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2683B1 - 자동녹음 레벨 지시및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녹음 레벨 지시및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683B1
KR900002683B1 KR1019870003609A KR870003609A KR900002683B1 KR 900002683 B1 KR900002683 B1 KR 900002683B1 KR 1019870003609 A KR1019870003609 A KR 1019870003609A KR 870003609 A KR870003609 A KR 870003609A KR 900002683 B1 KR900002683 B1 KR 900002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ransistor
switching circuit
input
di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150A (ko
Inventor
박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 성 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 성 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 성 사
Priority to KR101987000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683B1/ko
Publication of KR88001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83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녹음 레벨 지시및 조절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본 발명은 음향기기 대크의 녹음 레벨 조정시 Fm 수신기의 방송신호 출력과 녹음레벨 조정용 발진기의 출력을 자동으로 전환토록 하되, 별도의 수동 스위치 조작없이 Fm 수신기의 국간 잡음을 검출한 신호로 발진기의 출력 신호를 출력토록 하므로써 데크 녹음시 현재의 수신기 출력을 확인할수 있도록 하는 자동 녹음 레벨 지시 및 조절 장치의 회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Fm 수신기의 출력을 별도의 스위치로 수동 전환 조작 하므로써 녹음레벨 또는 방송 신호의 출력을 선택하게 되어 있으므로 스위치의 수동조작에 따르는 불편과 국간 잡음이 스피커로 출력 되므로써 기기 조작시에 귀에 거슬리는 국간 잡음을 어쩔수 없이 들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Fm 수신기의 방송국간 잡음을 검출한 신호로 녹음 레벨 조절회로를 자동으로 온 오프 시킬 수 있게 하여 수동 스위치 조작에 따르는 불편을 해소하고 귀에 거슬리는 국간 잡음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한 자동 녹음 레벨 지시 및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1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은 발진기(B1), 고주파수신단(B2), 중간 주파 및 검파단(B3), 멀티 플렉서(B4), 저역통과 여파기(B5, B6)로 된 Fm 수신기에 있어서, 저항(R1-R3)과 다이오드(D1) 및 트랜지스터(Q1, Q2)로 된 제 1 스위칭 회로(10) 입력은 중간 주파 및 및 검파단(B3)의 뮤팅 신호 출력단자(E0)에 연결하고, 그 출력은 저항(R5)과 다이오드(D3)을 통해 중간 주파 검파단(B3)의 뮤팅 신호 입력단자(I0)에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4), 다이오드(D2) 및 트랜지스터(Q3)로 된 제 2 스위칭회로(20)에 연결하며, 제 2 스위칭 회로(20)의 입력은 스위치(S1)를 통해 전원(B+)에 연결하고, 그 출력은 발진기(B1)전원 단자에 각각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6, R7)과 트랜지스터(Q4) 및 발광 다이오드(LED1)로 된 지시회로(30)와 저항(R8, R9), 다이오드(D4) 및 트랜지스터(Q5)로 된 제 3 스위칭회로(40)입력에 연결하며, 제 3스위칭회로(40)출력은 저항(R10), 다이오드(D5) 및 트랜지스터(Q6)로된 발진기(B1) 뮤팅회로(50)에 입력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C1-C4는 콘덴서, R11, R12, R13은 저항, L, R은 출력단자, ANT는 안테나 이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별첨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Fm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스위치(S1)은)는 안테나(ANT)로 수신된 신호는 고주파 수신단(B2)을 통해 중간 주파및 검파단(B3)에 입력된다. 따라서 중간 주파 및 검파단(B3)은 공지된 바와같이 방송이 수신되고 있으므로 뮤팅 신호 출력단자(E0)에서는 로우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제 1 스위칭회로(10)의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2)가 온 되므로 제 1 스위칭회로(10)출력은 로우가 되고 이 로우 신호는 제 2 스위칭 회로(20)의 트랜지스터(Q3)베이스에 입력되므로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어 제 2 스위칭회로(20)의 출력(a)은 로우가 된다. 그러므로 발진기(B1)의 전원 단자에는 전원(B+)이 인가되지 않아 발진 동작을 못하게 되고 또한 a점이 로우이므로 지시회로(30)는 동작하지 않으며 제 3 스위칭회로(40)의 트랜지스터(Q5)가 오프되므로 제 3 스위칭회로(40)의 출력은 하이가 된다. 따라서 이 하이 신호가 발진기 뮤팅회로(50)의 트랜지스터(Q6)베이스에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6)가 온 되므로 그 클랙터는 로우가 되어 발진기(B1)출력은 접지(뮤팅)되고, 저항(R12, R13)일단도 접지되어 저항(R12, R13)양단에 걸리는 방송 신호가 출력단자(L, R)로 출력된다. 한편 제 1 스위칭회로(10)의 로우 신호 출력은 중간 주파및 검파단(B3)은 뮤팅 신호 입력단자(I0)에 입력 되므로 중간 주파 및 검파단(B3)은 공지된 바와같이 내장된 뮤팅회로가 동작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중간 주파 및 검파단(B3)에 입력되는 방송 신호가 검파되어 멀티플렉서(B4), 저역통과 여파기(B5, B6)를 통해 출력단자(L, R)로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Fm 방송이 없는 국간 잡음을 안테나(ANT)로 수신하는 경우에는 고주파단(B2)을 통한 잡음이 중간 주파 및 검파단(B3)에 입력되므로 이때 뮤팅신호 출력단자(E0)는 하이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반대로 제 1 스위칭회로(10)의 출력이 하이가 되고 따라서 제 2 스위칭회로(20)의 출력도 하이가 되어 발진기(B1)에 전원(B+)이 공급 되므로 발진기(B1)가 동작하여 그 발진 신호 출력이 콘덴서(C4), 저항(R11, VR1, R12, R13)을 통해 출력단자(L, R)로 출력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a점이 하이 이므로 지시회로(30)의 트랜지스터(Q4)가 온 되어 발광 다이오드(LED1)가 점등 되므로써 자동 녹음 레벨 조정모드임을 표시해 주게 되며, 제 3 스위칭회로(40)의 출력은 로우가 되고, 따라서 발진기 뮤팅회로(50)의 출력은 개방 상태가 되어 발진기(B1)출력은 뮤팅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스위칭회로(10)의 출력(하이)신호는 저항(R5)과 다이오드(D3)를 통해 중간 주파 및 검파단(B3)의 뮤팅신호 입력단자(I0)에 입력되므로 중간 주파 및 검파단(B3)은 공지된 바와같이 내장된 뮤팅회로가 동작하여 국간 잡음이 뮤팅된다. 따라서 출력단자(L, R)로는 귀에 거슬리는 국간 잡음이 출력된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으로 녹음레벨의 지시와 조절이 가능하므로 기기 사용에 편리를 도모할 수 있게 되며 국간 잡음의 출력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귀에 거슬리는 잡음의 청취를 하지 않아도 되게된 것이다.

