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3419B1 -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이 낮은 에폭시 또는 페녹시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이 낮은 에폭시 또는 페녹시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419B1
KR900003419B1 KR1019870001153A KR870001153A KR900003419B1 KR 900003419 B1 KR900003419 B1 KR 900003419B1 KR 1019870001153 A KR1019870001153 A KR 1019870001153A KR 870001153 A KR870001153 A KR 870001153A KR 900003419 B1 KR900003419 B1 KR 900003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epoxy
bisphenol
aliphatic
mix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955A (ko
Inventor
에스. 왕 춘
엘. 보우든 로버트
엔. 첸 우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4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 C08G59/06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of polyhydric phenols
    • C08G59/066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of polyhydric phenols with chain extension or advan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이 낮은 에폭시 또는 페녹시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이 낮은 개선된 에폭시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선된 에폭시수지는 전기용 및 구조용 적층물, 포팅(potting)배합물, 성형배합물 등의 제조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개선된 에폭시수지는 일반적으로, 포스포늄 화합물과 같은 적절하게 개선된 촉매의 존재하에서 에폭시수지와 다가 페놀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생성물인 개선된 에폭시수지는 매우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고 있지만, 경화시키는 경우에 이들은 높은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때문에 전기용 적용물로서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총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이 낮은 개선된 에폭시 또는 페녹시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수적으로 (1) 분자당 평균 하나이상의 1,2-에폭시그룹을 함유하며 지방족 할라이드 잔기를 함유하는 물질 : (2) 분자당 평균 하나이상의 방향족 하이드록실그룹을 함유하는 물질 : (3) 지방족 하이드록실-함유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성분(1)과 (2)에 대한 하나이상의 불활성 액체 희석제 또는 용매 : (4) 에폭사이드그룹을 함유하지 않으며 분자당 하나이상의 지방족 하이드록실그룹을 함유하는 하나이상의 물질; 및(5) 하나이상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혼합물 [여기에서 (i) 성분(4)는 성분(1)의 양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ii) 성분(5)는 성분(1)에 함유된 총 지방족 할라이드의 당량당 0.25 내지 l 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몰의 양으로 존재하며 : (iii) 성분(1)과 (2)는 페놀성 하이드록실그룹 대 에폭시그룹의 비가 0.01 : 1 내지 2 : 1, 바람직하게는 0.01 : 1 내지 1 : 1, 가장바람직하게는 0.1 : 1 내지 0.7 : 1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된다]을 성분(2)의 방향족 하이드록실그룹과 성분(1)의 에폭시그룹을 반응시키기에 적합한 조건하에서 처리하여, 성분(1)에 함유된 총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보다 낮은 총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을 갖는 개선된 생성물을 생성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이 낮은 개선된 에폭시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어 총 지방족 할라이드는 가수분해가능한 할라이드 및 결합된 할라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정은 에폭시그룹이 방향족 하이드록실그룹과 반응할 수 있는 온도에서 반응물 또는 반응 생성물중 어떤 것의 분해온도까지의 모든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온도는 60℃ 내지 150℃, 바람직하게눈 50℃ 내지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이다.
