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2648B1 - 영상신호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648B1
KR900002648B1 KR1019860011281A KR860011281A KR900002648B1 KR 900002648 B1 KR900002648 B1 KR 900002648B1 KR 1019860011281 A KR1019860011281 A KR 1019860011281A KR 860011281 A KR860011281 A KR 860011281A KR 900002648 B1 KR900002648 B1 KR 900002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s
recording
component
synthesiz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797A (ko
Inventor
아끼히로 다께우찌
마사아끼 고바야시
가즈히로 야마니시
아쯔오 오찌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648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being recorded in separat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기록 재생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2-채널성분 비데오카세트 레코오더의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기록동작시의 신호파형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재생동작시의 신호파형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재생신호처리부의 절환회로와 스위치 제어회로를 설명하는 신호파형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2-채널성분 비데오카세트 레코오더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6 : 절환회로 4,17 : 스위치제어회로
5,15 : 1H 지연회로 6,7 : 주파수변조기
10 : 전자변환부 13,14 : 주파수복조기
본 발명은 자기테이프등의 기록매체상에 영상신호를 기록함과 동시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영상신호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채널성분신호로 분리된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영상신호기록 재생상치에 관한 것이다.
업무용 또는 방송용 2-채널성분카세트 레코오더로(VCR)는 일본 기술지 "브로오드캐스팅 테크널리지" Vo1. 35, 1982년 10월호의 pp 872-890에 게시되어 있는 M-형 VCR 및 BCAM VCR 등이 공지되어 있다. 2-채널성분 VCR은 자기테이프상에 영상신호로부터 재생한다. 일반적으로 2-채널성분신호는 휘도신호와 색신호(예를들면, 시간축압축된 2개의 색도차신호로 구성되는)이다.
2-채널성분신호는 각각 주파수가 변조되어 주파수변조(FM) 휘도신호 및 색신호로 변환된다. FM 휘도신호 및 FM 색신호는 각각 증폭되어서 휘도 및 색신호기록헤드를 통해서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다. 기록된 FM 휘도신호 및 FM 색신호는 각각 휘도 및 색신호재생헤드(일반적으로, 기록헤드와 동일하다.)를 통해서 자기테이프로부터 재생되고, 증폭 및 주파수복조되어 원래의 2-채널성분신호로 재변환된다.
2-채널성분 VCR은, 특히 고이득기록재생신호증폭기, 회전변압기 및 자기헤드에서 FM 휘도신호와 FM색신호간에 혼선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혼선은 표시스크린상의 재생화상에서 비트로 나타나서 재생화상을 열화시킨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1) 이접한 2개의 회전변압기사이에 단회로링을 설치하는 방법과 (2) 인접한 자기헤드는 3∼5mm의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1)은 회전변압기의 슬롯의 수가 많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든다. 상기 방법(2)는 영상트랙이 3∼5mm만큼 이격되기 때문에 기록밀도가 저하되고, 두 채널간의 시간축에러의 상관관계가 작아진다. 자기헤드를 봉입하는 종래방법도 비용이 많이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채널성분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두 채널간의 혼선을 효율적으로 감소기킴으로써 단순한 구조 및 적은 비용으로 재생화질을 개량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신호기록 재생장치의 기록신호처리부는, 주파수변조 전후의 제 1 및 제 2 채널 성분신호를 nH(n : 임의의 정수, H : 수평동기주기)주기록 절환하여 nH주기록 교호적으로 나타나는 제 1 및 제 2 채널성분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합성신호를 얻는 제 1 절환회로와, 제 1 및 제 2 합성신호중의 하나를 nH주기만큼 지연하여 제 1 및 제 2 합성신호에 포함된 동일 채널성분신호가 각각 동일신간에 기록신호증폭기, 회전변압기 및 기록헤드를 통과하도록 하는 제 1 지연회로로 구성된다. 동일한 신호는 서로 혼선되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두 합성신호중 하나가 다른것보다 nH주기만큼 지연되면 서로간의 방해가 거의 없으므로, 혼선에 의한 방해작용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재생동작중에, 재생된 두 합성신호는 재생헤드, 회전변압기 및 재생신호증폭기에서 서로 방해하는 일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영상신호기록 재생장치의 재생 신호처리부는 주파수복조 전후의 재생된 두 합성신호중 하나(기록신호 처리부에서 지연되지 않은 신호)를 nH주기만큼 지연하여 두 합성신호를 원래의 위상관계로 회복시키는 제 2 지연회로와, 주파수복조 전후의 두 합성신호를 nH주기록 절환하여 원래의 제 1 및 제 2 채널성분신호와 동일한 2-채널성분신호를 얻는 제 2 절환회로로 구성된다.
