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6878Y1 - 보안기용 플러그의 과전압 및 과전류 단락장치 - Google Patents

보안기용 플러그의 과전압 및 과전류 단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878Y1
KR890006878Y1 KR2019870003444U KR870003444U KR890006878Y1 KR 890006878 Y1 KR890006878 Y1 KR 890006878Y1 KR 2019870003444 U KR2019870003444 U KR 2019870003444U KR 870003444 U KR870003444 U KR 870003444U KR 890006878 Y1 KR890006878 Y1 KR 890006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metal film
short
preservative
film resi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8640U (ko
Inventor
조성즙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승기업
김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승기업, 김인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승기업
Priority to KR2019870003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878Y1/ko
Publication of KR880018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87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18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means for reducing interference or noise;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with means for protecting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00Details of spark gaps
    • H01T1/14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park gap for protecting it against overload or for disconnecting it in case of fail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1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안기용 플러그의 과전압 및 과전류 단락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케이스만을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제4도는 탄동스프링에 의해 전기가 단락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2 : 몸체
3, 3' : 접속단자 5 : 연결편
7 : 접지편 8 : 금속피막저항
8a, 8b : 단자핀 9 : 저온납
본 고안은 전자교환기의 배선반에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통전되어 기기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특히 금속피막저항으로 흐르는 과열에 의해 이를 접속 연결하는 탄동스프링을 신속히 단락케 하므로서 기기나 회로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보안기용 플러그의 과전압 및 과전류 단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그 대개가 방전관과 히트코일을 통과하는 전기에 이상현상이 발생할 경우 과전압시에는 방전관이 가열되어 샨트(Shunt)가 용융토록 하고 과전류는 히트코일의 중앙에 축삽되어 저온납으로 연결된 접속핀이 서로 용융 분리케 하므로서 접지하도록 된 방법이 있었으나 이는 접지할때 걸리는 시간이 비교적 길어 회로의 손상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동작이 이루워지지 않을뿐만 아니라 5A정도의 낮은 전류가 흐를시에도 불필요하게 단락되어 자주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단락시 그 연계동작이 느려 부품이 파손되거나 회로가 타버리게 되는 원인이 있었으며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고가의 제작비와 설치비를 소요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불편과 문제점을 해소하여 비교적 간단한 방법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히 단락토록 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속단자(3)(3')와 접지봉(4)이 몸체(2) 저면으로 접속되어 연결편(5) 사이에 위치되는 어레스터(6)에 이상전기 발생으로 방열될때 접지편(7)을 통해 접지봉(4)으로 접지토록 유도케 된 통상의 플러그(1)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편(5)의 중간부로 절결부(5a)에 끼워진 금속피막저항(8)의 일측 단자핀(8a)을 통해 연결된 전기가 타측 단자핀(8b)에 저온납(9)으로 융착된 탄동스프링(10)이 중공형의 접속단자(3') 내부로 접속되어 이상 전기 발생시 금속피막저항(8)의 발열로 저온납(9)이 용융됨과 동시에 탄동스프링(10)이 복원되며 단락토록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11은 고정크립, 12는 저온 전열부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피뢰탄 기반에 플러그(1)를 연결하여 그 열의 전류가 각각 접속단자(3)에 접속된 연결편(5)의 중간 절결부(5a)에 상부 단자핀(8a)이 끼워진 금속피막저항(8)과 탄동스프링(10)을 통해 타측의 접속단자(3')로 통전되게 되는데 접속단자(3')는 그 내부를 중공형으로 하여 탄동스프링(10)이 내부에 삽착조립될 수 있게 하고 제작시에 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재의 탄동스프링(10)은 우선 접속단자(3')에 삽착시킨 후 금속피막저항(8)의 하부 단자핀(8b)에 저온납(9)을 용융시킨 상태에서 직선을 유지하려고 하는 코일형의 탄동스프링(10)을 구부려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융착하도록 한다.
어레스터(6)를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크립(11)의 저면은 접지편(7)에 연결하고 양측면은 연결편(5) 외측에 도착된 저온 전열부(12) 외측에 접하게 하여 제조 완성된 것을 사용할때 전기적 사고나 낙뇌가 발생하면 어레스터(6)의 방열로 저온 전열부(12)가 용융되어 고정크립(11)에 의해 접지편(7)과 접지봉(4)으로 높은 전압이 흐르게 하는 방법으로 접지케 하는 것이고 강한 전류가 흐를때는 금속피막저항(8)에서 높은 열이 발생하여 하부 단자핀(8b)에 융착되어 있던 저온납(9)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가 방열될때 탄동스프링(10)은 자체 탄성으로 항상 일직선을 유지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므로 저온납(9)이 약간만 용융되더라도 첨부도면 제4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탄동스프링(10)이 펴지며 금속피막저항(8)의 단자핀(8b)에서 단락되는 결과에 의해 전기의 도통을 신속히 단락하게 되어 전화선로나 각종 기기를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각종 전기적 사고에 의해 발생되는 이상 현상을 접지나 단락으로서 신속하고 정확히 작동케 하므로서 각종 기구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으며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므로 저렴한 값으로 널리 보급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접속단자(3)(3')와 접지봉(4)이 몸체(2) 저면으로 접속되어 연결편(5) 사이에 위치되는 어레스터(6)에 이상전기 발생으로 방열될대 접지편(7)을 통해 접지봉(4)으로 접지토록 유도케 된 통상의 플러그(1)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편(5)의 중간부로 절결부(5a)에 끼워진 금속피막저항(8)의 일측 단자핀(8a)을 통해 연결된 전기가 타측 단자핀(8b)에 저온납(9)으로 융착된 탄동스프링(10)이 중공형의 접속단자(3')내부로 접속되어 이상 전기 발생시 금속피막저항(8)의 발열로 저온납(9)이 용융됨과 동시에 탄동스프링(10)이 복원되며 단락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기용 플러그의 과전압 및 과전류 단락장치.
KR2019870003444U 1987-03-18 1987-03-18 보안기용 플러그의 과전압 및 과전류 단락장치 Expired KR890006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444U KR890006878Y1 (ko) 1987-03-18 1987-03-18 보안기용 플러그의 과전압 및 과전류 단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444U KR890006878Y1 (ko) 1987-03-18 1987-03-18 보안기용 플러그의 과전압 및 과전류 단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640U KR880018640U (ko) 1988-10-29
KR890006878Y1 true KR890006878Y1 (ko) 1989-10-12

