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5367B1 - 상호 신호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상호 신호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367B1
KR890005367B1 KR1019860011657A KR860011657A KR890005367B1 KR 890005367 B1 KR890005367 B1 KR 890005367B1 KR 1019860011657 A KR1019860011657 A KR 1019860011657A KR 860011657 A KR860011657 A KR 860011657A KR 890005367 B1 KR890005367 B1 KR 89000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circuit unit
connecto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582A (ko
Inventor
박성현
박옥배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 하인츠 디터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 하인츠 디터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6001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367B1/ko
Publication of KR880008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호 신호 변환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신호 변환장치를 설치 운용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보인 블록선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호 신호 변환장치의 상세한 회로 구성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각 선로에 주어지는 신호 파형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송신기 및 수신기로 사용된 IC의 로직 다이아그램(logic diagram) 및 함수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R : S-232C 수신회로부 200 : RS-422 송신회로부
300 : RS-232C 수신회로부 400 : RS-422 수신회로부부
TXD,
Figure kpo00001
: 송신단자 RXD,
Figure kpo00002
: 수신단자
U1, U4: 수신기 U2, U3: 송신기
CN1, CN1: 코넥터
본 발명은 신호 방식이 서로 다른 기간의 상호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신호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신호 방식이 서로 다른 기기. 예를 들면 교환기와 같은 통신기기와 컴퓨터 단말장치를 호환성 있게 연결하여 상호 데이타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신호 방식의 특성에 따라 전송선로 중간에 삽입하여 원거리 까지 데이타를 고속으로 중계할 수 도 있는 역할을 가진 상호 신호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산업화 추세에 따라 데이타 통신을 하기 위하여 각종기기. 예를 들면 교환기, 컴퓨터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의 단말 장치를 네트 워크화 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종전에는, 주로 RS-232C 방식의 신호 방식을 가진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 RS-232C 방식에 비해 데이타를 더 고속으로 전송하고 또한 원거리 까지 보낼수 있는 신호 방식이 나타났으며, 이것들 중 대표적인 것이 RS-422 신호 방식이다.
예를 들어 RS-232C 신호 방식의 경우, 그 데이타의 전송 속도가 20Kbps로 느리고 전송거리도 15m정도로 짧기 때문에 근거리 전송에만 사용이 가능하였지만, 최근에 들어서 데이타의 전송속도가 100Kbps, 전송 거리도 1Km이사을 가진 고효율의 신호 방식인 RS-422 방식의 출현으로 말미암아 원기리까지 데이타의 고속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RS-232C 방식을 채택한 기기나 단말기 간에는 신호 방식의 차이로 말미암아 서로 간의 데이타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중이던 단말기와 새로 설치하여 운용하고자 하는 단말기, 그리고 서로 다른 여러 메이커로 부터 구입한 관계로 서로 상이한 신호 방식을 갖추고 있는 단말기 등을 조합해서 네트워크화 하고자 할때에 신호 방식이 다른 경우에는 상호 데이타 전송이 불가능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는 동일한 신호 방식의 단말기끼리 연결시키거나, 아니면 신호를 변환시켜 주는 복잡한 옵션회로를 부착하는 등의 비효율적인 운용상의 결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같이 RS-232C 신호 방식의 경우, 데이타의 전송속도가 느리고 전송거리가 짧기 때문에 이 방식을 가진 단말기 상호간에는 원거리로의 데이타의 전송이 불가능한 거리적인 제약과 짧은 시간내에 많은 양의 정보를 보낼수 없다는 제약이 뒤 따랐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RS-232C 방식과 최근에 나타난 RS-422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기기 및 컴퓨터의 단말기간의 상호 데이타 전송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상호 신호 변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목적은 RS-232C 신호 방식으로 된 두 개의 단말기 사이에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그 중간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데이타를 고속으로 원거리 까지 전송 가능하게 하는 중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의 블록 선도를 보면 동일한 RS-232C 방식을 사용하는 단말기간의 데이타 전송선로 C1은 항상 상호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고, C2선로 및 C3선로는 서로 다른 신호 방식을 갖는 단말기간의 상호 통신이므로 본 발명의 상호 신호 변환장치가 설치 운용되는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C4선로는 종래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RS-232C 방식의 경우로서 비교적 느린 전송속도와 근거리 통신만 가능한데 비하여, C5선로는 본 발명장치를 중계기로 사용하여 양쪽의 단말기는 종래의 RS-232C 방식이면서 전송로 상에서는 비교적 고속의 전송속도와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RS-422 신호 방식을 사용 가능하게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제3도에 따라 설명해 보면, RS-232C 방식을 갖는 단말기에 설치된 코넥터(CN1)의 수신단자(
Figure kpo00003
)에 RS-232C 방식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U1)와 이 수신기에 입력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로 구성된 RS-232C 수신회로부(100)와, 이 RS-232C수신회로부(100)의 출력단과 RS-422 방식을 갖는 단말기 설치된 코넥터(CN2)의 송신단자(TXD
Figure kpo00004
) (TXD
Figure kpo00005
)에 각각 연결되어 RS-232C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를 RS-422 방식에 맞는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기(U3)와 출력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저항(R1)으로 구성된 RS-422 송신회로부(200)와, 상기 코넥터(CN2)의 수신단자(TXD
Figure kpo00006
) (TXD
Figure kpo00007
)와 RS-232C 송신회로부(300)의 입력돤에 각각 연결되어 RS-422 방식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U4)와 입력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저항(R2)으로 구성된 RS-422 수신회로부(400)와, 이 RS-422 수신회로부(400) 및 상기 코넥터(CN1)의 송신단자(
Figure kpo00008
)에 각각 연결되어 RS-422 방식으로 수신된 신호를 RS-232C 방식에 맞는 규정된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기(U2)로 구성된 RS-232C 송신회로부(300)등 네개의 회로부로 연결구성되어 있다.
