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3812B1 - 내열성이 개량된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 Google Patents

내열성이 개량된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812B1
KR900003812B1 KR1019870002543A KR870002543A KR900003812B1 KR 900003812 B1 KR900003812 B1 KR 900003812B1 KR 1019870002543 A KR1019870002543 A KR 1019870002543A KR 870002543 A KR870002543 A KR 870002543A KR 900003812 B1 KR900003812 B1 KR 900003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polypropylene
acid
metal
laminated composi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692A (ko
Inventor
다가시 다이몬
히데시 사까모도
다쯔야 아다찌
Original Assignee
짓소 가부시끼가이샤
노기 사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6440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203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65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21534A/ja
Application filed by 짓소 가부시끼가이샤, 노기 사다오 filed Critical 짓소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812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of base or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81Next to polyester, polyamide or polyimide [e.g., alkyd, glue, or nyl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92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703Next to cellulosic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열성이 개량된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본 발명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시킨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헌종이, 유기질 섬유 또는 목재펄프를 고농도로 충전한 폴리프로필렌계시트[이하 심재(芯材)라 한다]와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적층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금속판의 경량화, 흡음성 부여, 진동감퇴성 부여 및 단열성 부여 등의 관점에서 금속판과 플라스틱 시트의 조합된 적층복합체가 개발되어, 토목, 건축, 자동차 및 가전분야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심재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한 적층복합체가 일부 실용화되고 있으나, 성형된 부품을 도장할때의 베이킹(baking)처리(통상 180 내지 200℃정도에서 30분간 가열처리한다)시 블랭킹(blanking)가공부로 부터 수지가 용융 유출되어, 블랭킹 가공부를 막으므로서 다음 가공에 지장을 주거나, 수지가 냉각응고하는 과정에서 크게 수축하기 때문에 특히 절단가공부 부근이 변형하는 등 결점이 있어서 베이킹 도장공정이 있는 부품의 용도에는 사용할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먼저, 금속 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에 대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특정량의 헌종이 또는 유기질 섬유를 배합한 시트의 양면에 변성 폴리프로필렌 층을 중간에 놓고 금속판을 가열 압착시킨 적층복합체를 제안하였다. 이 적층복합체는 변성 폴리프로필렌 층의 내열성이 불충분하여, 베이킹 도장시에 변성 폴리프로필렌 층이 연회되어 금속면과의 접착력이 저하하며, 절단가공부 부근이 부분적으로 박리(剝裡)현상이 발생하여, 절단부에 반복가공 등을 실시하여 사용하는 필요성이 있어 용도전개상 아직 충분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다시 변성 폴리프로필렌 층과 금속면의 고온처리시 박리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예의검토하였다. 그 결과,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 변성시킨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특정량의 헌종이, 유기질 섬유 또는 목재펄프를 배합한 폴리프로필렌계 시트를 심재로 사용함으로서, 굴곡가공, 블랭킹 가공, 절단 및 디프 드로윙(deepdrawing)가공 등의 2차 가공에 견디어내는 접착강도를 가지며, 또한 도장시의 베이킹 처리공정에도 절단부 및 블랭킹 가공부로 부터의 용융수지의 유출 및 용융수지의 적하(이하 뚝뚝 떨어짐이라 한다)가 없고, 절단부 및 블랭킹 가공 부근의 열변형이 없으며, 더우기 수지-금속 계면에서 박리가 생기지 않는, 금속-폴리프로필렌의 적층 복합체가 얻어짐을 발견하고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고도의 접착강도를 갖고, 도장시의 베이킹 처리공정에서 용융수지의 유출 및 뚝뚝 떨어짐이 없고, 또한 절단부 부근의 열변형 및 수지와 금속판의 박리가 생기지 않는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폴리프로필렌의 적층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 유도체로 변성시킨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헌종이, 유기질 섬유 또는 목재펄프 15 내지 50중량%를 배합하여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계 시트의 양면에, 금속판을 겹쳐서 가열압착시킨 금속-폴리프로필렌의 적층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후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 변성시킨 것이다.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제조에 사용되는 불포화 카본산의 예를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프말산, 말레산, 이타콘산 및 시트라콘산 등이 있다.
