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3146Y1 - 엘리베이터의 직접식 조속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직접식 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146Y1
KR900003146Y1 KR2019870012592U KR870012592U KR900003146Y1 KR 900003146 Y1 KR900003146 Y1 KR 900003146Y1 KR 2019870012592 U KR2019870012592 U KR 2019870012592U KR 870012592 U KR870012592 U KR 870012592U KR 900003146 Y1 KR900003146 Y1 KR 900003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elevator
elevator car
roller
hoo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2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712U (ko
Inventor
한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12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146Y1/ko
Publication of KR890002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7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146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직접식 조속기
제1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치 상태도.
제2a도는종래의 조속기에 대한 정면도, b는 종래의 웨지장치의 동작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속기의 설치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중 조속기의 마찰구동을 위한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카 2 : 조속기
3 : 레버 13 : 웨지장치
15 : 원심력 추 23 : 훅크
24 : 로울러 26 : 지지앵글
27 : 압축스프링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과속 방지용 안전장치인 조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속기를 엘리베이터카에 직접 설치하는 구성으로 조속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건물의 승강로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한 직접식 조속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정격속도 운행외의 고속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로서 제1도의 설치상태도와 같이 기계실(5')에 조속기(2')를 설치하였고 엘리베이터카(1') 저면에 운행의 안전을 위한 웨지장치(13')를 설치하여 조속기(2')풀리에 감긴 로프(4')와 웨지장치의 레바(3')를 연결하였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카(1')가 운행도중에 정격속도이상으로 운행하게 되면 자연적 로프(4')의 이송이 빠르게 되어 상하풀리의 회전이 많아지게 되고 이 회전상태에 의해 제2a도와 같이 풀리의 원심추(15')가 핀(16')을 중심으로 압축스프링(20')을 누르면서 벌어져 혹크(17')를 치면 웨이트(18')의 핀(21')에 걸린 훅크(17')가 벗겨지면서 웨이트(18')는 낙하하여 로프(4')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그렇게 되면 엘리베이터카(1')는 밑으로 하강해도 로프(4')는 고정되어 있기 문애 레바(3')가 P1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러면 제2b도와 같은 웨지장치에서 축(22')을 중심으로 레버(3')가 회전하고 그에따라 링크(8')가 당겨져 레버(11')를 위쪽으로 회전시키며 그에따라 웨지장치(13')의 양쪽의 로드(6'×12')는 동시에 위로 올라가면서 웨지장치(13')를 작동시켜 인가된 신호의 단락으로 엘리베이터카(1')의 운행이 정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 장치의 경우 조속기(2')가 엘리베이터카(1')와 분리되어 기계실(5')에 설치되므로 인해서 구성상 별도의 로프(4')가 필요하고 로프 장력 유지용 웨이트풀 리(14')가 필요하며, 이들의 설치구성으로 승강로의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구동상 로프(4')가 조속기(2')의 풀리에서 벗겨지면 안전장치 기능이 상실되는 안전 문제가 대두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조속기는 엘리비이터의 하강시에만 동작하게 되어 있어 상승시의 과속을 방지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조속기의 구성설치 안전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속기를 엘리베이터카에 직접 설치하여 구조를 간단화하고 연계적으로 설치, 안전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상태도 인것으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카(1)에 직접 설치하는 조속기(2)와 웨지장치(13) 및 이들 구성을 연결하는 훅크(23)등으로 구성되며 엘리베이터카에 직접 설치하는 조속기(2)는 통상의 조속기 구성과 같이 로울러(24)의 축에 연결대(22)를 축 고정시켜서 연결대(22)의 양단에 핀(16)으로 원심력추(15)가 유동되게 조립하고 두 개의 원심력 추(15)가 동시에 같은량으로 벌어질수 있도록 작동대(21)와 스프링(20)으로 괘지 연결한다
상기의 원심력 추(15)에서 제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추선단에 돌기(15a)를 형성함이 좋다.
