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00001579B1 - 측면 장전 감시카메라 및 그 필름 매거진 - Google Patents

측면 장전 감시카메라 및 그 필름 매거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579B1
KR900001579B1 KR1019870001020A KR870001020A KR900001579B1 KR 900001579 B1 KR900001579 B1 KR 900001579B1 KR 1019870001020 A KR1019870001020 A KR 1019870001020A KR 870001020 A KR870001020 A KR 870001020A KR 900001579 B1 KR900001579 B1 KR 90000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agazine
plate
support plate
front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218A (ko
Inventor
씨이. 비이버 라차드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리차드 에프. 홀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리차드 에프. 홀랜드 filed Critical 아메리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7000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79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0Locating spools or other rotatable holders of coiled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Viewfinder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측면 장전 감시카메라 및 그 필름 매거진
제1도는 필름 매거진이 장전 준비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카메라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선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6-6선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7-7선 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필름 매거진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9-9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시 카메라 12 : 필름 매거진
15 : 하우징 37 : 덮개
43 : 모터 57 : 렌즈 마운트
80 : 덮개 83 : 필름 공급 스풀
84 : 필름 권취 스풀 86 : 아이들러 로울러
95 : 필름 위치 결정 조립체
모터로 구동되는 필름의 로울(roll)이 수용된 카메라는 현재 은행 강도등의 활동을 기록하기 위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카메라는 카메라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누름 단추 또는 경보 스위치에 의하여 사진 촬영이 제어되고, 시야가 방해 받지 않도록 감시지역 천장의 한 쪽 구석에 설치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카메라의 이용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카메라는 멀리서 좁은 장소에 위치하므로 필름과 렌즈를 교환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필름 카트리지는 비교적 용량이 작기 때문에 사건 발생시 기록할 수 있는 양이 제한되었다. 이 카메라는 오랜 기간 동안 대기하고 있다가도, 강도 사건등을 확실히 촬영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가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한 것이 상용으로 만족할 만한 카메라의 바람직한 특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및 기타 문제점이 해소된 카메라, 특히 필름 용량이 크고,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신뢰성이 있으며 은행등의 천장 가까이에 설치 작동될 수 있는 개량된 감시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목적과 장점 및 특징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에는 하우징, 렌즈 마운트, 셔터, 셔터 및 필름 구동용 단일 구동 모터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카메라는 비교적 큰 필름 매거진이 측면에서 장전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촛점을 재조정하지 않고 렌즈를 전방에서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카메라와 함께 필름 매거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 매거진을 렌즈 마운트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상호 결합 가이드가 카메라와 매거진에 형성되어 있고, 매거진은 필름 지지판을 지나 필름이 진행하도록 하는 내부 구동 장치를 가지며, 이는 카메라의 촛점이 맞게되도록 공장에서 조정될 수 있어, 필름 매거진이나 렌즈의 교환시 현장에서 촛점을 맞출 필요가 없다.
카메라 구동 시스템에는 모터의 구동 체인 커플링 기어, 작동제어용 셔터 및 필름 구동축, 캠, 캠 종동자, 소정 위치에서 셔텨 및 필름의 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구동 축 중의 하나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위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매거진에는 필름 진행용 스프로켓과, 매거진 내의 스프로켓으로부터 필름 권취스풀(spool)구동용 벨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에는 장차 브래킷(1)에 설치된 카메라(10)와, 문(13)으로 닫혀지는 구멍을 통하여 카메라 내로 삽입될 필름 매거진(12)이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는 상벽(16), 하벽(17), 후벽(18), 측벽(19, 20)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또는 케이스(15)로 둘러싸여 진다. 하우징의 부품들은 플라스틱으로 성형, 결합되어 하우징을 이루고, 카메라기구의 주 프레임(21)은 하우징 하벽(17)에서 내측으로 성형된 기둥(22)에 지지된다.
하벽(17)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한 리브(25)에는 장착 브래킷(11)에 부착시키기 위한 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문(13)은 힌지(27)에 의하여 측벽(20)에 장착되고, 문을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통상적 고정구(28)를 가진다. 매거진(12)은 하우징에 대하여 미끄럼 삽입 및 제거되고, 주 프레임(21)과 매거진에는 매거진을 카메라 내에 고정시키는 상호 결합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주로 주 프레임(21)으로부터 상향 돌출한 가로 리브(31)와, 이에 대응되도록 매거진의 하부에 있는 가로 홈(32)으로 이루어진다. 하벽(17)에는 나사(34)가 설치되어 이를 끌어 내리면 매거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매거진 드라이브가 분리된다.
