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6511A - Soft drink ejector - Google Patents

Soft drink ej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511A
KR890006511A KR1019880013368A KR880013368A KR890006511A KR 890006511 A KR890006511 A KR 890006511A KR 1019880013368 A KR1019880013368 A KR 1019880013368A KR 880013368 A KR880013368 A KR 880013368A KR 890006511 A KR890006511 A KR 890006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up
control means
soda
beverage dispenser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더블유.샤논 조세프
에스.그린 토마스
라이스 제프리 시
Original Assignee
조세프 더블유.사논
에이비시/세브론 테크코오퍼레이션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107,403 external-priority patent/US4903862A/en
Application filed by 조세프 더블유.사논, 에이비시/세브론 테크코오퍼레이션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조세프 더블유.사논
Publication of KR890006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511A/en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소프트 드링크 배출기Soft drink ejector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As this is a public information case, the full text was not included.

제1도는 본발명의 소프트 드링크 배출기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oft drink ej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발명의 시럽 시스템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syrup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소다 시스템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sod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A도는 본발명의 배출헤드의 바닥 평면도.4A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discharge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B도는 본발명의 노즐을 표시하는 배출헤드의 부분단면도.4B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charge head showing the no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발명의 배출헤드의 흐름패턴의 예시도.Figure 5 is an illustration of the flow pattern of the discharge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발명에 따른 수력누적기의 부분단면도.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hydraulic accu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본발명에 따른 시럽및 소다 배축사이클의 시간챠트.7 is a time chart of syrup and soda excretion cycl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제8내지10도는 바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본발명에 사용되는 제어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도.8 to 10 are flowcharts of a control pro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 microprocessor.

Claims (56)

붓기헤드 ; 상기 붓기헤드를 통해 소다를 배출하는 제1수단 ; 상기 붓기헤드를 통해 가향시럽을 베출하는 제2의 수단 ; 그리고 소망하는 음료를 얻기 위해서 배출사이클 동안 상기 붓기헤드를 통해서 상기 소다 및 가향시럽을 배출하는 시간기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1 및 제2 수단 사이에 상호연결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Swelling head; First means for discharging soda through the swelling head; Second means for ejecting a flavor syrup through the swelling head; And control means inter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eans for adjusting the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soda and flavor syrup is discharged through the pouring head to obtain a desired beverage. Beverage dispen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출사이클 동안 소다만이 배출되는 제1시간기, 소다 및 시럽이 동시에 배출되는 제2시간기, 그리고 시럽만이 배출되는 제3시간길글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establishes a first time period during which only soda is discharged during the discharge cycle, a second time period during which soda and syrup are discharged simultaneously, and a third time length during which only syrup is discharged. Beverage dispen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사이클이 제1시간기로 시작되고 제3시간기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3.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2, wherein the discharge cycle begins with a first time period and ends with a third time peri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기 및 제3시간기 사이에 제2시간기가 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3, wherein a second time period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time period and the third time peri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배출사이클 동안 소다 및 시럽 어느 것도 배출되지 않는 제4 시간기를 더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3.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means further establishes a fourth time period during which no soda and syrup is discharged during the discharge cy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물 소스 및 이산화탄소 소스에 연결된 탄사화 탱크와, 상기 물 소스 및 상기 탄산화 탱크 사이에 배치된 냉각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2.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eans comprises a carbonization tank connected to a water source and a carbon dioxide source, and a cooling plate disposed between the water source and the carbonation tan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화탱크가 단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The beverage dispens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arbonation tank is insula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화탱크로부터 상기 붓기헤드까지 상기 냉각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8.