에폭시-함유 물질 및 방향족 하이드록실-함유 물질은 목적하는 물질이 생성되는 어떠한 양으로나 사용될수 있다. 에폭시-함유 물질이 과량으로 사용되는 경우, 말만 에폭시그룹을 갖는 생성물이 주생성물로 생성된다. 방향족 하이드록실-함유 물질이 과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말단 방향족 하이드록실그룹을 갖는 생성물이 주생성물로 생성될 것이다. 에폭시-함유 물질 및 방향족 하이드록실-함유 물질은 통상, 방향족 하이드록실그룹 대 에폭시그룹의 비가 0.01 : 1 내지 2 : 1, 바람직하게는 0.01 : 1 내지 1 : 1,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 1 내지 0.7 : 1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용매 또는 희석제는, 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 케톤, 글리콜 에테르, 지방족 에테르, 지환족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방향족 탄화수소에는,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벤젠, 트리메틸벤젠, 할로겐 치환된 벤젠 또는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적합한 케톤에는,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아밀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적합한 글리콜 에테르에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적합한 지방족 에테르에는, 예를 들어, 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에틸프로필에테르, 디부틸에테르,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지환족 에테르는, 예를 들어,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에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륩, 수산화리튬,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어떤 에폭시그룹도 함유하지 않고 분자당 하나이상의 지방족 하이드록실그룹을 함유하는 적합한 물질에는 예를 들어, 하나이상의 옥시알킬렌그룹을 함유하며 평균 분자량이 100 내지1000인 폴리클리콜, 글리콜, 글리콜의 모노에테르, 아사이클릭 및 사이클릭 지방족 알콜등이 포함된다. 분자당 하나이상의 지방족 하이드록실그룹을 함유하는 특히 적합한 물질에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n-부탄올, t-부탄올,사이클로헥산올, 펜탄올-1, 헥산올-1, 헥산올-2, 헥산올-3, 헵탄올-1, 헵탄올-2, 헵탄올-3, 헵탄올-4,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및 이를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개선될 수 있는 적합한 에폭시수지에는 분자당 평균 하나이상의 1,2-에폭시그룹을 갖는, 모든 방향족 물질 또는 지환족 물질을 포함한 지방족 물질이 포함된다. 특히 적합한 에폭시-함유 물질은, 예를들어, 하기 일반식(I) 내지 (V)의 화합물들이다 :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상기 식에서, A는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12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2가 하이드로카르빌그룹,
Figure kpo00005
는 각각 독립적으로 l 내지 12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2가 하이드로카르빌그룹이며 : Q는 1 내지 12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3가 하이드로카르빌그룹이고 :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그룹이며 : R'는 수소 또는 1 내지 12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하이드로카르빌그룹이고 :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1 내지 12개, 바람직하게는 1내지 6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1가 하이드로카르빌그룹,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롬이며 : n은 0 또는 1의 값을 갖고 : n'는 1 내지 12의 평균값을 가지며 : n"는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의 값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하이드로카르빌은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아릴 치환된 지방족 또는 지방족 치환된 방향족그룹을 의미한다.
특히 적합한 방향족 에폭시-함유 물질에는 예를 를어, 비페놀, 레졸시놀, 카테콜, 하이드로퀴논,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K 또는 비스페놀 S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또한 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바닐린, 살리실알데히드, 메틸 치환된 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디메틸 치환된 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페놀, 크레졸, 디메틸페놀, 디에틸페놀, 메틸에틸페놀, 브로모페놀, 클로로페놀, 메틸브로모페놀, 메틸클로로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트리스페놀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도 적합하다.
또한, 포름알테히드, 아세트알테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글리옥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알데히드를페놀, 브로모페놀, 클로로페놀, 크레졸, 디메틸페놀, 디에틸페놀, 메틸에틸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페놀성 물질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노볼락(novolac)수지의 글리시딜에테르도 방향족 에폭시-함유 물질로서 적합하다.
적합한 지방족 에폭시-함유 물질에는 글리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글리시딜에테르가 포함된다.
또한 탄화수소 노볼락수지, 즉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또는 이의 올리고머를 페놀, 크레졸, 브로모페놀, 클로로페놀, 디메틸페놀, 디에틸페놀, 메틸에틸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페놀성 물질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수지의 글리시딜에테르도 적합하다.
적합한 페놀성 하이드록실-함유 물질에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VI) 내지 (X)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상기 식에서, A,A',Q,R,R',X,n,n' 및 n"은 각각 상기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총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이 낮은 이들 물질은 전기용 적층물, 복합재, 포팅 조성물, 성형 조성물, 피복 조성물 등의 제조와 같은 전자적 용도에 특히 유용하다. 이들은 특히 전자공업분야에서 유용하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어떤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산소원자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에 브롬원자를 가지며, 가수분해가능한 클로라이드 631ppm(중량기준으로 백만부당 부수) 및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 1262ppm을 함유하고, 에폭사이드 당량(EEW)이 330인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100g(3.33당량)을 온도 조절 및 표시장치, 환류 콘덴서 및 기계적 교반기가 부착된 5리터 플라스그 내에서 메틸이소부틸케톤 1100g중에 용해시킨다. 하이드록실그룹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에 브롬원자를 갖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148.5g(0.55당량, 에폭시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13.5중량%)및 평균 분자량 4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3.3g(에폭시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0.3중량%)을 에폭시수지용액에 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11℃로 가열한다. 45% 수성수산화칼륨 7.3g(총 지방족 클로라이드의 당량당 1.5당량)을 한꺼번에 가하고 반응 혼합물은 잘 교반하면서 110℃로 유지시킨다. 매시간마다 샘플을 취하여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의 페놀성 하이드록실그룹의 UV 흡수를 측정 한다.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UV흡수는 5, 1.95, 0.62, 0.53으로 감소되며, 3시간 동안 반응시킨후에는 약 0.5에서 안정화되는데 이는 거의모든 하이드록실그룹이 반응하였음을 나타낸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메틸이소부틸케톤을 사용하여 고체농도 20%로 희석하고, 이산화탄소로 중화시킨 다음 탈이온수로 수회 세척하여 잔류 염화칼륨을 제거한다. 수성 세척액으로부터 분리한 유기상을 160℃에서 완전 진공하의 회전 증발기상에서 용매를 제거한다. 메틀러(Mettler) 연화점이 81.7℃이고, EEW가 450이며, 가수분해가능한 클로라이드가 17ppm이고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는 410ppm인 백색의 고체수지를 수득한다.
