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15906A - 방사성 물질 운송용 캐스크를 차량에 장착하기위한 순응결속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 물질 운송용 캐스크를 차량에 장착하기위한 순응결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15906A KR890015906A KR1019890005079A KR890005079A KR890015906A KR 890015906 A KR890015906 A KR 890015906A KR 1019890005079 A KR1019890005079 A KR 1019890005079A KR 890005079 A KR890005079 A KR 890005079A KR 890015906 A KR890015906 A KR 8900159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e bar
- lever member
- trunnions
- binding device
- cas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12—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the load being tree-trunks, beams, drums, tub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Handcart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1 도는 본 발명의 결속장치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기위한 캐스크 및 준트렉터의 측면도. 제 2 도는 도로표면이 울퉁불퉁할경우, 캐스크를 지지하는 트레일러 덱의 비틀림 운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설명하기위해 제 1 도의 선Ⅱ - Ⅱ를 따라 도시한 캐스크 및 준트렉터 트레일러의 단면도. 제 3 도는 크레이들 어셈블리의 구성부품을 용이하게 볼수있도록 캐스크 및 트레일러 덱이 가상선으로 도시되어있고 특히 결속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크레이들 어셈블리를 도시한 투시도.
Claims (12)
- 트러니언(3,4)을 구비하는 캐스크(5)가 차량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크레이들 어셈블리에 해제가능하게 고착되는 결속장치로서, 상기 각 트러니언(3,4)을 크레이들 어셈블리에 해제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수단(11,12)을 구비하는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11,12)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트러니언(3,4)과, 상기 차량의 비틀림으로 인해 상기 크레이들 어셈블리에 대해 상기 트러니언(3,4)의 소정의 변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바이어스힘을 갖고있는 상기 크레이들 어셈블리(6)사이에 연결되는 순응링크수단(14,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크(5)는 적어도 한쌍의 대향트러니언(3,4)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수단(11,12)은 각각의 상기 대향 트러니언 및 상기 크레이들 어셈블리(6)에 접속된 상기 순응링크장치수단(14,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응링크장치수단(14,15)은 한쌍의 레버부재 및 타이바아(106)을 포함하고, 그 각각의 레버부재(92)는 레버부재의 일단부에 상기 대향트러니언(3,4)중 하나가, 그리고 레버부재의 타단부에 상기 타이바아(106)가 작동가능하게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아(106)는 상기 2개의 레버부재(92)의 상기 타단부 사이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크레이들 어셈블리(6)에 지지되어 타이바아가 상기 대향 변위에 따라 상기 크레이들 어셈블리 내부에서 그의 길이방향축을 따라 움직일수있도록 실제동일한 크기의 바이어스 힘이 상기 캐스크와 상기 크레이들 어셈블리 사이에서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캐스크(5)가 상기 크레이들 어셈블리(6)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92)의 각각은 실제로 L자형 이고 상기 크레이들 어셈블리(6)에 피벗하도록 접속되어 상기 트러니언의 변위힘이 상기 타이바아(106)의 길이방향축을 따라 힘방향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92)의 각기다른 상기 단부는 상기 링크장치 수단이 상기 대향 트러니언(3,4)에 인가하는 바이어스 힘의 크기를 조절하기위해서 상기 타이바아(106)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는 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 제 3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아(106)는 상기 크레이들 어셈블리(10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부재(92)의 상기 각각 타단부는 상기 타이바아를 따라 상기 레버부재의 상기 각 다른 단부의 부분이 상기 타이바아를 회전시킴으로써 움직일수있게 되도록 구성된 상기 타이바아의 나사선 부분(105)에 나사식으로 맞물린 나사쌍(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아(106)의 상기 나사선 부분(115)은 타이바아의 회전이 상기 레버부재의 상기 타단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하여 조여지거나 해제되도록 각각의 좌나사선 및 우나사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아(106)는 상기 타이바아를 회전시키기위한 랜치수단 혹은 핸드휘일(118)에 상기 타이바아를 결합시키는 수단(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레버부재(92)는 상기 트러니언의 각 단부에 접속가능한 상부렉(94)과 상기 나사쌍(102)에 접속된 하부렉(96)을 포함하는 도립 L자형 레버를 구비하는데, 상기 레버부재 단부가 죄여지는 방식으로 상기 타이아바(106)의 회전이 상기 트러니언에 바이어스힘을 증가시키는 반면, 상기 다른 레버부재 단부가 해제하는 방식으로 상기 타이아바의 회전이 상기 바이어스힘을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 제 8 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레버부재(92)의 상기 일단부가 크로스바아(84)를 거치며 한쌍의 평행한 턴버클(74)을 상기 트러니언(3,4)에 각 하나씩 맞물리도록 하기위해서 적합하게 접속된 요크 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크로스바아(84)는 각각의 레버부재 및 한쌍의 결합 턴버클 사이에서 연결되는데, 그 터언버클은 상기 크레이들 어셈블리내의 신장 슬롯(29,30)을 통해서,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8189688A | 1988-04-15 | 1988-04-15 | |
