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칼라 텔레비젼(이하, 텔레비젼을 TV라 약기한다)촬상 장치, 특히, 색분해 호상 필터를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까지의 광로중에 설치한 구성의 칼라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까지의 광로중에 색분해 호상 필터를 설치하여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위에 촬상 대상물의 호상 색분해상을 부여하여 촬상관으로부터 색 다중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칼라 촬상 장치로서는 종래로부터 각종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까지의 광로중에 색분해 호상 필터를 설치하여, 촬상관으로부터 색다중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칼라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촬상 광전 변환면을 주사하는 전자 빔의 속도가 변환하면 촬상관으로부터 출력되는 색 다중화 신호의 주파수가 변화하고 그로 인하여 색 복조된 색 신호에 의해 재생된 화상중에 색오차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한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을 주사하는 전자빔의 속도는 광전 변환면에 있어서의 전하의 패턴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촬상관으로부터 출력되는 색 다중화 신호의 주파수는 촬상관의 광전변환면의 전하의 패턴에 따라 변환하고 있고, 따라서 촬상관으로부터 출력되는 색 다중화 신호에 의거하여 재생되는 재생 화상중에는 광전 변환면상에 있어서의 전하량의 급변하는 부분에 색 엇갈림이 발생한다.
제 2 도는 상기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 2 도의 (a)는 촬상관에 있어서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이고, 도시의 예에서는 촬상관에 있어서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이 흑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영역과 백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촬상관에서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이 제 2 도(a)에 표시되어 있는 것이였다고 하면 촬상관의 광전변환면 T의 전하 패턴은 그것에 주어져서 광상과 대응하고 있는 것이 되고,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에 있어서의 주사 전자빔이 충돌하는 측면의 전위는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의 흑의 영역과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낮고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의 백의 영역과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높아지므로, 촬상관에 있어서의 광전 변환면 T을 주사하는 전자빔의 속도는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의 전위가 낮은 부분에서 높은 부분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 즉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 흑의 영역에서 백의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빨라지고,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의 전위가 높은 부분에서 낮은 부분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 즉, 촬상관의 광전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 백의 영역에서 흑의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늦어진다.
그때문에 촬상관으로부터 출력된 색 다중화 신호는 제 2 도 (b)와 같이 촬상관의 광전 변화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의 흑의 영역에서 백의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위상이이 빠르고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 백의 영역에서 흑의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위상이 늦어지게 되고 따라서 재생된 화상중에 있어서의 휘도가 변화하고 있는 경계 부분에 색 엇갈림이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먼저 본 출원인의 회사에서는 일본국 특원소 59-210254호에 의해, 복수종류의 색세조편의 소정의 배열에 의해 이루어지는 색분해 호상 필터를 촬상관의 광전 변환부까지의 광로중에 갖추고 있어 색 다중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칼라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색 다중화 신호에 기초를 두어 얻은 휘도 신호로부터 그것의 엣지 신호를 얻는 수단과, 촬상관의 광전 변환부에 있어서의 전하 패턴과 대응하여 주사 전자빔에 발생하는 주사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색 다중화 신호에 발생하는 시간축 변동을, 상기한 휘도신호의 엣지 신호에 의거하여 얻은 제어 신호에 의해 보정하는 수단을 갖추어 이루어지는 칼라 촬상 장치를 제안하고 있고, 그것의 실시에 의해 예기한 대로의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
그런데 상기한 기제안한 칼라 촬상 장치에서는, 제 3 도의 (a)에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휘도 신호로부터 엣지 신호 Se를 얻기 위하여 휘도 신호에 주는 지연 시간의 시간폭 τ보다도 긴 시간폭의 휘도 신호 S1에 대해서는 그것을 τ만큼 지연시킨 제 3 도의 (b) 신호 S1d와의 감산에 의해 만들어낸 제 3 도의 (c)에 표시되는 것같은 엣지 신호에 기초를 두어 발생되는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촬상관의 광전 변환부에 있어서의 전하 패턴과 대용하여 주사 전자빔에 발생한 주사 속도의 변화에 의해 다중화 신호에 발생하는 시간축 변동을 유효하게 보정할 수가 있으나, 제 4 도의 (a)에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휘도 신호로부터 엣지 신호를 얻기 위하여 휘도 신호에 주는 지연 시간의 시간폭 τ보다도 짧은 시간폭의 휘도 신호 S2에 대해서는 그것을 τ만큼 지연시킨 제 4 도의 (b)의 신호S2d와의 감산에 의해 만들어지는 제 4 도의 (c)에 표시되어 있는 신호는 제 4 도의 (a)에 표시되는 신호 S2및 제 4 도의 (b)에 표시되는 신호 S2d그대로의 신호이고, 휘도 신호 S2의 엣지 신호는 아니므로, 이 경우에 제 4 도의 (c)에 표시되어 있는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주사 전자빔의 주사 속도를 변화시켜서, 색 다중 신호에 여분의 시간축 변동을 발생시켜 버리는 것이 되어, 그것의 해결책이 강구되었다.
본 발명은 촬상관의 광전 변환부까지의 광로중에 복수 종류의 색세조편이 소정의 배열에 의해 이루어지는 색분해 호상 필터를 갖추고, 발생된 색 다중화 신호에 의거하여 얻은 휘도 신호로부터 휘도의 변화 부분에 대응한 신호를 얻고, 촬상관의 광전변환부에 있어서의 전하 패턴과 대응하여 주사 전자빔에 발생하는 주사속도의 변화에 의해 색 다중화 신호에 발생하는 시간축 변동을, 상기한 휘도 신호에 있어서의 휘도의 변화 부분에 대응한 신호에 의거하여 얻은 제어 신호에 의해 보정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칼라 촬상 장치에 있어서, 애퍼쳐 보정 신호로서 사용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시간축상에서의 변화의 형태와 유사한 시간축상에서의 변화 형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휘도 신호에 있어서의 휘도의 변화 부분에 대응한 신호로서 얻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어 신호 발생 수단을 갖추어 이루어지는 칼라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칼라 촬상 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5 도는 각기 본 발명의 칼라 촬상 장치의 각각 다른 실시 형태의 블럭도이고, 제 1 도 및 제 5 도에 있어서, (0)은 촬상 대상물, (1)은 촬상 렌즈, (2)는 촬상관, (3)은 편향요크, (4)는 촬상관의 광전변환부(광전 변환면이 있는 타키트), F는 색분해 호상 필터, (5)는 촬상관의 전면판, PrA는 전치 증폭기, LPF는 저역 통과 여파기(저역 여파기), BPF는 대역 통과 여파기(대역 여파기)이고, 촬상 대상물의 광상은 색분해 호상 필터(F)를 거쳐 촬상관(2)의 광전 변환부(4)에 주어져서, 촬상관(2)으로부터는 직류 성분과 특정한 반복 주파수가 있는 색 다중 반송파가 신호에 의해 진폭, 위상 변조된 피변조파를 포함하고 있는 촬상관의 출력 신호(색 다중화 신호)가 출력된다.
