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2322Y1 - 형틀 장치 - Google Patents

형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322Y1
KR900002322Y1 KR2019840002556U KR840002556U KR900002322Y1 KR 900002322 Y1 KR900002322 Y1 KR 900002322Y1 KR 2019840002556 U KR2019840002556 U KR 2019840002556U KR 840002556 U KR840002556 U KR 840002556U KR 900002322 Y1 KR900002322 Y1 KR 900002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tal material
auxiliary
mold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040U (ko
Inventor
아사꼬 마끼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아루미노
마끼노 아사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아루미노, 마끼노 아사고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아루미노
Publication of KR8500040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0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3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틀 장치
도면은 본 고안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 1 도는 본 형틀의 정면도.
제 2 도와 제 3 도는 금속재와 보조금속재의 단면도.
제 4 도와 제 5 도는 금속재의 결합구조를 표시하는 일부 절단한 정면도 및 평면도.
제 6 도와 제 7 도는 금속재와 보조금속재의 결합구조를 표시하는 일부 절단한 정면도 및 평면도.
제 8 도는 연결금속구의 사시도.
제 9 도와 제 10 도는 연결금속구의 측면도 및 평면도.
제 11 도는 연결금속구를 보조 금속재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제 12 도는 형틀에 연결금속구와 지지금속구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제 13 도는 지지금속구의 사시도.
제 14 도는 제 15 도는 지지금속구의 변형예와 그 부착방법.
제 16 도는 지지금속구의 다른 변형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 17 도는 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틀체 2,3 : 보조금속제
5 : 판재 7 : 주(主)중공부재
8 : 기립된 가장자리부분 9 : 안쪽 가장자리부분
10 : 고착부 12,13,17,18 : 둥근홈
15 : 주부재 16: 고착된 가장자리부분
19,20 : 나사 52 : 고정재
60,65b,70d : 고정수단 A : 형틀
B : 연결금속구 C : 지지금속구
a : 돌출편 b : 끝면
c : 끝면 d : 안쪽면
i : 돌출편의 작은구멍 j : 안쪽면의 작은구멍
본 고안은 콘트리트의 타실작업할때에 사용하는 형틀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콘트리트의 형틀장치는 알루미늄등의 금속의 일발재(引拔材)를 틀을 짜고, 여기에 합판 등의 판재를 붙여서 형틀을 연결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었다.
이 형틀은 튼튼하고 내구력이 풍부하며, 또한 정밀도가 높고 사용하기 쉬운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보조금속구를 사용하여 금속재를 결합하여 틀체를 조립하고 있으므로 이 제조에 수고와 시간이 걸려서 제조원가인 점에서 불리하며, 또 복수의 형틀을 가로 또는 세로로 연결하도록 하는 경우 형틀 상호단의 연결접합부에 콘트리트가 흘러 나와서 굳어지기 때문에 형틀의 이탈에 수고와 시간이 걸리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하에 그 상세한 것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은 형틀(A)와 연결금속구(B)와 지지금속구(C)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형틀장치의 1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형틀(A)를 구성하는 틀체(1)은 좌우 2개의 금속재(2)(2)와 상하 2개의 금속재(3)(3) 및 보조금속재(4)를 평면형상으로 결합하여 조립되며, 틀체(1)의 한쪽면(도면에서는 뒷면)에 베니어 등의 판재(5)가 장설됨과 아울러 틀체(1)의 외주면에는 금속재(2)(3)에 따라서 시일재(탄성재)(6)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금속재(2)(3)은 제 2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4각형의 횡단면 형상을 보유하는 주중공부재(7)의 한쪽의 바깥쪽 끝부분에 기립된 가장자리부분(8)과 안쪽 가장자리부분(9)으로 판재(5)의 고착부(10)를 형성하고, 주중공부재(7)의 내면에는 일부를 절결한 둥근홈(11)(12)(13)을 주중공부재(7)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형성함과 아울러 기립된 가장자리부분(8)과 이것이 존재하는 주중공부재(7)의 각각 그 바깥쪽면에는 안쪽 깊은 부분을 넓게한 개미모양홈(dovetail groove)구조의 2개의 지착홈(14)(14)를 주중공부재(7)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여 제작되어 있다.
상기한 지착홈(14)에는 적당한 탄력을 보유하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서 기립된 가장자리부분(8)과 같은 높이의 시일재(6)가 갑입된다.
