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5651Y1 - 액류식 (液流式) 섬유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액류식 (液流式) 섬유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651Y1
KR890005651Y1 KR2019860017636U KR860017636U KR890005651Y1 KR 890005651 Y1 KR890005651 Y1 KR 890005651Y1 KR 2019860017636 U KR2019860017636 U KR 2019860017636U KR 860017636 U KR860017636 U KR 860017636U KR 890005651 Y1 KR890005651 Y1 KR 890005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ven fabric
casing
pump
rear cas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896U (ko
Inventor
이사오 스기모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닛센
기무라 준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닛센, 기무라 준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닛센
Priority to KR2019860017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651Y1/ko
Publication of KR880009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65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pouring or allowing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textile material
    • D06B1/06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pouring or allowing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textile material flowing along an incline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류식 (液流式) 섬유처리장치
제1(a)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1(b)도, 제1(c)도, 제1(d)도는 제1(a)도에 있어서의 (A)-(A'), (B)-(B'), (C)-(C')의 각 단면도.
제2(a)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피하는 측단면도.
제2(b)도, 제2(c)도, 제2(d)도는 제2(a)도에 있어서의 (A)-(A'), (B)-(B'), (C)-(C')의 각 단면도.
제3(a)도는 종래의 액류식 섬유처리장치의 측단면도.
제3(a)도, 제3(b)도, 제3(c)도, 제3(d)도는 제3(a)도에 있어서의 (A)-(A'), (B)-(B'),(C)-(C'), (D)-(D')의 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포체류탱크 2 : 펌프
3 : 앞부분 자켓트부 4 : 센터케이싱 (Center casing)
5 : 뒷부분 케이싱 6 : 직포
10 : 뒷부분 흡입배관 11 : 앞부분 흡입배관
14 : 유로
본 고안은 액류식섬유 (이하 직포라함 )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뒷부분케이싱 (5), 센터케이싱 (4) 및 앞부분 자켓트부 (3)의 처리액순환용 배관 (9) (10) (11)은 처리액 순환펌프 (2)의 흡입구로 접속되어 있었다.
이 종래장치에서 직포를 낮은 욕비 (Liquor-ratio)로서 처리운전하면 펌프 (2)의 흡입부하에 의하여 직포 (6)가 뒷부분 케이싱 (5). 센터케이싱 (4) 및 자켓트 흡입부 (3)의 상당히 많이 뚫려있는 작은구멍에 직포 (6)가 흡수되어서, 펌프 (2)가 서어징 (surging)현상을 일으켜서 분사구 (7)의 압력이 떨어지고 직포의 안전주행이 불가능하게 되어서 직포를 손상시키고 있었다.
이것의 대책으로서 처리액의 분량을 증가하게 하거나 직포운송용의 처리액분사부 (7)의 유량을 쥐어짜서 (펌프유량을 쥐어짜고) 펌프의 흡입부하를 적게하던가 뒷부분케이싱 (5) 및 센터케이싱 (4)의 각각 그 유량조절용 바이패스밸브를 쥐어 짜는등 하고있었으나 상기한 유량을 쥐어짜는 것은 직포 (6)의 고속순환운전이 불가능하게되며, 유량조절용 바이패스 밸브의 조작은 직포 (6)의 종류, 중량, 처리액의 온도 및 투입하는 약품등에 의하여 그때마다 조절할 필요가 있어서 번잡할뿐만 아니라 그 조작을 해도 길이가 길게된 수평형탱크에 있어서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있어서 처리액면의 균형은 곤란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결점을 해소한것으로서, 특히 낮은 욕비로서 높은유량, 고속운전에 있어서도 간단한 조작으로서 안정한 직포 (6)의 처리가 행해지는 장치를 제공하려하는 것으로서, 즉 체류탱크의 뒷부분쪽 케이싱의 구멍을 보유하는 아래 밑바닥벽의 아래면과 앞부분 자켓트부를 연결하는 유로를 설치하여 처리액 순환펌프의 흡입쪽 배관을 상기한 뒷부분 케이싱 아래면과, 앞부분 자켓트부에 개구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직포 (6)은 분사구 (7)에 의하여 보내여지고, 직포 이송부 (8)에서 나온직포 (6)은 뒷부분 케이싱 (5)에서 정렬되어 센터케이싱 (4)에서 체류탱크 (1)로 순차적으로 보내여서 순환회동한다.
이때 직포 (6)와 함께 직포이송부 (8)를 나온 처리액은 뒷부분 케이싱 (5) 및 센터케이싱 (4)의 상당히 많은 작은구멍에서 케이싱 밖으로 일부가 자연분리된다.
그리고 상기한 자연분리된 처리액은 뒷부분케이싱 (5)의 개구부 (5a) 및 센테케이싱 (4)의 개구부 (4a)를 통하여 유로 (14)를 개재하여 앞부분 자켓트부 (3)로 유입되어 자켓트부 (3)의 상당히 많은 작은구멍을 통해서 펌프로 순환된다.
길이가 길게된 수평형 체류탱크 (1)에 있어서, 뒷부분의 처리액이 앞부분 자켓트부 (3)의 흐름에 따라서 처리직포 (6)의 장해를 전혀받지않고 유로 (14)를 통하여 안전되게 자켓트부 (3)로 흐르기 때문에 체류탱크 (1)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처리액위치가 보전지지되는 까닭에 앞부분 자겟트부 (3)에 저류되어있는 처리액은 직포의 종류, 온도, 약품등의 영향도 받는 일이없이 안정되게 보전지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자켓트부 (3)의 보유하는 처리액을 깊게 보전지지하는 것으로 되어서 직포 (6)는 떠있는 상태로서 순환회동되어서 펌프흡입부압의 영향을 받기가 힘들다.
앞부분 자켓트부 (3)의 처리액면의 항상 일정한것은 직포를 잡아당겨올리는 경사면부분 (1a)의 직포를 잡아당겨올리는 장력은 일정하게 되어서 직포 (6)의 순환속도는 안정하게 된다.
종래의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이 케이싱 바깥의 처리액을 펌프 (2)의 흡입구에 직접 접속하고있는 배관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순환시키기 때문에 펌프의 흡입부하에 의하여 케이싱내의 처리액도 빨려나오는 상태가 일어나서 이때 직포 (6)도 함께 빨려든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되어있다.
본 고안은 이 빨려드는 현상을 없게하기위하여 센터케이싱 (4)부에 대한 흡입배관을 폐지하고, 뒷부분케이싱 (5)부에 대한 흡입배관 (9)은 종래보다 1/3의 개구 지름으로 적게하고, 조절의 개방정도도 체류탱크 (1)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처리액의 온도분포를 양호하게하여 온도의 불균일을 아주작게하기 위하여 아주작게 열어서 펌프의 흡입압력이 작용하지않는 상태로 배치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체류탱크 (1)의 뒷부분의 처리액을 흡입배관 (9) (10)으로 순환시키고 있었던것을 그 처리액을 앞부분 자켓트부로 이송하여 순환되는 것이므로 직포는 펌프의 부압의 영향을 거의받는 일이 없다.
제2도는 유로 (14)를 체류탱크 (1)의 아래쪽의 바깥편에 설치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이, 이 장치로서 통기성이 나쁘고, 펌프의 흡입부압을 받기쉬운 직포 (폴리에스텔 100% 나프타)를 시험하였을 경우 직포투입량에 있어서 1.5-2.0배증가, 처리액량으로서 30%-40%감소, 직포순환속도에 있어서 1.5-2.0배 증가, 분사유량 (펌프유량)에 있어서 2.0배 이상 증가하는 운전이 가능하게됨과 아울러 직포의 손상도 적게 되어서 그 실시효과는 현저한 것이다.

