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90005018B1 - 투습성 방수포 - Google Patents

투습성 방수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018B1
KR890005018B1 KR1019860009354A KR860009354A KR890005018B1 KR 890005018 B1 KR890005018 B1 KR 890005018B1 KR 1019860009354 A KR1019860009354 A KR 1019860009354A KR 860009354 A KR860009354 A KR 860009354A KR 890005018 B1 KR890005018 B1 KR 890005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layer
solution
inorganic material
organic solv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416A (ko
Inventor
이용준
노무학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860009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018B1/ko
Publication of KR88000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018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투습성 방수포
제 1도는 본 발명 투습성 방수포의 구성을 표시하는 확대단면도.
제 2도는 본 발명 투습성 방수포의 폴리우레탄피막내부에 형성된 공극의 단면을 300배로 확대한 전자현미경 사진 .
제 3도는 본 발명 투습성 방수포의 표면층을 200배로 확대한 전자현미경.
본 발명은 개량된 투습성 방수포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포지의 편면에 접착층, 미세다공층 및 표면층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되, 접착층에 형성시킨 다수의 공극사이를 다수의 미세기공이 관통되도록 하고, 표면층은 낮은 표면 마찰계수를 가지며 체지 (體指)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일본특개소51-70082호로 알려진 투습성 방수포는 포지의 편면에 접착층과 미세다공층을 형성시킨 것으로서 표면층이 없기 때문에 표면마찰계수가 높아서 봉제성이 불량하였으며, 체지의 미세기공에로의 침투가 용이하여서 장기간 사용하면 미세기공의 막힘에 의한 투습성저하의 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의 것은 접착층 내부가 PAU수지 (폴리아미노산 우레탄수지)의 발포에 의한 단순한 공극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습성이 충분치 못햇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봉제성이 우수하고 지속적으로 투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접착층내부에 형성시킨 미세기공에 의하여 더 한층 투습성이 향상되도록 한 투습성 방수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바 이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무기물질, 발초제, 폴리우레탄수지로된 유기용제용액을 섬유포지상에 코팅하여 통기성과 투습성이 있는 접착층을 부여한 다음, 폴리우레탄중합체, 무기물질, 계면활성제, 발수제를 포함한 극성유기용제용액을 상기 접착층 위에 코팅하여 습식응고시키고, 알카리수용액중에서 극성유기용제 추출 및 무기물질을 용출시킨후 건조하여 통상의 미세다공층을 형성시키고, 상기의 미세다공충 위에 우레탄수지, 실리카겔, 파리핀왁스, 발유제로 된 일정량의 유기용제용액을 도포하여 발수처리함으로서 투습성, 방수성과 함께 우수한봉제성과 발유성을 동시에 부여한 투습성방수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피막층별로 세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착층)
투습성과 함께 원단과 미세기공 피막간에 우수한 접착성을 부여하는 층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된 것이다. 수평균분자량10,000 내지 50,000의 폴리에스테르 폴리 우레탄수지외 고형분10-20%, (이하 중량백분율임), 아 크릴수지의 고형분1-9%, 무기물질3-10%, 발포제1-4%,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0.2-5%와 유기용제로된 용액을 섬유포지상에 코팅한 다음 건조하거나, 또는 건조하여 알카리수용액 중에서 무기물질을 용출시킨 다음 건조한다.
폴리우레탄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50,000이상인 경우 접착성이 너무 강해 알카리수용액에서 무기물질의 용출이 어렵고 투습도가 낮게 되며, 10,000이상인 경우 접착성이 너무 약하다.
무기물질은 실리카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중조, 염화칼슘을 사용하였으며, 3%이하인 경우 통기 및 투습성이 불충분하고. 10%이상인 경우 점성이 저하되고 접착성 및 작업성이 나빠진다.
(미세다공층)
제 2도 사진에서와 같이 공극과 미세기공을 형성시키는 층이다.
폴리우레탄중합체의 고형분이 8-30%(이하 중량백분율임), 무기물질이 0.1-10%,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0.1-5%, 음이온계면활성제가 0.1-5%, 발수제 0.2-5%, 그리고 폴리이소시안네이트가 0.2-5% 함유된 극성유기용제용액을 섬유포지상에 코팅하여 3-15%, D.M.F수용액에서 습식응고시켜서 미세기공을 형성시킨 다음 알카리수용액중에서 극성유기용제를 추출하고 무기물질을 용출시킨 후 건조하여 발수처리한다.
