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1886Y1 - 차단기의 안전인입출 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안전인입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886Y1
KR900001886Y1 KR2019870011016U KR870011016U KR900001886Y1 KR 900001886 Y1 KR900001886 Y1 KR 900001886Y1 KR 2019870011016 U KR2019870011016 U KR 2019870011016U KR 870011016 U KR870011016 U KR 870011016U KR 900001886 Y1 KR900001886 Y1 KR 900001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eaker
operating
groove
c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1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571U (ko
Inventor
최두식
Original Assignee
최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식 filed Critical 최두식
Priority to KR2019870011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886Y1/ko
Publication of KR890003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886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단기의 안전인입출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차단기 평면도.
제3a,b도는 본 고안의 차단기 인입출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인데,
(a)는 작동판과 차단기간의 관계도이고,
(b)는 작동판의 작동에 관한 동력전달 관계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6a,b,c,d도는 본 고안의 요부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7a,b,c,d도는 제6도에 대응한 전면판의 정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작동판 배면 사시도.
제9도는 제4도의 B-B선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차단기위치를 표시한 표식판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함실 2 : 스위치기어 케이스
3 : 지지레일 4 : 차단기
5 : 작동부 6 : 캠축
7, 7, 7b : 캠 8 : 표시간
9 : 방전용 접점부 10, 10a : 괘지편
11, 11a : 괘지홈 12 : 작동관
12a : 스톱홈 13 : 전면판
14 : 압압편 15 : 걸림홈
16 : 로울러 17 : 지지판
18 : 스프링 19 : 회전축
20 : 워엄 21 : 워엄기어
22, 25 : 축 23 : 커어버체
24 : 연결편 27 : T형 회전판
28 : 4각 회동체 29 : 정지홈
30 : 압압편 31 : 로울러
18, 32 : 스프링 33 : 돌편
34 : 표식판 35 : 이동판
36 : 삽입홈 37 : 어스 삽입홈
38 : 통공 39 : 개폐관
40 : 개폐문 41 : 레일
42 : 지지간 43 : 투시창
44 : 회전돌기 45 : 안내홈
46 : 작동핸들
본 고안은 스위치기어 케이스의 차단기함실내에 차단기를 안전하게 인입출 시킬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차단기의 안전인입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 차단기의 인입출장치는 단순히 함실의 개폐문을 수평으로 열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함실내부와 개폐문 내면에 레일을 장치하여 차단기의 양측면 바퀴를 레일에 재치토록 하므로 차단기를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인데 이는 주로 차단기가 함실내 깊숙히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여 인입출시 필히 함실의 개폐문을 열고 차단기가 위치된 부분까지 별도의 기구를 넣거나 팔을 깊숙히 집어넣어 차단기를 인출 시켰으며 인입시에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고압이 유지되어있는 내부기기와 접촉으로 감전될 우려가 많았으며 인위적으로 인입출시켜야 하기때문에 많은 힘이 들었을뿐 아니라 특히 차단기의 단자를 함실내면의 코넥터에 접속시킬때 정확한 위치에서 접속시켜야 하므로 고도의 숙련자이외는 매우 어려웠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감안하여 함실의 개폐문을 열지않고도 함실 앞부분까지 차단기를 인출시키도록 하므로 차단기와 함실체간의 전기 접촉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차단기내에 잔류해 있는 충전전기를 방전시켜준후 함실의 개폐문을 열고 간편히 차단기를 개폐문 상면의 레일까지 입출시켜 고장부분을 수리하던가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에 있어서, 1은 스위치기어케이스(2)의 차단기 함실을 표시한 것인데, 이 함실(1)의 하부양측벽에는 상하 지지레일(3)이 장치되어있고 그 바닥면에는 본 고안의 차단기(4)를 인입출시키는 작동부(5)가 설치되어 있다.
6은 작동부(5)의 일측에 장설된 캠축인데, 이 캠축(6)의 선단에는 전면판(13)에 캠(7)(7a)(7b)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간(8)이 일체로 장설되어 있으며, 선단부 캠(7)은 차단기(4) 저면의 방전용 접점부(9)와, 중앙부캠(7a)는 2개의 괘지편(10)(10a)이 돌설되어 있어 차단기(4) 저면의 괘지홈(11)(11a)과, 후단부캠(7b)는 작동판(12)의 스톱홈(12a)과 유기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14는 후단부캠(7b)의 걸림홈(15)에 탄지되게 한 압압편인데, 이 압압편(14)의 선단에는 로울러(16)가 착설되어 있고, 압압편(14)의 단턱과 지지관(17)간에는 스프링(18)이 탄지되어있다.