또, 불포화 카본산의 유도체로서는, 산 무수물, 에스테르, 아미드, 이미드, 금속염 등이 있으며, 예를들면 무수 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무수 이타콘산,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말레산 모노에틸에스테르, 말레산 디에틸에스테르, 프말산 모노메틸에스테르, 프말산 디메틸에스테르, 이타콘산 모노메틸에스테르,이타콘산 디에틸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 아미드, 말레산 모노아미드, 말레산 디아미드, 말레산-N-모노에틸아미드, 말레산-N, N-디에틸아미드, 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아크릴산 나트륨, 메타크릴산 나트륨 및 아크릴산 칼륨 등이 있다. 이들중 무수 말레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성방법은 공지의 여러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유기 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 혼련함으로서 수행된다.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 유도체의 사용량은 원료수지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중량%이다.
본 발명의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5중량%이상 함유하도록, 미변성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 유도체의 사용량이 0.1 내지 10중량%의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미변성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상술한 비율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및 변성 폴리프로필렌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예를들면,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성분을 적어도 70중량% 이상을 함유하는프로필렌-에틸렌의 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의 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의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변성 폴리프로필렌용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및 이 변성 폴리프로필렌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같은 종류이거나, 다른 종류일 수 있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용융 유속은 0.1 내지 20g/10분 정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10g/10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은 범위내에서 다른 폴리프로필렌 예를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폴리 4-메틸-메틸펜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헌종이는, 신문지, 골판지, 두꺼운 판지 등의 조각 이외에도 종이 종류 같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값싸고 대량 구입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헌종이는 통상적으로 30mm이하, 바람직하게는 5mm이하로 재단 또는 조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질 섬유는, 이 유기질 섬유를 배합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용융, 혼련 및 압출하여 시트로 할때, 또는 성형가공할 때의 온도 조전에서 분해 및 용융하지 않은것을 사용하는것 이외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들면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이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비닐알콜계 섬유,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계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알킬렌파라옥시벤조에이트계 섬유, 페놀계 섬유, 레이욘 섬유, 아세테이트 섬유, 목면섬유, 아마 섬유, 저마 섬유, 황마 섬유, 양모 섬유, 견 섬유 및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유기질 섬유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실제로, 직편물상, 부직포상 어느것이나 사용가능하며, 직편믈상 및 부직포상은 미리 단섬유상으로 해섬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섬유질의 길이는 0.5 내지 50mm로 재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 내지 30mm가 바람직하다. 유기 섬유질의 굵기는 0.5 내지 20데니어 범위가 바람직하며, 특히 1 내지 10데니어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목재펄프는 화학펄프, 기계펄프 등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기계펄프이다. 이 기계펄프의 길이는 통상 5mm이하, 바람직하게는 3mm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헌종이, 유기질 섬유 또는 목재펄프의 배함량은 15 내지 50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며, 특히 20 내지 40중량%가 바람직하다. 헌종이, 유기질 섬유 또는 목재펄프의 배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면 용융시 수지의 유동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여, 성형이 곤란해질 뿐 아니라, 적층 복합체로 했을때 이 적층복합체의 접착강도가 적하함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또한, 15중량% 미만에서는 도장시의 베이킹 처리때 절단부와, 블랭킹 가공부로 부터 용융수지의 유출이 생기고, 또 수지와 금속판의 계면이 쉽게 박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심재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시트는 그 기능을 소외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내열안전제, 내후안전제, 활택제, 슬립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핵제 및 무기 충전재 등을 배합한 시트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심재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시트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그 두께는 0.1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mm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금속판은 철, 강철, 알미늄, 동, 아연, 주석, 닛켈 및 티탄 등의 금속, 및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의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판의 두께는 0.05 내지 2mm,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1.0mm이다. 이 금속판은 통상 그 접착면을 탈지처리 또는 샌드브라스트(Sand blast)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하여 사용된다. 다시 에폭시계 수지 코트 등의 프라이머 처리를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적층 복합체는, 상기한 폴리프로필렌계 시트의 양면에 접착면을 표면처리한 금속판을 겹친후,압축성형기 또는 열롤러 등을 사용하여 가열 압착함으로서 얻어진다.
