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7663Y1 -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 - Google Patents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663Y1
KR890007663Y1 KR2019860018153U KR860018153U KR890007663Y1 KR 890007663 Y1 KR890007663 Y1 KR 890007663Y1 KR 2019860018153 U KR2019860018153 U KR 2019860018153U KR 860018153 U KR860018153 U KR 860018153U KR 890007663 Y1 KR890007663 Y1 KR 890007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elay
telephone
recording
open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8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907U (ko
Inventor
박상군
Original Assignee
박상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군 filed Critical 박상군
Priority to KR2019860018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663Y1/ko
Publication of KR880010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9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663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
제1도는 본 고안 전화기의 요부 회로도.
본 고안은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부재시 전화기 걸려온 경우에 무인응답을 하고 전화를 건 용건을 간단히 녹음을 함과 동시에 통상 사용시에는 전하내용을 녹음 할수도 있는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용 무인 응답 장치는 피호출자가 없는 경우에 전화를 받아 수신인이 부재중을 알리고 발신자의 송화 내용을 녹음 할수 있는 기계식 장치로서 모우터에 감속 연동되는 축봉에 낮은 활주부와 높은 활주부를 갖는 제1캠 절삭부를 제2캠 및 절연봉을 가진 회전판을 고착시키되 제1캠 언덕과 제2캠의 절삭부 및 회전판의 절연봉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1캠의 활주부에는 재생 장치와 녹음기를 조작하기 위한 작동간이 접촉동작 되도록하고 제2캠의 활주부에는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상승하강 시키는 작동간을 접설하여서 되는 기계적 구조를 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계적 구성이 복잡하고 그 정밀도가 높아야만 되므로 제작원가가 높아질뿐 아니라 기계적 접촉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어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고장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계적 무인 응답장치이외에도 전자 회로에 의한 것도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원가가 비쌀뿐 아니라 고장이 발생되면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특히 통상 전화기의 사용중 통화내용을 녹음하고 싶은 경우에는 부대의 녹음 장치가 전화기에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화 내용을 녹음할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 꼭 필요한 일방적 통화 시간은 대략 1분 미만임을 감안하여 2개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전화 가입자 부재중에는 무인 응답장치의 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송신자의 송신 내용을 녹음할 수 있으며 통상 전화를 사용중에 통화내용을 녹음 하고 싶은 경우에는 버튼 하나로서 녹음 장치를 구동시켜 송수화 내용을 녹음할수 있고, 그 제조원가가 저렴한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구성,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성은 통상의 전화기 회로부(가)의 국선(L1, L2)을 녹음 및 재생부(나)와 제어부(다)에 연결하고, 제어부(다)는 녹음 및 재생부(나)의 작동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1), 그리고 재생부(라)의 작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2)가 링거 신호 검출기(3)의 출력에 연결된 증폭기(4)의 출력에 연결되고, 타이머(1)의 출력은 릴레이(5)의 여자 권선(5')에 연결하되 릴레이(5)의 상시 개방 접점(A)을 전화기 회로부(가)의 훅크 스위치(HS)에 병렬로 연결하며, 릴레이(5)의 상시 개방 접점(B)은 녹음 및 재생부(나)의 전원스위치로 하고 타이머(2)의 출력은 계전기(6)의 여자권선(6')에 연결하되, 계전기(6)의 상시 개방 접점(C)은 재생부(라)의 전원 스위치로 함과 동시에 상시 개방접점(D)은 재생부의 재생 출력(O)과 국선(L1, L2)사이의 스위치로 하여 구성하며, 녹음 및 재생부(나)의 녹음 스위치(SW1, SW2, SW3)와 연동되는 스위치(SW4)를 릴레이(5)의 상시 개방 접점(B)에 병렬 접속하되, 수동스위치(SW2)를 스위치(SW4)에 병렬 접속하고 제어부(다)의 수동 전원스위치(M)를 교류 전원(AC)과 제어부(다) 사이에 연결하여된 구성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 구성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다)의 수동 전원 스위치(M)를 도통 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어부(다)가 작동되지 않게되고 이에 따라 호출링거 신호가 국선(L1, L2)에 인가되면 전화기 회로부(가)내의 벨(11)이 울리게 되고 피호출자가 전화기 회로부(가)의 송수화기(T.R)를 들게되면 훅크 스위치(HS)가 온되어 정상적인 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동 전원 스위치(M)를 오프한 상태에서는 통상 전화기와 같이 전화기를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전화기 사용자가 외출하거나 자리를 비우면서 수동전원 스위치(M)를 온시켜 놓으면 국선(L1, L3)에 링거 신호가 인입되는 경우에 링거 신호 검출기(3)에서 링거 신호의 존재를 검출하여 출력을 발생시킨다.