또 상기한 보조금속재(4)는 제 3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U모양의 횡단면 형상을 보유하는 주부재(15)의 개구부에 양쪽에 판재(5)를 나사(도면 표시 아니하였음)등으로서 고착하는 고착된 가장자리부분(16)이 설치되고 또한 그 주부재(15)의 내면에는 일부를 절결한 둥근홈(17)(18)을 주부재(15)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형성하여 제작되어 있다.
또, 주부재(15)의 밑바닥부분에는 채널형상의 홈(4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금속재(2)(3)(4)는 보통 알루미늄등의 인발가공으로서 제조된다.
상기한 금속재(2)(3)의 결합에는 제 4 도와 제 5 도에 표시되어 있다.
즉 금속재(3)은 그 끝부분에 돌출설치된 돌출편(a)을 금속재(2)의 끝면(b)에 당접시키고, 또 자체(자신)의 끝면(c) 및 자체의 안쪽 가장자리부분(9)의 끝면(e)을 금속재(2)의 안쪽면(d)에 당접시킴과 아울러 자체의 안쪽 가장자리부분(9)의 측면(f)를 금속재(2)의 끝면(g)에 당접시키는 한편, 돌출편(a)에 천설된 작은 구멍(i)에서 금속재(2)의 둥근홈(13)에 나사(9)를 틀어서 고착시키고, 또 금속재(2)의 안쪽면(d)에 뚫린 작은구멍(j)에서 자체의 둥근홈(12)에 나사(20)를 틀어 고착시켜서 금속재(2)에 일체로 결합되어 진다.
또한 제 4 도의 금속재(2)는 제 2 도(ㄱ)-(ㄱ)의 위치에서 단면으로 되며, 또 금속재(3)는 제 2 도 (ㄴ)-(ㄴ)의 위치에서 단면으로 되어 있다.
전기한 금속재(3)과 보조금속재(4)의 결합에는 제 6 도와 제 7 도에 표시된다.
즉, 보조금속재(4)는 자체의 끝면(k)를 금속재(3)의 안쪽면(e)에 당접시키고, 자체의 고착된 가장자리 부분(16)의 측면(l)에 금속재(3)의 안쪽 가장자리부분(9)의 안쪽끝면(m)을 당접시킴과 아울러 금속재(3)의 안쪽면(e)에 천설된 작은구멍(n)에 나사(21)를 자체의 둥근홈(17)(18)에 틀어 도착시키셔 금속재(3)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 6 도의 금속재(3)은 제 2 도(ㄷ)-(ㄷ)의 위치에서 단면으로 되고, 또 보조금속재(4)는 제 3 도 (ㄹ)-(ㄹ)의 위치에서 단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중(22)는 나사(20)를 작은구멍(j)에서 둥근홈(12)에 틀어서 고착시키기 위하여 천공된 투공, (23)은 나사(21)를 작은구멍(n)에서 둥근홈(17)(18)에 틀어성 고착시키기 위하여 천공된 투공, (24)은 안쪽 가장자리부부(9)에 판재(5)를 못이나 나사등으로서 고착하기 위하여 설치된 작은구멍이며,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고착된 가장자리부분(16)이나 기립된 가장자리부분(8)등에도 필요에 따라서 천설한다.
(25)는 금속재(2)(3)(4)의 바깥쪽면에 그것들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각설된 V자모양의 홈으로서 투공(22)(23)등의 천설위치의 산출 등에 이용된다.
도면의 실시예의 것에 있어서는 보조금속재(4)는 좌우 2개의 금속재(2)(2)의 중간위치에서 그것들과 평행하게 1개 밖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이 보조금속재(4)의 사용갯수는 임의로서 형틀의 크기 등에 따라서 증감할 수가 있으며 또 보조금속재(4)를 금속재(3)(3)의 사이에 각각 그것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시일재(6)의 지작홈(14)의 형성위치 및 갯수도 임의이다.