투명창(38)을 가진 분해 가능한 전면 덮개(37)가 나사로 하우징에 부착된다. 전면 덮개(37)의 측면에 문(39)이 설치되어 덮개로 둘러싸인 렌즈를 설치할 때 내부로 손이 닿을 수 있게 한다.
전기 모터(43)가 주 프레임(21)의 아래쪽에 장착된 감속장치(44)에 장착된다. 축 조립체(45, 46, 47)는 평판(48')과 주 프레임(21)사이에 지지되는데, 이는 제5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축 조립체(45)에는 평 기어(48)와 베벨 기어(49)가 설치되고, 베벨 기어(49)는 셔터(52)가 설치된 축(51)에 장착된 다른 베벨기어(50)와 맞물린다(제6도). 셔터 축(51)은 주 프레임(21)의 전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셔터 판(55)에 지지된다. 셔터 판(55)에는 셔터(52)를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테(56)가 포함되고, 렌즈 마운트(57)가 이 테에 부착되어 렌즈(58)가 나사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축 조립체(46)에는 축 조립체(45)의 기어(48)와 대향 배치된 다른 평기어(61) 및 축 조립체(47)의 기어(63)와 맞물리도록 위치한 기어(62)가 포함된다. 축 조립체(46)에는 또한 전기 스위치(66)을 작동시키기 위한 캠 종동자(65)와 맞물리도록 된 캠(64)이 설치되어 있다(제6도)
축 조립체(47)에는 축을 따라 미끄러지며 스프로켓(70)과 맞물리도록 스프링(71)에 의하여 위쪽으로 힘을 받는 스프로켓 구동헤드(69)가 포함되고, 그 상향 운동은 축(73)에 설치되어 헤드(69)의 홈(74)과 맞물리는 가로 핀(72)에 의하여 제한된다. 축(73)의 하단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나사(34)의 상단이 끼워진다. 따라서, 나사(34) 및 축(73)을 손으로 끌어 내리면, 가로 핀(72)이 헤드(69)를 아래로 끌어 당겨 매거진의 스프로켓(70)과 분리되도록 한다.
매거진(12)은, 덮개(80)로 닫혀지고 매거진의 전방에 있는 구멍(81)과, 카메라로부터 매거진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당김고리(82)가 구비된 케이스(79)를 가진다. 필름 공급 스풀(83) 및 필름 권취 스풀(84)이 케이스(79)로부터 지지된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필름은 스풀(83)로부터 가이드 포스트(85)를 지나, 아이들러 로울러(86) 및 스프로켓(70)의 둘레를 거쳐 스풀(84)로 진행한다. 스프로켓(70)은 통상적 방법으로 필름과 맞물려 이를 구동시키는 2열의 톱니를 가진다. 권취 스풀(84)은 필름 스프로켓(70)에 의하여 필름 스프로켓과 권취 스풀의 정렬된 홈에 걸쳐진 벨트(88)로 구동된다.
셔터와 필름 스프로켓은 기어 감속장치(44)의 출력축의 기어(92)와 기어(48, 61)를 연결시키는 구동 체인(91)에 의하여 확실히 구동된다. 이런 구동 방식으로 필름의 진행 및 셔터 회전이 동기 제어된다. 필름 스프로켓(70)과 권취 스풀(84) 사이는 벨트 전동되므로, 필름은 필름 스프로켓에 의하여 일정 속도로 진행하는 반면 권취 스풀상의 권취 필름의 직경이 증가하는데 따라 요구되는 미끄러짐이 생길 수 있다.