Claims (3)

  1. 직포를 체류 순환시키는 체류탱크 (1)의 뒷부분 케이싱 (5)의 구멍이있는 아래부분 밑바닥벽 아래면과 앞부분 자켓트부 (3)를 연결하는 유로 (14)를 설치하고, 처리액 순환펌프 (2)의 흡입쪽 배관을 상기한 뒷부분 케이싱 (5)아래면과 앞부분 자켓트부 (3)에 개구시킨것을 특징으로하는 액류식 섬유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체류탱크 (1)에 앞쪽이 내려가는 경사지게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류식 섬유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뒷부분 케이싱 (5)의 아래면으로 개구하는 배관 (12)은 그 안쪽지름이 종래에 비하여 특히 작게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류식 섬유처리장치.
KR2019860017636U 1986-11-12 1986-11-12 액류식 (液流式) 섬유처리장치 Expired KR890005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636U KR890005651Y1 (ko) 1986-11-12 1986-11-12 액류식 (液流式) 섬유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636U KR890005651Y1 (ko) 1986-11-12 1986-11-12 액류식 (液流式) 섬유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896U KR880009896U (ko) 1988-07-23
KR890005651Y1 true KR890005651Y1 (ko) 1989-08-25

Family

ID=1925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636U Expired KR890005651Y1 (ko) 1986-11-12 1986-11-12 액류식 (液流式) 섬유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6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896U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1849B1 (en) Jet dyeing apparatus and method
US4019351A (en) 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of a fiber product
GB1390000A (en) Apparatus for wet processing textile material
US4036038A (en) Apparatus for low liquor ratio wet processing of textile fabric
US4318286A (en) Apparatus for wet processing of textile material in endless rope form
KR890005651Y1 (ko) 액류식 (液流式) 섬유처리장치
US3802840A (en) Method for treatment of a fabric
JPS6342155Y2 (ko)
JP2959613B2 (ja) 繊維製品処理装置
US4340986A (en) Method for wet processing of textile material in endless rope form
JPS6037219B2 (ja) 液流式繊維製品処理装置における繊維製品の液流搬出装置
SU138463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жидкостной обработки бесконечн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полотна в жгуте
GB1362415A (en) Apparatus for treating textile materials
JP3747540B2 (ja) 繊維製品の液体処理装置および繊維製品の製造方法
KR100986144B1 (ko) 염색기
JPH0123582B2 (ko)
JP3993951B2 (ja) 複槽式液流処理機
KR100317049B1 (ko) 염색기
JPH0320508B2 (ko)
KR910004645Y1 (ko) 저욕비 액류 염색기
JPS5926700B2 (ja) 布地の液流処理法
JP2644983B2 (ja) 繊維物の処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S6030778B2 (ja) 高圧液流染色装置
US1628557A (en) Apparatus for treating vegetable, animal, or artificial fibers with dyes or other liquids
KR200199816Y1 (ko) 액류순환형 포직물염색기의 포직물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11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6111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7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1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11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8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8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8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4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