한편, 연결금속구(B)는 형틀(A)을 구축물의 형상으로 합치시켜 배설한 상태로서 인접하는 금속재
(2)(2),(3)(3)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 8 도 내지 제 10 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ㄷ자모양의 협지부재(31)과, 협지부재(31)의 양쪽면에 대향하여 설치된 구멍(32)에 삽통하는 둥근모양의 레버(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협지부재(31)의 개부는 틀체(1)의 금속재(2)의 폭이 대략 2배로 설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측면의 한쪽에는 레버(33)을 계지하는 계지편(34)가 전기한 구멍(32)의 상부에 있어 측면과의 사이에 계지간격(34a)을 형성하여서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계지편(34)을 설치한 측면의 구멍(32)의 둘레에는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하는 돌출된 가장자리부분(32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기한 레버(33)은 크게 팽창된 모양의 머리부분(33a)를 갖추며 또한 길이(L)가 협지부재(31)의 개구부의 폭(W)보다도 약간 짧게 설정된 근기부(33b)와, 핀(33c)에 의하여 한쪽방향으로 굴곡자재하게 근기부(33b)에 설치된 선단부(33d)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레버(33)의 머리부분(33a)에는 전기한 계지편(34)에 설치된 와이어(33e)가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금속구(B)로 금속재(2)(2)에 설치함에는 금속재(2)(2)에 형성되 레버삽통공이 서로 일치되도록 형틀(A)의 금속재(2)(2)끼리를 인접시키고, 이 상태에서 연결금속구(B)의 협지부재(31)를 감입하여 구멍(32)와 전기한 레버 삽통공을 일치시키며, 이어서 레버(33)을 구멍(32) 및 레버삽통공에 삽통하고 그후 레버(33)의 선단부(33d)를 금속재(2)의 길이방향으로 굴곡시켜서 제 9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33d)를 위쪽으로 대략 90°회동시켜서 계지간극(34e)에 게지하면 좋다.
이경우, 레버(33)의 근기부(33b)는 협지부재(31)의 개구부의 폭(W)보다도 약간 짧게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구멍(32)의 둘레에는 돌출된 가장자리부분(3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버(33)의 선단부(33d)를 금속재(2)의 길이방향으로 굴곡시키도록하면 선단부(33d)의 굴곡부(33f)가 돌출된 가장자리부분(32a)에 당접되어서 선단부(33d)와 근기부(33b)의 굴곡 각도가 90°보다도 약간 큰 각도(α)로 된다(제 10 도).
이상태에서 레버(33)의 선단부(33d)를 금속재(2)쪽으로 압압하면서 위쪽으로 회동시켜서 계지간극(34a)에 계지시키면 선단부(33d)의 굴곡부(33f)가 구멍(32)의 돌출되 가장자리부분(32a)를 압압당접하고, 굴곡부(33f)와 머리부분(33a)에 의하여 연결금속구(B)의 양쪽면에서, 즉 금속재(2)(2)를 측면에서 긴밀하게 조이므로 형틀(A)끼리를 강력하게 고착하고, 또한 간단하게 연결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연결금속구(B)를 금속재(2)(2)에서 해제함에는 반대의 순서를 취하면 된다.
다른 한편, 지지금속구(C)는 제 13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형틀(A)의 보조금속재(4)에 협착되는 협재부재(51)과 전기한 형틀(A)을 고정하는 고정재(52)를 삽통지하는 지지부재(53)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협지부재(51)은 1쌍의 평판(54)(54)가 틀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대향배치 되어 있어서 이 평판(54)(54)의 중간에는 서로 대향하는 볼트 삽입공(55)(55)에는 전기한 보조금속재(4)에 감합하기 용이하도록 절곡부(56)(56)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약간 절곡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전기한 지지부재(53)은 한장의 대(帶)모양의 판을 ㄷ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헝된 삽통부(57)과, 이 삽통부(57)의 양쪽 끝부분을 각각 바깥쪽으로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연결부(58)(5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협재부재(51)의 양윗쪽끝부분에 지지부재(53)의 연결부(58)(58)이 용접등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어서 전기한 연결부(58)(58)이 협재부재(51)에 고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는 전기한 보조금속재(4)의 한쪽면이 노출하는 개구부(5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60)은 지지금속구(C)를 형틀(A)의 보조금속재(4)에 고정하는 볼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금속구(C)는 그 협재부재(51)를 형틀(A)의 보조금속재(4)에 감합함과 아울러 보조금속재(4)에 설치된 구멍에 전기한 협재부재(51)의 볼트 삽통공(55)(55)를 일치시켜서 볼트(60)를 삽입하여 조여서 고정시킨다.
다음이 이 지지금속구(C)의 삽통부(57)에 형틀(A)의 뒤틀림, 만곡등의 변형을 방지하는 고강재(52)를 삽입하여 홈타이(61)로서 고정한다.
이때, 전기한 보조금속재(4)의 한쪽면이 지지금속구(C)의 개구부(59)에 노출하고 있으므로서, 이 노출면 즉 전기한 보조금속재(4)의 한쪽면을 직접 고정재(52)의 측면에 당접하고, 이 때문에 형틀(A)전체의 뒤틀림이나 만곡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형틀(A)가 조립되고, 그후 콘트리트를 흘러넣어 시공을 행한다.
이어서, 다음 단계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조립된 형틀(A)의 홈타이(61)를 떼어낸 후 전기한 형틀전체를 이동시킨다.