이때 가열온도는 160 내지 220℃가 바람직하고, 가압 압력은 1 내지 50kg/cm2G 범위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조건하에서 0.1초 내지 10분간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적층복합체는, 절단, 블랭킹 가공, 굴곡가공, 디프 드로윙 가공 등의 2차 가공에의하여 박리되지 않으며, 도장시의 베이킹 처리 공정에서도 절단부 또는 블랭킹 가공부의 절단면으로 부터의 용융수지의 유출 및 뚝뚝 떨어짐이 없고, 열에 의한 변형이 극히 적을 뿐 아니라, 더욱 절단부에서 금속판과 심재의 박리 형상을 전혀 발견할 수 없다.
따라서, 자동차 내외판 판넬, 가전제품과 약전제품의 각종 판넬 및 건축용 판넬 등 광범위한 용도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실시예 1 내지 5]
에틸렌 함량 3.5중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레디칼 개시제로서 1, 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0.10중량%를 사용하여, 무수말레산 1.2중량%로 변성시킨 변성 폴리프로필렌 25중량%와미변성의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60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5중량%로부터 구성된 폴리프로필렌에, 충전제로서 종, 횡 각각이 5mm로 재단된 헌종이를 후술하는 제 1 표에 표시된 비율로 헨셀믹서(상품명)에 주입하고, 3분간 교반하여 혼합한후, 이 혼합물에 구경 65mm의 T다이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온도 210℃에서 압출하여, 두께 0.4mm의 시트를 형성한다.
비교실시예 1 내지 5로서, 실시예 1 내지 3에서 사용한 폴리프로필렌에 후술하는 제 1 표에 표시한 비율로 각종 충전제를 배합하고, 실시예 1 내지 3에 준하여 교반 혼합한 후, 압출성형하여 두께 0.4mm의 시트를 얻는다.
다음에 금속판으로는 표면을 트리크렌 세척한후 두께 0.27mm의 냉간압면 강판을 준비한다. 이 시트를 2장의 강판 사이에 삽입하여 200℃에서 1분간, 20kg/cm2G의 압력으로 압착시켜 적층복합체를 수득한다.
적층복합체의 T형 박리강도 및 열처리후의 상태를 평가 및 관찰하여, 그 결과를 제 1 표에 표시하였다. T형 박리강도의 측정은 JIS K6854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단, 인장속도는 200mm/분이었다.
열처리는 종 20cm 및 횡 10cm로 절단한 적층복합체의 중앙부에 직경 20mm의 구멍을 뚫은 것을 시험편으로 사용하며, 이 시험편을 200℃로 가열된 오븐속에 30분간 매달아 실시한다.
제 1 표에 표시한 바와같이, 심재에 헌종이를 특정 비율로 배합한 본 발명의 적층복합체는, 박리강도가 높고, 열처리에 의한 절단부의 용융수지 유출이 없으며, 절단부의 변형이 극히 적다. 또한, 절단부에서 금속판과 수지층의 박리형상은 전혀 없었으며, 적층복합체는 열처리전의 형상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었다.
[비교실시예 6]
에틸렌 함량 2.5중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레디칼 개시제로서 1,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0.05중량%를 사용하여, 무수 말레산 0.8중량%로 변성시켜 수득한 변성 폴리프로필렌25중량%와 에틸렌 함량 8.5중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63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2중량%를 헨셀믹서(상품명)로 30분간 교반 혼합한후, 이 혼합물을 구경 40mm의 T-다이가 부착된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온도 200℃에서 용융혼련 압출시켜 두께 40μ의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필름을 얻는다.
그후,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충전제로서 종, 횡 각각 5mm로 절단한 헌종이 30중량%를 헨셀믹서(상품명)에 주입하여, 3분간 교반혼합한후, 이 혼합들을 구경이 65mm의 T다이가 부착된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온도 210℃에서 압출하여 두께 0.32mm의 폴리프로필렌계 시트를 성형한다. 또, 금속판은 실시예 1 내지 3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준비한다.