다음은 대표적인 실시예 및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일층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2-채널성분비데오카세트 레코오더를 도시한다. 제 2 도 및 제 3 도는 각각 기록동작 및 재생동작시의 신호파형도를 도시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입력단자(1) 및 (2)에 입력된 제 1 및 제 2 채널성분신호를 각각 휘도신호(Y)와 색신호(C)이다. 본 실시예의 색신호(C)는 시간축압축된 두 색도차신호(R-Y) 및 (B-Y)를 포함한다. 휘도신호(Y)의 각 수평동기신호(HSYNC신호)의 지속시간 t1은 색신호(C)의 각 수평도기신호(HSYNC)신호의 지속시간 t2보다 길게 즉 t1〉t2이 되도록 설정한다.
휘도 및 색신호(Y) 및 (C)는 절환회로(3)에 의해서 1H(H : 수평동기주기)주기록 절환되어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H 주기록 교호적으로 나타나는 휘도 및 색신호(Y) 및 (C)를 포함하는 두 합성신호(COM1) 및 (COM2)로 변환된다. 절환회로(3)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H의 주기록 상태로를 반전하는 제어신호(I1)에 응동하여 1H주기록 제 1 및 제 2 입력단자(a) 및 (b)를 동시에 교호적으로 선택하는 2개의 절환스위치(31) 및 (32)로 구성된다. 휘도신호(Y)는 절환스위치(31)의 제 1 입력단자(a)와 절환스위치(32)의 제 2 입력단자 (b)에 인가되고 색신호(C) 절환스위치(31)의 제 2 입력단자(b)와 절환스위치(32)의 제 1 입력단자(a)에 인가되기 때문에, 합성신호(COM1) 및 (COM2)는 각각 절환스위치(31) 및 (32)의 출력단자(C)에서 나타난다.
제어신호(I1)는 수평동기신호분리회로(HSS회로)(41) 및 플립플롭회로(FF회로)(42)로 구성되는 스위치제어회로(4)에 의해 휘도신호(Y)의 HSYNC신호로부터 발생된다. HSS회로(41)은 휘도신호(Y)로부터 HSYNC신호를 분리한다. FF회로(42)는 HSS회로(41)의 각 HSYNC신호의 전연에 응동하여 출력상태를 반전함으로써 제어신호(I1)를 발생한다.
절환스위치(31)의 합성신호(COM1)은 1H지연회로(5)에 의해서 1H주기만큼 지연되어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연합성신호(DCOM1)로 된다. 제 2 도의 DCOM1 과 COM2를 보면, 지연합성신호(DCOM1)과 합성신호(COM2)는 동일 타이밍의 동일신호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한 수평선의 휘도신호가 합성신호(COM2)로 나타나는 경우에 다음 수평선의 휘도신호는 지연합성신호(DCOM1)로 나타나고, 한 수평선의 색신호가 합성신호(COM2)로 나타나는 경우에 다음 수평선의 색신호는 지연합성신호(DCOM1)로 나타난다.
지연합성신호(DCOM1)는 주파수변조기(6)에 의해 주파수변조되어 제 1 주파수변조(FM) 합성신호로 되고, 기록신호증폭기(8)에 의해 증폭된 후에 전자변환부(10)에 인가된다. 합성신호(COM2)는 주파수변조기(7)에 의해 주파수변조되어 제 2 FM합성신호로되고, 기록신호증폭기(9)에 의해 증폭된 후에 전자변환부(10)에 인가된다. 증폭기(8) 및 (9)에 의해 증폭된 제 1 및 제 2 FM합성신호는, 동일신호(FM 휘도신호 또는 FM 색도신호)가 동일타이밍으로 증폭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FM합성신호는 기록신호증폭기(8) 및 (9)에서 혼선에 의해 서로 방해받지 않는다.
