 1976-07-13 Cecil John Miller System for recording the actuation of remotely located locking devices
FR2362456A1 (fr) * 1976-08-19 1978-03-17 Fichet Bauche Installation pour la realisation d'un systeme electrique de surveillance centralisee
DE2810875C2 (de) * 1978-03-13 1982-11-18 Berliner Bank Ag, 1000 Berlin Fernalarm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48597A (ja) 1985-03-16
GB2145549B (en) 1986-10-15
DE3430974A1 (de) 1985-03-21
GB8421130D0 (en) 1984-09-26
KR850001589A (ko) 1985-03-30
FR2551280B1 (fr) 1988-12-09
FR2551280A1 (fr) 1985-03-01
GB2145549A (en) 1985-03-27
US4580010A (en) 1986-04-01
CA1207403A (en) 198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4303A (en) United home security system
US4731810A (en) Neighborhood home security system
US4232195A (en) Telephone responder apparatus
KR900004290B1 (ko) 빌딩 관리 장치
KR940009694B1 (ko) 비상경보장치
JP2823966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JPH0252468B2 (ko)
JPH071902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装置
WO1981002657A1 (en) Communication system
JPH0366715B2 (ko)
JPS60242759A (ja) 回線断線検出装置
US20060025083A1 (en) Display switcher with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JPH0517757Y2 (ko)
JPH06261148A (ja) 電話交換機
JPH11161886A (ja) 自動通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報システム
KR970002264B1 (ko) 가입자의 이상상태 감시 시스템
JP2747691B2 (ja) 住宅情報盤
KR830002980Y1 (ko) 도난방지 장치를 설한 인터폰
JPS61265697A (ja) 警報内容通知装置
JPS6116660A (ja) 異常報知装置
JPH0317440B2 (ko)
JPH10210185A (ja) 通報装置
JPH10208174A (ja) 通報装置
JPS59221795A (ja) 非常通報用電話端末装置
JPH09223289A (ja) 試験端子付戸外表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08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9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5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917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