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5105B1 - 절전형 모우터의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절전형 모우터의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105B1
KR890005105B1 KR1019870007184A KR870007184A KR890005105B1 KR 890005105 B1 KR890005105 B1 KR 890005105B1 KR 1019870007184 A KR1019870007184 A KR 1019870007184A KR 870007184 A KR870007184 A KR 870007184A KR 890005105 B1 KR890005105 B1 KR 890005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
power
motor
circuit unit
termin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105A (ko
Inventor
양태건
임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 엠이씨
이승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 엠이씨, 이승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 엠이씨
Priority to KR101987000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105B1/ko
Publication of KR89000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105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 Ac-Ac Conver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전형 모우터의 구동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 : 전원스위칭회로부 40,50,60 : 스위징 제어회로부
70 : 변환궤환 회로부 R,S,T : 3상 교류 전원단자
M : 모우터 SCR1-SCR6: 다이리스트
TC1-TC3: 트라이악 OiS1-OiS3:옵토아이솔레이터
T1: CT트랜서 VR1-VR5: 가변저항
cds1-cds3: 광도전셀 LED1-LED3: 발광다이오드
Di1-Di3: 다이액 C1-C7: 콘덴서
D1-D7: 다이오드
본 발명은 절전형 모우터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이리스터를 사용하여 부하의 전압전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모우터의 절전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한 구동회로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모우터 절전기에 있어서는 , 지금까지 많은 모우터의 절전기가 생산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이는 회로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고장률이 많고, 또한 조정하는 데 문제점이 노출되어 왔으며, 특히 3상에서는 각상의 하나하나를 별도로 조정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스위치회로부, 스위칭제어회로부 및 변환궤환회로부등을 이용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각상을 동시에 조절할수 있도록 하고, 또한 부하의 변동이 심한 어떤기계에도 월등한 성능을 발휘할수 있도록 하여 모우터의 절전효과를 얻을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상교류전원단자(R,S,T)와 부하측인 모우터(M)측에는 입력신호단자(L1-L3)와 출력신호단자(T1-T3)를 각각 통하여 다이리스터(SCR1-SCR6)로된 전원스위칭회로부(10)(20)(30)의 입력단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전원스위칭회로부(10)(20)(30)의 출력단에는 트라이악(TC1-TC3), 다이액(Di1-Di3), 가변저항(VR1-VR3), 다이오드(D1-D6), 콘덴서(C1-C6)및 저항(R1-R9)으로된 스위칭제어회로부(40)(50)(60)의 입력단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스위칭제어회로부(40)(50)(60)의 출력단에는 옵토아이솔레이터(OiS1-OiS3), 광도전셀(Cds1-Cds3), 발광다이오드(LED1-LED3), CT트랜스(T1), 가변저항(VR4), (VR5), 다이오드(D7)및 콘덴서(C7)로된 변환궤환회호부(70)를 연결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3상교류전원단자(R,S,T)에 전원이 투입된 상태에서 입력신호단자(L1)에 입력되면, 입력된 전원은 스위칭제어회로부(40)의 내부에 구성된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다이리스터(SCR2)의 게이트(G)측에 가해지게됨으로써 상기 다이리스터(SCR2)는 "턴온"하게되고, 따라서 다이리스터(SCR1)는 "턴오프"된다.
또한 모우터(M)측의 부하전원이 출력신호단자(T1)에 출력되면 출력된 부하의 전원은 콘덴서(C1)에 가해지게되어 콘덴서(C1)는 충방전하게 된다.
이때 가변저항(VR1)을 조정하여 줌으로써 다이액(Di1)은 "턴온"하게되고, 따라서 트라이악(TC1)도 "턴온"된다.
그럼으로써 다이리스터(SCR1)는 "턴온"되고 다이리스터 (SCR2)는 "턴오프"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회로가 성립하게 되는데 전원스위칭회로부(10)내의 내부에 구성된 다이라스터(SCR1)과 (SCR2)의 게이트(G)측에 신호를 보내지 않는 이상은 상기 다이리스터(SCR1) (SCR2)는 "턴온"되지 않으며 따라서 모우터(M)측의 부하전원은 차단된 상태이다.