전자변환부(10)에 입력된 제 1 및 제 2 FM합성신호는 각각 기록재생선택스위치(101) 및 (102)를 통과하여 헤드절환회로(113)에 인가되고, 공지된 방식으로 회전원주(107)의 축에 장착된 회전변압기 (104)를 통해서 회전원주(107)에 장착된 자기헤드(103) 내지(106)에 분산된다. 자기헤드(103) 내지 (106)은 소정의 각도(예를들면, 180°)만큼 회전원주(107)에 감기는 자기테이프(108)상에 두 FM합성신호를 기록한다. 자기헤드(103) 내지(106)은 자기테이프(108)상에 영상트랙패턴을 제작할 수 있는 어떠한 종래방식으로 배열하여도 무방하다. 자기테이프(108)은 캡스탄(109) 및 핀치로울러(110)에 의해 구동되고 가이드포스트(111) 및 (112)에 의해 안내되어서 공지된 방식으로 소정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기록재생선택스위치(101)은 공지된 방식으로 VCR의 REC버튼(도시하지 않음) 또는 PLAY버튼(도시하지 않음)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기록재생절환신호에 응동하여 기록동작시에는 출력단자(C)가 기록단자(r)에 접속되고 재생동작시에는 출력단자(C)가 재생단자(P)에 접속된다. 헤드절환회로(113)은 헤드위치검출기(115)에 의해 발생하는 헤드절환신호에 응동하여 기록재생선택스위치(101)의 출력단자(C)는 회전변압기(114)중 2개를 통해서 자기헤드(103) 및 (105)에 교호적으로 접속되고, 기록재생선택스위치(102)의 출력단자(C)는 회전변압기(114)중 다른 2개를 통해서 자기헤드(104) 및 (106)에 교호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FM합성신호는 각각 동일타이밍의 자기헤드(103) 및 (104)와, 다른 동일타이밍의 자기헤드(105) 및 (106)을 통해서 자기테이프(108)상에 기록된다. 자기헤드(103) 및 (104)는 서로 근접 배열되고 자기헤드(105) 및 (106)도 서로 근접배열되기 때문에, 자기헤드(103) 및 (104)와 자기헤드(105) 및 (106)의 제 1 및 제 2 FM합성신호간에 혼선이 발생한다. 회전변압기(114)에서도 혼선이 발생한다. 그러나, 두 FM합성신호는 동일타이밍에서 나타나는 동일한 FM성분신호를 포함하기 때문에, 자기헤드 또는 회전변압기에서의 혼선은 두 FM합성신호간의 상호 방해작용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재생동작시에, 기록된 두 FM합성신호는 자기헤드(103) 내지(106)에 의해 재생되고, 회전변압기(114), 헤드절환회로(113) 및 기록재생선택스위치(101) 및 (102)를 통과하여 자기변환부(10)에서 출력된다. 이때에도, 재생된 두 FM합성신호는 자기헤드 또는 회전변압기의 혼선에 의해 서로 방해받는 일이 거의 없다.
제 1 도에 도시한 전자변환부(10)의 내부구성은 일례에 불과하며, 다른 어떤 내부구성을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자기헤드(103) 내지(106)의 배열을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동일신호가 기록된 부분이 영상트랙의 세로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영상트랙패턴을 제작할 수 있어서, 인접한 두 영상트랙상의 신호간의 혼선에 의한 방해작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다시 제 1 도를 보면, 전자변환부(10)에서 출력된 재생된 제 1 및 제 2FM합성신호는 각각 재생신호증폭기(11) 및 (12)에 의해 증폭된다. 재생된 두 FM합성신호도 증폭기(11) 및 (13)에서의 혼선에 의해 서로 방해받는 일이 거의 없다.
증폭기(11)에 의해 증폭된 재생된 제 1FM합성신호는 주파수복조기(13)에 의해 주파수복조되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래의 지연된 제 1 합성신호(DCOM1)과 동일한 재생된 제 1 합성신호(RCOM1)으로 된다. 증폭기(12)에 의해 증폭된 재생된 제 2 FM합성신호는 주파수복조기(14)에 의해 주파수복조되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래의 제 2 합성신호(COM2)와 동일한 재생된 제 2 합성신호(RCOM2)로 된다.