각 재료를 강판/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폴리프로필렌계 시트/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강판의 순으로 겹쳐서 200℃에서 1분간, 20kg/cm2압력으로 압착하여 적층복합체로 한다.
이 적층 복합체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3에 준하여 T형 박리강도의 측정 및 열처리후의 상태를 관찰한다. 그 결과 T형 박리강도는 20.8kg/25mm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열처리후의 수지 유출도 없었으나, 절단부의 일부에서 금속판과 접착층이 박리된 것이 확인되었다.
[표 1]
Figure kpo00001
[실시예 4 내지 7 및 비교실시예 7 내지 11]
에틸렌 함량 3.5중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램덤 공중합체를, 레디칼 개시제로서 1, 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0.10중량%를 사용하여, 무수 말레산 1.2중량%로 변성시킨, 변성 폴리프로필렌 25중량%와 미변성의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60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5중량%로 부터 구성된폴리프로필렌에, 충전제로서 굵기가 1 데니어, 길이가 3mm인 각종 유기질 섬유를 후술하는 제 2 표에 표시된 비율로 헨셀믹서(상품명)에 주입하고, 3분간 교반 혼합한후, 이 혼합물을 구경이 65mm인 T다이가 부착된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온도 210℃에서 압축하여 두께 0.4mm의 시트를 형성한다.
또한, 비교실시예 7 내지 11에서는, 실시예 4 내지 7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에, 후술하는 제2표에 표시된 비율로 각종 충전제를 배합하여, 실시예 4 내지 7에 준하여 교반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여 두께 0.4mm의 시트를 수득한다.
다음에 금속판으로서 표면을 트리크렌 세척한 두께 0.27mm의 냉간압연 강판을 준비한다. 상기의 시트를 2장의 강판 사이에 압입하고, 200℃에서 1분간, 20kg/cm2의 압력에서 압착하여 적층복합체를 수득한다.
이 적층복합체의 T형 박리강도 및 열처리후의 상태를 평가 및 관찰하여 그 결과를 제 2 표에 표시하였다.
T형 박리강도의 측정은 JIS K6854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단, 인장속도는 200mm/분이었다.
또한, 열처리는 종 20cm, 횡 10cm로 절단한 적층복합체의 중앙부에 직경 20mm의 구멍을 뚫은 시험편으로 하고, 이 시험편을 200℃를 유지한 가열 오븐중에 30분간 매달아 실시한다.
제 1 표에 표시된 바와같이, 심재에 유기질 섬유를 특정의 비율로 배합한 본 발명의 적층 복합체는, 박리강도가 놓고, 열처리에 의한 절단부로 부터의 용융수지 유출도 없으며, 절단부의 변형도 극히 적었다. 또한, 절단부에서 금속판과 수지층의 박리형상도 전혀 없고, 적층복합체는 열처리전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비교실시예 12]
에틸렌 함량 2.5중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레디칼 개시제로서 1, 3-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0.05중량%를 사용하여 무수 말레산 0.8중량%로 변성시켜 수득한 폴리프로필렌 25중량%, 에틸렌 함량 8.5중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63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2중량%를 헨셀믹서(상품명)로 3분간 교반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구경 40mm의 T다이가 부착된 압출기를 사용하여,수지온도 200℃에서 용융혼련 압출하여 두께 40μ의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필름을 수득한다.
다음에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충전제로서 굵기가 1 데니어, 길이 3mm의 면섬유 35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65중량%로 부터 이루어진 유기질 섬유 50중량%를 헨셀믹서(상품명)에 주입하고, 3분간 교반 혼합한후 이 혼합물을 구경 65mm의 T다이가 부착된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온도 210℃에서 압출하여 두께 0.52mm의 폴리프로필렌계 시트를 형성한다.
또한, 금속판으로서 실시예 4 내지 7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준비한다.
각 재료를 강판/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폴리프로필렌계 시트/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강판의 순으로 겹쳐서 200℃에서 1분간, 20kg/cm2G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적층복합체로 한다.
