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5050Y1 -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050Y1
KR890005050Y1 KR2019850012983U KR850012983U KR890005050Y1 KR 890005050 Y1 KR890005050 Y1 KR 890005050Y1 KR 2019850012983 U KR2019850012983 U KR 2019850012983U KR 850012983 U KR850012983 U KR 850012983U KR 890005050 Y1 KR890005050 Y1 KR 890005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us fluid
suction
cylindrical
container
cylindrical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2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821U (ko
Inventor
나까네야쓰지
요시후미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스리본드
노나까 다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스리본드, 노나까 다다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스리본드
Priority to KR2019850012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050Y1/ko
Publication of KR8600048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8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050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displacement of walls
    • B65D88/60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displacement of walls of internal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공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흡인 종료시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부분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흡인종료시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저장통교환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성유체 2 : 비닐포대
4 : 기대 5 : 승강장치
6 : 흡인펌프 11 : 원통용기
12 : 누룸부재 13 : 흡인판
14 : 안덮개 15 : 흡인공
본 고안은 액상시일제, 접착제, 그라이스 등의 점성유체의 도포, 토출, 충진, 이송등을 실시하는 압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들 점성유체는 약 20kg정도의 양을 합성수지계의 비닐포대용에 넣고, 이것을 저장통에 수장하여 저장 및 수송을 하였던 것이다.
이 저장통 내의 점성유체를 전술한 압송장치에 의하여 흡인 압송하는 경우에는 제4도와 같이 비닐포대(2)에 채워 넣은 점성유체(1)를 저장통(3)에 넣은 후 압송장치의 기대(4)에 올려 놓는다.
이때의 저장통(3)의 윗쪽에는 승강장치(5)에 의해 지지되는 흡인펌프(6)가 설치되어 있고, 이 흡인펌프(6)아래의 흡인구에 설치한 누름판(7)및 이 누름판(7)의 주변부에 설치한 고무와이퍼(wiper)(8)를 저장통(3)내의 비닐포대(2)의 내측에 삽입하고 이 안의 점성유체(1)의 상면을 누른 상태로서 흡인펌프(6)로 흡인하고, 토출구(10)를 통하여 도포장치 등에 압송한다.
(제5도 및 제6도 참조).
이 때에 점성유체(1)가 흡인되어서 저장통(3)내의 점성유체(1)의 상면이 낮아진 몫만큼 승강장치(5)에 의해 상기한 흡인펌프(6), 누름판(7) 및 고무와이퍼(8)가 하강 하는 것이다.
이때에 고무와이퍼(8)는 비닐포대(2)의 벽면에 남아있는 점성유체(1)를 마치 훑어 내듯이 하면서 하강해 간다.
이와같이 하여 최하단까지 하강한 상태가 제5도이다.
이때 누름판(7)은 환전히 하강 했더라도 형사이형상이므로 비닐표대(2)내부에는 흡인할 수 없는 잔류 점성액체(1')가 남게 된다.
또한 저장통(3)은 바닥면의 끝부분 즉 가장자리부는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누름판(7)은 라운딩 부에 의해 더이상 하강할 수 없으며, 따라서 잔류 점성유체(1')는 더욱 많이 남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가 제5도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저장통(3)을 상기같이 형성하여 사용하므로 누름판(7)의 단부에 설한 고무와이퍼(8)는 고무재 이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때문에 고무와이퍼(8) 윗쪽에도 점성유체(1')가 세어서 부착해 버리기 때문에 교환할 때에 고무와이퍼(8)의 세정 또는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나아가서 제5도와 같이 다량의 잔류점성유체(1')를 남긴 상태에서 흡인을 정지하여 다음의 저장통(3)과 교환할 때에 승강자치(5)로 흡인 펌프(6), 누름판(7) 및 고무와이퍼(8)를 들어올리면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판(7)의 하면에 잔류하고 있는 점성유체가 아래로 떨어져서 작업장을 더럽힐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다음의 다른 저장통(3)에 삽입할때에 다량의 공기가 누름판(7)하면의 우묵한 공간부에 들어있는 그대로 다음의 점송유체 상면에 강하하기 때문에 다량의 공기가 혼입되므로서 사고의 큰 원인으로도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흡인할 수 없는 잔류점성유체의 양을 극소화 하는 것과 저장통의 교환시 점성유체의 떨어짐에 의한 작업장의 오염과 공기의 혼입을 극소화 할 수 있는 재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레의 저장통을 원통용기(11)로 형성하여 이내부에 원통형의 비닐포대(2)를 설하고, 평판모양의 안덮개(14)와 이 안덮개 윗쪽으로 밀어붙이는 흡인판(13)으로 구성되고, 또한 흡인판(13)의 중앙에 뚫린 흡인공은 작은 구멍들로서 형성된 것이다.
안덮개 (14)는 원통용기 (11)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만들어져 있고, 또한 원통용기(11)의 바닥면의 단부는 기존이 저장통(3)처럼 타운딩이 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최후의 흡인 상태일 때에는 원통용기(11)의 저면과 안덮개(14)하면과는 거의 밀착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잔류점성 유체의 양은 극소화 되는 외에 안덮개 (14)하면이 평면이기 때문에 원통용기(11)의 교환시공기의 혼입은 거의 없다.
또한 흡인공이 작은 구멍틀로서 형서되어 있기 때문에 이 흡인공으로 부터 윗쪽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점성유체가 아래로 흘러떨어지는 일이 없다.
<실시예>제1도는 본 고안의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고,제2도는 또한 요부이 단면도이다.
기대(4)위의 정위치에는 원통용기(11)가 올려진다.
이 원통용기(11)의 내부에는 점성유체(1)를 담은 비닐포대(2)가 내설되고 비닐포대(2)의 상단은 원통용기(11)의 외측에 꺾여서 접어지고 이와 같이 접혀진 비닐포대(2)단부는 누룸부재(12)에 의하여 원통용기 (11)의 외벽에 고정된다.
한편 기대(4)위에 설치한 승강장치(5)에 의하여 상기한 원통용기 (11)의 상측에 설치된 흡인펌프(6)의 아래쪽 흡인구에는 흡인판(13)이 기대(4)의 상면과 평행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흡인판(13)의 하면에는링을 삽입하는 홈이 설치되어 있고,링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원통용기(11)안에 수장한 비닐포대(2)안의 점성유체(1)의 상면에는 안덮개(14)가 비닐포대(2) 내경의 크기로 설치되어 있고, 이 안덮개(14)의 중앙부에는 상기한 흡입판(13)의 중앙부의 작은 구멍들과 대향하도록 흡입공(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덮개(14)의 외주 연부는 평면으로도 좋고, 또는 원통면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흡인펌프(6)에 의하여 점성유체(1)가 흡인되어서 감량되면 승강장치(5)에 의하여 흡인펌프(6), 흡입판(13) 및 안덮개(14)가 점성유체(1)의 상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하강하지만, 원통용기(11)는 바닥면 까지가 일정한 직경으로된 원통면이기 때문에 제3도 처럼 안덮개(14)가 최하부까지 하향하였을때, 잔류하는 점성유체(1)의 양은 극히 소량이 된다.
또한 원통용기(11)는 통상의 저장통(3)과는 달리 높이가 높게 제작되어 있고 안덮개(14)와의 사이에는 종래와 같은 고무와이퍼는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안덮개(14)의 윗쪽에는 점성유체가 스며나오는 일이 없다.
나아가서 흡인판(13)의 흡인구는 작은 구멍들로 이뤄어졌기 때문에 교환시에 끌려 올려진 상태에서도 내부에 남아있는 점성유체(1)가 아래로 떨어지는 일이 없고, 흡인판(13)안덮개(14)이 상, 하면과도 평면인데다 상기한링으로 외부와 차단하기 때문에 교환시에 공기의 혼입을 시킬수 있다.