재생된 제 2 합성신호(RCOM2)는 1H지연회로(15)에 의해 1H만큼 지연되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연 재생된 제 2 합성신호(DRECOM2)로 된다. 이 결과, 재생된 제 1 합성신호(RCOM1)과 지연재생된 제 2 합성신호(DRCOM2)간의 타이밍관계는 원래의 제 1 합성신호(COM1)과 원래의 제 2 합성신호(COM2)간의 타이밍관계와 동일하게 된다.
재생된 제 1 합성신호(RCOM1)과 지연재생된 제 2 합성신호(DRCOM2)는 1H주기록 절환회로(16)에 의해 절환되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 원래의 휘도 및 색신호(Y) 및 (C)와 동일한 재생된 휘도신호(RY) 및 재생된 색신호(RC)로 된다.
2개의 전환스위치(161) 및 (162)로 구성되는 절환회로(16)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H주기록 상태를 반전하는 제어신호(I2)에 응동하도록 절환회로(3)과 동일한 구성을 하며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제어신호(I2)는 수평동기신호분리회로(HSS회로)(171), 이원카운터(172), 단조다중발진기회로(MM회로)(173) 및 논리 AND게이트(174) 및 (175)로 구성되는 스위치제어회로에 의해 재생된 제 1 합성신호(RCOM1)에 발생된다. HSS회로(171)은 재생된 제 1 합성신호(RCOM1)에서 수평동기신호(HSYNC신호)를 분리한다. HSS회로(171)에서 출려된 HSYNC신호는 이원카운터(172)의 클록단자(CK)에 인가되어 이원카운터(172)가 HSS회로(171)의 각 HSYNC신호에 응동하여 출력상태를 반전함으로써, 제어신호(I2)가 발생된다. 이원카운터(172)는 플립플롭회로로 대치하여도 된다. MM회로 (173)과 AND 게이트(174) 및 (175)로 구성된 회로는 재생동작시에 제일먼저 도달되는 HSYNC신호가 색신호의 HSYNC신호의 경우에 이원카운터(172)의 리셋단자(RST)에 인가된 리셋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 동작은 재생된 휘도 및 색도신호(RY) 및 (RC)를 비데오카세트레코오더의 출력단자(18) 및 (19)에서 각각 정확하게 얻는데 필요한 것이다. 다음은 제 4 도에 도시한 신호파형도에 의거하여 스위치제어회로(17) 및 절환회로(16)의 동작을 일층 상세히 설명한다.
절환스위치(161) 및 (162)는 제어신호(I2)가 고레벨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출력단자(C)가 제 1 입력단자(a)에 접속되고, 제어신호(i2)가 저레벨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출력단자(c)가 제 2 입력단자(b)에 접속된다. 따라서, 제어신호(I2)가 고레벨상태에 있는 경우에 재생된 제 1 합성신호(RCOM1)과 지연재생된 제 2 합성신호(DRCOM2)는 각각 출력단자(18) 및 (19)에서 나타나고, 제어신호(I2)가 저레벨상태에 있는 경우에 신호(RCOM1) 및(DRCOM2)는 각각 출력단자(19) 및 (18)에서 나타난다.
제 4 도를 보면, 신호(RCOM1)은 RC1,RY2,RC3,RY4…(각 번호는 가 수평선의 번호를 표시한다.)의 순으로 교호적으로 나타나는 재생된 색신호 및 휘도신호를 포함하고, 신호(DRCOM2)는 RY1,RC2,RY3,RC4…의 순으로 교호적으로 나타나는 재생된 휘도 및 색신호를 포함한다. HSS회로(171)에 의해 신호(RCOM1)으로부터 분리된 HSYNC신호에 있어서, 지속시간이 t2인 HSYNC신호와 지속시간 t1(t1〉t2)인 HSYNC신호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호적으로 나타난다. 제 4 도는 재생동작시의 신호(RCOM1)에 재생된 색신호(RC1)이 제일먼저 나타나는 경우의 신호파형도이다.