이때, 전기한 고정재(52)가 지지금속구(C)의 삽통부(57)내에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삽통부(57)에서 전기한 고정재(52)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형틀전체의 이동에 즈음해서도 형틀(A)가 뒤틀리거나, 또는 형틀(A)가 부분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 14 도는 지지금속구(C)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 지지금속구(C')는 대략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본체(65)와, 그 지지본체(65)의 한쪽끝에 설치된 게지부(65a)와, 다른 쪽 끝에 설치된 고정부(65b)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지금속구(C')를 보조금속재(4)의 홈(4a)에 설치함에도 제 15 도(a)(b)(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65a)를 홈(4a)에 계지하고, 고정부(65b)의 보조판(65c)를 홈(4a)에 감입하여 회동시켜 나비모양 나사(65d)로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지지금속구(C')의 개구부(65e)에 보강재(52)를 삽통하면 된다.
또 제 16 도와 제 17 도는 지지금속구(C)의 다른 변형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 지지금속구(C")의 특징은 보강재(52)를 보조금속재(4)에 고정할 수 있는 점이다.
이 지지금속구(C")는 ㄷ자 모양의 지지본체(70)와, 이 지지본체(70)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판(71)과 상부에 스톱판(72)를 용접한 압압판(7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지본체(70)의 상부에는 나비모양 나사(74)를 틀어 넣는 나사구멍(70a)이, 양쪽면에는 압압판(73)의 양쪽끝을 접동자재하게 삽입하는 슬릿(70b)이 또 양쪽끝에는 보조금속재(4)의 홈(4a)에 계지하는 계지부(70c)와 고정부(70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금속구(C")를 보조금속재(4)에 설치하는 방법은 전기한 변형예의 지지금속구(C')와 대략 동일하나, 이 지지금속구(C")에 있어서는 나비모양 나사(74)의 아래쪽끝부분에 고착된 너트(74a)에 의하여 압압판(73)을 눌러서 하강시키면 압압판(73)과 보조금속재(4)와의 사이에 삽입된 고정재(52)를 보조금속재(4)에 고정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의 형틀장치는 상기한 구조로서, 상하좌우의 금속재(2)(3)은 금속재(3)의 돌출편(a)에 금속재(2)의 끝면(b)를 당접시키고, 또 금속재(2)의 끝면(b)를 당접시키고, 또 금속재(2)의 안쪽면(d)에 금속재(3)의 끝면(c)을 당접시킴과 아울러 돌출편(a)의 작은 구멍(i)에서 금속재(2)의 둥근홈(13)에 나사(19)를 틀어서 고착시키고, 또한 금속재(2)의 안쪽면(d)의 작은 구멍(j)에서 금속재(3)의 둥근홈(12)에 나사(20)를 틀어 고착시켜서 서로 일체로 조립되어 있으므로 조립강도가 강하고 또한 종래의 형틀과 같이 보조 금속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립이 용이하며, 대량생산을 하기가 쉽고, 제조원가도 낮은 장점이 있다.
또 외주면에는 시일재(6)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가로 또는 세로에 연결된 인접하는 2개의 형틀상호간의 연결 접합면의 액밀성(液密姓)이 양호하며, 이 부분에 콘트리트가 흘러서 굳는 일이 적으므로 형틀의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판재(5)는 기립된 가장자리부분(8)에 의하여 둘러쌓인 고착부(10)에 감차괴어서 틀 체(1)에 부착되는 구조이므로, 판재(5)의 틀체(1)에 대한 고착력이 강하고, 그 뿐만 아니라 판재(5)가 기립된 가장자리부분(8)에 의하여 보호되기 때문에 그 옆부분의 파손이 가급적 억제됨과 아울러 금속재(2)(3)에는 안쪽 가장자리부분(9)가 설치되어서 판재(5)를 넓은 면으로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틀체(1)에 대한 판재의 고착력이 한층더 강화되며, 또한 금속재(2)(3)의 횡단면형상을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경량화의 가격면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연결금속구(B)에 의하여 틀체(1) 끼리를 착탈자재하게 연결하고 있으므로, 틀체(1)을 간단하게 조립, 해체를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연결설치된 형틀(A)의 복수의 보조금속재(4)에 지지금속구(C)를 착탈자재하게 장착하므로 대략동일한 높이로 간단하게 설치시킬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 지지금속구(C)에 고정재(52)를 지지하면 작업자가 고정재(52)를 지지할 필요가 없어서 홈타이에 의하여 간단하게 고정재(52)를 고정할 수가 있다.