제4도에는 제3도의 각 선로에 주어지는 파형을 나타내며 제3도의 선로 변호와 일치되도록 파형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제5도에는 제3도에 도시된 수신기(U1)(U4)및 송신기(U2)(U3)로 사용된 IC의 로직 다이아그램과 함수표(function table)를 설명의 편의상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회사의 제품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의 선로 A를 통해서 RS-232C 방식의 신호가 제4도의 파형 A와 같이 들어오면 이 신호는 위상반전 기능을 가진 수신기(U1)를 거치는 동안 위상이 반전되는 동시에 송신기(U3)의 입력으로써 적합한 신호로 변환되어 제4도의 파형B와 같은 신호가 선로 B상에 나타나 송신기(U3)로 입력되어 진다.
이때 RS-230 수신회로부(100)의 콘덴서(C1)는 수신기(U1)에 입력된 RS-232C 방식의 신호중에 섞여있는 고주파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4도의 파형 B와 같은 신호를 받은 송신기(U3)는 RS-422 방식에 맞도록 두개의 신호로 변한 시키는데 즉, 제4도의 파형 C와 같이 코넥터(CN2)에서 송신단자(TXD
Figure kpo00009
)에 입력되는 신호가 'H'(5V)일때 송신단자(TXD
Figure kpo00010
)에는 'L'(0V) 신호가 나타나고 또한 송신단자(TXD
Figure kpo00011
)에 'L'(OV)가 입력될때는 송신단자 (TXD
Figure kpo00012
)에 'H'(5V) 신호가 나타나도록 해준다.
한편 이와 반대로, RS-422 방식의 코넥터(CN2)에서 RS-232C 방식의 코넥터(CN2)로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를 보면, 제3도의 선로D를 통해서 RS-422 방식의 신호가 제4도의 파형 D와 같이 입력되면 이 신호를 받은 수신기(U4)는 송신기(U2)의 입력으로써 적합한 신호로 변환되어 제4도의 파형 E와 같은 형태로 선로 E상에 나타나서 송신기(U2)로 입력되어 진다.
여기서 RS-422 수신회로부(400)의 저항(R2)은 입력 임피던스 매치용이다.
제4도의 파형 E와 같은 신호를 받은 송신기(U2)는 RS-232C 방식에 맞도록 제4도의 파형 F와 같은 신호로 변화시켜 선로 F를 따라 RS-232C의 송신단자(
Figure kpo00013
)로 보내게 된다.
요약하면 RS-232C 방식의 단말기에 설치된 코넥터(CN1)를 통해 들어온 RS-232C 방식의 신호는 본 발명장치를 거치는 동안 RS-422 방식의 신호로 변화되어 RS-422 방식의 단말기에 설치된 코넥터(CN2)로 출력되며, 반대로 RS-422방식의 단말기에 설치된 코넥터(CN2)로 들어온 RS-422 방식의 신호는 본 발명 장치를 거치는 동안 RS-232C 방식의 신호로 변환되어 RS-232C 방식의 단말기에 설치된 코넥터(CN1)로 보내주게 된다.
이상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RS-232C 방식을 사용하는 기기 및 단말기와 RS-422방식을 사용하는 단말기간에서는 상호 호환적인 데이타 전송이 불가능하였는데, 본 발명에 의한 상호 신호 변화장치는 회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상호 신호 변화효율이 뛰어나 기기 및 단말기간의 상호 통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고도 경제적인 운용효과를 가져다 준다.