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conduit passing through the cooling plate from the carbonation tank to the pouring hea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된 상기 탄산화탱크내의 압력을 모니터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탄산화탱크내의 압력의 기능로서 상기 소다의 배출시간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means further comprises means for monitoring pressure in the carbonation tank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wherein the control means adjusts the discharge time of the soda as a function of pressure in the carbonation tank. Beverage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복수개의 가향시럽의 각각에 대한 펌프, 인입도관을 통해 관련 가향시럽의 벌크공급에 연결된 각각의 펌프,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펌프를 가압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2. The pump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means is a pump for each of a plurality of flavor syrups, each pump connected to a bulk supply of the relevant flavor syrup through an inlet conduit, and the pump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Beverage ej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a means for pressuriz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펌프에 각각 연결된 배출도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도관은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제어되는, 도관안의 사이에서 배치된 배출밸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means further comprises discharge conduit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ump, each conduit having discharge valves disposed between conduits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Beverage dispens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도관 각각에 배치된 채움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움밸브는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12.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filling valve disposed in each of the inlet conduits, wherein the filling valve is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펌프는 밸브를 통해 대기에 연결된 배기구를 가지고 상기 밸브는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13. A beverage discharg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each pump has an exhaust port connected to the atmosphere via a valve and the valve is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가압된 인산화탄소 가스의 소스와, 상기 가압된 인산화탄소 가스의 소스 및 상기 펌프 사이에 배치된 가압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밸브는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그것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14. The pressurization mean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ressurization means consists of a source of pressurized carbon phosphate gas, a pressurization valve disposed between the source of pressurized carbon phosphate gas and the pump, the pressurization valve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means and Beverage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ed b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압밸브를 열어서 상기 펌프의 어느 하나로부터 시럽을 배출하고 이어서 소망하는 양의 시럽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배출밸브가 열리도록 상기 배출밸브의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느 음료배출기.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 means opens the pressure valve to open the selected discharge valve for a sufficient time necessary to discharge the syrup from any one of the pumps and then to discharge the desired amount of syrup. Beverage ej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ning and closing any one selec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펌프는 관련펌프가 시럽이 충만 또는 비었을 때를 상기 제어수단에 지시하는 상기 제어수단에 연락된 상한센서와 하한센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료배출기.13.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12, wherein each pump has an upper limit sensor and a lower limit sensor in contact with the control means instructing the control means when the associated pump is full or empty of syrup.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관련 하항센서가 펌프가 비었다는 것을 지시할 때 펌프의 작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17.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means stops the operation of the pump when the associated lowering sensor indicates that the pump is empt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시럽이 펌프로부터 배출될 때마다 시간기를 시작하고, 상기 상한센서가 상기 펌프가 충만되지 않은 것을 지시하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시간기의 끝에 상기 펌프와 관련된 상기 채움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17. The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means starts a time period each time the syrup is discharged from the pump and is associated with the pump at the end of the time period when the upper limit sensor indicates to indicate that the pump is not full. Beverage dispensing, characterized in that for closing the filling valv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펌프는 상기 펌프내에 시럽의 온도를 모니터하는 상기 제어수단에 연결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온도의 기능으로서 상기 펌프로부터 시럽의 배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11. The pump of claim 10 wherein each pump comprises means connected to said control means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syrup in said pump, said control means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syrup from said pump as a function of said temperature. Beverage dispens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시럽이 배출되는 동안의 시간기를 상기 온도의 기능으로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20.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19, wherein the control means adjusts the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syrup is discharged as a function of the temperatur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 및 상기 펌프사이를 상호연결하는 압력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그 수단은 온도의 기능으로서 상기 펌프에 대해 압력헤드를 조절하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20. The apparatus of claim 19, further comprising pressure regulating means for interconnecting said pressurizing means and said pump, said means being controlled by said control means for regulating a pressure head relative to said pump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Beverage dispen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붓기헤드는 복수개의 시럽배출통로에 의해 둘러싸인 복수개의 소다배출통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The beverage dispens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uring head comprises a plurality of soda discharge passages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syrup discharge passages.