(표면층)
종래 투습성 방수소재의 단점인 미세다공층 내부로의 체지침투의 용이성, 끈적끈적(Wet touch)함과 폴리우레탄 표면의 높은 마찰계수로 인한 봉제성 불량을 개선하기 위한 층이다. 경도(Hardness)가 80도 이 상인 폴리우레탄 고형분이5-15%(이하 중량백분율임), 실리카겔1-8%, 파라핀왁스1-8%, 다음 일반식(1)의 불소계 중합체1-10%, 알루미늄 분말 5-20% 또는 적당량의 안료로된 유기용제 용액을 상기 미세다공층 위에 코팅, 또는 스프레이 또는 프린팅등으로 도포 건조하여 표면층이0.5-10μ 두께로 되게한 다음, 실리콘 또는 불소계 발수제로 처리한다.
폴리우레탄수지의 경도가80도 이하인 경우는 표면촉감이 끈적끈적하고 투습도가 저하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고형분이5% 이하인 경우는 그 작용효과가 적고15%이상인 경우는 작업성이 불량하고 두께 조절이 어렵다.
실리카겔이1%이하인 경우 투습도가 저하되고, 표면광택이 심하며 8%이상인 경우는 작업성이 불량하다. 파라핀왁스가 1% 이하인 경우 마찰계수가 높아 그 작용효과가 없고 8%이상인 경우는 투습성이 저하되고 너무 매끈하여 표면 외관이 좋지 않다. 다음 일반식(1)의 불소계 발유발수제가 1%이하인 경우 그 작용효과가 불충분하고 10%이상인 경우 도포상태가 불균일하다.
Figure kpo00001
(여기에서, R1는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 R2는 탄소수2-21의 퍼플루오트알킬기 (Perfluoro alkyl), n은 100-200의 정수이다.) 알루미늄 분말은 복사열반사에 의한 보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하는 것으로서 5%이하인 경우는 그 작용효과가 불충분하고 20%이상인 경우는 알루미늄 분말에 의항 오염이 심하여 상품의 가치가 없어진다.
또한 표면층 두께가 0.5μ이하일때 그 작용효과가 불충분하고 10μ이상인 경우 투습도가 저하되고 촉감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재로서는 면, 실크, 모직등의 자연섬유, 비스코스레이온등의 화학섬유,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클리로니트릴등의 합성섬유로 된 편,직물 또는 이들의 혼방 편,직물이 있으며, 단 섬유의 경우는 칼렌더링 (Calendering)등의 처리방법에 의하여 잔털을 뉘우거나 감소시켜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투습성수포는 제 3도의 표면사진과 같이 표면층의 표면이 다수의 미세한 요철표면을 가지고 있고 표면마찰계수가 적어졌기 때문에 봉제작업성이 우수하다. 또 본 발명은 표면층이 발유제로 처리되었으므로 사용중 체지가 표면층에 부착하거나 미세기공속으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어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투습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접착층에 형성시킨 공극과 공극사이를 관통시키는 미세기공으로 말미암아 미세기공층의 투습작용을 더욱 강화시켜주기 때문에 결국 본 발명의 투습성방수포는 접착층에 단순한 공극만을 가진 것에 비하여 투습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70d 나일론직물(경사밀도 120올/인치. 위사밀도 90올/인치)을 불소계 발수제 5%농도의 수용액에 침지하여 170℃에서 열처리하여 직물의 표면에 A수직액을
A 수지액의 조성
폴리우레탄수지 : 15 부
아크릴수지 : 5 부
Na2B4O710H2O : 4 부
실리카겔 : 3 부
NaHCO3: 2 부
Figure kpo00002
톨루엔 : 67 부
50g/m2로 도포하고 건조하여 통기성 및 투습성 접착층을 형성한 다음 수직액B를 나이프 오버롤코터를 이용하여250g/m2도포하고 5%디.엠.에프 수용액을 20℃로 유지시킨 응고조에 5분간 침지한 후 다시0.5%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60℃로 유지시킨 추출조에서 20분간 추출하고 수산화나트륨을 수세하고 150℃에서 2분간 건조하여 미세다공층을 형성한다.
B 수지액 조성
폴리에스터게 폴리우레탄 : 16 부
디.엠.에프(D.M.F) : 63 부
실리카겔 : 7 부
HO(EO)10(PO)30(EO)10H : 4 부
불소계 발수제 : 4 부
폴리프로필렌슬폰산염 : 2 부
2.4-(2.6)토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 4 부
이 미세다공층 위에 수직액C를 스프레이 방법으로 도포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3μ을 유지하도록 한 다을 발수처리하여 투습성 방수소재로 얻는다.
C 수지액 조성
폴리우레탄(경도 100도) : 10 부
실리카겔 : 2 부
파라핀왁스 : 2 부
Figure kpo00003
MEK : 84 부
[비교예1]
70d 나일론직물(경사밀도 120올/인치,위사밀도 90올/인치)에 우레탄수지를 그라비아롤에 의하여 점 코팅한 다음 편면에 수지액D를 나이프오버롤코터로
D 수지액 조성
폴리우레탄수지 : 15 부
디.엠.에프 : 83 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 2 부
200g/m2도포하고 5%디.엠.에프 수용액을 20℃로 유지시킨 용고조에 5분간 침지하고 60℃로 유지된 추출조에서 20분간 추출하고 150℃에서 2분간 건조하여 발수처리한다.