촬상관(2)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한 색 다중화 신호의 신호 형태는,촬상관(2)의 광전 변환부(4)까지의 광로중에 설치되어 있는 색분해 호상 필터(F)가 어떠한 구성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는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촬상관(2)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전치 증폭기 PrA에서 증폭되어서 저역 여파기 LPF와 대역 여파기 BPF에 주어져 저역 여파기 LPF로부터는 휘도 신호 Sy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저역 여파기 LPF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 Sy는 출력 단자(6)에 송출됨과 함께 제어 신호 발생 회로 CSG에도 공급된다.
한편, 대역 여파기 BPF로부터 출력된 반송파에 의한 피변조 색 신호는 제 1 도의 회로 배치에 있어서는 가변 지연 회로 VDL에 공급되면, 제 5 도의 회로 배치에 있어서는 주파수 변환 회로 FCONV1와 동기 검파회로 SDET1,SDET2에 공급되고 있다.
휘도 신호 Sy에 기초를 두어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한 제어 신호 발생 회로 CSG는 , 애퍼쳐 보정 신호로서 사용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시간축상에서의 변화의 형태와 유사한 시간축상에서의 변화 형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윤곽 위치 신호의 발생 회로 ACS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도의 회로 배치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어 신호 발생 회로 CSG는 애퍼쳐 보정 신호로서 사용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시간축상에서의 변화의 형태와 유사한 시간축상에서의 변화 형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윤곽 위치 신호 발생 회로 ACS와 적분 회로 IT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제 5 도의 회로 배치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어 신호 발생 회로 CSG는 애퍼쳐 보정 신호로서 사용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시간축상에서의 변화 형태와 유사한 시간축상에서의 변화 형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윤곽 위치 신호 발생 회로 ACS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칼라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것처럼 촬상관이 광전 변환부에 있어서의 전하 패턴과 대응하여 주사 전자빔에 발생하는 주사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색 다중화 신호에 발생하는 시간축 변동의 보정에 사용되는 제어 신호를, 애퍼쳐 보정 신호로서 사용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시간축상에서의 변화의 형태와 유사한 시간축상에서의 변화 형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윤곽 위치 신호 발생 회로 ACS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제어 신호 발생 회로 CSG에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칼라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어 신호 발생 회로 CSG를 특히 사용하고 있는 이유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를 참조하여 이미 기술한 바와같이 촬상관이 광전 변환면까지의 광로중에 색분해 호상필터를 설치하여 촬상관으로부터 색 다중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칼라 촬상 장치에서는, 촬상관에 있어서의 광전 변환면을 주사하는 전자빔의 속도가 변화하면, 촬상관으로부터 출력되는 색 다중화 신호의 주파수나 위상이 변화하여, 색복조된 색 신호에 의해서 재생된 화상중에 색오차가 발생하나, 상기한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을 주사하는 전자빔의 속도는 광전 변환면에 있어서의 전하의 패턴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어, 촬상관으로부터 출력되는 색 다중화 신호의 주파수나 위상은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의 전하의 패턴에 따라 변화하고 있고, 예를들면 제 2 도의 (a)와 같이, 촬상관에 있어서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이, 흑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영역과 백으로서의 표시되어 있는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였을 경우에는,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에서 전자빔이 충돌하는 측면의 전위는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의 흑의 영역과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낮고,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강상에 있어서의 백의 영역과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높아져서, 촬상관에 있어서의 광전 변환면 T을 주사하는 전자빔의 속도는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의 전위가 낮은 부분에서 높은 부분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 즉,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의 흑의 영역으로부터 백의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빨라지고,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의 전위가 높은 부분에서 낮은 부분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 즉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 백의 영역에서 흑의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늦어져 그 때문에 촬상관으로부터 출력된 색 다중화 신호는 제 2 도의 (b)와 같이, 촬상관이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의 흑의 영역에서 백의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위상이 빠르고,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촬상관이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의 백의 영역에서 흑의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위상이 늦어져, 재생된 화상중에 있어서의 휘도가 변화하고 있는 경계의 부분에 색 엇갈림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도의 (a)처럼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상의 광상의 휘도 변화의 형태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빔의 속도 변화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제 2 도의 (b)에 표시하는 것같은 형태에서 변화한 색 다중 신호의 위상변화를 보정함에는 제 2 도의 (b)에 표시되어 있는 것같은 파형의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색 다중화 신호의 위상을 보정하도록 하면 좋고, 그와 같은 보정 수단의 적용에 의해 색 다중화 신호의 위상 보정을 행하도록 하는 것은 기제안에 있어서도 실시하고 있는 대로이다.
그런데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T에 주어진 광상에 있어서의 흑의 영역과 백의 영역과의 변화 부분과 대응하여 색 다중화 신호에 발생하는 위상의 변화 상태를 설명하고 있는 제 2 도의 (a), (b)에 있어서, 제 2 도의 (a)는, 제 2 도의 (a)의 광상에 따라 발생는 제 6 도의 (a)와 같은 휘도신호 Sy에 치환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이고, 그와 같은 치환을 표시한 도면이 제 6 도의 (a), (b)이고, 제 6 도의 (c)는 제 6 도의 (b)에 표시되어 있는 신호의 미분파형을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주사빔 스포트가 유한의 크기이기 때문에 영상 신호중에 발생하는 개구 왜곡(애퍼쳐 왜곡)을 보정하는 수단으로서, 종래부터 텔레비젼 기기에 있어서는 휘도 신호 Sy에 있어서의 휘도의 변화하는 부분과 대응하여 프리슈트 부분과 오버슈트 부분이 있듯이 제 6 도의 (c)에 표시되어 있는 것같은 파형과 유사한 파형의 애퍼쳐 보정 신호를 휘도 신호에 가해져 애퍼쳐 보정이 행하여져 오고 있는 것은 주지하고 있는 바이나 상기한 애퍼쳐 보정때 사용되는 애퍼쳐 보정 신호와 휘도 신호 Sy와의 대응 관계는 제 6 도의 (a), (c)에 표시되어 있는 각 신호의 대응관계와 같이 휘도 신호 Sy에 있어서의 휘도의 변화 위치의 전후에 프리슈트의 부분과 오버슈트 부분이 존재하고 있는 것 같은 것이다.