US181896 | 1988-04-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5906A true KR890015906A (ko) | 1989-11-27 |
Family
ID=2266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05079A KR890015906A (ko) | 1988-04-15 | 1989-04-15 | 방사성 물질 운송용 캐스크를 차량에 장착하기위한 순응결속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0337138A3 (ko) |
JP (1) | JPH01309835A (ko) |
KR (1) | KR89001590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179B4 (de) * | 2002-01-03 | 2007-12-13 | Wetzig, Sven Thomas, Dipl.-Ing. | Verfahren zur Errichtung von Stahlrohrtürmen für Windenergieanlagen |
ES1077567Y (es) * | 2012-03-30 | 2012-11-13 | Merino Pablo Gascon | Soporte adaptativo |
DE102015221398A1 (de) * | 2015-11-02 | 2017-05-04 | Db Fahrzeuginstandhaltung Gmbh | Vorrichtung zum Festlegen eines Ladegut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562958A (ko) * | 1968-01-26 | 1969-04-11 | ||
US4714228A (en) * | 1987-01-30 | 1987-12-22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 Self-adjustable supplemental support system for a cylindrical container in a housing |
-
1989
- 1989-03-15 EP EP19890104570 patent/EP0337138A3/en not_active Ceased
- 1989-04-12 JP JP1090910A patent/JPH01309835A/ja active Pending
- 1989-04-15 KR KR1019890005079A patent/KR89001590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337138A3 (en) | 1990-09-05 |
EP0337138A2 (en) | 1989-10-18 |
JPH01309835A (ja) | 1989-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3661249D1 (en) | Attachment device for a tubular element, in particular for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 |
JPH0624938B2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ハウジングを固定するクランプ機構 | |
EP0497860B1 (en) | Adjustable steering wheel | |
US4656888A (en) | Apparatus for vertical and axial adjustment of a steering wheel | |
US4054984A (en) | Tool for joining and separating plastic pipe joints | |
US6829962B2 (en) | Steering column | |
KR900702161A (ko) | 형틀 판넬 결합용 클램프 | |
KR930002143A (ko) | 비진동 캐스터 | |
US4306710A (en) | Bar type jack having jaw extensions removably attached thereto | |
KR100628288B1 (ko) | 벨트 설치 공구 | |
US4984775A (en) | Corner clamp assembly | |
KR890015906A (ko) | 방사성 물질 운송용 캐스크를 차량에 장착하기위한 순응결속장치 | |
KR940021335A (ko) | 수송수단결합장치 | |
US6003657A (en) | Self-indicating tensioner for a belt scraper | |
US4363499A (en) | Tiltable steering mechanism for automobiles | |
DE1480348B2 (de) | Lastabhängig arbeitender Bremskraftregler für druckmittelbetätigbare Fahrzeugbremsanlagen | |
US6662674B2 (en) | Steering column | |
US5735177A (en) | Remote control mechanisms | |
US4640487A (en) | Pipe supports | |
CA1039335A (en) | Means for securing axle to frame | |
JPH052389Y2 (ko) | ||
US20030094060A1 (en) | Steering column | |
KR880002702A (ko) | 스트랲끈의 클램핑수단 | |
SU1743785A1 (ru) |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под сварку | |
GB2141983A (en) | Load partition-securing means for freight wag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4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