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소다배출통로는 상기 소다배출통로가 존재하는 상기 붓기헤드의 표면에서 상호간에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23. The beverage ejector of claim 22, wherein the soda discharge passage is substantially tangential to each other on a surface of the swelling head in which the soda discharge passage exists.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소다배출통로는 이들이 상기 붓기헤드를 통과할 때 원뿔형이고 통로를 통한 소다 흐름의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23.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22, wherein the soda outlet passages are conical as they pass through the swelling head and increase in diameter in the direction of soda flow through the passage.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배출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다배출통로에 대해 상기 붓기헤드를 통해 어떤 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25.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24,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yrup discharge passage extends through the pouring head relative to the soda discharge passage at an angl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붓기헤드는 상기 붓기헤드를 떠날때는 원뿔형이고 그때부터는 원통형인 소다의흐름을 배출하고, 시럽의 흐름은 그것으로부터 이격된 관계로 상기 소다흐름의 옆을 따라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료배출기.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welling head discharges a flow of soda that is conical and cylindrical after leaving the swelling head, and the flow of syrup flows along the side of the soda flow in a spaced relation therefrom. Beverage dispenser.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의 흐름이 상기 소다의 흐름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27.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26, wherein the flow of syrup winds the flow of soda.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붓기헤드는, 블록을 통과하는 상기 통로를 가지는 블록, 커버플레이트를 통하는 통로를 가지는 커버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 및 커버 플에이트를 통하는 통로는 서로 이격된 관계로 대응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블록에 부착되면 커버플레이트 및 블록의 통로는 서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23.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the swelling head comprises a block having the passage through the block and a cover plate having the passage through the cover plate, wherein the passage through the block and the cover plat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ver plate is attached to the block, wherein the passage of the cover plate and the block is shifted from each other. 제28항에 있어서, 가요성 튜브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상기 통로를 통과하고 상기 튜브의 끝은 상기 블록내의 상기 통로내에 수용되며, 상기 튜브는 주름이 잡히고 상기 어긋남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29. The beverage of claim 28, wherein the flexible tube passes through the passageway of the cover plate and the end of the tube is received within the passageway in the block, the tube being crimped and maintained by the misalignment. ejecto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붓기헤드는 소망하는 음료의 탄산수준을 낮추도록 상기 소다와 함께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수단과 연락된 물배출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23.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22, wherein the pouring head further comprises a water discharge passag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means for discharging water with the soda to lower the carbonated level of the desired beve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가압된 시럽의 소스에 연결된 탄성튜브를 포함하며, 탄성튜브는 상기 가압된 소스로부터 튜브를 통해 흐르는 시럽을 허용 및 억제하기 위해 그 안에 배치된 밸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means comprises an elastic tube connected to a source of pressurized syrup, the elastic tube having a valve disposed therein to allow and inhibit syrup flowing through the tube from the pressurized source. Beverage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튜브는 상기 시럽흐름을 종료하는 상기 밸브가 닫혔을 때 찌부러지고 이어서 상기 튜브의 열린 끝으로부터 상기 시럽을 뒤로 끌어들여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31.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30 wherein the elastic tube is crushed when the valve that terminates the syrup flow is closed and subsequently draws back the syrup from the open end of the tube. 붓기헤드; 시럽의 벌크공급; 상기 벌크공급으로부터 시럽을 수용하고 상기 붓기헤드를 통하여 상기 시럽을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붓기헤드와 상기 벌크공급 사이에 내부연결된 제1수단 : 그리고 상기 벌크공급으로부터 상기 제1수단에 의해 시럽을 수용하고 상기 북시헤드를 통해서 시럽을 배출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수단에 연결된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드링크 배출기용 시럽배출 시스템.Swelling head; Bulk supply of syrup; A first means internally connected between the swelling head and the bulk supply for receiving syrup from the bulk supply and for discharging the syrup through the swelling head: and receiving the syrup by the first means from the bulk supply and A syrup discharging system for a soft drink ej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control means connected to said first means for controlling discharging syrup through a bookhead.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은, 제1밸브를 통해 상기 벌크공급과 연락되어 작동하고 제2밸브를 통해 상기 붓기헤드와 락되어 작동하는 체임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드링크 배출기.34. The chamber of claim 33, wherein the first means comprises a chamber in operative operation in contact with the bulk supply through a first valve and locked in operation with the swelling head through a second valve. And a valve is controlled by said control means.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체임버에 연락되어 작동하는 가압소스를 더 포함하고 그 소스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드링크 배출기.35. The soft drink ejector of claim 34, further comprising a pressurization source in contact with and operating in said chamber, said source being controlled by said control means.