Claims (1)

  1. 비닐포대(2)등에 채워넣어진 상태에서 저장통에 수장된 높은 정도의 점성유체(1)를 흡인펌프(6)로 흡인하여 압송하는 점성유체의 압송장치에 있어서, 내벽면이 상부로부터 저부까지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용기(11)를 길게 형성하여 이 원통용기(11)내에 점성유체(1)가 채워진 통상의 비닐포대(2)를 수장하고, 중앙부에 흡인공(15)을 가지는 평면 상의 안덮개(14)를 원통용기(11)내측에 설하되 이 안덮개(14)의 상면으로 흡인펌프(6)하단에 설한 흡인판(13)이 밀접토록하고, 상기한 원통용기(11)의 원통외면에 있어서 반대로 꺼꺼 접은 상태의 비닐포대(2)를 고정하는 누름부재(12)를 형성하고, 상기한 흡입판(13)에는 그 중앙부에 앞덮개(14)의 흡인공(15)에 대향하는 원안에 많은 작은 구멍들과 이 원의 외주부에 설한 흠에링을 삽입하여서 된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 공급장치.
KR2019850012983U 1985-10-07 1985-10-07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공급장치 Expired KR890005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2983U KR890005050Y1 (ko) 1985-10-07 1985-10-07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2983U KR890005050Y1 (ko) 1985-10-07 1985-10-07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821U KR860004821U (ko) 1986-05-08
KR890005050Y1 true KR890005050Y1 (ko) 1989-07-31

Family

ID=1924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2983U Expired KR890005050Y1 (ko) 1985-10-07 1985-10-07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0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661A (ko) * 2017-02-28 2019-10-30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점성재료 공급장치,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피복 시트, 점성재료 공급방법 및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661A (ko) * 2017-02-28 2019-10-30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점성재료 공급장치, 점성재료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피복 시트, 점성재료 공급방법 및 피복 시트의 장착방법
US11480164B2 (en) 2017-02-28 2022-10-25 Threebond Co., Ltd. Viscous material supply device, cover sheet used in viscous material supply device, viscous material supply method, and method for attaching cover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821U (ko) 1986-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25666Y2 (ko)
US3904083A (en) Self-sealing viscous material dispenser loading apparatus
US2859899A (en) Dispensing apparatus
EP0369722A1 (en) Dispenser
CN115465562B (zh) 化妆品自动滴液器
CN111918824B (zh) 液体容器用定量排出装置
US3748909A (en) Pippette
US11753192B2 (en) Filling device for filling an aerosol container with a liquid
US4931814A (en) Ink supply device for ink jet printer
WO2011148735A1 (ja) 材料圧送装置
KR890005050Y1 (ko) 점성유체 압송장치의 재료공급장치
KR102470902B1 (ko) 친환경 화장품 드로퍼
US3323669A (en) Nursing bottle
CN221836958U (zh) 一种细胞培养用培养基加注设备
JPH0672791B2 (ja) 大容量の深い容器から吸引容器によって液体を取出す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大容量の深い容器に対する吸引補助手段としての装置
US642119A (en) Discharging mechanism for syrup or other jars.
CN113072019B (zh) 一种灌装封口一体机
US2028838A (en) Container and dispenser
JPH0415667Y2 (ko)
US61022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excess material from containers
CN220012128U (zh) 一种具有可兼容性的油墨灌装机
KR200415118Y1 (ko) 자동 충전장치
JPS58216587A (ja) 容器充填装置
KR20200129952A (ko) 실리콘 토출장치
JPH0224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510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5100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81024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7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10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001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0010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7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7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7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26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