이 적층복합체에 있어서도, 실시예 4 내지 7에 준하여 T형 박리강도의 측정 및 열처리 후의 상태를 관찰한다. 그 결과, T형 박리강도는 20.2kg/25mm의 높은 수준이고, 열처리 후의 수지유출도 없었으나, 절단부의 일부에서 금속판과 접착층의 박리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표 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실시예 8 내지 10, 비교실시예 13 내지 17]
에틸렌 함량 3.5중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레디칼 개시제로서 1,3-비스(t-부틸퍼옥시 이소프로필)벤젠 0.10중량% 사용하여, 무수 말레산 1.2중량%로 변성시킨, 변성 폴리프로필렌 25중량%와 미변성의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60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5중량%로 부터 구성된 폴리프로필렌에, 충전제로서 길이 3mm정도의 기계펄프를 후술하는 제 3 표에 표시된 비율로 헨셀믹서(상품명)에 주입하고, 3분간 교반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구경이 65mm T다이가 부착된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온도 210℃에서 압출하여, 두께 0.4mm의 시트를 형성한다.
또한, 비교실시예 13 내지 17에서는, 실시예 8 내지 10에서 사용한 폴리프로필렌에 후술하는 제 3 표에 표시된 비율로 각종 충전제를 배합하여 실시예 8 내지 10에 준하여 교반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여 두께 0.4mm의 시트를 수득한다.
다음에 금속판으로서 표면을 트리크렌 세척한 두께 0.27mm의 냉간압연 강판을 준비한다.
상기의 시트를 2장의 강판 사이에 삽입하고, 200℃에서 1분간, 20kg/cm2의 압력에서 압착하여 적층복합체를 수득한다.
이 적층복합체의 T형 박리강도 및 열처리후의 상태를 평가 및 관찰하여 그 결과를 제 3 표에 표시하였다. 또한, T형 박리강도의 측정은 JIS K6854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단, 인장속도는 200mm/분였다.
또, 열처리는 종 20cm, 횡 10cm로 절단한 적층복합체의 중앙에 직경 20mm의 구멍을 뚫는것을 시험편으로 하고, 이 시험편을 200℃로 유지한 가열오븐중에 30분간 매달아 실시한다.
제 3 표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심재에 기계펄프를 특정의 비율로 배합한 본 발명의 적층복합체는, 박리강도가 높고, 열처리에 의한 절단부로 부터의 용융수지 유출도 없으며, 절단부의 변형도 극히 적었다. 또한 절단부에서 금속판과 수지층의 박리형상이 전혀 없으며, 적층복합체는 열처리전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비교실시예 18]
에틸렌 함량 2.5중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레디칼 개시제로서 1, 3-비스(t-부틸퍼옥시 이소프로필)벤젠 0.05중량%를 사용하여 무수 말레산 0.8중량%로 변성시켜 수득한 변성 폴리프로필렌 25중량%, 에틸렌 함량 8.5중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63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12중량%를 헨셀믹서(상품명)로 3분간 교반혼합한후, 이 혼합물을 구경 40mm의 T다이가 부착된 압출기를사용하여, 수지온도 200℃에서 용융혼련 및 압출하여 두께 40μ의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필름을 수득한다.
다음에 결정성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충전제로서 길이 3mm정도의 기계펄프 30중량%를 헨셀믹서(상품명)에 주입하고, 3분간 교반혼합한후, 이 혼합물을 구경 65mm의 T다이가 부착된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지온도 210℃에서 압출하여 두께 0.32mm의 폴리프로필렌계 시트를 성형한다. 또, 금속판은 실시예 8 내지10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준비한다.
각 재료를 강판/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폴리프로필렌계 시트/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강판의 순으로 겹쳐서 200℃에서 1분간, 20kg/cm2G압력으로 압착하여 적층복합체로 한다.
