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3937B1 - 칼라 표시관 - Google Patents

칼라 표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937B1
KR900003937B1 KR8202173A KR820002173A KR900003937B1 KR 900003937 B1 KR900003937 B1 KR 900003937B1 KR 8202173 A KR8202173 A KR 8202173A KR 820002173 A KR820002173 A KR 820002173A KR 900003937 B1 KR900003937 B1 KR 90000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beam
electron
focusing
outermo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820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066A (ko
Inventor
비요마 얀
요한네스 마리아 판 덴 벨트 안토니우스
Original Assignee
디.제이.삭커스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제이.삭커스,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filed Critical 디.제이.삭커스
Publication of KR84000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937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electric field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표시관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표시관의 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표시관의 전차총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한 전자총 시스템의 단면도.
제 4a, b 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 시스템의 상극관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공 엔벨로프 2 및 10 : 전자총 시스템
3 : 편향 코일 시스템 4 : 표시 윈도우
5 : 새도우 마스크 6: 표시 스크린.
본 발명은 진공 엔벨로프(evacuated envelope)내의 표시 스크린 및 전자총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칼라표시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자총 시스템은 한 평면에 배치된 3개의 전자 비임을 발생시키는 제1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단은 각 전자비임을 위해 캐소드와 제 1 및 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2 전극은 각 전자 비임을 위해 구멍을 가지며, 또한 3개의 전자 비임에 공통이며, 상기 시스템은 또한 표시 스크린상에 전자 비임을 대칭으로 집속하기 위한 집속 렌즈 필드(fields)를 발생시킬 제 2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수단은 각 전자 비임을 위한 구멍을 가지고, 3개의 전자 비임에 공통인 적어도 2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총 시스템내에서 대칭 렌즈 필드는 표시 스크린상에 전자 비임을 수렴시키기 위해 중앙전자 비임으로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을 편향시키도록 2개의 최외부 전자비임에 발생된다.
다수의 전극이 전자 비임에 공통으로 되도록 구성된 소위 집적 전자총 시스템을 가진 그러한 칼라 표시관은 네델란드왕국 특허원 제 780 9160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원의 제 6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자총 시스템은 3개의 캐소드, 공통 제 1 및 공통 제 2 전극을 포함하며, 이와함께 한 평면내에서 평행축을 따라 연장되는 3개의 전자 비임이 발생된다. 각각의 전자 비임은 제1 및 제2공통 집속 전극의 직면(facing)측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한 단일 집속렌즈 필드에 의해 표시스크린상에 집속된다.
제 1 집속 전극중에, 제 2 전극에 직면한 측면상의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구멍은 발생된 전자 비임의 축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된다. 이 결과로, 비대칭 렌즈 필드는 제 1 집속 전극과 제 2 전극의 직면 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필드는 3개의 전자 비임이 표시 스크린상에 수렴하는 식으로 중심 전자 비임의 방향으로 2개의 최외부 전자비임을 편향시킨다. 집속 렌즈 지역에서의 2개의 집속 전극내의 구멍은 비대칭 집속 렌즈 필드가 컨버전스(Convergence)각 이상으로 이미 편향된 최외부 전자 비임에 대해 형성되는 식으로 집속 렌즈 영역에서의 2 개의 집속 전극내의 구멍은 최외부 전자 비임용으로 서로에 대해 스태거 된다. 이것은 집속 전극의 전압을 변화시켜, 집속렌즈 필드의 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전자 비임의 컨버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한다. '
집속에 무관한 전자 비임의 컨버전스는 정(static) 컨버전스의 결점이 표시관의 목부분에 배치된 자기물질의 링에 의해 보정된 상기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데 이 링은 바람직한 보정에 관계가 없이 다중극으로서 영구적으로 자화된다. 이 경우에, 집속 전압의 변동없이 전자 비임의 컨버전스를 더 이상 재조정 할 수 없다.
공지된 표시관에서,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은 제 2 전극에 직면한 제 1 집속 전극의 측면상의 구멍 부근에 컨버전스 하기 위해 중심 전자 비임으로 편향된다.