여기서 제 6 도의 (a)에 표시되어 있는 휘도 신호 Sy의 파형과, 제 6 도의 (b)에 표시되어 있는 다중화 신호에 있어서의 위상 변화의 파형 및, 제 6 도의 (c)에 표시되어 있는 제 6 도의 (b)의 신호 파형의 미분 파형에 주목하는 한편, 텔레비젼 기기에 있어서의 애퍼쳐 보정 신호로서 사용되고 있는 신호의 파형, 즉 휘도 신호 Sy와 애퍼쳐 보정 신호와의 관계가 제 6 도의 (a), (c)에 표시되어 있는 신호간의 관계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비교해보면 제 6 도의 (b)에 표시되어 있는 색 다중화 기호에 있어서의 위상 변화의 파형은 텔레비젼 기기에 있어서 애퍼쳐 보정 신호로서 사용되고 있는 신호의 파형을 적분한 상태의 파형에 유사한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사실에 착안하여 촬상관의 광전 변환부까지의 광로중에 복수 종류의 색세조편의 소정의 배열에 의해 이루어지는 색분해 호상 필터를 갖추어, 발생된 색 다중화 신호에 의거하여 얻은 휘도 신호로부터 휘도의 변화 부분에 대응한 신호를 얻고, 촬상관의 광전 변환부에 있어서의 전하 패턴과 대응하여 주사 전자빔에 발생하는 주사 속도의 변화에 의해 색 다중화 신호에 발생하는 시간축 변동을 상기한 휘도 신호에 있어서의 휘도의 변화 부분에 대응한 신호에 의거하여 얻은 제어 신호에 의해 보정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칼라 촬상 장치에 있어서, 애퍼쳐 보정 신호로서 사용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시간축상에서의 변화의 형태와 유사한 시간축상에서의 변화 형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휘도 신호에 있어서의 휘도의 변화부분에 대응한 신호로서 얻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어 신호 발생 수단을 사용하도록 하여, 간단히 소망의 파형이 제어 신호를 얻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제 7 도는 애퍼쳐 보정 신호로서 사용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시간축상에서의 변화 형태와 유사한 시간축 상에서의 변화 형태를 표시하는 윤곽 위치 신호의 발생 회로 ACS의 한예의 구성을 표시한 것이고, 제 7 도에 있어서 DL1, DL2는 지연 회로 10 내지 13은 중첩회로, ADD는 가산 회로이며, 입력 단자(8)에 제 6 도의 (a)에 표시한 것같은 휘도 신호 Sy를 공급하면 출력 단자(9)에는 휘도 신호에 있어서의 휘도 변화 부분 전후에 각기 소정의 시간폭과 파고 값이 있는 것처럼 프리슈트의 부분과 오버슈트의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 6 도의 (c)에 표시되는 것같은 파형의 윤곽 위치 신호가 송출된다.
제 7 도의 윤곽 위치 신호 발생 회로 ASC의 구성 형태는 애퍼쳐 보정 신호의 발생 회로에 비하여 회로정수의 설정값이 달라지는 것뿐이고, 주지의 애퍼쳐 보정 신호의 발생 회로의 구성 형태와 같은 것이고, 따라서 이 윤곽 위치의 발생 회로 ACS에 발생되는 윤곽 위치 신호는 애퍼쳐 보정 신호의 발생 회로로부터 발생되는 애퍼쳐 보정 신호와 유사한 파형 신호로 되어 있는 것이다.
제 7 도에 표시한 윤곽 위치 신호의 발생 회로 ACS는 윤곽 위치 신호에 발생 회로 ACS의 일예의 구성을 표시한 것이고, 채용할 수 있는 윤곽 위치 신호의 발생 회로 ACS로서는, 주지이 애퍼쳐 보정 신호의 발생회로에 있어서의 각종의 구성 형태의 것과 같은 구성 형태의 것으로서 구성된 각종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제 1 도의 실시예의 회로 배치에 있어서의 제어 신호 발생 회로 CSG는 윤곽 위치 신호의 발생 회로 ACS와 적분 회로 ITC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어 신호 발생 회로 CSG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윤곽 위치 신호의 발생 회로 ACS로부터 출력된 제 6 도의 (c)에 표시되는 것같은 윤곽 위치 신호가 적분 회로 ITC에 의해 적분된 상태의 제 6 도의 (b)에 표시되는 것같은 파형의 신호, 즉,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 상의 광상의 휘도 변화 형태에 따라서 발생하는 전자빔의 속도 변화에 의해 변화하고 있는 색 다중화 신호의 위상의 변화와 대응하고 있는 신호 파형의 제어 신호로 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한 제어 신호 발생 회로 CSG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가 가변 지연 회로 VDL에 가해지면, 가변 지연 회로 VDL에서는,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상의 광상의 휘도 변화의 형태에 따라 전자빔에 발생하는 속도의 변화에 의해 변화하는 색 다중화 신호의 위상을 제어신호에 의해 변화시키므로, 지연 회로 VDL로부터의 출력 단자(7)에는 촬상관이 광전 변환면상에 광상의 휘도 변화가 있어도, 그것으로 인한 위상 변화가 없는 상태의 색 다중화 신호가 송출되게 된다.
제 1 도의 실시예 회로에 있어서 출력 단자(6)에 출력된 휘도 신호 Sy와, 가변 지연 회로 VDL로부터 출력 단자(7)에 출력된 색 다중화 신호에서의 피변조색 신호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후속의 색 신호 처리 회로에서 소정의 신호 처리를 받아서 목적하는 TV방식에 따른 칼라 영상 신호로 된다. 제 1 도 도시의 실시예 회로에 표시되어 있는 칼라 촬상 장치가, 소위 스텝 에너지 방식에 따른 것으로써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출력 단자(7)에서 출력된 신호를, 예를들면 일본국의 여러 특허공보(소55-33232호, 소56-33233호, 소59-35550호)등에 표시되어 있는 색 신호 복조 회로에 주어서 신호 처리가 행하여지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제 5 도에 표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5 도의 실시예는, 각기 소정의 세조폭이 있는 복수종류의 색제조편의 특정한 배열패턴의 반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배열패턴의 반복과 대응하여 정해지는 촬상관 출력신호의 기본파 성분의 위상이 광의 색에 의해 변화하는 것처럼, 상기 각기의 복수종류의 색세조편의 색이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색분해 호상필터를 촬상관의 광전 변환부 까지의 광로중에 갖추고 있어, 촬상 대상물의 광상이 색분해 호상필터를 거쳐 촬상관의 광전 변환부에 주어지도록 하는 구성배치와, 상기 촬상관으로부터의 출력신호의 적어도 1프레임 기간에 대응한 정도 신호를 임의로 기억할 수 있는 기억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촬상에 앞서서 임의의 특정색을 촬상하여 그 촬상관 출력신호의 적어도 1프레임 기간에 대응한 정보신호를 상기의 기억장치에 기억하고, 상기의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신호에 의거하여 색신호 복조용의 참조 신호를 얻어, 그것에 의해 촬상관의 출력신호로부터 동기검파 등에 의해 소정의 색신호를 복조토록한 칼라촬상장치에 있어서, 촬상관의 출력신호를 주파수 변환한 신호를 기억장치에 기억하고, 상기한 기억장치로부터이 출력신호를 주파수 변환한 신호를 참조 신호로서, 상기한 참조 신호의 주파수를 촬상관 출력신호의 주파수에 일치시키도록, 주파수 변환용의 발진기를 제어토록 구성되어 있는 칼라촬상장치에 본 발명을 실시한 예이다.