[비교시험 A]
산소원자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에 브롬원자를 가지며 가수분해가능한 클로라이드 631ppm 및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 1262ppm을 함유하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200g(0.606 에폭시 당량)과 하이드록실그룹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에 브롬원자를 갖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28g(0.103당량, 에폭시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4%)을 교반기, 더모웰(thermowell) 및 환류 콘덴서가 부착된 500ml 플라스크내에 넣는다.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110℃로 가열한 다음,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아세테이트·아세트산 촉매 1.8g을 한꺼번에 가한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150℃로 상승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알루미늄 시트상에 붓고 생성물을 분석한다. 메틀러 연화점이 83.5℃이고, EEW가 462이며, 가수분해가능한 클로라이드 함량이 755ppm이고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 함량이 1268ppm인 백색의 고체가 수득된다.
[실시예 2]
EEW가 189이며 가수분해가능한 클로라이드 220ppm 및 총 치방족 클로라이드 2170ppm을 함유하는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75g(0.397당량)을 온도조절 및 표시장치, 환류 콘덴서 및 기계적 교반기가 부착된 500ml 플라스크내에서 메틸이소부틸케톤 75g중에 용해시킨다. 비스페놀 A 22.6g(0.198당량, 에폭시수지를기준으로 하여 30중량%) 및 평균 분자량 4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0.375g(에폭시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0.5중량%)을 에폭시수지용액에 가하여 생성된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110℃로 가열한다. 50% 수성수산화나트륨 0.11g(총 지방족 클로라이드의 당량당 0.3당량)을 한꺼번에 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유지시킨다. UV흡수는 2에서 0.19로 감소하는 것으로 판독되며, 2시간 후에 0.19에서 안정화된다. 반응 혼합물을 메틸이소부틸케톤을 사용하여 고체농도 20%로 희석시키고, 묽은 인산으로 중화시킨 다음 탈이온수로 수회 세척하여 잔류 염화나트륨을 제거한다. 수성 세척액으로부터 분리한 유기상을 170℃에서 완전 진공하의 회전 증발기에 넣어 용매를 제거한다. 메틀러 연화점이 83.8℃이고, EEW가 513이며, 가수분해가능한 클로라이드 37ppm 및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 1480ppm을 함유하는 백색의 고체수지를 수득한다.
[비교시험 B]
EEW가 189이며, 가수분해가능한 클로라이드 220ppm 및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 2170ppm을 함유하는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닐에테르 75g(0.397 에폭시 당량) 및 비스페놀 A 22.6g(0.198 하이드록실 당량)을 비교시험 A와 유사한 장치내에서 110℃로 가열한다. 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 아세테이트 아세트산 촉매 0.675g을 한꺼번에 가한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150℃로 상승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알루미늄시트상에 붓고 생성물을 분석한다. 메틀러 연화점이 84℃이고, EEW가 520이며, 가수분해가능한 클로라이드 함량이 216ppm이고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 함량이 2161ppm인 백색의 고체수지가 수득된다.