이 적층복합체를 실시예 8 내지 10에 준하여 T형 박리강도의 측정 및 열처리후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T형 박리강도는 19.5kg/25mm의 높은 수준이고, 열처리후의 수지 유출도 없었으나, 절단부의 1부에서 금속판과 접착층이 박리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표 3]
Figure kpo00004

Claims (12)

  1.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 변성시킨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헌종이, 유기질 섬유 또는 목재펄프 15 내지 50중량%를 배합하여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계 시트의 양면에 금속판을 겹쳐서 가열압착시켜 구성되는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 성분을 적어도 70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랜덤 공중합체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프말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무수 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무수 이타콘산,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말레산 모노에틸에스테르, 말레산 디에틸에스테르, 프말산 모노메틸에스테르, 프말산 디메틸에스테르,이타콘산 모노메틸에스테르, 이타콘산 디에틸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말레산모노아미드, 말레산 디아미드, 말레산-N-모노에틸아미드, 말레산-N, N-디에틸아미드, 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아크릴산 나트륨, 메타크릴산 나트륨 또는 아크릴산 칼륨을 사용하는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헌종이로서 신문지, 골판지, 두꺼운 판지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질 섬유로서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이미드계 섬유,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비닐알콜계 섬유,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섬유, 폴리아크릴니트릴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알킬렌파라옥시벤조에이트계 섬유, 페놀계 섬유, 레이온계 섬유, 아세테이트계 섬유, 목면섬유, 아마섬유, 저마섬유, 황마섬유, 양모섬유, 견섬유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6. 제 1 항에 있어서, 목재펄프로서 기계펄프를 사용하는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7.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 변성시킨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헌종이, 유기질 섬유 또는 목재펄프 20 내지 40중량%를 배합하여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계 시트의 양면에 금속판을 겹쳐서 가열압착시켜 구성되는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 복합체.
  8. 제 7 항에 있어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성분을 적어도 70중량%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블록 공중합체 및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랜덤 공중합체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9. 제 7 항에 있어서, 불포화 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또는 메타크릴산 에틸을 사용하는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10. 제 7 항에 있어서, 헌종이로서 신문지, 골판지, 두꺼운 판지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11. 제 7 항에 있어서, 유기질 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아크릴니트릴 섬유, 목면섬유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12. 제 7 항에 있어서, 목재펄프로서, 기계펄프를 사용하는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KR1019870002543A 1986-03-22 1987-03-20 내열성이 개량된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Expired KR900003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64408 1986-03-22
JP61064408A JPS62220331A (ja) 1986-03-22 1986-03-22 耐熱性の改良された金属・ポリプロピレン積層複合体
JP64408 1986-03-22
JP61065287A JPS62221534A (ja) 1986-03-24 1986-03-24 耐熱性の改良された金属・ポリプロピレン積層複合体
JP86-65287 1986-03-24
JP65287 1986-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692A KR870008692A (ko) 1987-10-20
KR900003812B1 true KR900003812B1 (ko) 1990-05-31

Family

ID=2640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543A Expired KR900003812B1 (ko) 1986-03-22 1987-03-20 내열성이 개량된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52526A (ko)
EP (1) EP0238974B1 (ko)
KR (1) KR900003812B1 (ko)
DE (1) DE3775441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039B1 (ko) * 2012-06-25 2014-05-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천연 충전재를 적용한 다기능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1444031B1 (ko) * 2013-06-12 2014-09-23 삼성토탈 주식회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환경 친화성 셀룰로오스 유도체-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3589B2 (ja) * 1992-01-17 1998-03-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ラミネート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5516397A (en) * 1992-01-17 1996-05-14 Nippon Steel Corporation Polypropylene-laminated steel sheet and production thereof
US6319599B1 (en) 1992-07-14 2001-11-20 Theresa M. Buckley Phase change thermal control materials, method and apparatus
DE4228606C5 (de) * 1992-08-28 2004-10-14 Quadrant Plastic Composites Ag Flächiger Verbundwerkstoff
US5773138A (en) * 1992-08-31 1998-06-30 Andersen Corporation Advanced compatible polymer wood fiber composite
US5981067A (en) * 1992-08-31 1999-11-09 Andersen Corporation Advanced compatible polymer wood fiber composite
EP0596379A1 (de) * 1992-10-31 1994-05-11 Hoechst Aktiengesellschaft Kunststoff-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mit farblich abstimmbarem Dekoreffekt
US5552209A (en) * 1994-07-29 1996-09-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ternally damped circuit articles
DE4439656A1 (de) * 1994-11-07 1996-05-09 Ralf Gerhard Schenke Fa Dr Verfahren zur Verwertung von Altmaterialien
GB2303330B (en) * 1995-07-21 1999-09-08 British Steel Plc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aminated tin mill product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20030123688A1 (en) * 2000-03-08 2003-07-03 Cox David H Sound-damping laminate system
US6265037B1 (en) 1999-04-16 2001-07-24 Andersen Corporation Polyolefin wood fiber composite
DE60112841T3 (de) * 2000-05-31 2011-07-07 Oji Paper Co., Ltd. Papier zur Verwendung beim Formpressen
JP2002302578A (ja) * 2001-04-04 2002-10-18 Chisso Corp 有機繊維フィラー含有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US7482402B2 (en) * 2005-05-17 2009-01-2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s
US8119725B2 (en) * 2005-05-17 2012-02-2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e interior trim cover panels
NL2000100C2 (nl) * 2006-06-13 2007-12-14 Gtm Consulting B V Laminaat uit metaalplaten en kunststof.