통상 전화기의 훅크 스위치(HS)를 오프한 상태에서는 국선(L1, L2)에는 전화국에서의 직류전압이 걸려 있게되며 이러한 직류전압은 통상 +48- +50V이 되고 이 상태에서 링거 신호는 교류성분으로 되어 있어 결국 링거 신호는 직류전압을 기준전위로 하여 변환되는 교류성분이 된다.
이러한 교류 신호 성분을 링거 신호 검출기(3)내에서 다이오드(D1) 및 필터(F1)로서 검출하여 그 출력으로 하며 이 출력은 증폭기(4)에서 증폭되어 타이머(1) 및 타이머(2)에 구동 입력으로 인가된다.
여기에서 타이머(1)는 대략 1분 30초 정도로 시간이 설정되고 타이머(2)는 대략 10-30초 정도로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최초로 타이머(1, 2)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타이(1, 2)가 동시에 작동이 되므로 타이머(1, 2)에 연결된 계전기(5, 6)이 타이머(1, 2)에 설정된 시간동안 여자된다.
그러므로 계전기(5)의 상시 개방 접점(A)이 도통되어 훅크 스위치(HS)가 도통된것과 같은 상태로 되고 동시에 상시 개방접점(B)이 도통되어 녹음 및 재생부(나)가 녹음을 시작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계전기(6)의 상시 개방접점(C)이 도통되어 재생부(라)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개방접점(D)이 도통되어서 재생부(라)에서는 필요한 내용을 재생하여 개방접점(D)을 통하여 전화국선(L1, L2)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전화를 건 사람은 재생된 내용을 듣고 나서 피 가입자가 외출중임을 알게된다. 이러한 재생내용의 재생시간을 대락 10초-30초 간격으로 하게 되고 전화를 건 사람(호출자)는 이러한 재생내용을 다 듣고난 다음 필요한 전언을 말하게 되는데 때에 따라서는 성격이 매우 급한 사람은 전화를 걸자 마자 즉 재생부(라)의 작동시간에 말을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재생부(라)의 작동시간을 포함 하여 녹음 및 재생부(나)가 작동되어 통화내용을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재생부(라)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음성 합성 IC 등을 이용하여도 되고 카세트 테이프등의 재생 장치를 사용하여도 되는 것이므로 이것은 통상의 기술 수단이어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타이머(2)가 설정된 소정시간(10초-30초)도안 작동된후에는 오프 되므로 계전기(6)가 소자됨과 동시에 계전기(6)의 상시 개방스위치(C. D)가 오프되어 재생부(라)의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그 출력(O)이 국선(L1, L2)에서 차단되나 타이머(1)는 계속 작동되므로 녹음 및 재생부(나)는 연속작동 되면서 국선(L1, L2)에 인가되는 호출자의 음성을 기록하게 된다. 이후 타이머(1)가 설정된 시간 1분 30초가 지나면 그 출력이 없어지므로 계전기(5)가 소자되어 상시 개방 접점(B)이 오프되므로 녹음 및 재생부(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녹음 및 재생부(나)가 비작동되며 동시에 계전기(5)의 상시 개방 접점(A)가 오프되어 전화 회로부(가)의 혹크 스위치(HS)가 오프된 상태로 된다.