그러나, 이 지점내에 최외부 전자 비임을 편향시킴은 제 1 집속 전극과 제 2 전극의 전압 변동으로 최외부전자 비임을 편향시키는 것이 약간 변하게 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런 각의 변화로, 집속렌즈에 의해 표시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가상 목적물의 위치가 변화된다. 이런 변위는 표시 스크린상의 빔 변위를 유발시켜, 컨버전스 에러가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속에 무관한 전자 비임의 컨버전스가 더욱 양호하게 되는 그러한 전자총 시스템을 갖고 있는 표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종류의 칼라 표시관에 있어서, 중심 전자 비임으로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을 편향시키기 위한 비대칭 렌즈 필드는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의 크로스-오버(cross-over)지역에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사항을 기초로한 것이다. 발생된 전자 비임중에, 소위 크로스-오버는 제 2 전극 지역에 형성된다. 이 크로스-오버는 전자비임이 최소의 횡단면을 가진지점이다. 이 크로스-오버는 집속 렌즈에 의해 표시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목적물이다. 컨버전스 각 이상으로 크로스-오버 지역에서 최외부 전자 비임을 편향시킴으로써, 제 2 전극과 제 1 집속 전극의 전위 변화의결과로 인한 작은 각 변화는 표시 스크린상의 비임 위치를 변화시킬지 않는다. 실제로, 목적물 지점은 각변화가 단지 비임이 표시 스크린의 동일 위치상에서 충돌하는 각을 변화시키도록 항상 표시 스크린상에 선명히 표시된다.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이 크로스-오버 지역에서 거의 편향되는 제 2 전극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전극은 비커형(beaker-shaped) 전극으로 형성되며, 그 하부내에는 제 1 전극내의 구멍에 대해 중심에 배치된 구멍이 있으며, 상기 비커형 전극내의 하부상에 구멍을 가진 제 1플레이트가 집속되어 있으며,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 구멍은 하부내의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 구멍에 대해 편심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비커형 전극의 개방 단부에, 제2구멍 플레이트는 집속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 구멍은 비이커형 전극의 하부내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구멍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이 크로스-오버 지역에서 거의 편향되는 제 2 전극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전극은 제 1 전극내의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구멍에 대해서 편심적으로 배치된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구멍을 하부에 가진 비커형 전극에 의해 형성되며, 비커형 전극의 개방 단부에, 제 1 전극내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구멍에 대해 편심적으로 배치된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구멍을 가진 구멍난 플레이트가 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 비임이 한 집속 렌즈에 의해 표시 스크린상에 집속되는 전자총 시스템 이의예도, 전자 비임이 다수의 집속 렌즈에 의해 표시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전자총 시스템도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 제 4,063,340 호에는 3개의 집속 렌즈 필드가 발생되는 4개의 집속전극을 가진 집적 전자총 시스템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전자 비임의 순방향으로 최종 취해진 집속전극은 고전압 전위로 있고, 제 1 및 제 3 집속 전극은 전기적으로 상호 집속되며, 고전압 전위의 약 40%인 전위로 있고, 제 2 집속 전극은 고전압 전위의 약 25%인 전위로 있다.
또한, 미합증국 특허 명세서 제 3,863,091 호에는 제 2 및 제 4 집속 전극이 전기적으로 상호 집속되고, 고전압 전위로 있으며, 제 1 및 제 3 집속 전극이 전기적으로 상호 집속되고, 고전압 전위의 약 40%인 전위로 있는 4개의 집속 전극을 가진 전자총 시스템에 대해서 기술되어 있다.