제 5 도의 실시예 중의 제어신호발생회로 CSG는 윤곽 신호발생회로 ACS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5 도의 회로배치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어신호발생회로 CSG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애퍼쳐 보정 신호의 발생회로부터 발생되는 애퍼쳐 보정 신호의 유사한 신호 파형이 있는 제 6 도의 (c)에 표시되는 것같은 신호이다.
그리고 이 제 5 도의 실시예중의 제어신호발생회로 CGS에서 발생된 제 6 도의 (c)에 표시되는 것같은 신호는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상의 광상의 휘도변화의 형태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빔 속도의 변화로 변화하고 있는 색다중화신호의 위상변화를 표시하고 있는 제 6 도의 (b)에 표시되어 있는 것같은 신호를 미분한 상태의 신호 즉,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상의 광상의 휘도변화의 형태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빔 속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색다중화신호의 주파수의 변화를 표시하고 있는 신호이므로, 제 5 도의 실시예의 회로배치에서는 그것의 제어신호발생회로 CSG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상의 광상이 휘도변화의 형태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빔 속도의 변화에 의해 변화하고 있는 색다중화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보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 5 도의 실시예의 칼라촬상장치에 있어서 색분해 호상필터 F는, 예를 들면 제 8 도의 (a)에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적(R), 녹(G), 청(B)의 각 색세조편이 미리 정해진 반복 순서로 배열되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는것, 흑은 제 8 도의 (b)에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녹(G), 시안(Cy), 전색광(W)의 각 색세조편이 미리 정해진 반복 순서로 배열되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 기타, 임의로 선택된 복수종류의 색세조편의 특정한 배열패턴의 반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사용된다.
상기한 색분해 호상필터 F를 구성해야 할 각 색의 색세조편은 휘도 특성이나 색재현상을 고려하여, 세조폭이나 색등이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예를 들면 제 8 도의 (a)에 예시되어 있는 색분해 호상필터 F에 있어서는 (녹의 색세조편의 세조폭)〉(적의 색세조편의 세조폭)〉(청의 색세조편의 세조폭)와 같이 색세조편의 세조폭이 정해져 있는 예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촬상관(2)으로부터의 출력신호(색다중화신호)는, 직류 성분과 색분해 호상필터 F에 있어서의 색세조편의 조합의 반복 주기 T [제 8 도의 (a), (b)중의 T]의 역수로서 표시되는 주파수가 있는 것같은 단일 반송파가 복수의 색정보에 의해 진폭, 위상 변조되어 있는 것같은 피변조파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 형태의 신호이므로, 그 색다중화신호는 그것을 직류 성분과 반송파의 기본파 성분으로 분류하여, 상기한 복수의 색정보에 의해 진폭, 위상 변조되고 있는 반송파의 기본파 성분에 대하여 가기 소정의 위상을 가진 기준 신호에 의해 동기 검파를 행하므로서, 각기 소정의 색신호를 개별로 복조할 수 있는 것이나, 상기 한 각각의 색신호의 복조에 즈음하여서는 각기 소정의 위상이 있는 기준 신호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칼라촬상장치의 촬상관의 출력신호에 있어서 단일 반송파의 기본파 성분의 위상은, 색분해 호상필터 F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종류의 색세조편의 색마다에 정해져 있으므로, 칼라촬상장치에 의한 촬상의 개시에 앞서서 색분해 호상필터를 거쳐 임의의 특정한 색의 광을 촬상하면 그때에 촬상관의 출력신호중에 나타나는 반송파의 기본파 성분의 위상은, 상기한 임의의 특정한 색의 광의 색과 대응하여 정해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한 임의의 특정한 색의 광의 색과 대응하여 촬상관의 출력신호중에 나타나는 반송파의 기본파 성분의 위상은, 임의의 특정한 색과 대응하고 있는 색이외의 각 색의 색과 대응하여 촬상관의 출력신호중에 나타나는 반송파의 기본파 성분의 위상의 기준으로 할 수가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칼라촬상장치에 의한 촬상의 개시에 앞서서, 색분해 호상필터를 거쳐서 임의의 특정한 색의 광을 촬상하고, 그때 촬상관의 출력신호중에서 얻어지는 단일 반송파의 기본파 성분을 기억장치에 기억시켜 두고, 칼라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촬상 동작시에, 상기의 기억장치에 기억시켜둔 반송파의 기본파성분을 판독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각기 소정의 위상을 가진 기준 신호를 발생시키고자 하면 상술한 구성의 칼라촬상장치에 의해 소요의 칼라영상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런데, 촬상관(2)에 있어서의 전자빔의 주사 형태가 항시 일정 불변하면, 상기와 같이하여 기억장치에서 판독된 신호에 의거하여 만들어지는 신호는 항시 촬상관의 출력신호중의 기본파와 동일한 신호로 될 수 있게 된다. 칼라촬상장치에 있어서의 편향 회로나 편향 요크는, 그것들의 안정도가 충분하지는 않고, 전자빔에 의한 주사의 형태는 외부 자계에 의해서도 변화하므로 상기와 같이 기억장치에 미리 기억시켜준 정보신호를 판독하고, 그것에 기초를 두어 촬상관의 출력신호중에 있어서의 기본파의 동일한 신호를 만들도록 하여도, 항시 반드시 바른 신호가 얻어진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제 5 도에 있어서 전치 증폭기 PrA로부터 출력된 촬상관(2)의 출력신호(색다중화신호)는 저역 통과 여파가 LPF, LPFl 와 대역 여파가 BPF에 공급되어 제 9 도중에서 차단주파수가 fy로서 예시되어 있는 저역 통과 여파가 LPF로부터의 출력신호(직접파의 3색혼합 신호)는 휘도 신호 sy로서 출력 단자(6)에 출력된다.