MM회로(173)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HSS회로(171)에서 출력된 모든 HSYNC신호에 응동하여 t2보다는 길고 t1보다는 짧은 t1〉t〉t2지속시간 t를 가지는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AND게이트(174)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HSS회로(171)로 MM회로(173)의 출력신호의 논리 AND신호를 발생한다. 지속시간 t가 t1〉t〉t2가 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AND게이트(174)는 지속시간이 t2인 HSYNC신호(즉, 색신호의 HSYNC신호)가 도달하는 경우에만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제일먼저 도달하는 재생된 색신호(RC1)로부터 분리된 HSYNC신호(HSYNC1)이 도달되면, MM회로(173)은 그것의 제 1 펄스신호(M1)을 발생하고, AND게이트(174)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속신간 t2후에 제 1 펄스신호(P1)을 발생한다. 한편, 이원카운터(172)의 출력은 HSYNC1의 전연에 응동하여 높아지게 된다. AND게이트(175)는 AND게이트(174) 및 이원카운터(173)의 출력신호의 논리 AND신호를 발생하도록 접속되기 때문에, 리셋펄스(RESET)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속시간 t2후에 AND게이트(175)에 의해 발생된다. 이원카운터(173)은 리셋펄스에 의해 재고정되어서, 그 출력이 낮아지도록 귀환된다.
다음에 도달하는 HSYNC신호(HSYNC20는 재생된 휘도신호(RY2)로부터 분리되고 지속시간이 t1이다. 따라서, AND게이트(174)는 펄스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원카운터(173)은 HSYNC2의 전연에 응동하여 계산을 시작함으로써 그 출력이 높아진다.
AND게이트(174)의 출력은 낮게 유지되므로, AND게이트(175)는 리셋펄스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에도,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셋펄스의 발생조건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원카운터(173)은 정상동작을 유지하여 제어신호(I2)를 발생한다.
이원카운터(173)의 출력 또는 제어신호(I2)에 응동하여,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출력단자(18)에서 나타나는 신호는 정확히 RY1, RY2, RY3, RY4, …의 순으로 재생휘도신호를 포함하고, 출력단자(19)에서 나타나는 신호는 정확히 RC1, RC2, RC3, RC4, …의 순으로 재생색신호를 포함한다. 제 1 수평선에서 재생휘도 및 색신호(RY) 및 (RC)가 불완전한 부분은 아무런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제 1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변조기(6) 및 (7)은 절환회로 (3)과 1H 지연회로(5)뒤어 배치되고, 주파수복조기(13) 및 (14)는 1H 지연회로(15)와 절환회로(16)앞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파수변조기(6) 및 (7)은 절환회로(3)과 1H 지연회로(5)앞에 배치되고, 주파수복조기(13) 및 (14)는 1H 지연회로(15)와 절환회로(16) 뒤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스위치제어회로(4)는 제 1 도와 마찬가지로 입력휘도신호(Y)로부터 제어신호(I1)을 발생하고, 절환회로(3)은 FM휘도 및 색도신호(FMY) 및 (FMC)를 1H 주기록 절환한다. 증포기(11)에서 출력된 재생된 제 1 합성신호는 주파수복조기(20)에 의해 주파수복조되고, 스위치제어회로(17)은 주파수복조기(20)의 출력신호로부터 제어신호(I2)를 발생한다. 증폭기(12)에서 출력된 재생된 제 2 합성신호는 1H 지연회로(15)에 의해서 1H 주기만큼 지연된다. 절환회로(16)은 증폭기(11)로부터의 재생된 제 1 합성신호와 1H 지연회로(15)로부터 지연재생 제 2 합성신호를 1H 주기록 절환하여 재생된 FM 휘도 및 색신호(RFMY) 및 (RFMC)를 얻고, 이것은 주파수복조기(13) 및 (14)에 의해 주파수 복조되어 재생된 휘도 및 색신호(RY) 및 (RC)로 된다.
제 5 도의 실시예는 동일한 주파수변조기 및 동일한 주파수복조기에 의해서 휘도 및 색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2조의 주파수변조기의 성능변화에 의해 그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신호절환주기를 1H로 하지 않고 nH(n : 임의의 정수)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FF회로(42) 및 이원카운터(172)는 n-카운터로 대치되고, 1H 지연회로(5) 및 (15)는 지연시간이 nH인 nH 지연회로로 대치된다.
또한, 절환회로(3) 및 (6)과 스위치제어회로(4) 및 (17)의 내부구성은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행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에 통상적으로 사용된 각종회로를, 예를들면, 기록신호처리부에 전치강조회로를, 재생신호처리부에 비강조회로를 부가할 수 있다.