그리고 웨지장치(13)는 엘리베이터카(1)저면에 취부대(7)를 고정하고 그 취부대(7)에 스토퍼(9)와 작동스프링(10)이 끼워진 링크(8)를 삽입하여 양단에 ㄱ형 레버(3)(11)를 설치하되 고정판(1a)의 핀(16')을 지점으로 회동하게 구성하여 레버의 선단에 웨지(13)와 연결된 각각의 로드(6×12)유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의 구성중 조속기(2)의 로울러(24)의 주연에는 마찰저항이 큰 우레탄 고무층(24a)을 피착시킴이 구동효율상 좋고 조속기의 지지앵글(26)의 상하에 제4도의 마찰구동을 위한 설치상태도와 같은 압축스프링(27)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하여 로울러(24)가 레일(25)에 밀착되게 하며 조속장치의 구동을 위하여 원심력추(15)의 확장 원주 범위에 선단이 위치하도록 레버(3)의 괘지핀(3a)용 핀홈(23a)이 형성된 훅크(23)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행시에는 제4도와 같이 조속기(2)의 로울러(24)가 레일(5) 접속된 상태로 운행되다가 이상 속도 운행시에는 로울러(24)의 회전속도가 자연적 증가하여 원심력추(15)가 무게 중심에 의한 원심력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원심력추(15)가 벌어지는 동작에 의해 선단의 돌기(15a)가 훅크(23)의 선단을 쳐서 훅크(23)에 괘지핀(3a)을 해제키며 그와 동시에 취부대(7)에 눌려져 있던 압축 스프링(10)력이 링크(8)에 작용되어 링크(8)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동작에 의해 양단이 ㄱ형 레버(3×11)가 가성선과 같이 회동하게 된다.
결국 레바의 회동으로 로드(6×12)가 당겨져 웨지(13)를 작동시키므로 엘리베이터 카는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괘지핀(3a)에 걸리는 훅크(23)의 끝단 부위에 괘지홈(23a)을 형성하므로서 훅크(23)가 좌우 양쪽으로 작동할수 있어 로울러(24)의 회전방향에 관계 없이 웨지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로울러의 좌 회전시 즉 상승시에 과속으로 운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조속기를 엘리베이터카에 설치하여 웨지장치와 훅크를 연결하는 구성에 의해, 구성상 설치면적을 최소로 줄일 수 있고 로프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설치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해 구조의 복잡함으로 인한 고장방지효과가 있고 특히, 승강, 하강 주행모두 동일하게 엘리베이터의 과속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속도에 대한 원심력 추가 직접 웨지장치를 동작시키므로 제어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카(1)의 이상 속도를 감지하는 조속기(2)를 형성함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카(1)에 조속기(2)를 직접 설치하여 조속기(2)의 원심력추(15)와 엘리베이터 제어용 웨지장치(13)의 레버(3)사이를 훅크(23)로서 연결하고 조속기(2)의 로울러(24)를 레일(25)에 구름 접촉시켜 이상속도를 감지제어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리베이터의 직접식 조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조속기(2)의 로울러(24)외주연에 마찰 저항이 큰 우레탄 고무층(24a)을 형성하고 조속기의 지지앵글(26)에 압축스프링(27)을 설치하여 레일(25)과의 마찰 구동을 하도록한 조속기.
KR2019870012592U 1987-07-31 1987-07-31 엘리베이터의 직접식 조속기 Expired KR900003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592U KR900003146Y1 (ko) 1987-07-31 1987-07-31 엘리베이터의 직접식 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592U KR900003146Y1 (ko) 1987-07-31 1987-07-31 엘리베이터의 직접식 조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712U KR890002712U (ko) 1989-04-08
KR900003146Y1 true KR900003146Y1 (ko) 1990-04-14

Family

ID=1926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2592U Expired KR900003146Y1 (ko) 1987-07-31 1987-07-31 엘리베이터의 직접식 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1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527B1 (ko) * 2003-02-04 2010-05-07 인벤티오 아게 승강기용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816A (ko) * 2002-10-02 2004-04-08 신석희 엘리베이터 장치의 조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527B1 (ko) * 2003-02-04 2010-05-07 인벤티오 아게 승강기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712U (ko) 198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6287B (zh) 一种节省电梯井道空间的限速器安全钳提拉机构
US7475756B2 (en) Mechanism for indenting a safety gear for an elevator car
KR20040071619A (ko) 승강기용 안전장치
JPH08208149A (ja) エレベータの安全ブレーキ
KR900003146Y1 (ko) 엘리베이터의 직접식 조속기
KR101190236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JP3397692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BRPI0416836B1 (pt) Aparelho elevador compreendendo uma parte de supervisão para detectar anormalidades no movimento de um carro
JP200225546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非常停止装置
KR20010105482A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KR200200007Y1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CN109775507B (zh) 电梯、超速保护系统及其触发装置
EP1663837B1 (en) Elevator safety gear arrangement
KR100490331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970000996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KR10062754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68092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US11858780B1 (en) Governor assembly, elevator safety device and elevator system
KR960003213Y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 장치
KR930006333Y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2746916B1 (ko) 안전스토퍼가 구비된 무대장치용 활차조립체
KR100602875B1 (ko) 엘리베이터 승강 조속기
KR200243836Y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200314755Y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9980015960U (ko) 승강기용 조속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7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7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3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9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9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1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3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4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4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