Claims (1)

  1. 4가 형상의 횡단면형상을 보유하는 주중공부재(7)의 내면에 둥근홈(12)(13)을 주중공부재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형성하며, 또한 그 주중공부재의 한쪽의 바깥쪽부분에 판재(5)의 고착부(10)를 구성하는 기립된 가장자리부분(8)과 안쪽 가장자리부분(9)를 설치한 2쌍의 금속재(2)(2),(3)(3)과, U자형의 횡단면형상을 보유하는 주부재(15)의 내면에 둥근홈(17)(18)을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형성하고, 또한 그 주부재의 개구부의 양쪽에 판재를 고착하는 고착된 가장자리부분(16)을 설치한 보조금속재(4)가 사용되며, 그들 금속재(2)(3) 및 보조 금속재는 한쪽의 금속재(3)의 돌출편(a)에 다른쪽의 금속재(2)의 끝면(b)를 당접시키고, 또 상기한 다른쪽의 금속재(2)의 안쪽면(d)에 한쪽의 금속재(3)의 끝면(C)를 당접시킴과 아울러 돌출편의 작은구멍(i)에서 상기한 다른쪽의 금속재(2)의 둥근홈(13)에 나사(19)를 틀어 고착시키며, 또한 상기한 다른쪽의 금속재(2)의 안쪽면(d)의 작은구멍(j)에서 한쪽이 금속재(3)의 둥근홈(12)에 나사(20)를 틀어 고착시켜서 구성하고, 이들 1쌍의 금속재(3)에 그 금속재에서 보조금속재의 둥근홈(12)에 나사(20)를 틀어 고착시켜서 구성하고, 이들 1쌍의 금속재(3)에 그 금속재에서 보조금속재의 둥근홈(17)(18)에 나사(19)를 틀어 고착시켜 보조금속재를 가설하여 4각형의 틀체(1)로 조립되며, 이 틀체(1)의 금속재(2)(3)의 기립된 가장자리부분과 안쪽가장자리부분으로서 구성된 고착부에 판재를 감착하여 형틀(A)이 형성되고, 연결설치된 복수의 형틀이 인접하는 형틀의 금속재(2)(3)끼리에 착탈자재하게 연결금속구(B)를 장착하여서 연결됨과 아울러 형틀의 보조금속재에는 고정재(52)를 지지하는 지지금속구(C)가 그 지지금속구에 형성된 고정수단(60)(65b)(70d)를 착탈자재하게 장착하여 부착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형틀장치.
KR2019840002556U 1983-11-16 1984-03-23 형틀 장치 KR9000023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6,837 1983-11-16
JP1983176837U JPS6083151U (ja) 1983-11-16 1983-11-16 型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040U KR850004040U (ko) 1985-07-13
KR900002322Y1 true KR900002322Y1 (ko) 1990-03-22

Family

ID=3038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556U KR900002322Y1 (ko) 1983-11-16 1984-03-23 형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83151U (ko)
KR (1) KR9000023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700A (ja) * 2000-12-27 2002-09-11 Hideki Nakane コンクリート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型枠用桟木ならびに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6766Y2 (ko) 1988-05-12
JPS6083151U (ja) 1985-06-08
KR850004040U (ko) 198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0876A (en) Level attachment
US4978099A (en) Chamfer strip and adjustable corner squaring strip for a concrete column form
MX2012005600A (es) Refuerzo estructural.
US4080771A (en) Truss aligning system
US4976401A (en) Adjustable corner squaring strip for a concrete column form
CN112900839A (zh) 模板框架及模板组合
US20100005744A1 (en) Forms structure, panel support member, panel support member for internal corner, panel support member for external corn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rms
KR900002322Y1 (ko) 형틀 장치
EP0224485A1 (en) A joi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170050143A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FI98954C (fi) Runkorakenne
US4356993A (en) Corner forming apparatus for a concrete wall form
CN211736859U (zh) 一种铝合金门窗的组框结构
GB2370050A (en) Fence panel and connector therefor
US2162559A (en) Joist structure
JPS5929747B2 (ja) 型枠装置
GB2616409A (en) Connector
JP2000192550A (ja) 軸組部材の接合金物及び接合部構造
JPS6231550Y2 (ko)
JP3057745U (ja) 建築用パイプ羽子板
JP2005282018A (ja) 鉄筋又はアンカーボルト固定用のテンプレート
JPH0122803Y2 (ko)
JPH076284B2 (ja) 縁用桟木とこの縁用桟木を有する型枠パネルとこの型枠パネル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型枠の組立方法
KR100224647B1 (ko) 유리온실 철구조물 h빔 연결부속
JPH01268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4032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091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032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2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9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9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