또, 색신호는 시간축압축된 2개의 색차신호를 포함하는 신호가 아니라 색신호정보를 가지는 다른 신호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상에 2-채널성분신호를 기록하는 어떤 종류의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9)

  1. 기록매체상에 2-채널성분의 영상신호를 기록함과 동시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2-채널성분신호의 제 1 성분신호와 상기 2-채널성분신호의 제 2 성분신호를 nH(n : 임의의 정수, H : 상기 영상신호의 수평도기주기)로 절환하여 nH주기록 교호적으로 나타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성분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합성신호를 얻는 제 1 절환수단(3)(4)과, 상기 제 1 합성신호를 nH만큼 지연하여 지연된 제 1 합성신호를 얻는 제 1 지연수단(5)과, 상기 지연된 제 1 합성신호와 상기 제 2 합성신호를 각각 제 1 및 제 2 기록 가능신호로 변화는 기록신호처리수단(6)(7)(8)(9)과, 상기 기록매체상에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가능신호를 기록함과 동시에 기록된 제 1 및 제 2 기록가능신호를 사이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하는 기록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가능신호를 각각 상기 지연된 제 1 합성신호 및 상기 제 2 합성신호로 변환하는 재생신호처리수단(11)(12)(13)(14)과, 상기 재생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 2 합성신호를 nH만큼 지연하여 지연된 제 2 합성신호를 얻는 제 2 지연수단(15)과, 상기 재생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지연된 제 1 합성신호와 상기 지연된 제 2 합성신호를 nH주기록 절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성분신호를 얻는 제 2 절환수단(16)(1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성분신호는 상기 영상신호중 휘도신호 및 색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환수단(3)(4)은 nH주기록 상태를 반전하는 제어신호에 응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성분신호를 nH주기록 절환하는 절환회로(13)와, 상기 제 1 및 제 2 성분신호중의 하나로부터 수평동기신호를 분리함과 동시에 이 수평동기신호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제어회로(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환수단(16)(17)은 nH주기록 상태를 반전하는 제어신호에 응동하여 상기 재생지연된 제 1 및 제 2 합성신호를 nH주기록 절환하는 절환회로(16)와, 상기 재생지연된 제 1 및 제 2 합성신호중의 하나로부터 수평동기신호를 분리함과 동시에 이 수평동기신호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제어회로(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제어회로(17)에는 상기 제어신호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회로가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성분신호가 상기 절환회로(16)의 소정출력단자에서 개별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신호처리수단(6)(7)은 상기 지연된 제 1 합성신호 및 상기 제 2 합성신호를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가능신호인 제 1 및 제 2 주파수변조신호로 변환하는 제 1 및 제 2 주파수변조기(6)(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신호처리수단(13)(14)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제 1 및 제 2 주파수변조신호를 각각 상기 지연된 제 1 합성신호 및 상기 제 2 합성신호로 변환하는 제 1 및 제 2 주파수복조기(13)(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8. 기록매체상에 2-채널성분의 영상신호를 기록함과 동시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2-채널성분신호중 제 1 성분신호를 주파수변조된 제 1 성분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주파수변조기(6)와, 상기 2-채널성분신호중 제 2 성분신호를 주파수변조된 제 2 성분신호로 변환하는 제 2 주파수변조기(7)와, 상기 주파수변조된 제 1 및 제 2 성분신호를 nH주기(n : 임의의 정수, H : 상기 영상신호의 수평동기주기)로 절환하여 nH주기록 교호적으로 나타나는 상기 주파수변조된 제 1 및 제 2 성분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합성신호를 얻는 제 1 절환수단(3)과, 상기 제 1 합성신호를 nH만큼 지연하여 지연된 제 1 합성신호를 얻는 제 1 지연수단(5)과, 상기 기록매체상에 상기 지연된 제 1 합성신호 및 상기 제 2 합성신호를 기록함과 동시에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기록지연된 제 1 합성신호 및 제 2 합성신호를 재생하는 기록재생수단(13)(14)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제 2 합성신호를 nH만큼 지연하여 지연된 제 2 합성신호를 얻는 제 2 지연수단(15)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상기 지연된 제 1 합성신호와 상기 지연된 제 2 합성신호를 nH주기록 절환하여 상기 주파수변조된 제 1 및 제 2 성분신호를 얻는 제 2 절환수단(17)(16)과, 상기 제 2 절환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주파수변조된 제 1 성분신호를 상기 제 1 성분신호로 변환하는 제 1 주파수복조기(13)과, 상기 제 2 절환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주파수변조된 제 2 성분신호를 상기 제 2 성분신호로 변환하는 제 2 주파수복조기(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성분신호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KR1019860011281A 1985-12-26 1986-12-26 영상신호기록 재생장치 Expired KR900002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93820A JPS62152292A (ja) 1985-12-26 1985-12-26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293820 1985-12-26
JP60-293820 1985-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797A KR870006797A (ko) 1987-07-14
KR900002648B1 true KR900002648B1 (ko) 1990-04-21

Family

ID=1779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281A Expired KR900002648B1 (ko) 1985-12-26 1986-12-26 영상신호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07050A (ko)
JP (1) JPS62152292A (ko)