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체임버에 연결된 상기 체임버를 배기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그 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배기수단은 상기 제1밸브가 상기체임버를 채우도록 열렸을때 상기 체임버를 배기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드링크 배출기.36. The apparatus of claim 35,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evacuating the chamber connected to the chamber, the means being controlled by the control means, wherein the evacuation means opens the chamber when the first valve is opened to fill the chamber. And a soft drink ejector operated by said control means for exhausting.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체임버를 주기적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배기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드링크 배출기.37. The soft drink ejector according to claim 36, wherein said control means controls said exhaust means to periodically eject said chamber.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체임버가 고정된 시간의 주기에서 소정의 용량까지 충만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밸브를 닫고 상기 체임버로부터 시럽의 배출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드링크 배출기.35. The soft drink ejector according to claim 34, wherein the control means closes the first valve and suppresses the discharge of syrup from the chamber if the chamber is not filled to a predetermined capacity in a fixed period of time.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연락된 것으로서 상기 체임버내에 온도를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체임버내에 시럽온도의 기능으로서 상기 체임버로부터 시럽의 배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드링크 배출기.36. The apparatus of claim 35,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sensing a temperature in said chamber as being in contact with said control means, said control means adjusting the discharge of syrup from said chamber as a function of syrup temperature in said chamber. Soft drink ejector.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연락된 것으로서 상기 붓기헤드내에 온도를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붓기헤드에서 온도의 기능으로서 상기 붓기헤드로부터 시럽의배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드링크 배출기.36. The apparatus of claim 35,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sensing a temperature in the swelling head in contact with the control means, wherein the control means controls the discharge of syrup from the swelling hea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t the swelling head. A soft drink ejector characterized by the above. 붓기헤드; 소다를 발생시키고 상기 붓기헤드를 통해 소다를 배출하는 제1수단; 상기 소다의 발생과 상기 봇기헤드를 통해 상기 소다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수단에 연결된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Swelling head; First means for generating soda and discharging the soda through the swelling head; And a control means connected to said first means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said soda and discharge of said soda through said bot head.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탄산화 탱크; 소스안의 물의 수준을 유지하도록 상기 탄산화 탱크에 연결된 물의 소스; 그리고 탱크에 CO2가스를 공급하는, 상기 탄산화 탱크에 연락된 CO2가스의 소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42.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said first means comprises: a carbonation tank; A source of water connected to the carbonation tank to maintain the level of water in the source; And a source of CO 2 gas in contact with the carbonation tank for supplying CO 2 gas to the tank.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물의 소스로부터 상기 탱크로 도입되는 물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물의 소스와 상기 탄산화 탱크 사이에 배치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43.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42, further compris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source of water and the carbonation tank to cool water introduced into the tank from the source of water.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탄산화 탱크를 배수시키고 후속하여 소정의 단계에서 상기 탄산화 탱크를 재보충하고, 상기 물은 상기 냉각수단을 통해 상기 탄산화 탱크로 상기 냉각수단을 통해 상기 탄산화 탱크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44. The method of claim 43, wherein the control means is activated to drain the carbonation tank and subsequently replenish the carbonation tank in a predetermined step, wherein the water is passed through the cooling means to the carbonation tank via the cooling means. A beverage dis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roduced into the carbonation tank.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화 탱크는 상기 제어수단에 연락된 압력변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을 상기 탄산화 탱크내에 압력의기능으로서 상기 붓기헤드를 통한 상기 소다의 배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4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2, wherein said carbonation tank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transducer in contact with said control means, said control means adjusting the discharge of said soda through said pouring head as a function of pressure in said carbonation tank. Beverage dispenser. 시럽의 소스; 소다의 소스; 그리고 용기에 수용될 때까지 상기 시럽 및 소다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격된 흐름으로 시럽 및 소다를 배출하도록 적응되어 있는, 상기 시럽 및 소다 소스와 연락된 붓기 헤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용기내로 음료를 배출하는 음료배출기.Sauce of syrup; Source of soda; And a swelling head in contact with the syrup and soda source, adapted to discharge the syrup and soda in a spaced flow to prevent the syrup and soda from mixing until contained in the container. Beverage dispenser for dispensing beverage into containers.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붓기헤드는 상기 소다의 소스에 연결된 오리피스의 다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리피스는 상기 시럽의 소스에 연결된 상기 다발의 주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47.