또한 RS-232C 신호 방식으로 된 두개의 단말기 사이의 전송로에 본 발명에 의한 상호 신호 변환장치를 양쪽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데이타를 고속으로 원거리 까지 전송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RS-232C 방식으로 된 통신선로 중계기로서도 훌륭하게 이용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다 준다.

Claims (1)

  1. 상호 신호 변환장치에 있어서, RS-232C 방식을 갖는 단말기에 설치된 코넥터(CN1)의 수신단자(
    Figure kpo00014
    )에 RS-232C 방식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U1)와 이 수신기에 입력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C1)로 구성된 RS-232C 수신회로부(100)와, 이 RS-232C 수신회로부(100)의 출력단과, RS-422 방식을 갖는 단말기에 설치된 코넥터(CN2)의 송신단자 (TXD
    Figure kpo00015
    )(TXD
    Figure kpo00016
    )에 각각 연결되어 RS-232C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를 RS-422 방식에 맞는 규정된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기(U3)와 출력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저항(R1)으로 구성된 RS-422 송신회로부(200)와, 상기 코넥터(CN2)의 수신단자(RXD+)(RXD-)와 RS-232C 송신회로부(300)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어 RS-422 방식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U4)와 입력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저항(R2)으로 구성된 RS-422 수신회로부(400)와, 이 RS-422 수신회로부(400) 및 상기 코넥터(CN1)의 송신단자(
    Figure kpo00017
    )에 각각 연결되어 RS-422 방식으로 수신된 신호를 RS-232C방식에 맞는 규정된 신호로 출력하는 송신기(U2)로 구성된 RS-232C 송신회로부(300)로 구성되어 있어서, RS-232C 방식과 RS-422 방식과 같이 신호 방식이 서로 다른 기기나 또는 단말기 간의 상호 통신의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RS-232C 신호 방식으로 된 두개의 단말기 사이의 중간에 설치함으로써 데이타를 고속으로 원거리 까지 전송가능하게 하는 중계기 역할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신호 변환장치.
KR1019860011657A 1986-12-29 1986-12-29 상호 신호 변환장치 KR89000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1657A KR890005367B1 (ko) 1986-12-29 1986-12-29 상호 신호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1657A KR890005367B1 (ko) 1986-12-29 1986-12-29 상호 신호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582A KR880008582A (ko) 1988-08-31
KR890005367B1 true KR890005367B1 (ko) 1989-12-23

Family

ID=1925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657A KR890005367B1 (ko) 1986-12-29 1986-12-29 상호 신호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3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582A (ko) 198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9544B2 (en) Detachable radio module
US4622551A (en) Half-duplex industrial communications system
CA1087258A (en) Circuit for wire transmission of high frequency data communication pulse signals
CA2268360A1 (en) Destination dependent coding for discrete multi-tone modulation
JPH03500238A (ja) インタフエースユニツト
US4443884A (en) Data line interface
ATE163115T1 (de) System zum erhöhung der kapazität bestehender lokaler netze mit geschirmter, verdrillter zweidrahtleitung
KR890005367B1 (ko) 상호 신호 변환장치
FR2614484B1 (fr) Terminal de transmission de donnees sur une voie analogique bidirectionnelle avec annulation d'echo couplee au rythme reception
KR20010017264A (ko) 데이터 통신 방법
KR900007677B1 (ko) 다기능 전송제어회로
GB2074426A (en) Logic circuitry for intercommunication between distant bus systems
JPH07131504A (ja) データ転送装置
KR900001795B1 (ko) 상호신호 변환장치
KR0154607B1 (ko) 직렬 전송신호 변환장치
KR100466972B1 (ko) 데이터 신호의 매칭 타이밍 조정을 위한 트랜스시버를 갖는 로우 스피드용 유에스비 디바이스
KR890002143Y1 (ko) 데이터 전송방식 절환회로
KR100202993B1 (ko) 통신포트와 백보드상의 코넥터간 정합장치
Steffey Data communications made easy and economical-new techniques provide solutions to data communications problems for industrial/commercial data acquisition and control
CA236560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nrz data signals across an isolation barrier disposed in an interface between adjacent devices on a bus
KR0128896B1 (ko) 캐스캐이드로 접속된 원격 송수신장치
JP3091011B2 (ja) 信号ライン接続装置
KR910006678B1 (ko) 데이타 통신용 인터페이스회로
RU1825427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пр жени ЭВМ с телефонной линией св зи
WO1999000926A3 (en) A digital system for subscriber lines allowing high bit r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6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8805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911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0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0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199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