[실시예 3]
EEW가 189이며 가수분해가능한 클로라이드 220ppm 및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 2170ppm을 함유하는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75g(0.397당량)을 온도조절 및 표시장치, 환류 콘덴서 및 기계적 교반기가 부착된 500ml 플라스크내에서 메틸이소부틸케톤 75g중에 용해시킨다. 비스페놀 A 30g(0.263당량, 에폭시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40중량%)과 분자량 4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0.375g(에폭시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0.5중량%)을 에폭시수지용액에 가하고 생성된 용액은 교반시키면서 110℃로 가열한다. 이어서 50% 수성수산화나트륨 0.1g(총 지방족 클로라이드이 당량당 0.3당량)을 한꺼번에 가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110℃에서 유지시킨다. UV흡수는 3.54에서 0.19로 감소되며 6시간 후에 0.19에서 안정화된다. 반응 혼합물을 메틸이소부틸케톤을 사용하여 고체농도 20%로 희석시키고, 묽은 인산으로 중화시킨 다음 탈이온수로 수회 세척하여 잔류 염화나트륨을 제거한다. 수성 세척액으로부터 분리한 유기상을 170℃에서 완전 진공하에 회전 증발기에 넣어 용매를 제거한다. 메틀러 연화점이 97℃이고, EEW가 956이며, 가수분해가능한 클로라이드 14ppm 및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 1510ppm을 함유하는 백색의 고체수지를 수득한다.
[실시예 4 ]
EEW가 200이고, 평균 6개의 에폭사이드 작용기를 가지며, 150℃에서 800센티스톡(800×10-6 ㎡/s)의 동점도 (kinematic viscosity)를 갖고 가수분해가능한 글로라이드 850ppm 및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 2826ppm을 함유하는 크레졸/포름알데하드 에폭시 노볼락수지 500g(2.5당량)을 더모웰, 환류 콘덴서 및 교반기가 부착된 2리터 플라스크내에서 메틸에틸케톤/톨루엔 75/25중량% 혼합물 500g중에 용해시킨다. 비스페놀 A 4.2g(0.0368당량, 에폭시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1.2중량%)과 평균 분자량 4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2.5g(에폭시수지를 기준으로 하여 0.5중량%)을 에폭시수지용액에 가하여 생성된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80℃로 가열한다. 45%수성수산화칼륨 6.44g(에폭시수지에 함유된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의 당량당 1.3당량)을 한꺼번에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유지시킨다. UV 흡수는 2.25에서 0.33으로 감소되며 2.5시간 후에 0.33에서 안정화된다. 반응 혼합물을 메틸에틸케톤/톨루엔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여 고체농도 20%로 희석시키고, 이산화탄소로 중화시킨 다음 탈이온수로 수회 세척하여 잔류 염화칼륨을 제거한다. 수성 세척액으로부터 분리한 유기상을170℃에서 완전진공하에 회전 증발기에 넣어 용매를 제거한다. 메틀러 연화점이 89.9℃이고, EEW가 219이며, 150℃에서 1491 센티스톡(1491×10-6 ㎡/s)의 동점도를 가지며 가수분해가능한 클로라이드 17ppm 및 총 지방족 클로라이드 635ppm을 함유하는 황색의 고체수지를 수득한다.

Claims (9)

  1. 필수적으로, (1) 분자당 평균 하나이상의 1,2-에폭시그룹을 함유하며 지방족 할라이드 잔기를 함유하는 물질 ; (2) 분자당 평균 하나이상의 방향족 하이드록실그룹을 함유하는 물질 ; (3) 지방족 하이드록실-함유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성분(1) 및 (2)에 대한 하나이상의 불활성 액체 희석제 또는 용매 : (4) 에폭사이드그룹을 함유하지 않으며 분자당 하나이상의 지방족 하이드록실그룹을 함유하는 하나이상의 물질 : 및 (5) 하나이상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혼합물 [여기에서, (i) 성분(4)는 성분(1)의 양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 (ii) 성분 (5)는 성분(1)에 함유된 총 지방족 할라이드의 당량당, 0.25 내지 10몰의 양으로 존재하며 (iii) 성분(1)과 (2)는 페놀성 하이드록실그룹 대 에폭시그룹의 비가 0.01 : 1 내지 2 : 1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된다]을 성분(2)의 방향족 하이드록실그룹과 성분(1)의 에폭시그룹을 반응시키기에 적합한 조건하에서 처리하여, 성분(1)에 함유된 총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보다 낮은 총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을 갖는 생성물을 생성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총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이 낮은 에폭시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4)가 성분(1)의 0.2 내지 1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성분(5)가 성분(1)에 함유된 총 지방족 할라이드의 당량당, 1 내지 3몰의 양으로 존재하며, 성분(1)과 (2)는 하이드록실그룹 대 에폭시그룹의 비가 0.01 : 1 내지 1 : 1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존재하고, 반응은 5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1)과 (2)가 하이드록실그룹 대 에폭시그룹의 비가 0.1 : 1 내지 0.7 : 1이 되도록하는 양으로 존재하며, 반응은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1)이 2가 페놀, 에폭시 노볼락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디글리시딜에테르이고; 성분(2)는 2가 페놀이며 : 성분(3)이 방향족 화합물,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 성분(4)가 분자당 2개의 지방족 하이드록실그룹을 함유하는 물질인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성분(1)이 비스페놀 A, 할로겐화된 비스페놀 A 또는 에폭시 노볼락수지의 디글리시딜에테르이고; 성분(2)가 비스페놀 A 또는 할로겐화된 비스페놀 A이며 : 성분(3)이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또는 이를의 혼합물이고 ; 성분(4)가 평균 분자량 100 내지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이며 ; 성분(5)가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1)이 2가 페놀, 에폭시 