19는 작동부(5)의 타측에 장설된 회전축인데, 이 회전축(19)의 후단에는 워엄(2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워엄(20)과 치합된 워엄기어(21)는 작동판(12)의 축(22)과 연동토록 되어 있다.
23는 회전축(19) 선단부에 커어버된 커어버체인데, 이 커어버 체(23)의 상면에 축(25)으로 축설된 연결편(24)의 타측에 연결관(26)이 축설되어 있고 이 연결관(26) 후단은 T형 회전판(27)의 일측에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T형 회전판(27)은 4각 회동체(28)와 일체로 작동부(5)의 몸체에 축설되어 있다.
29는 4각 회동체(28)이 각면에 요설된 정지홈인데, 이 정지홈(29)에는 압압편(30)의 선단로울러(31)가 압입되어 있으며, 압압편(30)은 스프링(32)으로 탄설되어 있다.
33은 작동판(12)의 배면에 돌설된 적당갯수의 돌편인데, 이 돌편(33)은 T형 회전판(27)을 밀어 회동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34는 상기 연결편(24)의 축(25)에 고착된 표식판인데, 이 표시관(34)는 작동판(12)의 회전위치를 표시토록 되어 있다.
35는 전면판(13)의 선단 표시간(8)에 의하여 이동자재토록된 이동판인데 이 이동판(35)에는 회전축(19) 선단의 삽입홈(36) 및 어스삽입홈(37)과 일치 또는 차단토록된 통공(38)과 개폐판(39)이 구성되어 있다.
40은 함실(1)내의 지지레일(3)과 일직선상으로 상면에 레일(41)이 장설된 개폐문인데, 이 개폐문(40)은 지지간(42)으로 함실(1) 양측벽에 지지되어 수평위치를 유지케 되어 있으며 중앙상부에는 투시창(43)이 설치되어 있다.
44는 작동판(12) 상면 일측에 장설된 회동돌기인데, 이 회동돌기(44)는 차단기(4) 저면의 안내홈(45)이 끼워 이동자재하게 되어 있다.
46은 작동핸들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스위치기어케이스(2)의 함실(1)로부터 차단기(4)를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하여 인출시키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 이때 작동부(5)의 모든기구는 제3도의 실선 및 일점쇄선과. 제6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작동판(12)이 스톱홈(12a) 윗측으로 캠축(6)의 후단부 캠(7b)이 돌출되어 작동관(12)을 요부부동하게 고정시키고 있으며 이때 회전축(19) 선단부의 커어버체(23) 전면부에 장설된 표식판(34)이 현재 동작할 수 없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회전축(19)의 삽입홈(36)은 이동판(35)의 통공(38)과 불일치되고, 어스삽입홈(37)에는 이동판(35)의 개폐판(39)이 락아 작동핸들(46)의 삽입부가 삽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제7a도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 차단기(4)를 인출시키려면, 즉 함실(1)을 닫고 있는 개폐문(40)이 닫힌 상태에서 작동핸들(46)의 삽입부를 캠축(6)의 전면 표시간(8)에 요설된 삽입홈에 끼워 제7도 및 제6a도의 상태에서 (b)상태로 전환시키면 작동판(12)의 스톱홈(12a)에 끼워진 후단부캠(7b)이 회전을 하여 상기 작동판(12)의 스톱홈(12a)으로부터 빠지게 되므로 작동판(12)의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판(35)이 좌축으로 약간 이동하여 회전축(19) 선단의 삽입홈(36)과 이동판(35)의 통공(38)이 일치하게 된다.