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7397Y1 - 펄스발생회로 - Google Patents

펄스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397Y1
KR890007397Y1 KR2019860020950U KR860020950U KR890007397Y1 KR 890007397 Y1 KR890007397 Y1 KR 890007397Y1 KR 2019860020950 U KR2019860020950 U KR 2019860020950U KR 860020950 U KR860020950 U KR 860020950U KR 890007397 Y1 KR890007397 Y1 KR 890007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signal
diode
operational amplifier
transi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0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899U (ko
Inventor
신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20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397Y1/ko
Publication of KR8800138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8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397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Landscapes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펄스발생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 각부의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3-R6: 저항 D4, D5: 다이오드
C3: 콘덴서 OP1: 연산증폭기
본 고안은 입력신호의 레벨 변환시 일정펄스를 발생하게 한 펄스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스위치를 통한 고·저레벨신호의 입력단자(Si)가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전원저항(R1) 및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은 콘덴서(C1), 다이오드(D1)를 통해 출력단자(So) 및 접지저항에 접속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전원저항(R2)에 접속함과 아울러 콘덴서(C2)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출력단자(So)에 접속한 것으로 이의 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B+)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입력단자(Si)를 통해 고전위 신호가 입력되면[제2도 (가)t1]이 고전위 신호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가 온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및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저전위로 되며 [제2도 (나)t1] 이때 콘덴서(C1)와 다이오드(D1)의 접속점에는 제2도 (나)t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위가 형성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는 그의 베이스에 인가된 저전위신호에 따라 오프되어 그의 콜렉터는 고전위 된다. [제2도 (라)t1]
이에 따라 콘덴서(C2)와 다이오드(D2)의 접속점에는 제2도 (마)t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이 형성되고 이신호는 다이오드(D2)를 통해 출력단자(So)로 출력된다 [제2도 (바)t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입력단자(Si)를 통해 저전위신호가 입력되면 [제2도 (가)t1],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어 그의 콜렉터 및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고전위가 되고 [제2도 (나)t1],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2)가 온되어 그의 콜렉터은 저전위가 되며 [제2도 (라)t1], 이때 콘덴서(C2)와 다이오드(D2)의 접속점에는 제2 (마)t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전위가 고전위로 됨에 따라 [제2도 (나)t1] 콘덴서(C1)와 다이오드(D1)의 접속점에는 제2도 (다)t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이 형성되고, 이 신호는 다이오드(D2)를 통해 출력단자로 출력된다 [제2도 (바)t2].
즉, 입력신호의 레벨변환시 출력단자에는 제2도 (바)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 있어서는 출력신호가 완전구형파가 되지 못하여 오동작을 유발하는 수가 있고 다수의 수동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제작상의 원가상승 및 작업상에 불리한 점이 많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감안하여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간단한 회로로써 보다 정형된 구형파신호를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첨부된 제2도 및 제3도에 의해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Si)는 콘덴서(C3)를 통한 후, 다이오드(D4)(D5)를 각기 통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및 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전원단자(B+)에 직렬접속된 저항 (R3,R4)(R5,R6)의 접속점은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 및 반전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하며 그의 출력측을 출력단자(So)에 접속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B+)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입력단자(Si)에 고전위신호가 입력되면 [제2도 (가)t1], 콘덴서(C3)와 다이오드(D4, D5)의 접속점에는 제4도 (다)t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이 형성되고 이 형성된 고전위 펄스는 다이오드(D4)를 통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어 그 연산증폭기(OP1)로부터 제4도 (다)t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입력단자(Si)에 저전위신호가 인가되면 [제4도 (가)t2], 콘덴서(C3)와 다이오드(D4, D5)의 접속점에는 제4도의 (나)t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이오드(D5)sk가 도통되어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의 전위가 저전위로 되므로 연산증폭기(OP1)로 부터는 제4도 (다)t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펄스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즉, 입력신호는 고, 저레벨 변환시 [제4도 (가)] 출력단자에는 제4도 (다)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형파 신호가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간단한 회로로써 입력신호의 고, 저레벨 변환시 정확한 구형파 펄스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회로동작의 신뢰성을 높이고 제작원가를 절감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레벨변환신호 입력단자(Si)는 콘덴서(C3)를 통한후, 다이오드(D4)(D5)를 통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 및 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고, 전원단자(B+)에 직렬 접속된 저항(R3, R4)(R5, R6)의 접속점은 출력측에 펄스 출력단자(So)가 접속된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 및 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발생회로.
KR2019860020950U 1986-12-23 1986-12-23 펄스발생회로 Expired KR890007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950U KR890007397Y1 (ko) 1986-12-23 1986-12-23 펄스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950U KR890007397Y1 (ko) 1986-12-23 1986-12-23 펄스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899U KR880013899U (ko) 1988-08-30
KR890007397Y1 true KR890007397Y1 (ko) 1989-10-25

Family

ID=1925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0950U Expired KR890007397Y1 (ko) 1986-12-23 1986-12-23 펄스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3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899U (ko) 198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7397Y1 (ko) 펄스발생회로
SU139057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напр жени
SU758497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импульсов переменной амплитуды
JPS6451718A (en) Counter circuit
KR910003031Y1 (ko) 리세트회로
SU1190495A1 (ru) Импульсный усилитель
SU621072A1 (ru) Одновибратор
KR900005139Y1 (ko) 의사동기 발생회로
KR880008528A (ko) 일체로 집적할 수 있는 극단전류 펄스 발생회로
SU905992A1 (ru) Генератор пилообразного напр жени
SU53929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равнени напр жений
SU855972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импульсов
SU851766A1 (ru) Амплитуд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KR860001361Y1 (ko) 모노 멀티바이브레이터
KR860003525Y1 (ko) 마이크로 컴퓨터의 리세트회로
SU507913A1 (ru) Генератор пр моугольных импульсов
KR910005814Y1 (ko) 아날로그 영상신호 및 티티엘 영상신호 입력 처리회로
SU1608788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линейно измен ющегос напр жени
SU1443144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пр моугольных импульсов из синусоидального напр жени
SU1647861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импульсов
SU616708A2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импульсов
KR890006152Y1 (ko) 정전압 회로
SU681545A2 (ru) С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SU1387172A1 (ru) Удвоитель частоты
KR900000708Y1 (ko) 동기신호 스위칭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12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9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4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40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611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