필름 위치 결정 조립체(95)는 매거진 내에서 아이들러 로울러(86)와 필름 스프로켓(70) 사이에 위치한다. 아이들러 로울러(86)는 축(96)상에서 회전하고, 이 축(96) 및 스프로켓(70)의 상단은 상판(97)내에 위치한다. 필름 지지판(98)은 상판(97)과 매거진의 케이스(79) 사이에 위치하며, 상판(97)의 구멍을 통과하는 나사(99)와 케이스(79)의 구멍을 통과하는 나사(100)에 의하여 부착된다. 이 같은 배치로, 매거진 안내 홈(32)에 대한 지지판(98)의 위치는 매거진의 제작시에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배치로 인하여 카메라 및 매거진의 여러 부품 제작시의 공차를 정밀하게 조절하지 않고도 렌즈와 필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필름 가압 장치(103)는 매거진 케이스의 홈(104)속에 미끄럼 삽입되어 지지판(98)의 앞에 위치한다. 가압장치(103)는 전판(105) 및 스프링(107)으로 연결된 가압판(106)으로 이루어진다. 필름은 가압판(106)과 지지판(98)의 사이에서, 지지판에 밀착된 위치로 유지되어 이동한다.
작동시, 미노출 필름은 스풀(83)상에서 매거진 내에 설치되고, 필름 위치 결정 조립체를 통하여 스풀(84)에 연결된다. 매거진은 덮개가 덮혀 카메라 내로 삽입된다. 안내 리브와 안내 홈이 서로 결합되어 렌즈에 의하여 생긴 상의 촛점이 맞게 되도록 필름이 렌즈에 대하여 정확히 위치한다.
카메라의 모터는 보통 개방 회로 상태로 있는 스위치(66)를 통하여 전원과 연결된다. 경보 스위치가 카메라의 외부에 설치되어 원하는 사람이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보 스위치는 스위치(66)의 전기적 우회로를 구성한다. 경보 스위치에 의하여 모터가 작동되면 셔터가 회전하여, 렌즈, 회전 셔터의 구멍(110), 가압 장치(103)의 구멍을 통하여 필름이 노출되도록 한다. 스프로켓의 회전에 따라 필름이 진행하고, 외부 경보 스위치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카메라는 작동을 계속한다. 모터의 작동에 따라 캠(64)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캠의 돌출표면이 캠 종동자와 맞물려 스위치(66)를 폐쇄시켜, 경보 스위치가 개방된 후에도 셔터 구멍이 필름과 어긋날 때까지 모터가 계속 작동되도록 한다. 이 단계에서 캠의 평탄부가 캠 종동자와 맞물려 스위치(66)가 개방되고 모터의 동력이 차단된다.
측면의 문(13)을 열고 외부의 나사(34)를 끌어 내려, 매거진을 뽑아내면 노출된 필름과 함께 매거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동시에 새로운 매거진을 삽입시키면, 카메라가 다시 이용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다. 시계(視界) 변경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전방 덮개를 제거하고 원래의 렌즈를 돌려 뺀 다음 새로운 렌즈를 돌려 끼우고 덮개를 교환함으로써 렌즈를 교환할 수 있다. 렌즈 마운트와 필름 사이의 거리가 고정 유지되므로, 이때 촛점을 다시 맞출 필요가 없다. 이 렌즈 교환 작업은 카메라를 마운트로부터 분해하거나 카메라를 달리 움직일 필요없이 카메라의 전방에서 행할 수 있다.
이 카메라의 매거진은 상당한 양의 필름을 처리할 수 있다. 설명된 특정 실시예로는 35㎜필름 150피트를 처리하여 1200커트를 촬영할 수 있다. 매거진과 카메라의 형상에 따라, 35㎜ 필름은 수펴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는 종래 기술에 의한 카메라의 0.9인치 사진과 달리 1.4인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모터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고, 경보 스위치가 폐쇄된 동안은 계속 동작한다. 이 대신 직류 전원과 필름 구동용 스탭모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Claims (13)

  1. 상하벽, 대향측벽, 전후벽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 하우징의 전벽 근처에 위치한 렌즈 마운트 및 셔터 수단을 가진 감시 카메라에 있어서, 상하벽의 사이에서, 렌즈 마운트와 셔터 수단의 뒤쪽으로 간격을 두고 매거진실과 구동 수단실을 형성시키는 하우징 내부의 수평 연장벽 ; 카메라가 은행등의 천장과 매우 근접된 위치에 유지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매거진실에 필름 매거진을 미끄럼 수용시키기위한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 ; 상기 구멍의 가동 덮개 ; 하벽, 필름의 노출 위치가 되는 구멍이 형성된 전벽, 제1 및 제2필름 스풀, 전벽 가까이에 있는 필름 위치 결정 조립체, 상기 제1스풀로부터 상기 노출 위치 및 필름 위치결정 조립체를 지나 상기 제2스풀로 가는 필름을 안내하는 필름 안내 수단을 가지며 상기 매거진실에 분리가능하게 위치하는 필름 매거진 ; 상기 구동 수단실에 설치되어 소정 간격으로 노출 위치에 빛이 들어가도록 적절한 시간 관계를 가지고 셔터의 회전과 필름의 운동을 일으키는 모터 및 구동 수단 ; 매거진실 내에서 렌즈 마운트에 대한 고정 위치에 필름 매거진을 유지시키는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매거진실 내에서 렌즈 마운트에 대한 고정위치에 필름 매거진을 유지시키는 수단에, 필름 매거진과 하우징의 벽에서 가로로 연장되어 서로 결합되는 돌출부 및 홈이 포함되는 감시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위치 결정 조립체는 매거진의 전벽에 대하여 수동 조절될 수 있고, 필름 지지판과 필름 가압판을 가지며, 필름은 이 판들 사이로 이동하며 가압판은 지지판을 향하여 필름을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는 감시 카메라.