제 1 및 제 3 집속 전극이 전기적으로 상호 집속되고, 고전압 전위로 있는 3개의 집속 전극을 가진 소위 균일 전위형의 전자총 시스템은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 제 4,178,532 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수의 집속 렌즈로 구성된 그러한 전자총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 비임의 컨버전스가 전자총의 집속과 무관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목적을 위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수단은 2 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 구멍을 가진 적어도 3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의 중심은 크로스-오버의 지역에서 거의 편향된 최외부 전자 비임의 축상에 실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이 크로스-오버의 지역에서 거의 컨버전스 각 이상으로 편향된 후에, 모든 집속렌즈 필드는 상기 빔을 달리 편향시키지 않고 이미 편향된 최외부 전자 비임을 집속한다. 각 집속렌즈 필드를 통과한 후에, 전자 비임의 축은 집속 렌즈 필드를 통과하기 전에 전자비임의 축의 연장부내에 위치된다. 이것은, 집속 전극내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모든 구멍의 중심이 크로스-오버외 지역에서 컨버전스 각 이상으로 이미 편향된 최외부 전자 비임의 축상에 실제 배치되므로 실현된다. 이 결과로,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모든 집속 렌즈 필드는 통과 비임에 비해 대칭으로 된다. 이 경우에, 집속 전극의 전압의 변화는 전자 비임의 컨버전스에 아무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수단의 전극내의 구멍의 직경은 전자 비임의 순방향으로 최종 취해진 집속전극으로부터 제 1 전극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로부터 공지되고, 다수의 집속렌즈롤 갖고 있는 전자총 시스템에서, 집속 전극내의 일련의 구멍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집속전극내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구멍의 중심부가 크로스-오버 지역에서 이미 편향된 최외부 전자 비임의 축상에 실제 배치되어 있는 전자총 시스템에서, 집속 전극내의 구멍의 직경이 동일하다는 것은 전자총 시스템의 횡단면이 증가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목부분의 직경이 좁은 표시관내에 전자총 시스템을 사용할수 없게 된다. 일련의 집속 렌즈의 렌지 직경을 최종 집속 전극으로부터 감소시키게 하므로써, 전자총 시스템의 횡단면은 제한된다. 최종 집속 전극에 선행되는 집속 전극의 보다 작은 렌즈 직경은 전자 비임의 구면수차(aberration)를 증가시키지 않는데, 그 이유로 다수의 집속 렌즈를 갖고 있는 시스템에서 순방향의 전자 비임의 횡단면은 전자 비임의 직경이 집속 렌즈의 직경에 비해서 작게 유지되도록 완만하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 1 도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표시관은 R,G 및 B로 표시한 3개의 전자 비임을 발생시키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진공 엔벨로프(1)내의 전자총 시스템(2)를 포함한다. 3개의 전자 비임은 표시관 축 주위에 동축으로 배치된 편향 코일 시스템(3)에 의해 편향되고, 표시 윈도우(4)로부터 짧은 거리에 접속된 새도우 마스크(5)의 지역에서 서로 교차한다. 표시 윈도우(4)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발광하는 형광체 패턴으로 형성된 표시스크린(6)을 갖고 있다. 새도우 마스크(5)는 다수의 구멍(7)을 갖고 있고, 각각의 전자 비임이 한 칼라의 형광체 영역에 접촉되도록 표시 원도우(6)에 대해 배치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관에 대한 전자총 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전자총 시스템(10)은 한 평면내에 배치된 3개의 전자 비임을 발생시키는 제 1 수단(11)을 포함한다. 수단(11)은 3개의 분리 캐소드(13)와 또한 3개의 전자 비임용의 구멍을 갖고 있는 공통 제 1 전극(14) 및 공통 제 2 전극(15)을 포함한다. 수단(12)은 3개의 전자 비임에 공통인 4개의 집속 전극(18,19,20 및 21)으로 형성된다. 전극(18,19 및 20)은 이것들의 개방 단부와 서로 맞물린 2개의 비커형 부분으로 제각기 형성된다. 접촉 스프링(23) 및 중심잡기스프링(24)을 갖고 있는 중심 잡기컵(22)은 전극(21)에 접속된다. 접촉 스프링(23)은 표시관 벽상에 일체로 제공된 전기 도전층과 전기 접촉된다. 중심 잡기 스프링(24)은 표시관의 목 부분내에 전자총시스템(10)을 배치시킨다. 전극들은 현수 받침대(suspension braces)(25)를 가지며, 그의 단부는 도면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도시되지 않은 절연 유리 로드내에 봉합된다.
표시관이 작동하는 동안, 전자총 시스템(10)의 전극은 예를 들어 다음의 전위들을 이송한다.
캐소드 (13) 0 내지 160V
제 1 전극(14) 0V
제 2 전극 (15) 700V
전극 (18) 10KV
전극 (19) 25KV
전극 (20) 10KV
전극 (21) 25KV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한 전자총 시스템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전자총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3개의 캐소드(13)를 포함하며, 그의 단부면은 방출층(30)으로 피복되어 있다. 필라멘트(31)는 각각의 캐소드내측에 제공된다. 각각의 캐소드(13)는 해당 비임용의 비디오 신호가 공급되게 하는 전류공급 도체(32)를 포함한다. 3개의 전자 비임에 공통인 제 1 전극(14)은 캐소드(13)으로부터 0.75mm 거리에서 제공된다. 제 1 전극(14)은 서로 대향해 있고, 제각기 두께가 0.1mm 및 0.2mm인 2개의 플레이트(35 및 36)로부터 구성된다.
