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9187Y1 - 자동 에어 배기밸브 - Google Patents

자동 에어 배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9187Y1
KR890009187Y1 KR2019860003095U KR860003095U KR890009187Y1 KR 890009187 Y1 KR890009187 Y1 KR 890009187Y1 KR 2019860003095 U KR2019860003095 U KR 2019860003095U KR 860003095 U KR860003095 U KR 860003095U KR 890009187 Y1 KR890009187 Y1 KR 890009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rder
exhaust valve
exhaust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3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071U (ko
Inventor
신현경
Original Assignee
신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경 filed Critical 신현경
Priority to KR2019860003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9187Y1/ko
Publication of KR870015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9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187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에어 배기밸브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 구성도로서 폐전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개전상태 단면도.
제3도는 가동편과 밸브패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기밸브 11 : 실린더
12 : 접속관 13 : 몸판
14 : 수밀패킹 15 : 덮개
16 : 돌기형 블브시트 17 : 배기로
18 : 밸브패드 19 : 가동판
20 : 축수 21 : 축핀
22 : 강선레바 23 : 부자
23' : 고리 25 : 탄봉
3 : 차수밸브 31 : 플랜지
32 : 실린더 32' : 턱
33 : 스프링 34 : 차수관
34' : 턱 35 : 차수링
36 : 차수시트 37 : 용수도입구
38 : 안내벽 37' : 용수배출구
본 고안의 난방용 온수관내의 에어를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있는 에어배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에어 배기밸브(이하 밸브라 함)는 손으로 밸브로드를 회전시켜 온수관내의 에어를 배출하게 되는 수동식 밸브와, 밸브 실린더내의 부자가 부상하여 개폐 밸브를 잠가주게되어 있는 자동식 밸브가 알려져 있다.
상기한 수동식 밸브는 임의로 밸브를 열어주지 못하면 에어를 배출할 수 없으며, 에어의 존부를 확인할 수 없어 수시로 밸브를 열어 보아야만 하고 그때마다 온수가 누출되는 등 그 이용 및 관리가 불편한 것이었으며, 자동식 밸브는 부자와 밸브레버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작동이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부자의 미약한 부상력에 의해 밸브를 동작시키는 것이므로 확실한 개폐작용이 이루어질 수 없어 온수의 누출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며, 밸브를 수리하거나 바꾸기 위해 밸브를 분리시키면 밸브의 접속부가 개방되어 다량의 용수가 실내에 쏟아지는 등의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부자의 부상력에 탄봉의 탄접압력을 가세시켜 밸브를 확실하게 회전시킴은 물론, 부자의 중력으로 확실하게 개전해줄 수 있게 함으로써 개폐작용의 원활을 꾀할 수 있고, 언제나 안정 상테에서 동작되게하여 온수의 누출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밸브를 고치거나 바꿀때에도 용수가 누출되지 않게 되어 있는 자동 에어 배기 밸브를 재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배기밸브(1)와 온수관(A)에 접속되는 차수밸브(9)로서 구성되었다.
배기밸브(1)의 실린더(11) 접속관(12)은 차수밸브(3)의 플랜지(31)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어 온수관(A)내의 용수는 실린더(11)내로 도입될 수 있게 구성되었다.
조립시에 접속관(12)은 스프링(33)을 가압하면서 차수관(34)을 하강시켜 말단부의 차수량(35)을 차수시트(36)에서 분리시키고 동시에 차수관의 용수도입구(37) 및 배출구(37')를 차수밸브의 실린더(32)밖으로 돌출 시키게 되어있다.
또한 배기밸브(1)을 차수밸브(3)에서 분리시키면 실린더(32)의 내턱과 차수관(34)의 외벽(34')사이에 끼워진 스프링(33)의 압력이 차수관(34)을 밀어 오리고 차수링(35)을 차수시로(36)에 밀접시킴으로써 차수밸브(3)는 닫히게 되는 구성이다.
차수관(34)내에는 안내벽(38)이 용수도입구(37) 및 배출구(37')사이에 형성되어 있어서 온수관(A)내의 일부 용수나 대부분의 에어는 차수관(34)을 통하여 배기 밸브의 실린더(11)내로 쉽게 유입되어 있다.
실린더(11)의 입구에는 밸브 물판(13)이 고정되고, 입구에는 수밀패킹(14)을 가압하는 덮개(15)가 덮힌다.
몸판(13)상의 돌기형 밸브시트(16)정부에서 밖으로 통하는 매기로(17)가 형성되며, 이러한 밸브시트(16)의 정부에 탄성체 밸브패트(18)을 접촉 또는 분리시켜 배기밸브가 개폐되는 구성이다.
강선레버(22)의 내단을 절곡하여 구성되는 축핀(21)은 몸판(13)측 축받이(20)상의 구멍에 끼워져 있으며, 강선레버(22)의 선단을 절곡하여 부자(2)의 고리(23)은 걷어둘수 있게 구성하였으며, 다시 강선레버(22)를 내측으로 절곡 연장하여서 되는 탄봉(25)을 구성하며, 탄봉(25)의 끝에는 밸브패드(18)가 부착된 가동판(19)을 고정하고 있어서 밸브패드(18)는 상기 축핀(21)을 운동측으로 동작되어 밸브시트(16)에 탄성적으로 접속될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실린더(11)내에 물이차면 부상하는 부자(23)가 축핀(21)을 중심으로 동작되는 강선레버(22)끝을 들어 올림으로써 가동판(19)상의 탄성재 밸브패드(18)를 돌기형 밸브시트(16)에 접속시켜주게 되며 이로써 배기로(17)의 입구를 폐쇄함으로써 배기밸브(1)를 확실하게 폐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탄봉(25)은 탄성적으로 밸브패드(18)를 밸브시트(16)에 접속시켜 주게 되므로 안정한 폐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판(19)상에서 축핀(21)을 운동측으로 동작되는 밸브시트와 밸브 패드의 접촉상태를 관찰하면, 밸브시트의 형태가 돌기형이므로 밸브패드와의 접촉면적이 적어지게 되며 따라서 단위 면적당의 접촉압력을 증대시키게 되어 확실한 폐전동작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는 반대로 수위가 낮아져서 실린더(11)상부에 에어가 차게되면 부자(23)는 자동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때 밸브패드(18)는 돌기형 밸브시트(16)상에서 분리되어 배기로(17)가 열리게 되며, 이 개방된 배기로(17)를 통하여 실린더(11)내의 에어가 대기중에 배기되는 것이다.
또한 이 고안은 배기밸브(1)를 차수밸브(3)에 분리시키게 되면 스프링(33)이 차수관(34)을 밀어올려 차수링(35)을 차수시트(36)의 압접시킴으로서 용수의 유출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배기밸브(1)를 차수밸브(3)에 접속하게 되면 차수관(34)이 하강하게 되므로 온수관(A)내의 에어를 배기밸브(1)내로 유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실린더내에 에어가 수집되면 밸브를 자동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온수관내의 에어를 자동적으로 배기할 수 있음은 무론, 부자의 부상력에 탄봉의 접촉 압력을 가세시켜 회전되고, 부자의 중력으로 개전되게 함으로써 확실한 밸브의 개폐작용을 유지할 수 있고 언제나 안정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며, 배기밸브는 제거할때에는 차수밸브가 온수관의 개방부를 자동으로 폐쇄하게 됨으로 용수를 누출시킴이 없이 배기밸브를 바꾸거나 소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실린더내에 부자를 내장하여 배기로를 개폐하게된 에어배기밸브에 있어서, 차수밸브(3)와 배기밸브(1)로 에어 배기밸브를 구성하되, 스프링(33)이 탄설되고 차수링(33)이 차수시트(36)에 대응되어 있는 차수밸브(3)는 차수관(34)상에 용수로입구(37) 및 용수배출구(37')그리고 용수 안내벽(38)을 가지는 구성이며, 배기밸브(1)는 덮개(15)로서 몸판(13)을 실린더(11)의 입구에 고정하고, 몸판(13)상에 배기로(17)를 가지는 돌기형 밸브시트(16)를 구성하며, 강선레버(22)내단의 축핀(21)을 몸판(13) 즉 축받이에 가동가능하게 의지시키고, 강선레버(22)의 선단 전국부에 부자(23)의 고리를 걸어두며, 강선레버의 절곡 연장부인 탄봉(25)끝에 가동판(19)을 고정시켜 가동판상의 밸브패드(18)를 상기 밸브시트(16)에 대응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에어배기 밸브.
KR2019860003095U 1986-03-15 1986-03-15 자동 에어 배기밸브 Expired KR890009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095U KR890009187Y1 (ko) 1986-03-15 1986-03-15 자동 에어 배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3095U KR890009187Y1 (ko) 1986-03-15 1986-03-15 자동 에어 배기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071U KR870015071U (ko) 1987-10-24
KR890009187Y1 true KR890009187Y1 (ko) 1989-12-18