  4. 제3항에 있어서, 필름이 지지판으로 밀착되었을 때 렌즈 마운트와 필름 사이에 고정 관계가 이루어지도록 매거진의 전방에 대한 필름지지판의 위치가 조절 가능한 감시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필름 지지판이 필름 매거진의 하벽과 필름 매거진의 전벽에 대하여 고정된 상부판의 사이에서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 감시 카메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일단에 필름 안내수단인 아이들러 로울러의 축이 끼워지고, 타단에 필름 맞물림 스프로켓의 축이 끼워지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로울러와 상기 스프로켓 사이에 연장된 감시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위치 결정 조립체에, 필름 매거진의 전벽 근처에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 필름 가압판과 ; 필름 매거진의 전벽에 지지된 전판으로 이루어지고, 필름 지지판을 향하여 힘을 받는 핌름 가압판이 설치되어 상기 가압판은 필름이 지지판과의 사이를 지날 때 필름을 가압하도록 된 필름 가압 장치가 포함되는 감시 카메라.
  8. 제7항에 있어서, 필름 매거진의 전벽에 있는 구멍은 상부에 형성되고, 그 양 측단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필름가압 장치의 전판의 측단이 분리 가능하게 미끄러져 수용되는 감시 카메라.
  9. 필름 매거진을 매거진실에 미끄러질 수 있게 수용하기 위한 측면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서 상기 매거진실의 앞쪽에 위치한 렌즈 마운트를 가진 카메라와 함께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 하벽, 대향 측벽, 전후벽을 포함하며 위쪽으로 개방되는 상자형 필름 매거진에 있어서, 필름 매거진의 상부를 덮는 분리 가능한 덮개 ; 전벽의 상부에서 필름의 노출 위치에 형성시키는 사각형 구멍 ; 상기 필름 매거진내에 설치된 제1, 제2 필름 스풀, 필름 맞물림 스프로켓, 전벽의 노출 위치와 인접한 필름 위치 결정 조립체가 포함되어, 필름이 상기 제1스풀로부터 상기 노출 위치와 필름 위치 결정 조립체 및 필름 맞물림 스프로켓을 거쳐 상기 제2스풀로 이동되도록 하며 ; 상기 전벽에 대한 필름 위치결정 조립체의 위치 조절 수단이 포함되는 필름 매거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위치 결정 조립체는 매거진의 전벽과 인접하고, 필름 지지판과 필름 가압판을 포함하며, 가압판은 필름을 지지판으로 밀착시키는 필름 매거진.
  11. 제10항에 있어서, 필름 지지판의 위치는 매거진의 전벽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어, 필름이 지지판으로 밀착되고 매거진이 카메라 하우징 내에서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카메라 내의 렌즈 마운트와 필름 사이의 고정 관계가 이루어지는 필름 매거진.
  12. 제11항에 있어서, 필름 지지판이 필름 매거진의 하벽과 필름 매거진의 전벽에 대하여 고정된 상판 사이에 조절 가능하게 지지된 필름 매거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일단에 필름 안내 수단인 아이들러 로울러의 축이 끼워지고, 상기 상판의 타단에 필름 맞물림 스프로켓의 축이 끼워지며, 상기 가압판이 상기 로울러와 상기 스프로켓 사이에 연장된 필름 매거진.