또한 제 9 도중의 곡선 LPF은 저역 여파기 LPF의 통과 대역 특성예를 도시한 것이고, 또한 제 9 도중의 곡선 LPFl, BPF등은 각기 차단주파수가 Fl인 저역 여파가 LPF나 중심 주파수가 F1인 대역 여파가 BPF등의 통과 대역 특성예를 예시하고 있는 것이다.
제 9 도중에서 차단주파수가 Fl로서 예시되어 있는 상기한 저역 여파기 LPFl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색신호 작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협대역 휘도 신호 sl로서 매트릭스회로 MTX에 공급되고, 대역 여파가 BPF에서는 색분해 호상필터 F에 있어서의 필터세조의 반복의 형태로 정해지는 공간 주파수 f1부근에 존재하고 있는 기본파에 의한 피변조 색신호 s1를 추출하나 제 5 도에 각기 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회로배치에 있어서 상기한 피변조 색신호 s1는 동기검파시 SDET1, SDET2와 주파수 변환회로 FCONV1에 각기 공급되어 있다. 상기한 주파수 변환회로 FCONV1에는 주파수 변환용의 반송파가 발진기 OSC로부터 주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주파수 변환회로 FCONV1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기억장치 MA가 기입 모드로 되어버린 때에 기억장치 MA에 기억된다. 상기의 기억장치가 판독모드로될때에는, 그것의 기억 내용이 반복해서 판독된다.
즉, 제 5 도의 회로배치중의 기억장치 MA에는, 칼라촬상장치가 통상의 칼라 촬상 동작을 개시하기 이전에, 임의의 특정색을 촬상하여 얻은 촬상관 출력신호에 있어서의 적어도 1프레임 기간과 대응하는 정보신호가 기억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칼라촬상장치에 의한 촬상 동작이 개시된 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기억장치 MA에서는, 상기의 기억된 정보신호가 시간축상에서 연속된 상태의 신호로서 송출할 수 있는 것같은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잇점을 보다 한층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기억장치 MA에는 촬상 대상물의 촬상에 앞서서, 임의의 특정색의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촬상관의 출력신호중의 기본파 성분(대역 여파기 BPF를 통과한 신호 성분)의 적어도 1프레임 기간과 대응하는 정보신호가 주파수 변환회로 FCONV1에 의해 주파수 변환된 신호가 기억되지 않으면 안되나, 그것은 칼라촬상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조작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작 버턴을 조작하므로서 행하여지는 것이고, 칼라촬상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조작 버턴이 조작된 때에는, 예를 들면 촬상관에 특정한 색의 광이 자동적으로 주어지도록 하고, 또한 기억장치 MA를 기억 모드로서 촬상관(2)의 출력신호에 있어서의 대역 여파기 BPF를 통과한 신호 성분의 적어도 1프레임 기간의 신호가 주파수 변환회로 FCONV1에 의해 변환되고 있는 상태의 신호로서 기억장치 MA에 기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기억장치 MA에 기억된 신호가, 본래의 신호를 상기의 주파수 변환회로 FCONV1에 있어서의 주파수 변환 동작에 의해 비트다운 한 상태의 신호였을 경우에는 기억용량이 적은 기억장치 MA의 사용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잇점이 있다.
상기한 기억장치 MA로서는, 그것이 디지탈 신호용의 기억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흑은 아나로그 신호용의 기억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그 어느쪽이라도 좋으며 또한 사용되어야 할 기억 소자가 어떤 종류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기억 소자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여, 칼라촬상장치에 의한 칼라 촬상이 개시되는 이전에, 색분해 호상필터 F를 구성하고 있는 색세조편 내의 임의의 특정색을 촬상하여 얻은 촬상관의 출력신호의 적어도 1프레임 기간에 대응한 정보신호의 기억장치 MA의 기억 소자로의 기억 동작이, 공장에서의 칼라 촬상장치의 생산시에만 행하여지도록 되어도 좋다.
상기한 기억장치 MA가 기억 모드로 되어서, 그것에 1프레임 기간 이상의 적당한 기간과 대응하는 정보신호가 기억되어 끝나면, 기억장치 MA는 다음에 판독모드로 되어서 그것에 기억되어 있던 정보신호가 기억장치 MA로부터 반복 판독되어서 주파수 변환회로 FCONV2에 공급된다.
상기의 주파수 변환회로 FCONV2에는 전압 제어 발진기 VCO로부터 주파수 변환용의 반송파가 공급되어 있고, 주파수 변환회로 FCONV2에 의해 주파수 변환된 주파수 변환회로 FCONV2로부터의 출력신호는 기준 신호발생기 SSG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한 전압 제어 발진기 VCO는 상기의 제어신호발생기 CSG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의해 주파수가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신호발생기 CSG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영의 상태에 있어서의 전압 제어 발진기 VCO의 발진 주파수와, 발진기 OSC로부터 주파수 변환회로 FCONV1에 공급되어 있는 주파수 변환용의 반송파의 주파수를 동일하게 한 경우에, 주파수 변환회로 FCONV1에 공급된 신호가 주파수 변환회로 FCONV1에 의해 비트다운 된 후에, 주파수 변환회로 FCONV2에 있어서 비트업된 상태에서 주파수 변환회로 FCONV2로부터 얻어지는 신호가, 주파수 변환회로 FCONV1에 공급된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가 되도록 해두면, 기억장치 MA로부터 판독되어서 주파수 변환회로 FCONV2에 공급된 신호는, 제어신호발생회로 CSG에서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발진 주파수가 변화되는 전압 제어 발진기 VCO의 출력신호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하고 있는 상태의 신호로서 주파수 변환회로 FCONV2에로부터 출력되므로, 그때에 주파수 변환회로 FCONV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그때에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상의 광상의 휘도변화의 형태에 따라서 발생하는 전자빔의 속도변화에 의해 변화하고 있는 색다중화신호의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주파수가 변화하고 있는 신호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주파수 변환회로 FCONV2의 출력신호는 기준 신호발생회로 SSG에 공급되므로, 기준 신호발생회로 SSG로부터 발생되는 기준 신호는 그때에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상의 광상의 휘도 변화의 형태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빔의 속도변화에 의해 변화하고 있는 색다중화신호의 주파수의 변화와 동일한 주파수 변화를 표시하는 기준 신호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기준 신호가 공급되고 있는 동기검파회로 SDET1, SDET2에 의해 색복조되는 신호중에는, 촬상관의 광전 변환면상의 광상위 휘도변화의 형태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빔의 속도변화에 의해 변화하고 있는 색다중화신호의 주파수 변화의 영향은 나타나는 일이 없다. 상기한 동기검파회로 SDET1, SDET2에 의해 색복조된 신호와 저역 여파기 LPFl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매트릭스 회로 MTX에서, 매트릭스되어 단자(13 내지 15)에는 각기 소정의 원색신호가 송출된다.