(제7b도와 같은 상태) 따라서 회전축(19)의 선단삽입홈(36)에 작동핸들(46)의 삽입부를 끼워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제3b도와 같이) 자연 회전축(19)이 회전을 하면서 회전축(19) 후단의 워엄(20)와 이 워엄(20)에 치합된 워엄기어(21)에 의하여, 상기 워엄기어(21)에 스플라인으로 축착된 작동판(12)의 축(22)을 회전을 시켜주므로 이 작동판(12)은 제3a도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따라서 작동판(12)의 상면일측 회전돌기(44)가 차단기(4) 저면의 안내홈(45)을 밀면서 서서히 이동하므로서 차단기(4)가 지지레일(3)를 타고 함실(1)의 입구까지 이송되는데 이때 차단기(4)의 인출과정은 개폐문(40)의 투시창(43)을 통해 조작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차단기(4)가 함실(1)의 입구에 위치하기 직전 그 같은 상황을 회전축(19) 선단부의 커어버체(23) 전면부에 장설된 표식판(34)이 이동하여 표시를 하여 주는데 여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19)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판(12)이 제3a도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요구된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 작동판(12) 뒷면에 돌출된 적당갯수의 돌편(33)중 한 돌편이 T형 회전판(27)의 한부분을 밀어주게 되므로서 상기 T형 회전판(27)에 축설된 연결간(26)이 제6b도에 표시한 점선과 같이 당겨지게 되므로 표식판(34)는 연결편(24) 및 커어버체(23)에 회전자재하게 축설된 축(25)의 회동에 의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며, 일단 표시판(34)으로 표시가 된 직후에 차단기(4)의 저면에 형성된 괘지홈(11)이 중앙부캠(7a)의 괘지홈(10)이 걸려 인출이 제지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19)의 무리한 회전에 의하여 기구의 마모됨을 방지하고 차단기(4)의 이동사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차단기(4)가 함실(1) 입구까지 인출되게되면 이 차단기(4)의 단자와 함실(1)내의 코넥터 접속이 빠지게 되므로 차단기(4)는 전기적으로 차단이 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표시간(8)의 선단 삽입홈에 작동핸들(46)을 끼워 제6도 및 제7d도와 같이 캠축(6)을 회전시키면 캠축(6)의 선단부캠(7)이 차단기(4) 저면의 방전용접점부(9)를 작동시켜주게 되며 이때 작동부(5)의 전면판(13)에 설치된 이동판(35)이 동작하여 회전축(19)의 선단삽입홈(36)은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이동판(35)과 일체로된 개폐판(39)을 어스삽입홈(37)을 개방시켜준다.
따라서 어스삽입홈(37)에 작동핸들(46)을 끼워 돌려주면 스위치기어 케이스(2)에 장치된 방법에 의하여 차단기(4)에 잔류전기가 순식간에 방전되어 차단기(4)는 전기적으로 매우 안전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다시 캠축(6)의 삽입홈에 작동핸들(46)을 끼워 제6도 및 제7c도와 같이 캠축(6)을 회전시켜 주면 중앙부캠(7a)의 괘지편(10)이 차단기(4) 저면의 괘지홈(11)으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중앙부캠(7a)의 괘지편(10a)이 차단기(4) 저면의 괘지홈(11a)에 끼워지는데, 이때는 차단기(4)가 뒤로는 밀리지 않고 앞으로는 이동가능하게 되므로 차단기(4)를 손으로 잡고 앞으로 당겨주면 차단기(4)는 개폐문(40)의 레일(41)을 타고 계속 앞으로 이동을 하여 개폐문(40)까지 인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개폐문(40)은 지지간(42) 의하여 지지되어 충분히 차단기(4)의 중량에 견디어 낼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캠축(6)에 축착된 후단부캠(7b)의 일측에 수개와 걸림홈(15)을 요설시켜 캠축(6)의 회전시 캠축(6)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인데 상기 걸림홈(15)에는 선단에 로울러(16)를 착설한 압압편(14)의 단턱과 지지판(17) 사이에 스프링(18)을 탄지시켜서 된 것이다.
T형 회전판(27) 하부에 고정된 4각 회동체(28) 각면에 정지홈(29)을 요설하고, 이 정지홈(29)에는 선단에 로울러(31)가 착설된 압압편(30)을 스프링(32)으로 탄지시켜 T형 회전판(27)이 정위치에서 정지토록 하므로 회전축(19) 선단부의 커어버체(23) 전면에 장치된 표식판(34)의 요동을 방지토록 하였다.