KR1019870001020A 1986-02-10 1987-02-09 측면 장전 감시카메라 및 그 필름 매거진 Expired KR900001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802986A 1986-02-10 1986-02-10
US06/828,029 1986-02-10
US828,029 1986-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218A KR870008218A (ko) 1987-09-25
KR900001579B1 true KR900001579B1 (ko) 1990-03-15

Family

ID=2525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020A Expired KR900001579B1 (ko) 1986-02-10 1987-02-09 측면 장전 감시카메라 및 그 필름 매거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JP (1) JPS62187335A (ko)
KR (1) KR900001579B1 (ko)
CN (1) CN1005222B (ko)
AU (1) AU595582B2 (ko)
CA (1) CA1292382C (ko)
DE (1) DE3703921A1 (ko)
ES (1) ES2006470A6 (ko)
FR (1) FR2594237A1 (ko)
GB (1) GB2186383B (ko)
MX (1) MX168963B (ko)
SE (1) SE461483B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3154A (en) * 1943-04-22 1944-07-11 Herman J Fowler Photographic apparatus for making periodic time-recorded exposures
JPS4313508Y1 (ko) * 1967-03-17 1968-06-08
US3606527A (en) * 1969-02-17 1971-09-20 Dressen Barnes Electronics Cor Intermittent drive for surveillance camera
DE7106951U (de) * 1971-02-25 1971-11-04 Kodak Ag Photographische oder kinematographische kamera mit einer kassettenanhebevorrichtung
DE7307005U (de) * 1973-02-23 1973-05-24 Agfa Gevaert Ag Kinematografische oder fotografische kamera
US3807841A (en) * 1973-02-28 1974-04-30 Eastman Kodak Co Door assembly for a motion picture camera
US4222650A (en) * 1978-03-07 1980-09-16 American Electronics, Inc. Automatic camera
FR2452727A3 (fr) * 1979-03-30 1980-10-24 Vannet Gresset Germaine Boitier de chargeur de camera
US4222648A (en) * 1979-07-31 1980-09-16 American Electronics, Inc. Film advance control mechanism
JPS58107524A (ja) * 1981-12-22 1983-06-27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FR2525669A1 (fr) * 1982-04-23 1983-10-28 Omera Segid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securite pour un couvercle de boite, chargeur de camera et camera utilisant un tel disposi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86383B (en) 1989-11-29
AU6856787A (en) 1987-08-13
MX168963B (es) 1993-06-16
CN1005222B (zh) 1989-09-20
SE8700486D0 (sv) 1987-02-09
SE461483B (sv) 1990-02-19
DE3703921A1 (de) 1987-08-13
GB2186383A (en) 1987-08-12
CN87100636A (zh) 1987-12-02
FR2594237A1 (fr) 1987-08-14
ES2006470A6 (es) 1989-05-01
JPS62187335A (ja) 1987-08-15
CA1292382C (en) 1991-11-26
AU595582B2 (en) 1990-04-05
DE3703921C2 (ko) 1989-05-11
KR870008218A (ko) 1987-09-25
SE8700486L (sv) 1987-08-11
GB8702724D0 (en) 1987-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3344A (en) Multi-image slide mount
US3389953A (en) Sound synchronized cartridge
US4491434A (en) Handheld viewer for transparency film
KR900001579B1 (ko) 측면 장전 감시카메라 및 그 필름 매거진
US6701084B2 (en) Camera
EP0064015A1 (fr) Dispositif automatique pour le tirage et le développement simultanés de photographies
JPH11183964A (ja) プレ露光方法及び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4003644A (en) Cinematographic viewer-projector
US3186297A (en) Camera-projector having film gate mounted on condenser lens
US4222650A (en) Automatic camera
US4315680A (en) Automatic camera
US6863454B2 (en) Photographic film cartridge and camera including such
US5835810A (en) Automated camera loading chamber
US6773173B2 (en) Photographic film cartridge and camera including such
US6751407B2 (en) Camera film cassette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US4168888A (en) Film cartridge
US4070108A (en) Optical image printer
US5867745A (en) Film roll carrier and camera
US20040131350A1 (en) Photographic film cartridge and camera including such
JPH02198438A (ja) カメラ
US4040730A (en) Film advancing mechanism with film threading facility
JP3340107B2 (ja) カメラ
JPH10161276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2291541A (ja) 複数ポーズ撮影装置
JPH11352560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3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31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