제 2 전극(15)은 제 1 전극(14)로부터 0.25mm 거리에 있다. 이 제 2 전극(15)은 구멍뚫린 하부상에 접속되어 있는 비커형 부분(40)에 의해 형성된다. 구멍 뚫린 플레이트(42)는 비커형 부분(40)의 개방 단부에 집속된다. 제 2 전극(15)의 전체 높이는 1.45mm 이다. 다음의 표에, 중심 전극 비임의 축(80)과 일정 거리로 떨어진 제 1 전극(14) 및 제 2 전극(15)내의 구멍의 갯수가 기록되어 있다. 전극의 갯수가 다른 경우에는 구멍의 갯수와 축의 칫수도 달라야 한다.
[표 1]
Figure kpo00001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플레이트(41)내의 구멍(55)과 플레이트(42)내의 구멍(57)은 비커형 부분(40)내의 대응 구멍(53)에 대해 스태거 된다. 이 결과로, 비대칭 렌즈 필드가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제 2 전극(15)의 지역에 형성되는데, 이 필드는 3개의 전자 비임이 표시 스크린상에 수렴되도록 중심 전극 비임을 향해 최외부 전자 비임을 편향시킨다. 최외부 전자 비임은 전자 비임의 크로스-오버 지역에서 거의 편향된다. 제 2 전극(15)의 지역에서 형성되는 크로스-오버는 전자 비임이 최소의 횡단면을 갖는 경우의 위치이다. 크로스-오버 지역에서 컨버전스 각 이상으로 최외부 전자 비임을 편향시키는 것의 장점은 제 1 집속전극(18)과 제 2 전극(15)의 전압 변화가 전자 비임의 컨버전스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크로스-오버는 집속 렌즈에 의해 표시 스크린상에 배치되는 목적물이다. 이 결과로, 제 2 전극(15) 및 제 1 집속 전극(15)내의 전압 변화의 결과로 최외부 전자 비임이 크로스-오버 지역에서 편향되는 각 변화는 전자 비임이 표시 스크린상에 충돌하도록 각을 변화시킬뿐, 전자 비임이 표시 스크린상에 충돌하는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이 컨버전스 각 이상으로 편향되는 제 2 전극(15)을 통과한 후에, 전자 비임은 다수의 연속 집속 렌즈 필드에 의해 표시 스크린상에 집속된다. 집속렌즈 필드는 전극(18 및 19),(19 및 20) 및 (20 및 21)의 접합 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제 2 전극(15)과 전극(18) 사이의 렌즈-필드 전자 비임이 선집속(pre-focusing)되게 한다. 제 2 전극(15)과 제 1 집속 전극 사이의 거리는 1.40mm o1다.
다음의 표에는 집속 전극내의 구멍의 직경과 중심 전자 비임의 축(80)의 거리가 기록되어 있다. 집속 전극 사이의 상호 거리는 0.7mm이고 전극 물질의 두께는 0.2mmol다.
[표 2]
Figure kpo00002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구멍은 서로에 대해 스태거되고, 구멍의 직경은 서로 다르다. 이 결과로, 집속렌즈 필드는 컨버전스 이상으로 이미 편향된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에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대칭 집속렌즈 필드를 통과한 후에, 전자비임의 축은 렌즈 필드를 통과하기 전의 전자 비임의 축은 렌즈 필드를 통과하기 진의 전자 비임의 축의 연장부에 놓이게 된다. 2개의 최외부 전자비임을 대칭 집속함으로써, 전자 비임의 컨버전스는 전자 비임의 집속에 무관하게 취해진다. 실제로, 집속전극의 전압이 변하는 경우에는 컨버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전자 비임의 집속 강도만이 변하게 된다. 집속에 무관한 전자 비임의 컨버전스는 정 컨버전스의 오차가 표시관의 목부분에 배치되고, 바람직한 보정에 의존하지 않고 다중 극으로 영구적으로 자화되는 자화 물질로 된 링에 의해 보정되는 이 시스템에 매우 중요하다. 이 경우에, 집속 전압이 변하는 경우가 아니고는 전자 비임의 컨버전스를 더이상 제조정 할 수가 없다.