일단 상기한 조작으로 함실(1)로부터 차단기(4)를 인출시켜 고장수리 및 교체가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의 역조작에 의하여 차단기(4)를 인입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차단기(4)의 점검, 수리, 교체등의 이유로 차단기(4)를 인출시키고자 할때 스위치기어케이스(2)의 차단기함실(1)에 장설된 개폐문(40)을 열지 않고도 작동부(5)의 전면판(13)에 장치된 캠축(6)의 표시간(8), 이동판(35) 및 통공(38)과 개폐판(39), 회전축(19) 및 삽입홈(36), 표식판(34), 작동핸들(46)를 조작하여 요구하는 위치까지 정확히 차단기(4)를 인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차단기(4)의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고 차단기(4)의 잔류전기를 방전시켜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캠축(6)의 캠갯수나 위치는 그 요구사항에 따라 가감 및 변경할 수 있으며 특히 회전축(19)의 일측에 설치된 표시판(37)의 작동방법도 필요에 따라 부분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될 것이 당연할 것으로 기계적인 조작으로 정확한 작동을 기대할 수 있는 안전도가 높은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스위치기어 케이스의 차단기함실내에 설치된 차단기를 인입출시켜 줄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작동부(5)의 일측에는 차단기(4) 저면의 방전용 접점부(9), 괘지홈(11)(11a)에 작용되는 선단부캠(7), 중앙부캠(7a)과 작동판(12) 일측 스톱홈(12a)에 작용되는 후단부캠(7b)을 축착한 캠축(6)과. 작동판(5)의 타측에는 작동판(12)과 연동된 워엄기어(21)와 치합된 워엄(20)이 설치되어 있고 선단에 삽입홈(36)을 형성한 회전축(19)과. 작동판(12) 배면의 돌편(33)이 접촉되고 표식판(34)과 축(25), 연결편(24), 연결관(26)으로 연동된 T형 회전판(27)과, 작동부(5)의 전면판(13)에 설치되어 캠축(6)의 선단의 표시간(8)에 의하여 이동자재토록된 이동판(35)을 각각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단기의 안전인입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6)의 후단부캠(7b) 일측에 다수의 걸림홈(15)을 요설하고, 이 걸림홈(15)에는 지지판(17)에 의하여 스프링(18)으로 탄지된 압압편(14)의 선단로울러(16)가 압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안전인입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12) 배면의 돌편(33)과 접촉토록 된 T형 회전판(27) 하부에는 정지홈(29)을 각면에 요설한 4각 회동체(28)와 일체로 장설되었고, 이 4각회동체(28)의 정지홈(29)에는 스프링(32)로 탄설된 압압편(30)의 선단로울러(31)가 압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단기의 안전인입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5)의 전면판(13)에 설치된 이동판(35)에 통공(35)과 개폐판(39)을 형성시켜 회전축(19)의 삽입홈(36)과 어스삽입홈(37)을 일치 또는 차단시켜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단기의 안전인입출장치.
KR2019870011016U 1987-07-06 1987-07-06 차단기의 안전인입출 장치 Expired KR900001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016U KR900001886Y1 (ko) 1987-07-06 1987-07-06 차단기의 안전인입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016U KR900001886Y1 (ko) 1987-07-06 1987-07-06 차단기의 안전인입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571U KR890003571U (ko) 1989-04-13
KR900001886Y1 true KR900001886Y1 (ko) 1990-03-10

Family

ID=1926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1016U Expired KR900001886Y1 (ko) 1987-07-06 1987-07-06 차단기의 안전인입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8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2369A (zh) * 2016-12-27 2018-07-03 Ls 产电株式会社 空气断路器的位置指示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068B1 (ko) * 2002-09-16 2005-03-10 엘지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차단기의 인입,출 가이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2369A (zh) * 2016-12-27 2018-07-03 Ls 产电株式会社 空气断路器的位置指示器
KR20180076234A (ko) * 2016-12-27 2018-07-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의 위치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571U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4038B2 (ja) 遮断器の挿入/引出し装置
US6545859B2 (en) Automatically operating interlock assembly for electrical cabinets
CN1008960B (zh) 主电路和辅助电路断路器引入和抽出机械装置
KR20080071496A (ko) 게임 장치
US4101744A (en) Circuit breaker racking mechanism for drawout type switchgear
CN101536279A (zh) 开关设备
KR900001886Y1 (ko) 차단기의 안전인입출 장치
DE10216594B4 (de) Einschubkassette und Schaltschrank
US4146765A (en) Circuit breaker closing mechanism
KR20140126138A (ko)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KR100932421B1 (ko) 배전반 유니트 인출장치
DE102006041366B3 (de)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Schaltanlage
CN110670959B (zh) 门锁锁体自动开锁结构
KR100841649B1 (ko) 진공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CN115000835B (zh) 一种可展开式组合配电柜
CN116914668A (zh) 一种封闭式组合低压母线系统
DE3513591C2 (ko)
CN213879043U (zh) 高压开关柜操动机构
DE19858688C1 (de) Elektrische Schaltanlage
DE10203700C1 (de) Ausfahreinrichtung für einen Leistungsschalter
KR100293424B1 (ko) 기중 차단기의 외함으로부터 본체를 인입출 하기 위한 장치
CN221353577U (zh) 一种维护方便的动力配电柜
KR100423718B1 (ko) 차단기의 삽입/인출장치
CN220775060U (zh) 一种便于维修的高压柜
CN221058542U (zh) 一种便于检修的监控安防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7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70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9121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20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00903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9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90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3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