KR (1) KR900002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7427A (en) * 1992-05-05 1994-02-15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of making an article comprising an optical component, and article comprising the component
JPH09215007A (ja) * 1996-02-01 1997-08-15 Sony Corp 映像信号処理回路
JP2003303722A (ja) * 2002-02-06 2003-10-24 Funai Electric Co Ltd ビデオ一体型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のシールド構造およびビデオ装置のシールド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610400A (nl) * 1976-09-20 1976-12-31 Philips Nv Kleurentelevisiesysteem.
US4179705A (en) * 1978-03-13 1979-12-18 Faroudja Y 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hrominance and luminance with adaptive comb filtering in a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JPS5545222A (en) * 1978-09-26 1980-03-29 Sony Corp Vtr
JPS56132085A (en) * 1980-03-21 1981-10-16 Victor Co Of Japan Ltd Recording system and recording plus reproducing system for color video signal
JPS57150285A (en) * 1981-03-12 1982-09-17 Victor Co Of Japan Ltd Magnetic recording system of sound signal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JPS57152506A (en) * 1981-03-16 1982-09-20 Victor Co Of Japan Ltd Magnetic recording system
DE3131853C2 (de) * 1981-08-12 1987-08-2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m Aufzeichnen und/oder Wiedergeben von breitbandigen Signalen
US4533936A (en) * 1983-03-28 1985-08-0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s
JPS60117985A (ja) * 1983-11-30 1985-06-2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映像信号の記録再生方式
JPH0669227B2 (ja) * 1984-07-11 1994-08-31 ソニー株式会社 Y/c分離器
JPS61265990A (ja) * 1985-05-21 1986-11-25 Victor Co Of Japan Ltd 磁気記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52292A (ja) 1987-07-07
US4807050A (en) 1989-02-21
KR870006797A (ko) 198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51538B1 (en) Video tape recorder
US4743977A (en) VTR having magnetic-head array capable of recording/reproducing signals of a plurality of recording systems
US4549224A (en) Digital video tape recorder that can be used with different television systems
US4628369A (en) Video signal dropout compensation circuit
US4686584A (en) Video signal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noise reduction for fast video reproduction
US4825300A (en) Magnetic video recording system and method with horizontal synchronization interval alignment
US5280394A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mode of a recorded digital audio signal by detecting different clock frequencies at selected times
KR900002648B1 (ko) 영상신호기록 재생장치
JPS5827716B2 (ja) ジキキロクソウチ
US5878185A (en)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a video signal using a rotary head
US4709275A (en)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and/or reproducing two-channel audio signals together with a color video signal in successive oblique tracks on a magnetic tape
KR900002647B1 (ko) 영상 신호 기록 재생장치
JPH0566667B2 (ko)
US5181125A (en) Apparatus for muting noise resulting from reproducing of a PCM audio signal recorded in an extension of a slant track containing a recorded video signal
KR870006798A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
US4811119A (en) Apparatus for high-density minimal crosstalk recording and reproducing of ter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using a magnetic tape
JPH06103945B2 (ja) 記録再生装置
JP256946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94257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2630300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117548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172097A (ja) カラー映像信号の磁気記録再生方法
JPH0476555B2 (ko)
JPH02174487A (ja) 映像信号記録装置
JPS62207094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6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003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0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4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4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4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4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0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0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1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