Claims (1)

  1. 발진기, 고주파수신단, 중간 주파 및 검파단, 멀티 플렉서, 저역통과 여파기로 된 Fm 수신기에 있어서, 저항(R1-R3)과 다이오드(D1) 및 트랜지스터(Q1, Q2)로 된 제 1 스위칭 회로(10)입력은 중간주파 및 검파단(B3)의 뮤팅 신호 출력단자(E0)에 연결하고, 그 출력은 저항(R5)과 다이오드(D3)을 통해 중간주파 및 검파단(B3)의 뮤팅신호 입력단자(I0)에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4), 다이오드(D2) 및 트랜지스터(Q3)로 된 제 2 스위칭 회로(20)에 연결하며, 제 2 스위칭회로(20)의 입력은 스위치(S1)를 통해 전원(B+)에 연결하고, 그 출력은 발진기(B1)전원 단자에 각각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6, R7)과 트랜지스터(Q4) 및 발광다이오드(LED1)로 된 지시회로(30)와 저항(R8, R9), 다이오드(D4) 및 트랜지스터(Q5)로 된 제 3 스위칭회로(40)입력에 연결하며, 제 3 스위칭회로(40)출력은 저항(R10), 다이오드(D5) 및 트랜지스터(Q6)로된 발진기(B1) 뮤팅회로(50)입력에 연결하여서 된 자동 녹음 레벨 지시 및 조절장치.
KR1019870003609A 1987-04-15 1987-04-15 자동녹음 레벨 지시및 조절장치 Expired KR900002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3609A KR900002683B1 (ko) 1987-04-15 1987-04-15 자동녹음 레벨 지시및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3609A KR900002683B1 (ko) 1987-04-15 1987-04-15 자동녹음 레벨 지시및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150A KR880013150A (ko) 1988-11-30
KR900002683B1 true KR900002683B1 (ko) 1990-04-23

Family

ID=1926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609A Expired KR900002683B1 (ko) 1987-04-15 1987-04-15 자동녹음 레벨 지시및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6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150A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8002B1 (ko) 와이얼리스 수신기
US4627101A (en) Muting circuit
KR930010182B1 (ko) 신호 처리 장치
US3806818A (en) Tuning device for receivers
KR900002683B1 (ko) 자동녹음 레벨 지시및 조절장치
US5220685A (en) Mute and automatic restore device for communications receivers
KR850002013Y1 (ko) Am뮤팅회로
US3250997A (en) Encoder-decoder device for selective signaling
US3571714A (en) Lamp arrangement for combined tuning indication and silent tuning in high-frequency receivers
KR800002010Y1 (ko) 자동 하이 브랜드(Hi-BLEND)회로
KR890002373Y1 (ko) 라디오의 수신안테나 자동선택회로
KR840001568Y1 (ko) 뮤트전압을 이용한 시그널 미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40003505Y1 (ko) 음성신호 자동전환 및 자동파워오프 회로
KR890001044Y1 (ko) Am 및 fm 뮤팅회로
KR870003021Y1 (ko) 모니터 겸용 텔레비젼의 음량 조절회로
KR940007499Y1 (ko) 음향 기기의 자동 전원 차단회로
US4530005A (en) AFC circuit for television tuner
KR930006184Y1 (ko) Tv 수상기의 자동이득 제어전압 조정장치
KR890001537Y1 (ko) 위성 텔레비죤 방송수신기의 음성 중간주파수 대역폭 자동 절환회로
US4457011A (en) FM Broadcast band demodulator/stereo decoder
KR880003432Y1 (ko) 라디오의 수신밴드 자동선택회로
KR880000915Y1 (ko) 음성다중 방송시의 음성신호 자동 절환회로
KR820001568Y1 (ko) 뮤팅 회로
KR890009428Y1 (ko) Fm 수신기의 좌·우 채널 혼합량 자동 조절장치
JPS62414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604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6042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