이러한 과정은 호출 신호가 국선(L1, L2)에 들어올때마다 반복되는 것이다. 이후 전화기 사용자가 되돌아와서 수동 전원 스위치(M)를 오프하여 제어부(다)의 전원을 차단하고 녹음 및 재생부(나)의 테이프를 꺼내서 되돌린 다음 스위치(SW4)를 누르면 녹음 및 재생부(나)의 스위치(SW1, SW2, SW3)가 절환되어서 헤드에서 재생된 출력이 증폭기(A1, A2)에서 증폭되어 스피커(SP)에 인가 되므로 사용자는 부재시 걸려왔던 전화 내용을 확인 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후 전화기 사용자가 통상 전화기 사용시에 전화 내용을 녹음하고 싶으면 스위치(SWM)를 누르면 제어부(다)의 작동과는 무관하게 녹음 재생부(나)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화내용이 기록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화 통화 내용을 필요시에는 언제나 기록할 수 있어 중요한 내용등을 언제나 필요에 따라서 기록 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전화 가입자가 부재중에는 수동 전원 스위치(M)만 눌러 놓으면 무인 응답 장치로서 작동되고 통상 사용시에는 스위치(SWM)하나만 누르면 중요한 통화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전화기 회로부(가), 녹음 및 재생부(나) 및 재생부(라)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녹음 및 재생부(나)의 작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1) 그리고 재생부(라)의 작동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2)가 링거 신호 검출기(3)의 출력이 연결된 증폭기(4)의 출력에 연결되고, 타이머(1)의 출력은 릴레이(5)의 여자권선(5')에 연결하되 릴레이(5)의 상시 개방 접점(A)을 전화기 회로부(가)의 훅크 스위치(HS)에 병렬로 연결 하며, 릴레이(5)의 상시 개방 접점(B)은 녹음 및 재생부(나)의 전원 스위치로 하고, 타이머(2)의 출력은 계전기(6)의 여자권선(6')에 연결하되, 계전기(6)의 상시 개방 접점(C)은 재생부(라)의 전원 스위치로 함과 동시에 상시 개방 접점(D)은 재생부(라)의 재생출력(O)과 국선(L1, L2)사이의 스위치로 하여 구성하며, 녹음 및 재생부(나)의 녹음 스위치(SW1, SW2, SW3)와 연동되는 스위치(SW4)를 릴레이(5)의 상시 개방접점(B)에 병렬 접속하되 수동 스위치(SWM)를 스위치(SW4)에 병렬 접속하고 제어부(다)의 수동 전원 스위치를 교류 전원(M)과 제어부(다) 사이에 연결하여된 제어부(다)를 특징으로 하는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
KR2019860018153U 1986-11-21 1986-11-21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 Expired KR890007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153U KR890007663Y1 (ko) 1986-11-21 1986-11-21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153U KR890007663Y1 (ko) 1986-11-21 1986-11-21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907U KR880010907U (ko) 1988-07-28
KR890007663Y1 true KR890007663Y1 (ko) 1989-10-31

Family

ID=1925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8153U Expired KR890007663Y1 (ko) 1986-11-21 1986-11-21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6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907U (ko) 198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3713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apparatus and method
US4069397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device
KR890007663Y1 (ko) 녹음기가 부착된 전화기
JPS6363142B2 (ko)
US3713039A (en) Telephone answering and recording device
US4783797A (en) Telephone answering device and method having incoming voice message reproduction loudspeaker
US3511935A (en) Automatic telephone answering device with a remote control system
US3794767A (en) Control circuit for telephone answering set with a recorder using a conventional record-play switch
JPH0351148B2 (ko)
JP2639918B2 (ja) 電話機用録音再生装置
JP2675296B2 (ja) 電話機用録音再生装置
US3941934A (en) Telephone answering system
JPS5941659Y2 (ja) 電話自動応答装置
US4829557A (en) Telephone answering device having outgoing message pause timer function
JPS5941658Y2 (ja) 電話自動応答装置
KR890002340B1 (ko) 전화기용 자동응답장치
GB868770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S6322664B2 (ko)
JPS6141189B2 (ko)
JPH04192854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238544Y2 (ko)
JPH0316061B2 (ko)
JPS5941660Y2 (ja) 電話自動応答装置
JP2686076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S59154856A (ja) 留守番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11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11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9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1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