노볼락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디글리시딜에테르이고 : 성분(2)가 2가 페놀이며 ; 성분(3)은 방향족 화합물,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 성분(4)는 분자당 2개의 지방족 하이드록실그룹을 함유하는 물질인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성분(1)이 비스페놀 A, 할로겐화된 비스페놀 A 또는 에폭시 노볼락수지의 디글리시딜에테르이고 ; 성분(2)가 비스페놀 A 또는 할로겐화된 비스페놀 A이며 ; 성분(3)이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 성분(4)가 평균 분자량 100 내지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이며 ; 성분(5)가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성분(1)이 2가 페놀, 에폭시 노볼락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디글리시딜에테르이고 ; 성분(2)가 2가 페놀이며 ; 성분(3)이 방향족 화합물,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 성분(4)가 분자당 2개의 지방족 하이드록실그룹을 함유하는 물질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성분(1)이 비스페놀 A, 할로겐화된 비스페놀 A 또는 에폭시 노볼락수지의 디글리시딜에테르이고 ; 성분(2)가 비스페놀 A 또는 할로겐화된 비스페놀 A이며 ; 성분(3)이 톨루엔,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 성분(4)가 평균 분자량 100 내지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이며 ; 성분(5)가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방법.
KR1019870001153A 1986-02-14 1987-02-12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이 낮은 에폭시 또는 페녹시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KR900003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9362 1977-08-31
US82936286A 1986-02-14 1986-02-14
US829,362 1986-02-14
US911,197 1986-09-24
US06/911,197 US4684701A (en) 1986-02-14 1986-09-24 Method for preparing advanced epoxy or phenoxy resins with low aliphatic halide content
US911197 1997-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955A KR870007955A (ko) 1987-09-23
KR900003419B1 true KR900003419B1 (ko) 1990-05-18

Family

ID=2712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153A KR900003419B1 (ko) 1986-02-14 1987-02-12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이 낮은 에폭시 또는 페녹시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684701A (ko)
EP (1) EP0232910B1 (ko)
JP (1) JPH0796603B2 (ko)
KR (1) KR900003419B1 (ko)
AU (1) AU592153B2 (ko)
BR (1) BR8705766A (ko)
CA (1) CA1236640A (ko)
DE (1) DE3762420D1 (ko)
ES (1) ES2014439B3 (ko)
GR (1) GR3000449T3 (ko)
IL (1) IL81560A (ko)
WO (1) WO1987005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03701D0 (en) * 1986-02-14 1986-03-19 Dow Chemical Rheinwerk Gmbh Epoxy resins
GB8611013D0 (en) * 1986-05-06 1986-06-11 Shell Int Research Polyether resin
US5019639A (en) * 1987-04-07 1991-05-28 Ciba-Geigy Corporation Novel epoxy resins
US4785061A (en) * 1987-08-13 1988-11-15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reducing the aliphatic halide content of epoxy resins using a solvent mixture including a polar aprotic solvent
JPH04103616A (ja) * 1990-08-24 1992-04-06 Dow Chem Nippon Kk エポキシ樹脂組成物
US5578740A (en) * 1994-12-23 1996-11-26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ation of epoxy compounds essentially free of organic halides
US6211389B1 (en) 2000-05-23 2001-04-03 Dexter Corporation Methods of reducing the chloride content of epoxy compounds
EP3727835B1 (en) 2017-12-19 2022-07-13 DDP Specialty Electronic Materials US, LLC Polyurethane or polyisocyanurate foam laminate with aluminum facer and brominated primer lay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893191A (en) * 1972-02-15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reacting a phenol with a vicinal epoxy compound
CA858648A (en) * 1970-12-15 E. Cragar Darryl Preparation of solid curable polyepoxides and catalyzed starting material
US2731444A (en) * 1952-10-21 1956-01-17 Devoe & Raynolds Co Epoxide resin cured with a polyhydric aliphatic alcohol
US2990396A (en) * 1955-10-14 1961-06-27 Union Carbide Corp Production of polymeric materials from polyoxyalkylene polyols and organic polyepoxy compounds
NL137295C (ko) * 1965-11-03
US3477990A (en) * 1967-12-07 1969-11-11 Shell Oil Co Process for reacting a phenol with an epoxy compound and resulting products
US4394496A (en) * 1971-08-19 1983-07-19 The Dow Chemical Company Epoxidation products of 1,1,1-tri-(hydroxyphenyl) alkanes