상기 표로부터, 집속 전극내의 구멍의 직경과 집속렌즈의 직경이 전극(15)을 향한 방향으로 전극(21)에서부터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속 집속렌즈의 직경을 이 방향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전자총 시스템의 횡 단면은 제한된다. 집속 전극내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구멍의 중심이 크로스-오버 지역에서 이미 편향된 최외부 전자 비임의 축상에 실제 배치되어 있는 전자총 시스템에서, 집속 전극내의 구멍의 직경이 동일하는 것은 실제로 전자총 시스템의 횡단면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종 집속렌즈 앞의 집속렌즈의 작은 직경은 전자 비임의 구면 수차가 증가하지 않게한다. 다수의 집속렌즈를 갖고 있는 시스템에서, 순방향의 전자 비임의 횡단면은 서서히 증가한다.
이 결과로 전자 비임의 횡단면은 구면 수차가 작게 유지되도록 집속렌즈의 횡단면에 비해서 작게 유지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전자총 시스템내에서, 비임의 크로스-오버는 렌즈 시스템에 의해 표시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상기 렌즈 시스템이 다수의 집속렌즈 필드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총 시스템에서, 비임 크로스-오버가 약간 증가하게 된다. 이 약간의 증가는 표시 스크린의 중심부내에 전자 비임의 작은 스폿트(spot)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 약간의 증가는 비교적 큰 각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이 결과로, 이러한 전자총 시스템에서, 편향면내의 전자 비임의 횡단면은 비교적 크다. 편향면 내에서, 비임은 표시관 주위에 배치된 편향 코일에 의해 표시 스크린 위로 편향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편향 코일은 자기-수렴(self-converging)된다. 다시 말하면, 이것들은 동적 컨버전스 교정을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자기-컨버전스 편향 코일은 큰 비점수차(astigmatic)가 생긴다. 이 결과로, 편향에 따른 전자 비임의 스폿트는 큰 수직 헤이즈(vertical haze)를 얻게되어, 표시 스크린의 연부에서 첨예도가 매우 감소되게 한다. 이 수직 헤이즈는 편향면내의 전자 비임의 횡단면의 수직 칫수에 비례한다. 다수의 집속렌즈를 갖고 있는 전자총 시스템내의 편향면의 큰 수직 칫수로 인하여, 비교적 큰 수직 헤이즈가 생긴다. 이 큰 수직 헤이즈가 생기는 것은 제 1 전극의 구성에 의해 더욱 큰 부분에 대해 방지된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제 1 전극(l4)은 각각 구형 및 장방형 구멍을 가진 2개의 플레이트(35 및 36)로 구성된다. 이 구성의 결과로, 횡단면으로 넙적하고, 작은 수직 칫수를 가진 크로스-오버가 얻어지도록 제 1 전극(14) 내의 구멍의 지역에서 4극 렌즈 필드가 발생된다. 이 결과로, 표시 스크린상의 스폿트의 수직 헤이즈는 상당히 감소된다. 제 1 전극의 지역에서의 4극 렌즈 필드 사용법은 네델란드 왕국 특허원 제 7712942 호와 제 7712943 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해서 제 4a 도와 제 4b 도를 참조하여 다시 한번 설명하겠다. 제 4a 도는 종래 기술의 전자총내의 최외부 전자 비임의 통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캐소드(90)에 의해 방출된 전자 비임(91)중에는, 비임 크로스-오버(92)가 형성되어, 비임이 다시 발산한다. 전자 비임(91)은 선(94)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제 2 전극과 제 1 집속 전극 사이의 컨버진스 각 이상으로 편향된다. 전자 비임(91)은 그때 개략적으로 도시한 집속렌즈(93)에 의해 지점(96)내의 표시 스크린상에 집속된다. 지점(95)은 집속렌즈(93)에 의해 표시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가상 목적 지점이다. 제 2 전극이나 제 1 집속 전극에서의 전압이 변하는 경우에, 전자 비임은 쇄선(97)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다른 각으로 편향된다. 관련된 가상 목적지점(93)은 원래의 가상 목적 지점(95)에 대해 이동된다. 그러므로, 가상 목적 지점(98)은 원래의 화상 지점(96)에 대해 표시되는 지점(99)으로 집속렌즈(93)에 의해 표시 스크린상에 표시된다. 전압이 변하면 이 방법으로 표시 스크린상의 비임 이동이 생기게 되어, 결국 컨버전스 오차가 생기게 된다.
