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2823Y1 -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 지연회로 - Google Patents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 지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823Y1
KR900002823Y1 KR2019870020363U KR870020363U KR900002823Y1 KR 900002823 Y1 KR900002823 Y1 KR 900002823Y1 KR 2019870020363 U KR2019870020363 U KR 2019870020363U KR 870020363 U KR870020363 U KR 870020363U KR 900002823 Y1 KR900002823 Y1 KR 900002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ime
timer
output control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0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189U (ko
Inventor
정흥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20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823Y1/ko
Publication of KR8900121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1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23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Of High-Frequency Heating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 지연회로
제 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VT : 고압트랜스 SW1-SW6: 스위치
L : 램프 MF : 팬모터
MDF : 출력조절모터 MT : 타이머모터
본 고안은 기계식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 지연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 1도는 종래의 기계식전자레인지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교류입력의 일단에 램프(L) 및 1차안전스위치(SW1)와 모스터스위치(SW2)을 연결하고, 타단에 퓨즈(F)와 감은스위치(Thermostatic switch SW6)를 통해 타이머스위치(SW5)에 연결하며, 램프(L)를 스위치(SW1, SW2, SW5)에 각각 연결하고, 스위치(SW1)를 팬모터(MF), 출력조절모터(MDF), 타이머모터(MT) 및 고압트랜스(HVT)의 1차측에 연결하며, 스위치(SW3)의 일단을 팬모터(MF), 출력조절모터(MDF) 및 타이머모터(MT)에 연결함과 동시에 타단을 스위치(SW1, SW5)에 각각 연결하고, 스위치(SW4)를 고전압트랜스(HVT)의 1차측에 연결하며, 2차측에 마그네트론(MGT), 고압콘덴서(HVC) 및 고압다이오드(HVD)를 각각 연결 구성하였다.
상기 구성된 기계식 전자레인지는 전원을 인가한 후 레인지의 문을 닫으면, 모니터스위치(SW2)가 오프되고 1차 안전스위치(SW1)가 온이되며, 타이머모터(MT)를 들여 동작시간을 설정하면 타이머스위치(SW5)가 온이된다. 또한 출력조절모터(MDF)의 눈금(Knob)을 돌려 출력을 조절하는데, 출력이 예를 들어 강 또는 해동 2개인 경우 본 고안에서는 해동으로 설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을 조절한 후 스타트 스위치(SW3)를 온시키면 전원에서 인가된 전압이 고압트랜스(HVT)에 인가되며 고압트랜스(HVT)의 2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에 의해 마그네트론(MGT)이 발진한다. 이때 출력조절스위치(SW4)가 출력조절모터(MDF)의 캠(Cam)작용에 의해 주기적으로 온, 오프되어 고압트랜스(HVT)에 인가되는 전압을 단속하므로써 출력을 조절한다. 타이머모터(MT)의 설정시간이 완료되면 타이머모터(MT)의 캠작용에 의해 타이머스위치(SW5)가 오프되어 전자레인지의 동작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 회, 로는 타이머모터의 최대설정시간이 조리가능시간 즉 해동시간이었다. 이 경우 최대조리 가능시간보다 실제해동시간이 더 길면 즉, 최대조리가능 시간이 15분이고, 음식물의 실재해동시간이 20분이라면,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15분동안 해동을 실시하고, 다시 타이머 모터(MT)를 돌려 동작시간을 5분으로 설정한 후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타이머 모터의 인입선을 출력조절스위치의 뒷단에 연결하여 해동시간이 실제타이머의 설정시간보다 길게 되도록 해동시간을 지연시키는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지연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제 1도의 타이머모터(MT)의 인입선을 출력조절스위치(SW4)의 뒷단과 고압트랜스(HVT)의 1차측 사이에 연결하여 출력조절스위치(SW4)가 온될때만 타이머모터(MT)를 동작시키므로써 출력조절스위치(SW4)가 온되는 시간 동안만을 누적시켜, 그 누적시간이 타이머설정 시간이 될때까지 전자레인지가 동작하도록 연결 구성하였다.
즉, 출력조절스위치(SW4)가 "강"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스위치(SW4)가 항상 온이 되어 타이머설정시간동안만 동작하고, 출력조절스위치(SW4)가 "해동"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출력조절스위치(SW4)가 주기적으로 온, 오프되어 타이머모터가 출력조절스위치(SW4)의 온 시간동안만 동작하도록 연결구성하였다.
상기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을 인가한 후 전자레인지내에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넣고 도어를 닫으면, 모니터스위치(SW2)의 접점이 떨어져 오프되고, 1차안전스위치(SW1)의 접점이 접속되어 온이된다.
타이머모터(MT)의 눈금을 돌려 조리하고자 하는 시간을 설정하면 타이머스위치(SW5)는 온이되고, 램프(L)가 점등된다.
출력조절모터의 출력조절눈금을 돌려 출력으로 "강" 또는 "해동" 을 선택한다.
스타트스위치(SW3)를 누르면 팬모터(MF) 및 출력조절모터(MDF)에 전원이 인가되고, 출력조절모터(MDF)의 캠작용에 의하여 출력조절스위치(SW4)가 주기적으로 온, 오프된다. 따라서 타이머모터(MT) 및 고압트랜스(HVT)의 1차측에 주기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므로 타이머모터(MT)는 출력조절스위치(SW4)의 온시간동안만 동작하고, 출력조절스위치(SW4)의 온시간동안 고압트랜스(HVT)의 1차측에 전압이 인가되어 2차측에 유기전압이 발생되므로 마그네트론(MGT)이 발진한다.
상기와 같이 타이머모터(MT)가 출력조절스위치(SW4)의 온, 오프에 따라 주기적으로 동작하므로 전체적인 전자레인지의 동작시간은 출력조절스위치(SW4)가 온되는 시간만을 누적시킨 것이 되어 해동시간은 상대적으로 길어 진다.
상기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이머의 최대설정시간이 15분이고 출력조절스위치(SW4)가 18초동안 오프, 12초동안 온으로 해동할때 즉, 40%로 해동할때 해동가능시간은 다음과 같다.
즉 실제행동 가능한 시간은 37분 30초가 된다.
만약 출력조절모터(MDF)의 출력조절을 "강"으로 하면, 출력조절스위치(SW4)는 항상 온이 되어있으므로 타이머모터(MT)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만 전자레인지가 동작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타이머모터(MT)의 인입선을 출력 조절스위치(SW4)의 뒷단과 고압트랜스(HVT)의 1차측에 접속하여 최대설정시간이 짧은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며 짧은 타이머의 최대설정 시간으로 긴시간동안의 해동동작을 할 수 있다.