여기서 다이리스터(SCR1)과 (SCR2)가 수행할수 있는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다이리스터(SCR1)과 (SCR2)는 "턴온"되고 부하측의 모우터(M)는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다이리스터(SCR1)과 (SCR2)의 게이트(G)측에 인가되는 신호의 양에 따라서 상기 다이리스터(SCR1) (SCR2)의 제어범위가 결정되는데 이와같이 제어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스위칭제어회로부(40)의 내부에 구성된 가변저항(VR1)에 의해 상기 다이리스터(SCR1) (SCR2)의 제어범위가 결정된다.
이와같이 결정된 신호는 모우터(M)부하측의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이 없으므로 변환궤환회호부(70)에서는 이를 보안하게 된다.
여기서 변환궤환회로부(70)의 내부에 구성된 VR1은 전원스위칭회로부(10)의 내부에 구성된 다이리스터(SCR1)과 (SCR2)의 조정범위를 원활히 하기 위한 가변저항이다.
따라서 모우터(M)의 측의 부하의 변화를 변환궤환회로부(70)의 내부에 구성된 광도전셀(Cds1)및 발광다이오드(LED1)로된 옵토아이솔레이터 (OiS1)에서 이를 감지하여 다이리스터 (SCR1) (SCR2)의 게이트 (G)측에 대한 신호량을 자동제어하게되며, 이에따라 다이리스터(SCR1) (SCR2)는 모우터(M)측의 부하전압, 전류를 자동제어하여 모우터(M)의 절전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원스위칭회로부(20)(30)와 스위칭제어회로부(50)(60)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전원스위칭회로부(10)와 스위칭제어회로부(40)와의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므로써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은, 간단한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 경제적이며 그 성능이 우수할뿐 아니라 만약 고장시에도 염가수리를 가능하게하고, 또한 기존의 3상에서는 각상을 하나하나를 별도로 조정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각상을 동시에 조절이 가능하도록하고, 또한 다이리스터를 사용함으로써 리드 테이프 다이리스터를 사용했을시보다 가격이 저렴할뿐만 아니라 고장원인을 삭감 시켜주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3상교류전원단자(R,S,T)와 부하측인 모우터(M)측에는 입력신호단자(L1-L3)와 출력신호단자(T1-T3)를 각각 통하여 전원스위칭회로부 (10)(20)(30)의 입력단을 각각 연결하고, 상기 전원스위칭회로부(10)(20)(30)의 출력단에는 스위칭제어회로부 (40)(50)(60)의 입력단을 각각 연걀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칭제어회로부 (40)(50)(60)의 출력단에는 변환궤환회로부(70)단을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모우터의 구동회로.
KR1019870007184A 1987-07-06 1987-07-06 절전형 모우터의 구동회로 Expired KR890005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184A KR890005105B1 (ko) 1987-07-06 1987-07-06 절전형 모우터의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184A KR890005105B1 (ko) 1987-07-06 1987-07-06 절전형 모우터의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105A KR890003105A (ko) 1989-04-12
KR890005105B1 true KR890005105B1 (ko) 1989-12-11

Family

ID=1926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184A Expired KR890005105B1 (ko) 1987-07-06 1987-07-06 절전형 모우터의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1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105A (ko) 198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63764T1 (de) Wechselstromgenerator mit mehrfachen ausgangsspannungen
US4375612A (en) Controlled regenerative d-c power supply
US5838555A (en) Two-wire power supply electronic switch
JPS5863082A (ja) インバータ装置
US4271386A (en) Power factor controller for induction motor
KR890005105B1 (ko) 절전형 모우터의 구동회로
JP2560530B2 (ja) 電力変換器
EP0331157A3 (en) Switching power supply
US4287464A (en) Power factor controller for an induction motor using transistor switch means with variable breakdown voltage
JPS5668273A (en) Inverter
JP3096236B2 (ja) 電源装置
JPS6423768A (en) Dc and ac power circuit unit
GB2059192A (en) Controlled regenerative D-C power supply
GB1485786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wer supplied to a load from a rectified alternating voltage source by suppressing half cycles
KR0114674Y1 (ko) 110v/220v자동절환회로
JP2001078458A (ja) 単相整流装置
SU170254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итани дуговой печи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RU20474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мощности электродуги
JPS56121377A (en) Motor driving device
SU909772A1 (ru) Симистор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в переменное
KR910004079Y1 (ko) 모터의 정전력 공급장치
SU10722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коммутатором трехфазной нагрузки
SU1654954A1 (ru) Последовательный автономный инвертор
SU830619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В пОСТО ННОЕ
SU171128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нагруз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412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4121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