제 4b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내의 최외부 전자 비임 통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전자 비임(91)은 크로스-오버(92)의 지역에서 컨버전스 각 이상으로 편향되어, 개략적으로 도시한 집속렌즈(93)에 의해 지점(96)으로 표시 스크린상에 점속된다. 크로스-오버(92)는 집속렌즈(93)에 의해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목적 지점이다. 제 2 전극 또는 제 1 집속 전극에서 전압이 변하는 경우에, 크로스-오버(92)의 지역에서의 전자 비임(91)은 쇄선(97)으로 표시한 다른 각 이상으로 편향된다. 그러나, 크로스-오버(92)는 비임(97)이 동일지점(96)에 표시되도록 집속렌즈(93)에 의해 표시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목적 지점으로 유지된다. 이 결과로 각이 변하여 전자 비임(97)이 스크린상에 충돌하게 된다.
제 5 도는 최외부 전자 비임이 크로스-오버 지역에서 실제 편향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 시스템의 상극관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극관 부분은 개략적으로 도시한 3개의 캐소드(100)와, 제 3 도에 도시한 제 1 전극과 같은 제 1 전극(101)을 포함한다. 제 1 전극(101)으로부터 0.25mm 떨어진 거리에는제 2 전극(104)이 있다. 제 2 전극(104)은 저면부에 구멍이 뚫린 비커형 부분(105)에 의해 형성된다. 비커형부분(105)의 개방 단부에 구멍이 뚫린 플레이트(106)가 집속된다. 제 2 전극(104)의 전체 높이는 1.45mm이다.
다음의 표에는 제 1 전극(101)파 제 2 전극(104)내의 구멍의 칫수와 중심 전자 비임의 축(120)에 대한 이것들의 거리가 기록 되어 있다.
[표 3]
Figure kpo00003
상기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의 플레이트(106)내의 구멍(117)과 비커형부분(105)내의 구멍(115)은 제 1 전극(101)내의 대응 구멍에 대해 스태거된다. 이 결과로, 비대칭 렌즈 필드는 제 2 전극(104)의 지역에서 최외부 전자 비임용으로 형성되고 3개의 전자 비임의 표시 스크린상에 수렴되도록 중심 전자 비임을 향해 최외부 전자 비임을 편향시킨다. 최외부 전자 비임의 크로스-오버 지역에서 또 다시 편향되기 때문에, 제 2 전극(104) 및 제 1 집속 전극의 전압의 변화로 표시 스크린상에서 비임의 이동하지 않게 한다. 전자 비임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집속 전극에 의해 표시 스크린상에 집속된다.
도시한 실시예 이의에도, 본 발명은 집적 전자총 시스템 형태, 예를들면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 제 3,863,091호와 제 4,178,532호에 기술된 전자총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진공 엔벨로프(1)내에 표시 스크린(6)과, 한 평면내에 위치된 3개의 전자 비임(R,G,B)을 발생시키는 전자총 시스템(2)이 포함되어 있는 칼라 표시관으로서, 상기 전자총 시스템(2)은 3개의 캐소드(13)와, 제 1 전극(14,101) 및 제 2 전극(15,10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2전극은 제각기 3개의 전자 비임에 공통이고, 제각기 전자 비임 통과용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전자총 시스템(2)은 또한 3개의 전자 비임(R,G,B)에 제각기 공통인 적어도 2개의 전극(20,21)을 가진 집속렌즈 장치(12)을 포함하는 칼라 표시관에 있어서, 전자총 시스템(2)의 전극(14,15 : 101,104)은 각각의 최외부 전자 비임(R,B)의 크로스-오버를 성취시키고, 표시 스크린(6)상에서 컨버전스를 위하여 중앙 전자 비임(G)으로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R,B)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고 장치되며, 이런 편향은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R,B)의 크로스-오버(92)의 지역에서 실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표시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비커형 전극(15)은 그의 하부내의 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멍은 제 1 전극(14)내의 구멍에 대해 중앙으로 위치되며, 상기 비커형 전극(15)내의 제 1 구멍뚫린(54,55) 플레이트(41)는 외부구멍(55)이 상기 전극의 하부내의 외부구멍(53)에 대해 편심으로 위치되는 상기 전극의 하부상에 집속되고,비커형 전극(15)의 개방 단부에서 제 2 구멍뚫린 플레이트(42)는 집속되며, 상기 플레이트(42)의 외부구멍(57)은 비커형 전극의 하부내의 외부구멍(53)에 대해 편심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표시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비커형 전극(104)은 그의 하부내의 의부구멍(115)을 가지며, 상기 구멍(115)은 제 1 전극(101)내의 2개의 최외부 전자 비임용 외부구멍(113)에 대해 편심으로 위치되며, 제 2 비커형 전극(104)의 개방단부에서 구멍 뚫린 플레이트(106)는 제공되며, 상기 플레이토(106)의 외부구멍(117)은 제 1 전극(101)내의 외부구멍(113)에 대해 편심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표시관.