다음에,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칼라촬상장치의 또다른 실시 형태의 블럭도를 나타내며 제 10 도에 있어서, 제 1 도와 대응하는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시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0 도에 있어서, 촬상관(2)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전치 증폭기(PrA에서 증폭되므로, 저역 여파기 LPF로부터는 휘도 신호 Sy가 출력되어 단자(6)로 송출됨과 동시에 1H메모리 Mh (1H는 1수평 주사기간) 및 감산기 SUB 및 미분회로 DfC로 공급되고 있다.
도시의 예에 있어서 상기한 1H메모리 Mh1는 2개의 절환 스위치 SW1, SW2와 2개의 1H메모리소자 Mh11,Mh1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절환 스위치 SW1, SW2의 가동 접점 V은 동기 상태(2개의 절환 스위치 SW1, SW2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V가 항시 동일 부호의 고정 접점으로 절환되어 접촉되는 상태)에 있어서 1H 주기로 고정 접점(a)측과 (b)측에 차례로 번갈아 절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1H메모리 Mh1에 있어서, 절환 스위치 SW1의 가동 접점 V이 접촉되어 있는 쪽의 1H 메모리 소자는 기입 모드로 되어서 그것에 1H기간의 휘도 신호가 기입되고, 또한 절환 스위치 SW2의 가동 접점 V이 접촉되어 있는 쪽의 1H메모리 소자는 판독모드로 되어서 그로부터 1H기간의 휘도 신호가 판독되므로서, 1H메모리 Mh1에 있어서의 2개의 1H메모리 소자 Mh11, Mh12는 어떤 일수평 주사기간에 있어서 그것의 한쪽의 1H메모리 소자, 예를 들면 1H메모리 소자 Mh11가 기입 모드로 되어 있는 상태에 연속되는 일수평 주사기간에 있어서는, 그것의 다른쪽의 1H 메모리 소자 Mh12가 판독모드로 되고, 또한 상기한 일수평 주사기간에 있어서는, 한쪽의 1H 메모리 소자 Mh11가 판독모드로 됨과 함께, 다른쪽의 1H메모리 소자 Mh12가 기입 모드로 되는 것처럼, 1H메모리 소자 Mh1에 있어서의 2개의 1H메모리 소자 Mh11, Mh12는 차례로 번갈아 기입 모드 및 판독모드로 절환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한 1H메모리 Mh1에 있어서의 2개의 1H메모리 소자 Mh11, Mh12에 대한 신호의 기입 동작은 순 어드레스의 상태에서 행하여지고, 또한 상기한 2개의 1H메모리 소자 Mh11, Mh12에서의 신호의 판독 동작은 역 어드레스의 상태에서 행하여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1H 메모리 Mh1에서의 출력신호는 절환 스위치 SW2의 가동 접점 V을 거쳐 적분회로 ITC에 공급되어서 적분되고, 적분회로 ITC에서의 출력신호는 1H 메모리 Mh2에 공급된다.
상기한 1H 메모리 Mh2는 2개의 절환 스위치 SW3, SW4와 2개의 1H 메모리 소자 Mh21, Mh2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절환 스위치 SW3, SW4의 가동 접점 V은 동기한 상태에 있어서 1H주기로 고정접점 a측과 b측에 차례로 번갈아 절환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1H 메모리 Mh2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1H 메모리 소자 Mh3, Mh4에 있어서, 절환스위치 SW3의 가동접점 V이 접촉되어 있는 쪽의 1H 메모리 소자는 기입 모드로 되어서 그것에 1H기간에 신호가 기입되고, 또한 절환스위치 SW4의 가동접점 V이 접촉되어 있는 쪽의 1H 메모리 소자는 판독 모드로 되어서 그로부터는 1H기간의 신호가 판독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1H 메모리 Mh2에 있어서의 2개의 1H 메모리 소자 Mh21, Mh22는 어떤 일수평 주사 기간에 있어서 그것의 한쪽 1H 메모리 소자 , 예를들면 1H 메모리 소자 Mh21가 기입 모드로 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그것의 다른쪽의 1H 메모리 소자 Mh22가 판독모드 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일수평 주사기간에 연속되는 일수평 주사기간에 있어서, 한쪽의 1H 메모리 소자 Mh21가 판독모드로 됨과 함께 그것의 다른쪽의 1H 메모리 소자 Mh22가 기입모드로 되는 것같이 1H 메모리 소자 Mh2에 있어서의 2개의 1H 메모리 소자 Mh21, Mh22가 차례로 번갈아 기입모드 및 판독모드로 절환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한 1H 메모리 소자 Mh2에 있어서의 2개의 1H 메모리 소자 Mh21, Mh22에 대한 신호의 기입동작은 역어드레스 상태로 행하여지고, 또한 상기한 2개의 1H 메모리 소자 Mh21, Mh22에서의 신호의 판독동작은 순어드레스의 상태로 행하여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각 1H 메모리 Mh1, Mh2에 설치되어 있는 절환 스위치 SW1내지 SW4는 그것들의 절환 스위치의 가동 접점 V이 모두 동기한 상태 (4개의 절환스위치 SW1내지 SW4에 있어서의 가동접점 V가 항상 동부호의 고정접점에 절환되어 접촉되는 상태)에 있어서의 1H주기로 고정 접점(a)측과 (b)측에 차례로 번갈아 절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절환 스위치 SW1내지 SW4에 의한 신호의 절환 타이밍은, 절환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휘도신호의 수평귀선 소거기간중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1H 메모리Mh2에서의 출력신호는 절환 스위치 SW4의 가동접점 V을 거쳐 프레임 메모리 Mf에 공급되어서, 차례로 기억된다. 상기한 프레임 메모리 Mf에서 판독된 신호는 감산회로 SUB에 피감수 신호로서 공급되어 있고, 또한 상기의 감산회로 SUB에는 저역 여파기 LPF에서 출력된 휘도신호 Sy가 감수신호로서 공급되어 있다.
감산회로 SUB에서의 출력신호는 가산회로 ADD에 공급되어 있고, 상기 가산회로 ADD에서는 상기 감산회로 SUB 출력신호와 저여파기 LPF에서 출력된 휘도 신호는 Sy를 미분회로 Dfc로 미분한 신호를 가산하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서, 그것을 가변지연회로 VDL에 공급한다.