WO2009009207A2 (en) * 2007-04-23 2009-01-15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Thermoplastic composite/metal lamina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rmoplastic composite/metal laminate structures
CN105150627B (zh) * 2010-02-15 2018-03-16 多产研究有限责任公司 可成型的轻质复合材料体系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76197A1 (ko) * 1976-11-12 1978-07-10
US4390489A (en) * 1977-12-19 1983-06-28 Allied Corporation Method of shaping thermoplastic compositions on aluminum foil support
JPS5891715A (ja) * 1981-11-28 1983-05-31 Sumitomo Chem Co Ltd 接着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US4513049A (en) * 1983-04-26 1985-04-23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Electret art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039B1 (ko) * 2012-06-25 2014-05-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천연 충전재를 적용한 다기능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1444031B1 (ko) * 2013-06-12 2014-09-23 삼성토탈 주식회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환경 친화성 셀룰로오스 유도체-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38974A3 (en) 1988-11-30
EP0238974A2 (en) 1987-09-30
DE3775441D1 (de) 1992-02-06
KR870008692A (ko) 1987-10-20
EP0238974B1 (en) 1991-12-27
US4752526A (en) 198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812B1 (ko) 내열성이 개량된 금속-폴리프로필렌 적층복합체
US5374680A (en) Composites and polymer compositions for making the same
US4198327A (en) Grafted polyolef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adhesiveness
CA2071523A1 (en) Laminated structures containing adhesive, rf-heatable grafted polymers blends
DE3800307A1 (de) Verfahren zur pfropfung von polyolefinmischungen und verwendung der pfropfcopolymermischung als haftvermittler und zur herstellung von inomeren
JPS63242536A (ja) 金属・ポリプロピレン・金属積層複合体
CN105802018B (zh) 一种耐划伤玻纤增强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873519B (zh) 铝蜂窝板用粘接胶膜及其制备方法、铝蜂窝板及其应用
JPH0199837A (ja) 金属・ポリプロピレン積層複合体
JPS62164533A (ja) 金属−ポリプロピレン積層複合体
JPH0115380B2 (ko)
JP5584978B2 (ja) 成形材料
JPH0559826B2 (ko)
JPS63214442A (ja) 耐熱性の改良された金属・ポリプロピレン・金属積層複合体
JPS63209934A (ja) 耐熱性の改良された金属・ポリプロピレン・金属積層複合体
JPS62220331A (ja) 耐熱性の改良された金属・ポリプロピレン積層複合体
JPS62221534A (ja) 耐熱性の改良された金属・ポリプロピレン積層複合体
JPS63191630A (ja) 耐熱性の改良された金属・ポリプロピレン積層複合体
JPS62164534A (ja) 金属−ポリプロピレン積層複合体
JPS63189239A (ja) 制振材及びその複合材
JP2006291039A (ja) 長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樹脂成形材料の製造方法
KR100249133B1 (ko) 인공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JPS63144177A (ja) ガラス繊維強化複合体
JPS62164535A (ja) 金属−ポリプロピレン積層複合体
CN117603405A (zh) 改性聚丙烯、ppr铝塑管及其粘结树脂和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4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406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40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