  4. 제 1, 2 또는 3 항에 있어서, 집속렌즈 장치는 의부구멍(61,63,65,67,69,71,73)을 가진 전극(18,19,20,21,22)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구멍의 중심은 크로스-오버의 지역에서 실제 편향된 전자 비임의 축상에 실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표시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집속렌즈 장치는 외부구멍(61,63,65,67,69,71,73)을 가진 전극(18,19,20,21,22)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구멍의 직경은 제 1 전극(14)으로 향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표시관.
KR8202173A 1981-05-22 1982-05-19 칼라 표시관 Expired KR900003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102526A NL8102526A (nl) 1981-05-22 1981-05-22 Kleurenbeeldbuis.
NL8102526 1981-05-22
NL???8102526 1981-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066A KR840000066A (ko) 1984-01-30
KR900003937B1 true KR900003937B1 (ko) 1990-06-04

Family

ID=1983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173A Expired KR900003937B1 (ko) 1981-05-22 1982-05-19 칼라 표시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890032A (ko)
JP (1) JPS57196456A (ko)
KR (1) KR900003937B1 (ko)
BR (1) BR8202897A (ko)
CA (1) CA1183195A (ko)
DE (1) DE3218939A1 (ko)
ES (1) ES8304711A1 (ko)
FR (1) FR2506515B1 (ko)
GB (1) GB2099214B (ko)
HK (1) HK2386A (ko)
IT (1) IT1151172B (ko)
NL (1) NL8102526A (ko)
YU (1) YU443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9039A (ja) * 1982-05-28 1983-12-05 Hitachi Ltd カラーブラウン管
US4523123A (en) * 1983-05-06 1985-06-11 Rca Corporation Cathode-ray tube having asymmetric slots formed in a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US4520292A (en) * 1983-05-06 1985-05-28 Rca Corporation Cathode-ray tube having an asymmetric slot formed in a screen grid electrode of an inline electron gun
JP3576217B2 (ja) * 1993-09-30 2004-10-13 株式会社東芝 受像管装置
JP3586286B2 (ja) * 1993-12-14 2004-11-10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KR100386490B1 (ko) * 1995-07-03 2004-04-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장치및디스플레이장치에사용하는컬러음극선관
KR100412521B1 (ko) * 1995-12-30 2004-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JP2000504474A (ja) * 1996-11-04 2000-04-11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インライン型電子銃を有するカラー陰極線管
TW405142B (en) * 1997-01-13 2000-09-11 Toshiba Corp Color cathode ray tube
RU2139594C1 (ru) * 1997-01-21 1999-10-10 Хаханина Татьяна Ивановна Установка для 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издели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ых пластин
FR2859572A1 (fr) * 2003-09-10 2005-03-11 Thomson Licensing Sa Canon a electrons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 definition ameliore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7106A (en) * 1954-08-12 1960-10-18 Rca Corp Plural beam gun
US3619686A (en) * 1969-03-07 1971-11-09 Sony Corp Color cathode-ray tube with in-line plural electron sources and central section of common grid protruding toward central source
US3875446A (en) * 1969-06-02 1975-04-01 Sony Corp Acute angle source of plural beams for color cathode ray tube
US3628077A (en) * 1970-02-26 1971-12-14 Sylvania Electric Prod Electron gun having concave coined grid and annular rib
NL7208728A (ko) * 1971-07-28 1973-12-28
US3863091A (en) * 1972-12-29 1975-01-28 Hitachi Ltd Electron gun assembly with improved unitary lens system
JPS6051232B2 (ja) * 1975-09-25 1985-1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銃装置
JPS5239365A (en) * 1975-09-25 1977-03-26 Hitachi Ltd Electronic gun device
CA1058269A (en) * 1976-01-16 1979-07-10 Horst H. Blumenberg Unitized in-line electron gun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S5351958A (en) * 1976-10-22 1978-05-11 Hitachi Ltd Electron gun
JPS5370662A (en) * 1976-12-06 1978-06-23 Toshiba Corp 3 electron gun constituting body of in-line type
JPS5370663A (en) * 1976-12-06 1978-06-23 Toshiba Corp 3 electron gun constituting body of in-line type
JPS53118972A (en) * 1977-03-28 1978-10-17 Toshiba Corp Electron gun constituent body
JPS543645U (ko) * 1977-06-11 1979-01-11
NL175002C (nl) * 1977-11-24 1984-09-03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met tenminste een elektronenkanon.