제 10 도에 있어서의 점선도시의 블럭 DL은 저역여파기 LPF에서 출력된 휘도신호 Sy가 1H 메모리 Mh1→ 적분회로 ITC→1H 메모리 Mh2→프레임 메모리 Mf의 회로로 신호처리를 받아서 감산회로 SUB에 공급되기 까지에 신호중에 발생하고 있는 시간지연과 같은 시간지연을 저역 여파기 LPF에서 감산회로 SUB 및 미분회로 Dfc에 공급되는 신호에 주어지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지연회로이다. 그리고 상기의 지연회로 DL가 회로중에 설치된 경우에는, 화상 내용 여하에 관계없이 촬상관의 광전변환부에 있어서의 전하패턴과 대응하여 주사전자빔에 발생하는 시간축 변동이 항시 양호하게 보정된다.
상기의 지연회로 DL가 회로중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라도, 화상 내용이 상관성이 강한 것이였을 경우에는, 실용상에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는 칼라 촬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1 도에 표시되어 있는 파형도도 참조하면서 제 10 도에 표시되어 있는 칼라 촬상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저역여파기 LPF에서 출력된 휘도 신호 Sy는 1H 메모리 Mh1에 있어서의 절환스위치 SW1의 가동접점 V이 접촉되어 있는 고정접점에 접속되어 있는 쪽의 1H 메모리 소자에 순어드레스로 기입되나 그 상태에 있어서 1H 메모리 Mh1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1H 메모리 소자로부터는, 그것에 기억되어 있는 1H 기간전의 휘도신호가 역어드레스로 판독된다.
상술한 것처럼 1H 메모리 Mh1(1H 메모리 Mh2에서도 같음)에서는, 신호를 기입하고 있는 상태의 1H 메모리 소자와 신호를 판독하고 있는 상태의 1H 메모리 소자에 의해 신호의 기입과 신호와 판독이 행하여지고 있으나, 이하의 기재에서는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1H 메모리로의 기입 및 1H 메모리에서의 판독이 1H 메모리 Mh1(또는 Mh2)에서 행하여지는 것으로서 기술되어 있다.
즉, 저역 여파기 LPF에서 출력된 휘도신호 Sy가 공급되는 1H 메모리 Mh1는, 그것에 공급되는 휘도신호 Sy를 순어드레스로 차례로 기입하고, 이어서 상기의 1H 메모리 Mh1에 기억된 휘도신호는 1H 메모리 Mh1에서 역어드레스로 차례로 판독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1H 메모리 Mh1에서 차례로 판독된 휘도신호는, 1H 메모리에 기입된 휘도신호가 시간축상에서 반전된 상태의 신호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제 11 도의 (a) (b)는 1H 메모리 Mh1에 기입된 휘도신호와, 1H 메모리 Mh1에서 판독된 휘도신호가 시간축상에서 반전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있는 것을 도시 설명하기 위하여 휘도신호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파형도이고, 제 11 도의 (a)는 1H 메모리 Mh1에 기입된 휘도 신호를 표시하고, 또한 제 11 도의 (b)는 1 메모리 Mh1에서 판독된 휘도신호를 각기 표시하고 있다. 제 11 도중의 a, b,c, 등의 각 부호는 대응하는 신호부분을 표시하고 있는 부호이다.
1H 메모리 Mh1에서 판독된 휘도신호는 적분회로 1TC로 적분된다. 제 11 도의 (c)는 1H 메모리 Mh1에서 판독된 휘도신호가 적분된 상태의 신호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파형도이다. 그리고 적분회로 ITO에서 출력된 제 11 도의 (c)에 표시되는 상태의 신호는, 1H 메모리 Mh2에 역어드레스로 차례로 기입된다. 제 11 도의 (d)는 1H 메모리 Mh2에 기입된 신호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파형도이다.
1H 메모리 소자 Mh2에 기억된 제 11 도의 (d)에 표시된 것같은 상태의 신호는 그것이 순어드레스로 판독되어서 프레임 메모리 Mf에 기입하고, 프레임 메모리 Mf에 순어드레스로 판독된다.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 Mf에서 판독되는 신호는 제 11 도의 (d에 표시되는 것같은 것이다.
프레임 메모리 Mf에서 판독되는 제 11 도의 (d)에 표시되는 신호와 제 11 도의 (a)에서 표시되어 있는 본래의 휘도신호를 비교해보면, 제 11 도의 (d)에 표시되어 있는 신호는 제 11 도의 (a)에 표시되어 있는 본래의 휘도신호에 있어서의 선단위치 보다도 이전의 시간위치에서 차츰 입상하고 있는 것같은 파형으로 되어있다.
프레임 메모리 Mf에 판독된 제 11 도의 (d)에 표시되는 신호는, 감산회로 SUB에 그것의 피감수 신호로서 공급되나, 감산회로 SUB에는 제 11 도의 (a)에 표시되는 것같은 휘도신호가 감수신호로서 공급되어 있으므로 감산회로 SUB에서는 제 11 도의 (d)에 표시되는 것같은 파형의 신호에서, 제 11 도의 (a)에 표시되어 있는 것같은 신호를 감산한 제 11 도의 (e)에 표시되어 있는 것같은 파형의 신호가 출력되어서 가산회로 ADD에 주어진다.
상기한 가산회로 ADD에서는, 감산회로 SUB에서 출력된 제 11 도의 (e)에 표시된 것같은 신호와 제 11 도의 (a)표시된 휘도신호를 미분회로 Dfc에 의해 미분하여 얻은 제 11 도의 (f)에 표시된 것같은 신호를 가산하여, 제 11 도의 (g)에 표시된 것같은 제어신호, 즉 촬상관의 광전변환부에 있어서의 전하패턴과 대응하여 주사전자빔에 발생하는 주사속도의 변화에 의해 색다중화 신호에 발생한 위상오차를 보정하는 것같은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것을 가변지연회로 VDL에 공급하여 가변지연회로 VDL에서는 색 비뚤어짐을 발생케하는 일이 없는 상태의 색 다중화 신호가 출력단자(7)에 송출되는 것이다.
또한 색 다중화 신호와 휘도신호의 시간지연을 보정하기 위하여 출력단자(6)에 송출되는 신호에 소정의 시간지연을 주는 일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단자(6)의 직전에 소정의 지연시간을 지닌 지연회로를 설치하면 된다.
제 10 도중에 있어서의 11a, 11b …11g등의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는 부분은, 제 11도의 (a), (g), …(g)에 표시된 각 신호가 나타나는 곳이고, 11a의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는 부분에는 제 11 도의 (a)에 표시되는 신호가 나타나고, 또한 11b의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는 부분에는 제 11 도의 (b)에 표시되는 신호가 나타나고, 이와같은 모양으로 11g의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는 부분에는 제 11 도의 (g)에 표시되는 신호가 나타남을 각기 표시하고 있다. 제 12 도에 표시된 후술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 배치중에 표시되어 있는 13a, 13b, …13g등의 화살표로 지시하고 있는 부분도 제 13 도의 (a), (b), …(g)에 표시된 각 신호가 나타나는 곳을 표시하고 있다.