Family

ID=1924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3095U Expired KR890009187Y1 (ko) 1986-03-15 1986-03-15 자동 에어 배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91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071U (ko) 198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39434C (en) Pressure flushing device discharge extension
US3796227A (en) Air vent
US3002522A (en) Air valves
KR890009187Y1 (ko) 자동 에어 배기밸브
US7171976B2 (en) Steam trap with float
GB2051315A (en) Valve
JP2002340287A (ja) フロート弁
GB2217986A (en) Whirlpool/spa bath drainage valve
US1189764A (en) Relief-valv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CN220186013U (zh) 一种管道安全阀的检验装置
JP3918226B2 (ja) 逆流防止型水抜弁
JPH11325268A (ja) 空気弁
KR20000011807U (ko) 난방배관용 공기배출밸브
JP4657488B2 (ja) フロート弁
JP3369048B2 (ja) 空気弁
JP2000028094A (ja) 下向バケット型スチームトラップ
JPH0740800Y2 (ja) フリーバケット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KR910007386Y1 (ko) 보온물통의 유출장치
SU1737211A1 (ru) Вантуз
KR970001208Y1 (ko) 스팀다리미용 스팀밸브
JPH047422Y2 (ko)
KR19990037846U (ko) 가스보일러용 안전밸브
KR970007225Y1 (ko) 가스보일러의 공기 배출구
JPH0646156U (ja) 汚泥焼却炉における防曝弁
CN2713282Y (zh) 柱面浮球式疏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03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031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90622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11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3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