NL178374C (nl) * 1977-11-24 1986-03-03 Philips Nv Elektronenstraalbuis met niet-rotatiesymmetrische elektronenlens tussen eerste en tweede rooster.
DE2832687C2 (de) * 1978-07-26 1984-01-12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Elektronenstrahlerzeugungssystem einer Farbbildkathodenstrahlröhre
NL7809160A (nl) * 1978-09-08 1980-03-1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US4234814A (en) * 1978-09-25 1980-11-18 Rca Corporation Electron gun with astigmatic flare-reducing beam forming region
JPS5553853A (en) * 1978-10-17 1980-04-19 Toshiba Corp Electron gun structure
NL7904114A (nl) * 1979-05-25 1980-11-27 Philips Nv Kleurenbeeldbu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221364A0 (it) 1982-05-19
IT1151172B (it) 1986-12-17
HK2386A (en) 1986-01-24
BR8202897A (pt) 1983-05-03
JPS57196456A (en) 1982-12-02
FR2506515A1 (fr) 1982-11-26
YU44347B (en) 1990-06-30
GB2099214A (en) 1982-12-01
GB2099214B (en) 1985-04-03
JPH0463502B2 (ko) 1992-10-12
NL8102526A (nl) 1982-12-16
ES512396A0 (es) 1983-03-01
KR840000066A (ko) 1984-01-30
FR2506515B1 (fr) 1985-10-31
US4890032A (en) 1989-12-26
YU107782A (en) 1985-12-31
CA1183195A (en) 1985-02-26
DE3218939A1 (de) 1982-12-16
DE3218939C2 (ko) 1991-05-02
ES8304711A1 (es) 198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870B1 (ko) 정전 초점렌즈를 구비한 칼라 표시관
KR920001833B1 (ko) 개량된 전극구조를 구비한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US4764704A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three-lens electron gun
KR950005112B1 (ko) 비점수차 프리포커싱 렌즈를 갖춘 인라인 전자총을 갖는 칼라 수상관
KR900003937B1 (ko) 칼라 표시관
KR920005903B1 (ko) 음극선관
US3970890A (en) Plural beam cathode ray tube including an astigmatic electron lens and self-converging
EP0641010A2 (en) Dynamic off-axis defocusing correction for deflection lens crt
US4558253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asymmetric focusing lens
KR900002902B1 (ko) 칼라 표시관
KR97001187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
CA2103981C (en) Cathode-ray tube with improved electron gun
EP0275191A2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a three-lens electron gun
KR920010660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57846B1 (ko) 인-라인전자총을포함하는컬러음극선관
KR950012704B1 (ko) 개량된 전자총을 구비한 음극선관
KR10078687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음극선관
GB2144903A (en) Cathode-ray tube with electron gun having an astigmatic beam forming region
KR960012415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0143868B1 (ko) 칼러브라운관의 가변전압 인가형 전자총
US6744190B2 (en) Cathode ray tube with modified in-line electron gun
JP2758231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890000832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주렌즈계
KR100331837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20007951B1 (ko) 인라인형 전자총을 갖는 칼라수상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06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060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