제 12 도는 이미 기술한 제 10도에 표시된 실시예 회로중에 있어서의 적분회로 ITC의 부분을 미분회로 Dfc와 극성 반전기 PRC로 변경하고, 또한 제 10 도에 표시된 실시예 회로중에 있어서의 감산회로 SUB로 제거한 구성으로 한 경우의 블럭도이고, 이 제 12 도에 있어서 제 10 도의 회로 배치의 구성부분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제 10 도중에서 사용하고 있는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어 있다.
제 12 도의 회로 배치에 있어서, 제 13 도의 (a)에 표시된 것같은 휘도신호가 순어드레스를 기입된 1메모리 Mh1에서는 그것에 기억된 신호가 역어드레스 판독되므로서, 제 13 도의 (b)에 표시된 것같이, 제 13 도의 (a)에 표시된 것같은 휘도신호에 대해서 시간축상에서의 반전하고 있는 상태의 신호가 판독되어서 미분회로 Dfc1에 주어진다.
제 13 도의 (c)는 미분회로 Dfc1에서의 출력신호이고, 상기한 미분회로 Dfc1에서의 출력신호는 극성반전기 PRC에 의해 극성이 반전되어서 제 13 도의 (d)에 표시되는 것같은 신호로 되고 나서 1H 메모리 Mh2에 역어드레스로 기입된다.
제 13 도의 (e)는, 상기한 1H 메모리 Mh2에서 순어드레스로 판독된 신호이고, 이 신호는 프레임 메모리 Mf에 기억된다. 프레임 메모리 Mf에서 판독되는 신호도 상기 제 13 도의 (e)에 표시되는 것같은 신호이고, 그것은 가산회로 ADD에 공급된다.
상기의 가산회로 ADD에는 제 13도의 (a)에 표시된 휘도신호를 미분회로 Dfc로 미분한 제 13 도의 f에 표시되는 신호로 공급되어 있으므로, 가산회로 ADD에서는 제 13 도의 (e)에 표시된 신호와 제 13 도의 (f)에 표시된 신호를 가산한 제 13 도의 (g)에 표시되는 것같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그것을 가변지연회로 VDL에 공급한다. 제 13 도의 (g)에 제어신호와 이미 기술한 제 11 도의 (g)에 표시된 신호가 동일한 것은 말할나위도 없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칼라촬상장치에 있어서는 제 10 도의 회로배치의 경우처럼, 적분회로를 사용하여 소요의 제어신호가 생설되도록 하여도 흑은 제 12 도의 회로 배치처럼, 미분회로를 사용하여 소요의 제어신호가 생성되도록 하여도 어느쪽이라도 좋으나, 제 10 도의 회로배치의 경우처럼 적분회로를 사용하여 소요의 제어신호를 생성토록 한 쪽이, 사용한 메모리가 소용량이라도 좋다는 잇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발생된 제어신호가 주어진 가변지연회로 VDL는 그것에 입력되어 있는 색 다중화 신호에 있어서의 피변조 색신호의 위상을 상기한 제어신호에 의해 변화시켜서, 촬상관의 광전변환부에 있어서의 전하패턴과 대응하여 주사전자빔에 발생하는 주사속도의 변화에 의해 색 다중화 신호에 발생하는 시간축변동이 보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칼라촬상장치는 그 실시예 즈음하여, 프레임 메모리를 생략한 상태로 구성되도록 되어도 좋다. 제 10 도 및 제 12 도의 실시예 회로에 있어서, 출력단자(6)에 출력된 휘도신호 Sy와 가변지연회로 VDL에서 출력단자(7)에 출력된 색 다중화 신호에 있어서의 피변조색 신호와는 도시되지 않은 후속의 색신호 처리회로에 있어서의 소정의 신호처리를 받아서 목적으로 되어 있는 TV방식에 따른 칼라영상신호로 된다. 제 10 도 및 제 12 도의 실시예 회로에 표시된 칼라촬상장치가 소위 스텝 에너지 방식에 따른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출력단자(7)에서 출력된 신호를,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보(소 55-33232호, 소 55-33233호, 소 59-35550호)등에 표시되어 있는 색신호 복조회로에 주어 신호처리가 행하여지도록 해도 좋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칼라촬상장치는 , 촬상관의 광전변환부까지의 광로중에 복수종류의 색세조편의 소정의 배열에 의해 이루어지는 색분해 호상필터를 갖추어, 발생된 색 다중화 신호에 의거하여 얻은 휘도신호로부터 휘도의 변화부분에 대응한 신호를 얻고, 촬상관의 광전변환부에 있어서의 전하 패턴과 대응하여 주사전자빔에 발생하는 주사속도의 변화에 의해 색 다중화 신호에 발생하는 시간축 변동을 상기한 휘도신호에 있어서의 휘도의 변화부분에 대응한 신호에 의거하여 얻은 제어신호에 의해 보정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칼라촬상장치에 있어서, 애퍼쳐 보정신호로서 사용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시간축 상에서의 변화의 형태와 유사한 시간축상에서의 변화형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휘도신호에 있어서의 휘도의 변화부분에 대응한 신호로서 얻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어신호 발생수단을 갖추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 본 발명의 칼라촬상장치에서는 모든 피사체 조건에 있어서, 주사전자빔의 속도변화에 의해 색 다중 신호에 발생하는 시간축 변동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간단한 구성이 제어신호 발생회로에 의해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해 이미 기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양호하게 해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칼라촬상장치는, 촬상관의 광전변환부까지의 광로중에 복수종류의 색세조편의 소정의 배열에 의해 이루어지는 색분해 호상필터를 구비하고 있어 발생된 색 다중화 신호에 의거하여 얻어진 휘도신호에서의 휘도의 변화부분에 대응한 신호를 얻고, 촬상관의 광전변환부에서의 전하 패턴과 대응하여 주사전자빔에 생긴 주사속도의 변화에 의해 색 다중화신호에 생기는 시간축 변동을, 상기한 휘도 신호의 변화부분에 대응한 신호에 의거하여 얻은 제어신호에 의해 보정하도록 하여 이루어진 칼라촬상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1수평 주사기간의 휘도신호를 기억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시간축 상에서 반전상태로 되어 있는 신호를 얻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한 휘도신호의 휘도의 변화 부분에 대응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구성의 제어신호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칼라촬상장치에서는 모든 피사체 조건에 있어서, 주사전자빔의 속도변화에 위해 색다중화 신호에 생기는 시간축 변동을 양호하게 보정할 수가 있는 제어신호를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가 있고, 본 발명에 의해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은 양호하게 해소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