Claims (1)

1차안전스위치(SW1), 모스터스위치(SW2), 스타트스위치(SW3), (SW4), 타이머스위치(SW5) 및 감온스위치(SW6)와 램프(L)와 일단이 스위치(SW1)와 고압트랜지스(HVT)의 1차측 사이에 접속 되고 타단이 스위치(SW3, SW4) 사이에 접속된(MF), 출력조절모터(MDF) 및 타이머모터(MT)와 2차측 코일에 고압다이오드(HVD), 고압콘덴서(HVC) 및 마그네트론(MGT)이 접속된 고압트랜스(HVT)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느 기계식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모터(MT)의 인입선용 출력조절스위치(SW4)의 온시간동안만 타이머모터(MT)가 동작하도록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지연회로.
KR2019870020363U 1987-11-24 1987-11-24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 지연회로 Expired KR900002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363U KR900002823Y1 (ko) 1987-11-24 1987-11-24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 지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0363U KR900002823Y1 (ko) 1987-11-24 1987-11-24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 지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189U KR890012189U (ko) 1989-07-15
KR900002823Y1 true KR900002823Y1 (ko) 1990-04-04

Family

ID=1926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0363U Expired KR900002823Y1 (ko) 1987-11-24 1987-11-24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 지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8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189U (ko) 198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8520A (en) Effective concurrent microwave heating and electrical resistance heating in a countertop microwave oven
US3842233A (en) Microwave oven defrost circuit
US4486648A (en) Energy regulator for a household heating appliance for producing variable speed initial heating
GB2105127A (en) Energy regulator for a household set the duty cycle. heating appliance
EP0234956A2 (en) Microwave oven
JP2000348857A (ja) 電子レンジの突入電流除去装置
KR900002823Y1 (ko) 기계식 전자레인지의 해동시간 지연회로
US6593556B1 (en)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4719326A (en) Microprocessor power relay control circuit for a microwave oven
US4345135A (en) Delay-start arrangement for a microwave oven
JP3283082B2 (ja) マイクロ波オーブン
JPS5927494A (ja) 電子レンジ
KR920007898Y1 (ko) 해동기능을 가진 전자렌지
KR950010004Y1 (ko) 고출력 전자렌지의 출력제어장치
KR920008892Y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 동시 동작회로
KR960011456B1 (ko) 전자식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콘트롤 회로
KR900000723Y1 (ko) 전자레인지의 콤비 기능회로
JPH09129366A (ja) 電子レンジ用マグネトロンの駆動回路
KR0118396Y1 (ko) 기계식 전자렌지의 가변출력장치
KR960003109Y1 (ko) 기계식 전자렌지의 가변출력장치
KR0142488B1 (ko) 기계식 다기능 전자렌지의 가열수단 자동 전환장치
KR20000075154A (ko) 전자렌지의 돌입전류 방지용 타이머장치
KR100953971B1 (ko) 전자레인지의 가열에너지 제어방법
JPS6348959Y2 (ko)
KR0134537B1 (ko) 상업용 전자렌지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11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11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308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U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UO0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0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