상기의 실시예 1과 비교에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1과 같다.
[표1]
Figure kpo00004
(* ; TOYO BALDWIN CO., LTD(JAPAN)의 Model SS-505D로 측정하였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습성방수포는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봉제성. 박리강력, 발유성이 좋아 각종 스포츠의류, 방한복, 방수복, 신발류등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Claims (3)

  1. 포지의 편면에 폴리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무기물질, 발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유기용제로된 용액을 도포, 건조하여서 된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접착층의 상면에 폴리우레탄수지, 무기물질, 바이온 및 음이온계면활성제, 발수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극성유기용제로 된 용액을 도포, 건조하여서 된 통상의 미세다공층을 형성시키며, 미세다공층의 상면에 폴리우레탄수지, 파라핀왁스, 무기물질, 불소계 중합체 및 유기용제로 된 용액을 도포, 건조하여서 된 표면층을 형성시켜서 된 투습성방수포.
  2. 제 1항에 있어서 무기물질은 실리카겔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성방수포.
  3. 제 1항에 있어서, 불소계중합체는 다음 일반식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성방수포.
    Figure kpo00005
    여기에서, Rl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 R2는 탄소수2-21의 퍼플루오트알킬기(Perflouoro alkvl), n은 10-200의 정수.
KR1019860009354A 1986-11-06 1986-11-06 투습성 방수포 Expired KR890005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354A KR890005018B1 (ko) 1986-11-06 1986-11-06 투습성 방수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9354A KR890005018B1 (ko) 1986-11-06 1986-11-06 투습성 방수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416A KR880006416A (ko) 1988-07-22
KR890005018B1 true KR890005018B1 (ko) 1989-12-06

Family

ID=1925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354A Expired KR890005018B1 (ko) 1986-11-06 1986-11-06 투습성 방수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0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9656A1 (fr) * 2003-01-08 2004-07-09 Protex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hydrofuge et oleofuge de supports textiles
KR100829459B1 (ko) * 2007-03-29 2008-05-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다공형 투습방수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101046364B1 (ko) * 2008-07-15 2011-07-05 이명학 흡한 쾌적성 직·편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69414Y1 (ko) * 2013-05-28 2013-10-10 (주)코스템 Cctv 카메라 하우징
EP2381031A4 (en) * 2009-01-19 2014-08-27 Unitika Trading Co Ltd MOISTURIZING AND WATERPROOF FIB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9656A1 (fr) * 2003-01-08 2004-07-09 Protex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hydrofuge et oleofuge de supports textiles
KR100829459B1 (ko) * 2007-03-29 2008-05-1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다공형 투습방수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KR101046364B1 (ko) * 2008-07-15 2011-07-05 이명학 흡한 쾌적성 직·편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EP2381031A4 (en) * 2009-01-19 2014-08-27 Unitika Trading Co Ltd MOISTURIZING AND WATERPROOF FIB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KR200469414Y1 (ko) * 2013-05-28 2013-10-10 (주)코스템 Cctv 카메라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416A (ko) 1988-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98258B2 (ja) 撥水性と通気性を有する柔軟性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1084032B1 (en) Treated textile fabric
GB2169223A (en)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coating on fabrics
GB2039790A (en)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coat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890005018B1 (ko) 투습성 방수포
EP0087537A2 (en) Moisture-permeable, water leak-preventive coated fabric
JPS6335887A (ja) コ−テイング布帛
KR860001652B1 (ko) 투습성 방수포와 그의 제조방법
JPS58180687A (ja) 透湿性、防水コ−テイングの加工方法
JPH0578984A (ja) 透湿防水性コーテイング布帛
US4869953A (en) Flame-resistant microporous coatings
KR870000815B1 (ko) 투습성 방수포의 제조방법
KR100555214B1 (ko) 건식무공형 투습방수포의 제조방법
JPS6354829B2 (ko)
KR960006123B1 (ko) 투습성 방수포 및 그 제조방법
JPS6329038B2 (ko)
KR100218706B1 (ko) 투습, 방수포
JPH0156190B2 (ko)
JPH07166479A (ja) 透湿防水性コーティング布帛の製造方法
KR920010716B1 (ko) 고투습성 방수포의 제조방법
KR900008263B1 (ko) 신축성 투습방수포지와 그의 제조방법
KR930011368B1 (ko) 투습방수포용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KR800001618B1 (ko) 엘라스토마 또는 플라스토마피복시이트의 제조방법
KR910003715B1 (ko) 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과 그의 제조방법
JPS63109046A (ja) 結露防止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12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120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