US3948855A (en) * 1971-09-16 1976-04-06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reacting a phenol with a vicinal epoxy compound in the presence of phosphorus or carbon containing acid, ester or acid ester
US3842037A (en) * 1972-06-08 1974-10-15 Shell Oil Co Process for preparing higher molecular weight polyepoxide products by condensing lower molecular weight polyepoxide with polyhydric phenols
CA1144933A (en) * 1979-04-19 1983-04-19 Johan Van Gog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glycidyl ethers of polyhydric phenols
US4250100A (en) * 1979-08-20 1981-02-10 The Dow Chemical Company Water-soluble epoxy resin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4366295A (en) * 1981-06-01 1982-12-28 The Dow Chemical Company Stable precatalyzed epoxy resin compositions
US4499255B1 (en) * 1982-09-13 2000-01-11 Dow Chemical Co Preparation of epoxy resins
US4447598A (en) * 1983-04-07 1984-05-08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of preparing epoxy resins having low hydrolyzable chloride contents
US4485221A (en) * 1983-11-03 1984-11-27 Ciba-Geigy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epoxy novolac resins with low hydrolyzable chlorine and low ionic chloride content
US4585838A (en) * 1985-08-06 1986-04-29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epoxy resins containing low levels of total halide
US4544731A (en) * 1985-01-07 1985-10-01 The Dow Chemical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advanced epoxy resins
US4558116A (en) * 1985-03-04 1985-12-10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 epoxy res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14439B3 (es) 1990-07-16
BR8705766A (pt) 1988-02-09
JPS62218411A (ja) 1987-09-25
AU592153B2 (en) 1990-01-04
US4684701A (en) 1987-08-04
GR3000449T3 (en) 1991-06-28
DE3762420D1 (de) 1990-05-31
EP0232910B1 (en) 1990-04-25
EP0232910A1 (en) 1987-08-19
WO1987005034A1 (en) 1987-08-27
JPH0796603B2 (ja) 1995-10-18
AU6876287A (en) 1987-08-20
KR870007955A (ko) 1987-09-23
IL81560A0 (en) 1987-09-16
CA1236640A (en) 1988-05-10
IL81560A (en) 199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9255A (en) Preparation of epoxy resins
US4390664A (en) Process for preparing a polyepoxide and composition therefrom
NL8301697A (nl) Diglycidylether van dimethanolcyclohexaan en reactieprodukten ervan.
CA1335402C (en) Halogen-containing advanced epoxy resins
KR900003419B1 (ko) 지방족 할라이드 함량이 낮은 에폭시 또는 페녹시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KR900008962B1 (ko)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및 2가 페놀로부터 제조된 개선된 에폭시 수지
KR900006913B1 (ko) 에폭시 수지의 작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KR900008462B1 (ko) 비-소결 에폭시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4624975A (en) Process for stabilizing the hydrolyzable chloride content in epoxy resins
JPS5973578A (ja) 少なくとも1個の芳香族ヒドロキシル基又は芳香族アミン基を有する化合物のグリシジル誘導体を製造する方法
JP4529234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900003420B1 (ko) 트리스페놀 및 디사이클로펜타디엔으로부터 제조된 에폭시 수시
US4973648A (en) Epoxy resin compositions
US5028686A (en) Concurrent addition process for preparing high purity epoxy resins
EP0373489B1 (en) Concurrent addition process for preparing high purity epoxy resins
JP4605420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H04209623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987001008A (ko) 에폭시-관능성 폴리에테르(Epoxy-Functional Polyethers)
JP2004231972A (ja) 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
JPH03237121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H10168159A (ja) ポリフェノール類、エポ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70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4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0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4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4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3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