Family

ID=1926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444U Expired KR890006878Y1 (ko) 1987-03-18 1987-03-18 보안기용 플러그의 과전압 및 과전류 단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8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640U (ko) 198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1164A (en) Surge absorber
US4876621A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US4533896A (en) Fuse for thick film device
EP1074084B1 (en) Thermally responsive protection apparatus
US5528213A (en) Fuse
EP2441145B1 (en) Circuit protection device for photovoltaic systems
US10056217B2 (en)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transitory overvoltages
US4723190A (en) Safety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KR970004149A (ko) 보호 장치
US7666544B2 (en) 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 accumulator
KR890006878Y1 (ko) 보안기용 플러그의 과전압 및 과전류 단락장치
CA2051564C (en) Junction box with protection function to protect from overvoltage and overcurrent
US4851957A (en) Safety device f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EP0657978A1 (en) Failsafe device for use with electrical surge suppressor
RU2180153C2 (ru) Защитный штепсельный разъем
EP0134718A2 (en) Electrical components incorporating a temperature responsive device
US6188559B1 (en) Line-protection device with integrated cutoff
KR200184145Y1 (ko) 피뢰기의 소자 접점 구조
US6380837B1 (en) Slow acting fuse with wide range of current ratings
JPH0129768Y2 (ko)
CN2154574Y (zh) 一种保安器模块
KR860001530Y1 (ko) 보안기용 플러그와 히트코일의 연결장치
JP3088588U (ja) ヒューズ複合型バリスタ
GB2230900A (en) Electrical components
KR870003131Y1 (ko) 보안기용 플러그의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3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7031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90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1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