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46, wherein the swelling head consists of a bundle of orifices connected to the source of soda and the hospice is disposed around the bundle connected to the source of the syrup.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붓기헤드는 끝을 자른 원뿔모양으로서 상기 소다의 흐름을 규정하고 상기 시럽의 흐름에 의해 소다의 흐름이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48.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47, wherein the swelling head is conical in shape and defines the flow of soda and the flow of soda is wound by the flow of the syrup.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오리피스의 어떤 것은 상기 다발의 안쪽으로 각을 이루고 있으나 상기 다발의 중심에서 벗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49.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48 wherein any of the peripheral orifices is angled inwardly of the bundle but away from the center of the bundle.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내의 오리피스가 서로 밀접한 접선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48.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47, wherein the orifices in the bundle are in close tangenti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내의 상기 오리피스는 원뿔모양이고 소다의 흐름방향으로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48.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47 wherein the orifice in the bundle is conical and large in diameter in the flow direction of soda.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오리피스에 근접해서 상기 붓기헤드에서 굽어진 튜브를 통해 상기 소다의 소스와 연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48.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47 wherein the orifice is in contact with the source of soda through a tube bent at the swelling head proximate to the orifice.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튜브는 상기 굽힘에 근접해서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53.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52 wherein each tube is enlarged in diameter close to the bend.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의 직경이 커지는 제2튜브부재를 수용하는 제1튜브부재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2튜브부재는 사선방향으로 절단한 끝을 가지며 상기 끝은 상기 제1튜브부재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56. The tube of claim 53, wherein the tube is defined by a first tube member for receiving a second tube member having a larger diameter of the tube, the second tube member having an end cut in an oblique direction and the end being the first tube member. Beverage ej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ccommodated in one tube member.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붓기헤드에서 지지된 가요성 튜브를 통해 상기 시럽 및 소다의 소스와 연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47.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46, wherein the orifice is in contact with the source of syrup and soda through a flexible tube supported at the pouring head.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의 소스와 연락되는 상기 뉴브는 탄성적이고 시럽배출의 종료시에 상기 오리피스의 끝으로부터 시럽을 끌어들이도록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배출기.56. The beverage dispenser of claim 55, wherein the nub in contact with the source of the syrup is elastic and shrinks to draw syrup from the end of the orifice at the end of syrup dispensing.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Note: The disclosure is based on the initial application.
KR1019880013368A 1987-10-13 1988-10-13 Soft drink ejector KR8900065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403 1987-10-13
US07/107,403 US4903862A (en) 1987-10-13 1987-10-13 Soft drink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511A true KR890006511A (en) 1989-06-14

Family

ID=6815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368A KR890006511A (en) 1987-10-13 1988-10-13 Soft drink e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5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9411A1 (en) Carbonation process
US4949764A (en)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with carbonated liquid under counterpressure as dispensed having different filling characteristics by adjusting pressure differential without changing flow control mechanism
US4764315A (en) Water cooler and carbonator
US4520948A (en) Disposable container for liquid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from such container
US5870944A (en) Carbonated beverage making apparatus and method
US4391712A (en) Reverse-osmosis water purifier apparatus and method
US4903862A (en) Soft drink dispenser
US3552726A (en) Motorless carbonator and method of operation
US5000357A (en) Soft drink dispenser
US50166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carbonated liquids, especially beverages, into containers under counter pressure
EA002334B1 (en) DEVICE FOR DISTRIBUTING LIQUID UNDER PRESSURE
NL8006809A (en) DELIVERY SYSTEM FOR DIFFERENTLY MIXED CARBONIC CONTAINING BEVERAGES.
US20110005635A1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multicomponent liquids
US4546609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inuous stream of a cryogenic liquid and in particular liquid nitrogen
US4860804A (en) Filled amount control system
GB9825763D0 (en) Filling containers with gas
RU2507147C2 (en) Container for beverage made of thermoplastic pet
US4613060A (en) Pressure-gas operated dispensing means for fluids
US4225537A (en) Carbonating device
KR890006511A (en) Soft drink ejector
US3788343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4585146A (en) Open top tank with flow rate control device therein
US494483A (en) malmstrxm
EP0128148A1 (en) Apparatus for supplying gas to a liquid in a container therefor.
JP2005231674A (en) Fill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10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